KR20040038417A -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417A
KR20040038417A KR1020020067340A KR20020067340A KR20040038417A KR 20040038417 A KR20040038417 A KR 20040038417A KR 1020020067340 A KR1020020067340 A KR 1020020067340A KR 20020067340 A KR20020067340 A KR 20020067340A KR 20040038417 A KR20040038417 A KR 2004003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gain
gain contro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417A/ko
Publication of KR2004003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를 수행한 후,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파워값을 구하는 파워 계산부, 상기 파워 계산부로부터 전송된 파워값과 기준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게인 포인트 계산부,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에서 구해진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감쇄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3차원 테이블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신호 레벨의 변화를 보상하고 신호의 파워값이 아닌 게인 포인트값을 통해 감쇄기의 감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자동이득 조절 장치의 작동 범위를 벗어난 레벨에 대해서 어느정도 보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Automatically and thereof movement method}
본 발명은 게인 포인트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크게 RF(Radio Frequency)부분, IF(Intermediate Frequency)부분, BBA(Baseband Analog)부분, Baseband Modem 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RF부분은 변조된 캐리어(Carrier)의 고주파신호(Cellular: 900MHz, PCS: 1.8GHz, IMT-2000: 2GHz)와 중간주파수(대략 100MHz∼400MHz) 사이의 변환을, IF부분은 중간주파수와 베이스밴드(Baseband)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고,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부분은 베이스밴드의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을 담당한다. 베이스밴드 모뎀은 단말기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키패드의 입출력 신호 및 마이크와 이어폰의 음성 입출력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CDMA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IF 부분은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GC는 잡음 대 출력비를 적당한 수준에서 자동으로 이득을 변화시켜 송수신시 입출력되는 신호가 약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조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이득 제어 장치는 수신부(100A, 100B), 파워 계산부(150), D/A 변환부(160), 증폭부(170), 감쇄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00A, 100B)는 다이버시티 문제로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로 분리된다. 즉, 수신 안테나가 두개이다. 상기 수신부(100A, 100B)를 거친 신호는 하나의 패스로 먹싱된다.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는 증폭부(110a, 110b), A/D 변환부(120a, 120b), QPSK 복조부(130a, 135a, 130b, 135b), LPF(140a, 145a, 140b, 14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증폭부(110a, 110b)는 수신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A/D 변환부(120a, 120b)에 전송한다.
상기 A/D 변환부(120a, 120b)는 상기 증폭부(110a, 110b)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QPSK 복조부(130a, 135a, 130b, 135b)에 전송한다.
상기 QPSK 복조부(130a, 135a, 130b, 135b)는 상기 A/D 변환부(120a, 1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와 cos 신호를 곱하여 복조를 수행한다.
즉, 상기 QPSK 복조부(130a, 135a, 130b, 135b)는 제1 혼합부(130a, 130b), 제2 혼합부(135a, 13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혼합부(130a, 130b)는 상기 A/D변환부(120a, 1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를 곱하여 제1LPF(140a, 140b)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혼합부(135a, 135b)는 상기 A/D변환부(120a, 1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cos신호를 곱하여 제2 LPF(145a, 145b)에 전송한다.
상기 LPF(140a, 145a, 140b, 145b)는 제1 LPF(140a, 140b)와 제2 LPF(145a, 14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LPF(140a, 140b)는 상기 제1 혼합부(130a, 130b)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를 하여 I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LPF(145a, 145b)는 상기 제2 혼합부(135a, 135b)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를 하여 Q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는 각각 I신호와 Q신호를 출력하여 파워 계산부(150)에 전송한다.
상기 파워 계산부(150)는 상기 LPF((140a, 145a, 140b, 145b)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파워값을 계산한다. 즉, 상기 파워 계산부(150)는 상기 제1 LPF(140a, 140b)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제2 LPF(145a, 145b)로부터 전송된 Q 신호에 수학식 1을 적용하여 파워값을 계산한다.
상기 D/A 변환부(160)는 상기 파워 계산부(150)에서 계산된 디지털 형태의 파워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증폭부(170)에 전송한다.
상기 증폭부(170)는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쇄부(180)는 상기 증폭부(170)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감쇄를 조절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이득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단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에 전송된다.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상기 제2 수신부(100B)에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일정레벨 증폭된 후, A/D 변환부(120a, 120b)에 전송되어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는 제1혼합부(130a, 130b)에서 Sin 신호가 곱해져서 복조되고, 제2 혼합부(135a, 135b)에서 Cos 신호가 곱해져서 복조된다. 상기 제1혼합부(130a, 130b)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1 LPF(140a, 140b)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I신호로 출력되고, 상기 제2 혼합부(135a, 135b)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2 LPA(145a, 145b)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Q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I신호와 Q신호는 파워 계산부(150)에 입력되어 수학식 1에 의해 파워값이 계산된다. 즉, 상기 파워 계산부(150)는 상기 제1 수신부(100A)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Q신호 상기 제2 수신부(100B)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Q신호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파워값을 구한다.
상기 계산된 파워값은 D/A 변환부(160)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부(170)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 레벨 증폭되어 감쇄부(180)에 전송된다. 상기 감쇄부(180)는 상기 증폭부(170)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이용하여 신호의 감쇄를 조절한다.
즉, 상기 감쇄부(180)는 입력되는 RF 수신신호의 세기가 크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많이 주고, RF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적게 주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LPF를 거쳐 나온 신호의 파워값만을 고려하여 게인을 조절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한 신호 레벨의 변화에 취약하고 부품의 특성에 의해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동작 범위를 벗어난 신호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이득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테이블값을 이용하여 구해진 게인 포인트값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3차원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수신부 110, 170, 210, 280 : 증폭부
120, 220 : A/D 변환부 130, 230 : QPSK복조부
140, 240 : LPF 150, 250 : 파워 계산부
160, 270 : D/A 변환부 180, 290 : 감쇄부
260 : 게인 포인트 계산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를 수행한 후,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파워값을 구하는 파워 계산부, 상기 파워 계산부로부터 전송된 파워값과 기준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게인 포인트 계산부, 상기 게인포인트 계산부에서 구해진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부는 경로가 두개로 나뉘어져 구성과 동작이 일치하는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는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대하여 QPSK복조를 수행하는 QPSK 복조부, 상기 QPSK복조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LPF를 포함한다.
상기 QPSK 복조부는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를 곱하는 제1 혼합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cos신호를 곱하는 제2 혼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는 상기 구해진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 값을 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QPSK 복조를 수행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파워값을 구한 후, 상기 구해진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게인 포인트값을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온도 파라미터값은 온도 센서에 의해 구해진 온도를 파라미터값으로 변경한 것이다.
상기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것은 수신 신호의 세기가 크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많이 주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적게 주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이득 제어 장치는 수신부(100A, 100B), 파워 계산부(250),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 D/A 변환부(270), 증폭부(280), 감쇄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00A, 100B)는 다이버시티 문제로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로 분리된다. 즉, 수신 안테나가 두개이다. 상기 수신부(100A, 100B)를 거친 신호는 하나의 패스로 먹싱된다.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상기 제2 수신부(100B)는 증폭부(210a, 210b), A/D 변환부(220a, 220b), QPSK 복조부(230a, 235a, 230b, 235b), LPF(240a, 245a, 240b, 24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증폭부(210a, 210b)는 수신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A/D 변환부(220a, 220b)에 전송한다.
상기 A/D 변환부(220a, 220b)는 상기 증폭부(210a, 210b)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QPSK 복조부(230a, 235a, 230b, 235b)에 전송한다.
상기 QPSK 복조부(230a, 235a, 230b, 235b)는 상기 A/D 변환부(220a, 2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와 cos 신호를 곱하여 복조를 수행한다.
상기 QPSK 복조부(230a, 235a, 230b, 235b)는 제1 혼합부(230a, 230b), 제2 혼합부(235a, 23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혼합부(230a, 230b)는 상기 A/D변환부(220a, 2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를 혼합하여 제1 LPF(240a, 240b)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혼합부(235a, 235b)는 상기 A/D변환부(220a, 220b)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cos신호를 혼합하여 제2 LPF(245a, 245b)에 전송한다.
상기 LPF(240a, 245a, 240b, 245b)는 제1 LPF(240a, 240b)와 제2 LPF(245a, 245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LPF(240a, 240b)는 상기 제1 혼합부(230a, 230b)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를 하여 I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LPF(245a, 245b)는 상기 제2 혼합부(235a, 235b)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를 하여 Q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는 각각 I신호와 Q신호를 출력하여 파워 계산부(250)에 전송한다.
상기 파워 계산부(250)는 상기 LPF(240a, 245a, 240b, 245b)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파워값을 계산한다. 즉, 상기 파워 계산부(250)는 상기 제1 LPF(240a, 240b)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제2 LPF(245a, 245b)로부터 전송된 Q 신호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파워값을 계산한다.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는 상기 파워 계산부(250)에서 계산된 파워값과 온도 파라미터값, RF 신호의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 파라미터값은 온도 센서를 통해 얻은 온도가 온도 파라미터값으로 변환되어 저장된 값이다.
상기 D/A 변환부(270)는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에서 구해진 디지털 형태의 게인 포인트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증폭부(280)에 전송한다.
상기 증폭부(280)는 상기 D/A 변환부(270)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감쇄부(290)는 상기 증폭부(280)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감쇄를 조절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이득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단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제1 수신부(100A)와 제2 수신부(100B)에 전송된다. 상기 제1 수신부(100A)와 상기 제2 수신부(100B)에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는 일정레벨 증폭된 후, A/D 변환부(220a, 220b)에 전송되어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는 제1혼합부(230a, 230b)에서 Sin 신호가 곱해져서 복조되고, 제2 혼합부(235a, 235b)에서 Cos 신호가 곱해져서 복조된다. 상기 제1혼합부(230a, 230b)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1 LPF(240a, 240b)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I신호로 출력되고, 상기 제2 혼합부(235a, 235b)에서 복조된 신호는 제2 LPF(245a, 245b)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Q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I신호와 Q신호는 파워 계산부(250)에 입력되어 수학식 1에 의해 파워값이 계산된다. 즉, 상기 파워 계산부(250)는 상기 제1 수신부(200A)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Q신호 상기 제2 수신부(200B)로부터 전송된 I신호와 Q신호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파워값을 구한다. 그런다음 상기 파워 계산부(250)는 상기 구해진 파워값을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에 전송한다.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는 상기 파워 계산부(250)에서 구해진 파워값과 온도 센서를 통해 얻은 온도 파라미터값, RF 신호의 기준 파워값을 도 4와 같은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한다.
예를들어, 기준 파워값이 30, 온도 파라미터값이 20, 파워 계산부에서 계산된 파워값이 35라고 가정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는 도 4와 같은 3차원 테이블의 X축에 20, Y축에35, Z축에 30을 기록한 후, 상기 기록된 값이 만나게 되는 곳을 게인 포인트값으로 정한다.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260)는 상기 구해진 게인 포인트값을 D/A변환부(270)에 전송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부(280)에서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는 감쇄부(290)에 전송된다.
상기 감쇄부(290)는 상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감쇄를 조절한다. 즉, 상기 감쇄부(290)는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가 크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많이 주고, RF 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적게 주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S300).
그런다음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대하여 QPSK 복조를 수행한 후,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S302). 여기서, 상기 QPSK 복조는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sin 신호와 cos 신호를 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sin신호를 곱하여 필터링하면, I신호가 출력되고,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cos 신호를 곱하여 필터링하면, Q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파워값을구한다(S304). 즉,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I 신호와 Q신호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파워값을 구한다.
단계 304의 수행후,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상기 구해진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한다(S306). 상기 온도 파라미터는 온도센서에 의해 구해진 온도를 파라미터값으로 변환한 것이다.
단계 306의 수행후,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상기 구해진 게인 포인트값을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S308),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S310).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상기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감쇄를 조절한다(S310). 즉, 상기 자동 이득 조절 장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크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많이 주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적게 주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3차원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인 포인트 계산부는 기준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파워값을 Z축, X축, Y축에 각각 기록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테이블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신호 레벨의 변화를 보상하고 신호의 파워값이 아닌 게인 포인트값을 통해 감쇄기의 감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자동이득 조절 장치의 작동 범위를 벗어난 레벨에 대해서 어느정도 보상을 하는 자동 이득 조절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를 수행한 후,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파워값을 구하는 파워 계산부;
    상기 파워 계산부로부터 전송된 파워값과 기준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을 이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게인 포인트 계산부;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에서 구해진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증폭부;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전송된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감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경로가 두개로 나뉘어져 구성과 동작이 일치하는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와 제2 수신부는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형태의 신호에 대하여 QPSK복조를 수행하는 QPSK 복조부;
    상기 QPSK복조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LP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QPSK 복조부는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sin신호를 곱하는 제1 혼합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cos신호를 곱하는 제2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포인트 계산부는 상기 구해진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 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장치.
  6.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QPSK 복조를 수행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파워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파워값, 온도 파라미터값, 기준 파워값을 3차원 테이블에 적용하여 게인 포인트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게인 포인트값을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일정 레벨 증폭하여 게인 조절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파라미터값은 온도 센서에 의해 구해진 온도를 파라미터값으로 변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조절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것은 수신 신호의 세기가 크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많이 주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작으면,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감쇄를 적게 주어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방법.
KR1020020067340A 2002-11-01 2002-11-0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40038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340A KR20040038417A (ko) 2002-11-01 2002-11-0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340A KR20040038417A (ko) 2002-11-01 2002-11-0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417A true KR20040038417A (ko) 2004-05-08

Family

ID=3733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340A KR20040038417A (ko) 2002-11-01 2002-11-01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99B1 (ko) * 2004-12-09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송수신기의 온도 보상 및 선형 이득 제어 장치
KR100871940B1 (ko) * 2004-05-03 2008-12-0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대한 이득 제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40B1 (ko) * 2004-05-03 2008-12-0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대한 이득 제어
KR100592599B1 (ko) * 2004-12-09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송수신기의 온도 보상 및 선형 이득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129B2 (en) Direct conversion digital domain control
EP1618674B1 (en) An amps receiver system using a zero-if architecture
US7596125B2 (en) Adjusting the amplitude and phase characteristics of transmitter gene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in response to base station transmit power control signals and known transmitter amplifier characteristics
US20020123319A1 (en) Direct conversion digital domain control
US6041081A (en) CDMA transmitter having a variable gain circuit inserted between a transmitter mixer and a transmitter antenna
JPH1065568A (ja) 無線装置
EP0734615B1 (en) Transmitters for radio telephone base stations
CA2265143A1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rendering power amplification and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1350332B1 (en) Direct conversion digital domain control
WO2001024554A1 (fr) Unite d&#39;amplification de puissance de transmission
JP2007521762A (ja) 共用機能ブロック・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通信送受信機
GB2381162A (e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for mobile station
JP2001086172A (ja) 受信機
KR20040038417A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1466415B1 (en) Wireless receiver without AGC
JP4039168B2 (ja) 受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JP2001244861A (ja) 無線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249529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 단말기를 위한 수신 회로및 수신 방법
JPH0626855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自動調整回路
GB2362523A (en) A transceiver with the bias of an amplifier in the receiver controlled by a baseband processor
JPH0537409A (ja) 移動通信装置
KR20000008001A (ko) 통신 시스템 수신기의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장치
JPH09219625A (ja) 無線通信機
KR100306276B1 (ko) 통신시스템의혼변조신호처리장치및방법
JP2001102941A (ja) 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