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031A -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031A
KR20040038031A KR1020020066892A KR20020066892A KR20040038031A KR 20040038031 A KR20040038031 A KR 20040038031A KR 1020020066892 A KR1020020066892 A KR 1020020066892A KR 20020066892 A KR20020066892 A KR 20020066892A KR 20040038031 A KR20040038031 A KR 2004003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s
seri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031A/ko
Publication of KR2004003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불법 도용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내 저장 방법과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서 인증을 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콘텐츠와 인스톨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다운로드 받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스톨 파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인스톨 파일 내의 인증코드를 복호화하여 일련번호를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에서 복호화된 일련번호가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실행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고 콘텐츠 실행을 종료하고, 동일한 경우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Method of formation and execution for prevention contents from unauthorized cop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불법 도용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내 저장 방법과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서비스의 하나로서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예컨대, 만화, 게임, 소설, 멜로디 콘텐츠)들을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창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상기 콘텐츠들을 콘텐츠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비하고, 이용자들이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여 요금을 지불하고 다운로드 받도록 운영되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 확산과 더불어 서비스 이용율이 급증하고 있다.
상기의 콘텐츠 다운로드 방식으로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1)가 직접 무선 인터넷망(12)을 이용하여 로그인 절차를 거쳐서 직접 특정 서버(13)에 있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넷(23)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22)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4)로부터 특정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개인용 컴퓨터(22)에 저장한 후 이를 이동통신단말기(21)로 다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콘텐츠를 임의로 불법 복제하여 자신의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경우 이를 제지할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콘텐츠 사용이 허가된 개인용 컴퓨터 소유자가 아닌 제3자가 개인용 컴퓨터내의 콘텐츠 파일을 적외선통신(IrDA),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시리얼 통신(RS-232), 범용직렬버스(USB) 등의 유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불법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적외선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간에도 콘텐츠를 손쉽게 주고받을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끼리 불법 복제가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인스톨 파일에 인증코드를 삽입하여 허가가 인증된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만 상기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하여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인증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하여 인증코드 생성을 위한 별도의 식별번호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직접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인증코드가 포함된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31: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 S32: 사용자 인증
S33: 콘텐츠 및 인스톨 파일 다운로드
S34: 인증코드 생성 및 삽입 S41: 인증코드 복호화
S42: 일련번호 비교 S43: 콘텐츠 실행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콘텐츠를 정당하게 다운로드 받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일련번호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생성한 인증코드를콘텐츠 인스톨 파일에 삽입한 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한다. 콘텐츠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인스톨 파일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복호화하여 콘텐츠 사용권한이 있는가를 인증받은 후 해당 콘텐츠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가 특정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다운로드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서 인증을 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 실행과 관련된 인스톨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다운로드 받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 번호를 소정의 암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고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인스톨 파일의 인증코드 저장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스톨 파일 내의 인증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화하여 콘텐츠 사용이 허가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를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에서 복호화된 일련번호가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실행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고 콘텐츠 실행을 종료하고, 동일한 경우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다운로드 된 인스톨 파일을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위한 포맷으로 재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특정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해 다운로드를 요청(S31)한다.
다운로드 요청이 있게되면 요청한 자가 정당한 자인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과정(S32)을 가진다.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는 인증 과정이 필요 없지만,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는 요청하는 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당한 사용자인가를 인증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여러 인증 방법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자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는 입력된 단말기 전화번호로 소정의 인증 번호 문자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수령한 인증 번호를 다시 웹사이트에 입력하게 되면 서버는 입력된 인증 번호와 송신한 인증 번호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정당한 단말기 소유자인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의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는 선택된 콘텐츠와 콘텐츠와 관련된 인스톨 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다운로드(S33)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콘텐츠가 다운로드 된 경우는 해당 콘텐츠를 단말기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경우는 컴퓨터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적외선통신,블루투스통신)이나 유선 통신 방식(RS-232,USB 통신)으로 단말기내의 메모리로 보내준다. 상기의 인스톨 파일은 콘텐츠 실행 유효기간, 콘텐츠가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리소스 정보, 콘텐츠 아이콘, 단말기에서 생성될 인증코드가 저장될 영역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결국, 콘텐츠 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콘텐츠와 상기의 인스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는 단말기 자신의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인스톨파일에 삽입하는 단계(S34)를 가진다. 단말기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는 단말기 소유자가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에 가입 시에 할당받는 번호로서,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 번호이다. 이러한 단말기 일련번호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인스톨 파일의 인증코드 영역에 삽입한다. 일련 번호를 직접 인증코드로 하여 인스톨 파일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인스톨 파일이 유통될 시에 콘텐츠 내에 일련번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일련 번호가 불법 도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의 일련 번호를 암호화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인스톨 파일에 삽입한다.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는 MD5 알고리즘, RSA 알고리즘 같은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간단히 살펴보면, MD5(message digest 5)는 입력 데이터 (길이에 상관없는 하나의 메시지)로부터 128 비트 메시지 축약을 만듦으로써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서, MD5 규격은 현재 IETF RFC 1321에 명시되어 있다. MD5 알고리즘은 MD4의 확장판으로서, MD4에 비해 속도가 빠르지는 않지만, 데이터 보안성에 있어 더 많은 확신을 제공한다.
RSA(Rivest-Shamir-Adleman)는 1977년에 Ron Rivest, Adi Shamir와 LeonardAdleman에 의해 개발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인터넷 암호화 및 인증 알고리즘으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및 인증 알고리즘이다. 공개키와 개인키의 획득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서, 공개 및 개인키 둘 모두는 암호화/복호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오직 개인키의 소유자만이 그것을 알 필요가 있다. RSA 시스템을 사용하면, 개인키는 절대로 인터넷을 통해 보내지지 않는다. 상세한 수학적 설명은 RSA 웹사이트(www.rsasecurity.com)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4는 인증코드가 포함된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게 되면 단말기내의 중앙처리부는 해당 콘텐츠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인스톨 파일에 삽입되어 있는 인증코드를 복호화(S41)하여 특정 일련번호를 알아낸다. 상기의 인증코드는 해당 콘텐츠를 사용할 권리가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가 암호화 된 것으로서, 콘텐츠를 처음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에서 자신의 일련번호를 가지고 생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증코드를 복호화하여 일련번호를 알아낸 후, 상기의 일련번호가 단말기 자신의 일련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S42)한다. 판단 결과, 일련번호가 서로 틀린 경우는 콘텐츠 실행 불가라는 에러 메시지(S44)를 남기고 콘텐츠 실행 과정을 종료한다. 일련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콘텐츠를 단말기에서 실행(S43)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콘텐츠를 실행시킴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존재하는 콘텐츠가 직접 망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정당한 콘텐츠인가 아니면 불법으로 도용 복제된 불법 콘텐츠인가를 인식할 수 있다. 결국, 상기의 방법을 통해 특정 콘텐츠가 불법 도용된 콘텐츠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지 않게 함으로써 콘텐츠의 불법 도용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존재하는 콘텐츠가 불법으로 도용한 콘텐츠인 경우 단말기에서 실행되지 않게 함으로써, 단말기 콘텐츠의 불법 도용 및 복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업자는 콘테츠 불법 도용의 염려 없이 가입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고품질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가 특정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다운로드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서 인증을 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 실행과 관련된 인스톨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다운로드 받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 번호를 소정의 암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인스톨 파일의 인증코드 저장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법 도용을 방지하는 콘텐츠를 생성 및 다운로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스톨 파일은 특정 콘텐츠 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로서 상기의 인증코드가 저장될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도용을 방지하는 콘텐츠를 생성 및 다운로드 하는 방법.
  3.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실행 시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스톨 파일 내의 인증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화하여 콘텐츠 사용이 허가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를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에서 복호화된 일련번호가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실행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고 콘텐츠 실행을 종료하고, 동일한 경우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인증코드는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자신의 단말기 일련번호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방법.
KR1020020066892A 2002-10-31 2002-10-31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KR20040038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92A KR20040038031A (ko) 2002-10-31 2002-10-31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92A KR20040038031A (ko) 2002-10-31 2002-10-31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031A true KR20040038031A (ko) 2004-05-08

Family

ID=3733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892A KR20040038031A (ko) 2002-10-31 2002-10-31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0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13B1 (ko) * 2005-03-04 2007-0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불법 컨텐츠 이용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0726677B1 (ko) * 2006-01-12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rm 파일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과 컨텐츠 재생방법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
KR100749249B1 (ko) * 2006-03-17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망 접속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1384B1 (ko) * 2006-01-11 2007-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컨텐츠 검증 방법
KR100781895B1 (ko) * 2006-07-13 2007-12-03 옥은호 저작권 표시 전자책의 처리와 온라인 판매 전송 서비스방법
KR100823892B1 (ko) * 2006-11-23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WO2009064069A1 (en) * 2007-11-12 2009-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illegal program cop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330A (ja) * 1995-11-07 1997-05-20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保護システム
KR19990046545A (ko) * 1999-03-29 1999-07-05 최종욱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KR20010006888A (ko) * 1999-04-28 2001-01-26 니시무로 타이죠 컴퓨터 시스템 및 콘텐츠 보호 방법
KR20010111001A (ko) * 2000-06-10 2001-12-15 최제형 인증매체의 암호키와 컴퓨터하드웨어의 고유정보를 이용한 변동 암호키 방식의 인증 방법 및 이 인증 방법을 기록한 기간과 권한이 명시된 인증 매체
KR20020016055A (ko) * 2000-08-24 2002-03-04 이영환 암호화된 소프트웨어의 전송방법 및 전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330A (ja) * 1995-11-07 1997-05-20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保護システム
KR19990046545A (ko) * 1999-03-29 1999-07-05 최종욱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KR20010006888A (ko) * 1999-04-28 2001-01-26 니시무로 타이죠 컴퓨터 시스템 및 콘텐츠 보호 방법
KR20010111001A (ko) * 2000-06-10 2001-12-15 최제형 인증매체의 암호키와 컴퓨터하드웨어의 고유정보를 이용한 변동 암호키 방식의 인증 방법 및 이 인증 방법을 기록한 기간과 권한이 명시된 인증 매체
KR20020016055A (ko) * 2000-08-24 2002-03-04 이영환 암호화된 소프트웨어의 전송방법 및 전송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13B1 (ko) * 2005-03-04 2007-0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불법 컨텐츠 이용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0761384B1 (ko) * 2006-01-11 2007-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컨텐츠 검증 방법
KR100726677B1 (ko) * 2006-01-12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rm 파일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과 컨텐츠 재생방법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
KR100749249B1 (ko) * 2006-03-17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망 접속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1895B1 (ko) * 2006-07-13 2007-12-03 옥은호 저작권 표시 전자책의 처리와 온라인 판매 전송 서비스방법
KR100823892B1 (ko) * 2006-11-23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WO2009064069A1 (en) * 2007-11-12 2009-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illegal program cop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58108B1 (ko) * 2007-11-12 2010-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불법복제 방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5769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tecting software
CA2573101C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igital signature using one time private keys
US6047242A (en) Computer system for protecting software and a method for protecting software
US72701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rograms using tamper resistant processor
US6470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ess to limited access based data
US7899187B2 (en) Domain-based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with easy and secure device enrollment
JP5284989B2 (ja) 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の更新
US8561174B2 (en) Authorization method with hints to the authorization code
EP1636664B1 (en) Proof of execution using random function
US20040088541A1 (en)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JPWO2007094165A1 (ja) 本人確認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本人確認方法
JP2009526280A (ja) 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のアクセスに対する制限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072608A (ja) 機器情報送信プログラム、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機器情報送信装置、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機器情報送信方法
WO2007086015A2 (en) Secure transfer of content ownership
CN112800392A (zh) 基于软证书的授权方法和装置、存储介质
CN112487450A (zh) 一种文件服务器访问分级方法
CN113810410B (zh) 无法滥用密钥去中心化属性基加密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H05298174A (ja) 遠隔ファイルアクセスシステム
KR20040038031A (ko)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JP452209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パーソナライズシステム
JPH1124916A (ja) 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3345930A (ja) 属性証明書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2132145A (ja)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1282746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JP2002135239A (ja) 暗号化データ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