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545A -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545A
KR19990046545A KR1019990010816A KR19990010816A KR19990046545A KR 19990046545 A KR19990046545 A KR 19990046545A KR 1019990010816 A KR1019990010816 A KR 1019990010816A KR 19990010816 A KR19990010816 A KR 19990010816A KR 19990046545 A KR19990046545 A KR 19990046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de
data
client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욱
이원하
Original Assignee
최종욱
정용주
이원하
주식회사 멀티정보
유세근
주식회사 트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욱, 정용주, 이원하, 주식회사 멀티정보, 유세근, 주식회사 트러스텍 filed Critical 최종욱
Priority to KR101999001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545A/ko
Publication of KR1999004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중 암호화한 후 전송시킴으로서 정당한 사용자만이 해당 데이터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암호화 송수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하는 클라이언트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암호화시켜 전송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신의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복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coding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중 암호화한 후 전송시킴으로서 정당한 사용자만이 해당 데이터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분배 및 공유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사운드(sound), 비디오(video) 등의 멀티미디어 디지털 정보는 인터넷 상에서 저작자의 동의 없이 다량의 복사가 가능하며, 복사 후 원본과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누구든지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복사, 배포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 자체에 저작자의 서명이나 소정의 코드를 삽입하는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기술을 적용하려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이 상용화되기에는 많은 시간과 발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무단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 이동통신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이하, CDMA라 한다) 방식은 1989년도에 퀄컴사(Qualcomm, Inc.)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전기 통신 산업 협회(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에 의해 표준화 되었다(Interim Standard IS-95). CDMA 방식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는데, 사용자를 구분하는데 사용자 통신 채널 고유의 의사 잡음 부호(Pseudo-Noise Code;이하, PN 코드라 한다)를 사용한다. 즉, PN 코드를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 주파수 대역의 수십배 이상의 대역으로 송신 주파수 대역을 확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송신 시에 사용한 PN 코드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원신호를 복조한다.
이러한 CDMA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대역 확산(Spread-Spectrum) 통신 방식은 협대역(Narrow-Band) 신호의 간섭에 강함을 나타내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주파수 대역 문제를 PN 코드와 월시 함수(Walsh function)를 이용하여 동일 주파수에 다수의 사용자 코드를 전송한다.
전술한 대역 확산 통신 방식은 특정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대역폭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주파수 대역의 이용 효율은 떨어지나 에러 효율(또는 신호 대 잡음비)이 좋아진다. 또한, 확산되어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매우 약해도 통신이 가능하고 잡음 신호에 강하기 때문에 많은 송신자가 동시에 신호를 송출하더라도 특정 코드(확산 코드)를 가진 특정 수신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한 채널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대역 확산 방식에는 신호원을 PN 코드를 이용하여 변조하여 대역을 확산하는 직접 시퀀스 확산 기법(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DS-SS), 캐리어 주파수를 주파수의 집합으로 도약하여 대역 확산을 이루는 주파수 도약 확산 기법(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FH-SS), 데이터의 한 블록을 압축하여 수많은 시구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간헐적으로 송신하는 시간 도약 확산 기법(Time Hopping Spread Spectrum;TH-SS) 및 칩(chip) 대역 확산 기법이 있으며, 이들중 2가지를 혼합 사용하는 복합(Hybrid) 방식도 많이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대역 확산 통신 방식은 확산 코드로 완전 잡음과 같은 신호를 확산 코드로 사용해야 하나, 단지 잡음과 같은 확산 코드로는 각 가입자마다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IS-95 방식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는 순방향 채널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에 송신하는 각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직교 확산 코드인 월시 함수와 역방향 채널에 사용하는 긴 코드와 기지국간의 구별을 위해 사용하는 짧은 코드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PN 코드를 이용한 원 신호의 변환 및 복원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인 원 신호에 송신측 확산 코드를 곱하여 생성된 확산 신호를 수신측에서 받아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와 동일한 확산 코드를 곱하면 다시 원 신호로 복원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받은 확산 신호에 송신측 확산 코드와 동일하지 않은 잘못된 확산 코드를 곱하는 경우에는 원 신호와 전혀 다른 신호로 복원되므로 수신자는 마치 잡음과 같은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활을 하는 확산 코드가 대역 확산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임의의 시간 T 동안에 각 확산 코드에 대해 수학식 1과 같이 상호연관(cross-correlation)이 없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대역 확산 코드의 성질을 잘 반영하는 PN 코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첫째로 반복주기가 충분히 길어야 하고, 둘째로 한 주기속에 0과 1의 개수가 비슷해야 하고, 셋째로 연속된 숫자의 반복이 1인 부분이 총 코드의 1/2, 2가 1/4, 3이 1/8...의 순으로 전개되어야 하고, 넷째로 한 주기속에 각 시퀀스간의 상호연관이 매우 작아야 하고, 다섯째로 작은 시퀀스 조각으로 전체 시퀀스 조각을 재생할 수 없어야 하고, 여섯째로 적절한 재생 알고리즘에 의해 재생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중 암호화한 후 전송시키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받은 클라이언트는 자신에게 할당된 PN 코드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화하여 원신호를 재생시킴으로서 정당한 사용자만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PN 코드를 이용한 원 신호의 변환 및 복원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한 PN 발생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4는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데이터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A/D 변환기,20, 50. PN 코드 발생기,
30, 60. 터미널 ID 저장부,40, 70. 인코더,
80. D/A 변환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암호화 송수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하는 클라이언트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암호화시켜 전송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신의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복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키는 PN 코드 발생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PN 코드 발생기로부터 제공받은 PN 코드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공받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주문받은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에게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키는 PN 코드 발생기; 자신의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는 터미널 ID 저장부; 및 상기 PN 코드 발생기로부터 제공받은 PN 코드와 상기 터미널 ID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암호화 송수신 방법은 암호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시키고 터미널 ID를 부여하는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해당 PN 코드와 해당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시키는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 및 수신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신의 PN 코드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복호화시키는 데이터 재생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는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와 상기 생성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해당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 ID가 할당된 터미널의 가입자에게 상기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전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PN 코드르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주문한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단계; 상기 검색한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재생 과정은 자신의 PN 코드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단계;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단계; 및 원신호로 복원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이나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AOD(Audio On Demand) 서비스에 대해 대역 확산 코드를 적용하는 바, AOD 서비스 이외의 모든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이 디지털화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대역 확산 코드를 적용한 디지털 데이터의 분배 기술 응용 범위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모든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송수신 장치는 크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하는 클라이언트(client)와 클라이언트에서 주문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AOD 센터로 이루어지는 바, AOD 센터는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or;10), PN 코드 발생기(20), 터미널 ID 저장부(30) 및 인코더(encoder;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D 변환기(10)는 클라이언트가 주문한 사운드 파일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PN 코드 발생기(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한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PN 코드 발생기(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한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PN 코드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의거하여 PN 코드를 생성한다.
터미널 ID 저장부(30)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한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다.
인코더(40)는 PN 코드 발생기(20)로부터 입력받은 PN 코드와 터미널 ID 저장부(30)로부터 제공받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중 암호화(부호화)한다.
여기서, PN 코드와 터미널 ID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것으로, 이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고유의 단말기를 부여받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주문이 있으면 AOD 센터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전송하는 바, PN 코드 발생기(20)로부터 입력받은 PN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터미널 ID 저장부(30)로부터 제공받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한번 더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한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암호화를 수행하는 이유는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를 쉽게 복원시키기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한 PN 코드 발생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일반적으로 대역 확산 코드의 성질을 잘 반영하는 코드의 생성을 위해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사용하는 바,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PN 코드 발생기를 구성하는 방식에는 SLFSR(Simple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방법과 MLFSR(Modular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방법이 있다. SLFS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정 다항식(Characteristic(Primitive) Polynomial)을 사용하며, MLFSR의 경우에는 결정 다항식의 반대(Reciprocal of Characteristic Polynomial) 방법을 사용한다. 후자의 경우는 IS-95의 표준 구현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식이다.
도 3에 도시하는 PN 코드 발생기는 3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PN 코드는 초기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코드열이 다르게 구성된다.
표 1은 초기 레지스터의 상태를 [1,1,1]로 지정한 상태에서 도 3의 PN 코드 발생기를 이용하여 출력한 값을 나타내는 표이며, 표 2는 초기 레지스터의 상태를 [1,1,0]으로 지정한 상태에서 도 3의 PN 코드 발생기를 이용하여 출력한 값을 나타내는 표로, 표 1과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PN 코드 발생기의 초기 상태가 한 비트만 다른 경우에도 생성되는 코드열이 각각 [111010]과 [011101]으로 전혀 다르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n F1 F2 F3 출력
1 1 1 1
2 0 1 1 1
3 1 0 1 1
4 0 1 0 1
5 0 0 1 0
6 1 0 0 1
7 1 1 0 0
n F1 F2 F3 출력
1 1 1 0
2 1 1 1 0
3 0 1 1 1
4 1 0 1 1
5 0 1 0 1
6 0 0 1 0
7 1 0 0 1
본 발명에 실제 적용되는 PN 코드 발생기는 30비트 또는 42비트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실제로 생성 가능한 PN 코드는 쉬프트 레지스터가 30비트일 경우에는 230-1개의 서로 다른 PN 코드가 생성 가능하고, 42비트일 경우에는 242-1개의 서로 다른 PN 코드가 생성 가능하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PN 코드 발생기(50), 터미널 ID 저장부(60), 인코더(70) 및 D/A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or;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PN 코드 발생기(50)는 클라이언트 자신에게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키는 바, AOD 센터로부터 할당받은 PN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PN 코드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의거하여 PN 코드를 생성한다.
터미널 ID 저장부(60)는 자신에게 부여된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다.
인코더(70)는 PN 코드 발생기(50)로부터 입력받은 PN 코드와 터미널 ID 저장부(60)로부터 입력받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 신호로 복호화시킨다.
D/A 변환기(80)에서는 인코더(70)에서 복원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암호화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반적인 암호화 송수신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AOD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 단말기를 신청하는 바,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AOD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저장해야 하며, 이때 AOD 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PN 코드 발생기(20) 및 터미널 ID 발생기(미도시)에서는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는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생성해 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PN 코드 발생기(20) 및 터미널 ID 발생기(미도시)에서 생성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는 사용자 정보에 연계되어 해당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 터미널 ID가 할당된 터미널의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여기서, PN 코드는 PN 코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고, 터미널 ID는 터미널 ID 저장부(3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AOD 센터로부터 자신의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부여받은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PN 코드를 PN 코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터미널 ID를 터미널 ID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복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요구한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가 가능한 것은 해당 단말기밖에 없다.
도 5는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을 AOD 센터로부터 제공받기 위해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면, AOD 센터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 터미널 ID 저장부(30) 및 PN 코드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조회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의 PN 코드 및 터미널 ID가 검색되었으면 AOD 센터에서는 검색된 PN 코드를 PN 코드 발생기(20)에서 생성시킨 후, PN 코드 발생기(20)에서 생성된 PN 코드를 사용자가 요구한 데이터에 곱하여 한번 암호화하고, 검색된 터미널 ID를 데이터에 곱하여 두번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해 준다.
도 6은 데이터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당한 사용자는 AOD 센터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원신호로 재생하여야 하는 바,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요구에 의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사용자 개별적으로 할당된 PN 코드와 자신의 단말기에 있는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원신호로 복호화시킨다. 즉, 수신받은 암호화된 데이터에 PN 코드 발생기(50)로부터 입력받은 PN 코드를 곱하여 복호화하고, 터미널 ID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터미널 ID를 데이터에 곱하여 복호화함으로서 원신호를 복원시킨다. 여기서, AOD 센터에서 데이터를 암호화시키고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복호화시킬 때 사용되는 PN 코드 및 터미널 ID는 서로 동일한 것이여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잡음과 같은 데이터가 복원될 것이다.
한편, 오디오 재생기와 플레이어도 동일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타인의 단말기에서는 터미널 ID 값이 다르므로 잡음과 같은 데이터가 복원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암호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중 암호화한 후 전송시키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받은 클라이언트는 자신에게 할당된 PN 코드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화하여 원신호를 재생시킴으로서 정당한 사용자만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 과금 체계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복제 및 배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문하는 클라이언트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 이루어지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암호화시켜 전송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신의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복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키는 PN 코드 발생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PN 코드 발생기로부터 제공받은 PN 코드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제공받은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주문받은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에게 할당된 PN 코드를 생성시키는 PN 코드 발생기;
    자신의 터미널 ID가 저장되어 있는 터미널 ID 저장부; 및
    상기 PN 코드 발생기로부터 제공받은 PN 코드와 상기 터미널 ID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장치.
  4. 암호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시키고 터미널 ID를 부여하는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문시 해당 PN 코드와 해당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시키는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 및
    수신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신의 PN 코드와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복호화시키는 데이터 재생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 및 터미널 ID 부여 과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는 PN 코드와 터미널 ID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와 상기 생성된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해당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 ID가 부여된 터미널의 가입자에게 상기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전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구 및 데이터 암호화 과정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PN 코드 및 터미널 ID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PN 코드르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주문한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단계;
    상기 검색한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재생 과정은
    자신의 PN 코드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단계;
    자신의 터미널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단계; 및
    원신호로 복원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송수신 방법.
KR1019990010816A 1999-03-29 1999-03-29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KR19990046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16A KR19990046545A (ko) 1999-03-29 1999-03-29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816A KR19990046545A (ko) 1999-03-29 1999-03-29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545A true KR19990046545A (ko) 1999-07-05

Family

ID=5478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16A KR19990046545A (ko) 1999-03-29 1999-03-29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5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3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KR101253623B1 (ko) * 2005-11-01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을 유료화하기 위한 방송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56A (en) * 1992-09-09 1993-09-1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ecurity method for private information delivery and filtering in public networks
JPH06266670A (ja) * 1993-03-11 1994-09-22 Fujitsu Ltd 暗号化仮想端末初期化装置
JPH0879234A (ja) * 1994-09-07 1996-03-22 Hitachi Ltd データ受信装置
JPH10145351A (ja) * 1996-11-08 1998-05-29 Hitachi Ltd データ通信の暗号化方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56A (en) * 1992-09-09 1993-09-1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ecurity method for private information delivery and filtering in public networks
JPH06266670A (ja) * 1993-03-11 1994-09-22 Fujitsu Ltd 暗号化仮想端末初期化装置
JPH0879234A (ja) * 1994-09-07 1996-03-22 Hitachi Ltd データ受信装置
JPH10145351A (ja) * 1996-11-08 1998-05-29 Hitachi Ltd データ通信の暗号化方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3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불법 복제 방지용 콘텐츠 생성 및 실행 방법
KR101253623B1 (ko) * 2005-11-01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을 유료화하기 위한 방송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0995C (en) Multiple access coding for radio communications
US5742678A (en) Multiple access coding for radio communications
AU707271B2 (en) Establishment of cryptographic keys in radio networks
KR100669832B1 (ko) 복소 스크램블링 코드 시퀀스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
AU663258B2 (en) A method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s within secure communication systems
CA2292627C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increased data rates and robustness
US6724741B1 (en) PN code selection for synchronous CDMA
CA23052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ream cipher
CA2771037C (en) Secure transmission system for a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KR100331530B1 (ko) 부호생성방법,부호선택방법,기지국장치,이동국장치및통신시스템
WO1995023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ultiple spreading c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2519934A (ja) 可変レートcdma用の非再帰的に生成された直交pnコード
JPH08163085A (ja) 情報通信装置
JP2002502179A (ja) 複数の拡散コードを選択することにより、マルチ・レート・データ送信を簡易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08048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seudorandom quantities based upon radio channel characteristics
NL1005523C2 (nl) Werkwijze en communicatiesysteem voor het in gedeeltelijk gecodeerde vorm overdragen van informatiesignalen.
JPH1198120A (ja)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
JPH0850959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拡散符号の使用を時分割多重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542701B2 (ja) Ds−cdma−ss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コードブック索引付け法を用いることにより高ビット密度を達成する方法
CN113904770A (zh) 一种量子噪声流加密密钥更新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9990046545A (ko) 암호화송수신장치및방법
CN101496330A (zh) 用于沃尔什编码的编码交织
JP2008079297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KR97000760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확산부호 발생장치
Haji Time domain spread spectrum protocol-less tele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