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605A -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605A
KR20040037605A KR1020020066159A KR20020066159A KR20040037605A KR 20040037605 A KR20040037605 A KR 20040037605A KR 1020020066159 A KR1020020066159 A KR 1020020066159A KR 20020066159 A KR20020066159 A KR 20020066159A KR 20040037605 A KR20040037605 A KR 2004003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ignal
horizontal
revers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457B1 (ko
Inventor
정윤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 및 의도적인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의도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제2방향으로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삼각대를 이용하여 패닝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Digital Video Camera having function for compesnation imag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적인 움직임 후 발생하는 역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화상을 보정할 수 있는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이하 'DVC'라 한다)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와 더불어 각광받고 있는 촬영장치이다.
또한, DVC와 같은 촬영장치의 수요 및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촬영장치에는 조작성 향상을 위한 손떨림 보정(Electronic Image Stabilization), 자동초점(Auto Focus), 자동노출(Auto Esposure) 등의 자동화 기능이 채택되고 있다.
이 중, 손떨림 보정은 촬영 시 촬영자의 미세한 손떨림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보정하는 것이다. 손떨림은 촬영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장치를 의도적으로 움직일 때 거의 동시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질을 저하시키므로 의도적인 움직임에 의한 신호와 구분되어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촬영장치에는 의도적인 움직임과 손떨림을 구분하여 손떨림에 의한 신호를 보정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의도적인 움직인 신호의 일 예로서 패닝(panning)을 들 수 있다. 패닝은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측면으로 이동하기 위해 촬영장치의 촬영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패닝 시 발생하는 손떨림은, 촬영장치를 삼각대(tripod)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대부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촬영자가 촬영장치를 들고 패닝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1b는 삼각대에 고정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패닝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A' 및 'C' 구간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패닝을 수행한 경우 발생한 패닝신호에 대한 파형도이고, 'B' 및 'D' 구간은 패닝 종료 후, 패닝을 수행한 방향(제1방향)의 역방향(제2방향)으로 발생한 움직임에 대한 파형도이며, 점선은 패닝신호 및 역방향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기준신호이다.
도 1a의 경우, 촬영자가 촬영장치를 들고 촬영하였으므로 패닝에 의한 신호뿐만 아니라, 손떨림에 의한 신호가 크게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b의 경우, 촬영장치를 삼각대에 고정시킨 후 패닝을 시도하였으므로 손떨림에 의한 신호는 미세하게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B' 및 'D' 구간에 발생하는 역방향 움직임 신호는 촬영자가 의도하지 않은 신호로서 촬영장치는 손끌림 신호뿐만 아니라 역방향 움직임 신호에 대해서도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촬영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역방향 움직임 신호까지 보정함으로써, 의도적인 움직임에 대해 정확한 보정을 실시하지 못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의해, 패닝 후 화면이 역방향으로 끌리는 것과 같은 화상떨림현상이 발생하며, 결국 시각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구현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떨림현상은 촬영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극심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패닝 후 발생하는 역방향에 대한 신호는 보정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촬영자가 촬영장치를 들고 패닝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1b는 삼각대에 고정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패닝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구비된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1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2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3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0 : 촬영장치210 : 수직신호처리부
230 : 수평신호처리부250 : 제어부
270 : 화상처리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 및 의도적인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화상을 보정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도록 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평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손떨림 동작에 의한 움직임 및 의도적인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여 화상을 보정하는 촬영장치의 화상보정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지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제2방향으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도록 처리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a) 단계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평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200)는 수직신호처리부(210), 수평신호처리부(230), 제어부(250) 및 화상처리부(270)를 갖는다.
수직신호처리부(210)는 수직 자이로 센서(Gyro Sensor)(212), 수직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이하 'LPF'라 한다)(214), 수직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이하 'HPF'라 한다)(216), 제1LPF(218), 제1버퍼(220) 및 제1증폭기(Amplifier, 이하 'AMP'라 한다)(222)를 갖는다.
손떨림 또는 패닝에 의한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수직 자이로 센서(230)는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의 이동량을 검출하여 수직주파수신호(v1_out)로 변환출력한다.
또한, 수직 자이로 센서(212)는 촬영기기(200)가 정지했을 때 출력되는 수직기준신호(v1_ref)를 출력한다. 수직기준신호(v1_ref)는 수직주파수신호(v1_out)의 상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신호로서, 수직기준신호(v1_ref)가 최저 0V, 최고 3V의 값을 갖는 경우, 수직기준신호(v1_ref)는 1.5V의 값을 갖는다. 이는 수평신호처리부(23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수직 LPF(214)는 수직주파수신호(v1_out)에 포함된 소정 제1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수직 HPF(216)는 수직 LPF(214)를 통과한 신호 중 소정 제2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수직 HPF(216)를 통과한 신호는 수직 자이로 센서(212)로부터 검출된 수직주파수신호(v1_out) 중 잡음신호가 제거된 움직임의 수직주파수신호(v2_out)이다. 일반적으로 손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3Hz ~ 15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제1LPF(218)는 수직 자이로 센서(212)로부터 출력된 수직기준신호(v1_ref) 중 소정 제3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제1버퍼(220)는 잡음신호가 제거된 수직기준신호(v2_ref)를 임시저장한다.
제1AMP(222)는 수직 HPF(216) 및 제1버퍼(220)에서 각각 출력된 잡음신호가 제거된 수직주파수신호 및 (v2_out) 및 수직기준신호(v2_ref)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v3_out, v3_ref)로 출력한다.
수평신호처리부(230)는 수평 자이로 센서(232), 수평 LPF(234), 수평 HPF(236), 제2LPF(238), 제2버퍼(240) 및 제2AMP(242)를 갖는다. 수평신호처리부(230)는 수직신호처리부(210)와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촬영기기(200)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수평신호처리부(230)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이동량을 수평주파수신호(h1_out)로 변환출력한다. 그리고, 수평신호처리부(230)는 수평주파수신호(h1_out) 및 수평기준신호(h1_ref)의 잡음신호를 제거한 후(h2_out, h2_ref), 증폭된 신호(h3_out, h3_ref)를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촬영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보정과 관련된 제어부(25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250)는 제1AMP(222) 및 제2AMP(242)로부터 출력된 수직 및 수평주파수신호(v3_out, h3_out) 각각에 대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를 산출한다. 움직임 데이터는 움직임 각도 및 움직임 방향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산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와 기설정된 잡음임계값의 크기를 비교한다. 산출된 움직임 데이터가 잡음임계값보다 작으면, 제어부(250)는 움직임 데이터가 실제 손떨림이 아닌 촬영장치(200) 내 회로 소자들에 의해 발생한 잡음인 것으로 판단한다. 잡음으로 판단된 신호(즉, 수직 및 수평주파수신호(v3_out, h3_out))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보정되지 않는다.
반면, 산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잡음임계값보다 크면, 제어부(250)는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 또는 패닝에 의한 의도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산출된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인지 또는 패닝에 의한 움직임인지를 판단하여 보정을 제어한다.
산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처리부(270)는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산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패닝에 의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처리부(270)는 움직임 데이터에 대한 영상이 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센터링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50)가 수직 및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에 대해 화상보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구비된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먼저,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수직 및/또는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인지 또는 패닝에 의한 움직임인지를 판단한다(S310). S310단계에서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의도적인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데이터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20).
역수직데이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이며, 역수평데이터는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이다.
S320단계에서 제2방향으로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되는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데이터를 적응적으로 보정처리하도록 제어한다(S330).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1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311). S311단계에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패닝에 의한 의도적인 수직방향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한다(S312).
반면, S311단계에서,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에 의한 수직방향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한다(S313).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제어부(250)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확인한다(S314). S314단계에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패닝에 의한 의도적인 수평방향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한다(S315).
반면, S314단계에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손떨림에 의한 수평방향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한다(S316).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2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소정 시간동안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수직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는지를 확인한다(S321). 즉,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방향으로 역수직데이터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321단계에서, 제2방향으로 역수직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S312단계 또는 S313단계의 판단결과에 의해 S321단계에서의 방향전환이 수직방향의 패닝에 의한 방향전환인지를 확인한다(S322).
S322단계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어부(250)는 S321단계에서의 방향전환을 수직방향의 패닝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인식하거나(S323), 또는 수직방향의 손떨림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인식한다(S324).
수직방향에 대한 방향전환 여부가 확인되면(S321단계 내지 S324단계), 제어부(250)는 수평방향에 대한 방향전환의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소정 시간동안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수평방향의 움직임 데이터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는지를 확인한다(S325). S325단계에서, 제2방향으로 역수평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50)는 S315단계 또는 S316단계의 판단결과에 의해 S325단계에서의 방향전환이 수직방향의 패닝에 의한 방향전환인지를 확인한다(S326).
S326단계의 확인결과에 따라 제어부(250)는 S325단계에서의 방향전환을 수직방향의 패닝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인식하거나(S327), 또는 수직방향의 손떨림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인식한다(S328).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을 위한 제어방법 중 S330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수직방향으로의 패닝에 의한 움직임 중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1). S331단계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S323단계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수직방향 패닝에 의해 발생한 역수직데이터가 제2방향으로 입력 중인지를 판단한다(S332).
S332단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패닝에 의해 역수직데이터가 입력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역수직데이터의 소멸시간동안, 역수직데이터의 움직임은 0으로 처리한다. 즉,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역수직데이터의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화상처리부(270)에서 보정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S331단계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정되도록 한다. 또한, S332단계에서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역수평신호가 입력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역수평신호는 보정되도록 한다.
수직방향에 대한 역수직신호의 보정제어 여부가 완료되면, 제어부(250)는 수평방향으로의 패닝에 의한 움직임 중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4). S334단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S327단계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수평방향 패닝에 의해 발생한 역수평데이터가 제2방향으로 입력 중인지를 판단한다(S335).
S335단계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패닝에 의해 역수평데이터가 입력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역수평데이터에 대한 움직임은 0인 것으로 처리한다. 즉,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역수평신호는 화상처리부(270)에서 보정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S334단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정되도록 한다. 또한, S335단계에서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역수평신호가 입력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역수평신호는 보정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의 화상보정제어는 완료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촬영장치에는 DVC, 일반 캠코더 등이 있으며, 삼각대와같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EIS 모드로의 온/오프 조작없이 효율적으로 화상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대에 부착된 촬영장치를 통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패닝을 시도하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발생한 역수평 또는 역수직방향의 움직임이 보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패닝을 수행하는 경우, 패닝 후 발생하는 역방향에 대한 신호는 보정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 및 의도적인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판단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화상을 보정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평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4.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손떨림 동작에 의한 움직임 및 의도적인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하여 화상을 보정하는 촬영장치의 화상보정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지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를 적응적으로 보정하도록 처리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화상보정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설정된 패닝판단기준신호보다 큰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제1방향으로 패닝판단기준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화상보정 제어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된 상기 역수직 및/또는 역수평신호가 상기 의도적인 움직임신호에 의해 발생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직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경우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움직임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입력되는 상기 역수평신호에 대한 움직임은 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화상보정 제어방법.
KR1020020066159A 2002-10-29 2002-10-29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7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59A KR100777457B1 (ko) 2002-10-29 2002-10-29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59A KR100777457B1 (ko) 2002-10-29 2002-10-29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05A true KR20040037605A (ko) 2004-05-07
KR100777457B1 KR100777457B1 (ko) 2007-11-21

Family

ID=3733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59A KR100777457B1 (ko) 2002-10-29 2002-10-29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77B1 (ko) * 2005-08-1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보정 각도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보정 장치
US7796871B2 (en) 2006-03-29 2010-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panoramic photograph
US8174567B2 (en) 2008-03-21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310551B2 (en) 2008-07-07 2012-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es for controlling hand shake correction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N112740654A (zh) * 2018-09-19 2021-04-30 高途乐公司 用于稳定视频的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807B2 (en) 2018-05-18 2020-03-10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video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033B1 (ko) * 1996-04-02 1999-06-01 윤종용 촬상 기록 장치에서의 손떨림 성분과 패닝 성분 분리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EP0831644A3 (en) * 1996-09-20 2000-01-12 Sony Corporation Image shake discriminator and stabiliz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77B1 (ko) * 2005-08-1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보정 각도 생성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보정 장치
US7796871B2 (en) 2006-03-29 2010-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panoramic photograph
US8174567B2 (en) 2008-03-21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310551B2 (en) 2008-07-07 2012-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es for controlling hand shake correction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N112740654A (zh) * 2018-09-19 2021-04-30 高途乐公司 用于稳定视频的系统和方法
CN112740654B (zh) * 2018-09-19 2023-12-19 高途乐公司 用于稳定视频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457B1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415B2 (en) Camera having an image stabilizer
US8150250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13606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52886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보정 방법 및 장치
JP6472176B2 (ja) 撮像装置、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像振れ補正方法
US20060132612A1 (en) Motion picture tak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417593B (zh) 摄像装置、工作方法、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JPH07123317A (ja) 防振機能付き撮影装置
JP2007116309A (ja) 画像情報再生装置
JP2019128362A (ja) 撮像装置
JP5155625B2 (ja) カメラの像振れ補正装置
JP3250245B2 (ja) 防振カメラ
KR100777457B1 (ko)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90059016A1 (e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for camera
WO2017104102A1 (ja) 撮像装置
JP7352891B2 (ja) 撮像装置
JP6373145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補正方法
JP2023076452A (ja) ブレ検出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本体、ブレ検出方法、ブレ検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44220B2 (ja) 露出補正装置、撮影装置、露出値設定装置、露出補正値算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2207232A (ja) 撮像装置の像ぶれ補正方法および装置
JP7336754B2 (ja) 撮像装置
JP628907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04462A (ja) 撮像装置
JP4832386B2 (ja) カメラの像振れ補正装置
JP3132146B2 (ja) 像ブレ補正手段を有した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