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566A - 다용도 운동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566A
KR20040037566A KR1020020066113A KR20020066113A KR20040037566A KR 20040037566 A KR20040037566 A KR 20040037566A KR 1020020066113 A KR1020020066113 A KR 1020020066113A KR 20020066113 A KR20020066113 A KR 20020066113A KR 20040037566 A KR20040037566 A KR 2004003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quipment
purpose exercise
elastic arm
protrud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02006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566A/ko
Publication of KR2004003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안이나 야외에서 사용하는 휴대가능한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몸체와 신축팔로 구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여 각종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야외 물놀이시에는 튜브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운동구{A health implement}
본 발명은 집안이나 야외에서 사용하는 휴대가능한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몸체와 신축팔로 구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여 각종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야외 물놀이시에는 튜브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면서, 이와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헬스클럽이나 종합 스포스 시설들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료의 부담이나 거리상의 문제점등의 이유로 간편하고 손쉽게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마음은 있어도 실행으로 옮기기는 그리 쉽지 않은 형편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한두가지 이상은 운동기구들을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각기 한두가지의 특정한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는 단일기능으로 제조되어 있기때문에, 다양한 부위의 신체단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장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집에서 사용할 경우, 자칫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놀 경우에는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이 또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신체단련이 가능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용도 운동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 안전성이 우수한 다용도 운동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팔로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평면도
도9는 도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10은 제5실시예의 변형예의 요부단면도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사용 원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2: 공기 주입구
5: 평면부
30: 신축팔 31: 신축팔 지지대
32: 연결간 33: 보강연결간
40: 손잡이부 41: 발걸이 겸용 손잡이 돌출부
42: 대직경부 43: 소직경부
46: 지압용 돌부 60: 돌출부
도1은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2는 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주입구(2)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외면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팔(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와 신축팔(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이 우수하며, 몸체 내부의 공기를 뺀 경우는 부피가 작아져서 휴대하기에 매우 간편하게 된다.
상기 신축팔(30)은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있으며 그 내부공간은 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신축팔(3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기의 신축팔은 두개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는 신축팔 지지대(31)와, 상기 나란한 신축팔 지지대의 사이를 사다리 식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간(32)과, 상기 나란한 두개의 신축팔 지지대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손잡이부(4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팔을 사다리식으로 형성한 것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한 길이에 해당하는 연결간을 선택하여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간은 도6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의 보강연결간(33)을 더 부가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는 신축팔 양쪽 폭방향으로 각각 더 돌출된 발걸이 겸용 손잡이 돌출부(41)를 형성하여 손으로 잡거나 또는 발로 밟고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간(32)과 손잡이부(40)와 신축팔 지지대는 서로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몸체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 상기 신축팔의 말단부분에 까지 공기가 주입되어 전체가 팽팽하게 팽창하여 사용하기에 적당한 강도와 탄성력을 얻을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도7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되 일측면은 평편한 평면부(5)로 형성하여 사용시에 안정감을 더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8 내지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를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도너츠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물놀이시 튜브로 사용하기에도 매우 적당한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발걸이 겸용 손잡이 돌출부(41)를 큰 직경의 대직경부(42)와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43)로 형성하며, 상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사이는 걸이용 통공(4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대직경부(4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압용 돌부(46)를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손잡이부의 대직경부(42)를 잡거나 발로 걸 경우 자연스럽게 지압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모든 예들에서는 도5에서와 같이 몸체(1)의 표면에 다수의 돌출부(60)를 형성하여 운동중에 강한 지압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양한 사용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를 등에 대고 신축팔의 손잡이부(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연결간)를 쥐고 앞쪽으로 밀게 되면 쇼울더 프레스머신의 기능과 같이 활배근과 이두박근 및 삼두박근을 강화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도12에서와 같이 몸체(1)를 가슴에 대고 손잡이부를 잡고 팔을 뒤쪽으로 벌리면서 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의 도11의 경우의 반대쪽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13은 발을 뻗고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부에 발끝을 걸고 타측의 손잡이부를 가슴쪽으로 잡아 당기고, 이 상태에서 발을 몸쪽으로 당겼다 뻗었다를 반복하게 되면 렉트레이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4는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몸체(1)가 등으로 가게끔 하고 일측 손잡이부를 잡고 앞쪽으로 뻗으며, 타측 손잡이부에는 무릎을 뒤로 접어서 발을 끼워넣고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게 되면 다리의 근육을 골고르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15에서와 같이 일측의 손잡이부를 발로 밟고 타측은 손잡이부를 밟은발의 반대쪽 손으로 잡아서 대각선 방향으로 뻗는 동작을 통하여 체스트웨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대흉근, 활배근, 팔근육의 발달에 도움이 된다.
상기의 경우들에 있어서, 손잡이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적당한 연결간을 잡거나 그 사이의 구멍들에 팔이나 발끝,발목등을 끼우고 운동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의 경우들 외에도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의 운동이 가능하며, 또한 몸체의 외면에 돌출부와 손잡이부의 지압용 돌부는 운동을 하는 동안 다양한 부위에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주입구로부터 내부의 공기를 빼내었을 경우는 매우 작은 부피로 축소가 가능하므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며, 물놀이시에는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튜브로 사용하기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매우 다양한 유형의 운동이 가능하여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연결간과 구멍들로 인하여 잡거나 팔이나 몸을 끼울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물놀이용 튜브로서도 매우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팔은 그 내부가 비어있으며 그 내부공간은 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팔은 두개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는 신축팔 지지대와, 상기 나란한 신축팔 지지대의 사이를 사다리 식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간과, 상기 나란한 두개의 신축팔 지지대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과 손잡이부와 신축팔 지지대는 서로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는 신축팔 양쪽 폭방향으로 각각 더 돌출된 발걸이 겸용 손잡이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 겸용 손잡이 돌출부는 큰 직경의 대직경부와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로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사이는 걸이용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압용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되 일측면은 평편한 평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도너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구.
KR1020020066113A 2002-10-29 2002-10-29 다용도 운동구 KR20040037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13A KR20040037566A (ko) 2002-10-29 2002-10-29 다용도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13A KR20040037566A (ko) 2002-10-29 2002-10-29 다용도 운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566A true KR20040037566A (ko) 2004-05-07

Family

ID=3733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13A KR20040037566A (ko) 2002-10-29 2002-10-29 다용도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5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36B1 (ko) * 2005-12-12 2006-07-28 강순구 다목적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2455A2 (en) * 1981-04-03 1982-10-13 Cathaylon Limited Multi-purpose device for physical exercises
JPS58126861U (ja) * 1982-02-19 1983-08-29 金沢 英次 遊戯用ゴムボ−ル
US6068580A (en) * 1998-02-23 2000-05-30 Hedstrom Corporation Exercise device
WO2000056409A2 (en) * 1999-03-24 2000-09-28 Howard Panes Athlet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10034733A (ko) * 1998-04-02 2001-04-25 로버트 엘. 스위지 등척(等尺) 운동용 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2455A2 (en) * 1981-04-03 1982-10-13 Cathaylon Limited Multi-purpose device for physical exercises
JPS58126861U (ja) * 1982-02-19 1983-08-29 金沢 英次 遊戯用ゴムボ−ル
US6068580A (en) * 1998-02-23 2000-05-30 Hedstrom Corporation Exercise device
KR20010034733A (ko) * 1998-04-02 2001-04-25 로버트 엘. 스위지 등척(等尺) 운동용 공
WO2000056409A2 (en) * 1999-03-24 2000-09-28 Howard Panes Athlet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36B1 (ko) * 2005-12-12 2006-07-28 강순구 다목적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481A (en) Body supported exercise device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20050143234A1 (en) Conformable resistance training device
US5033740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hat is used with a hand
US4852874A (en) Portable isokinetic exercising device
US8500610B2 (en) Exercise device
US5653664A (en) Variable weight exercise stick
US5514058A (en) Portable whole body exercise device
US7141012B2 (en) Exercising device having a ball body
US20040185990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7931575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US5720700A (en) Portable whole body exercise device
JP2008508928A (ja) シットアップボード
US6120415A (en) Exercise support pole
CN206621731U (zh) 一种舞蹈辅助训练设备
KR20040037566A (ko) 다용도 운동구
US20050107227A1 (en) Conformable resistance training device
US5547446A (en) Exercise device
KR20100001151U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900009769Y1 (ko) 기처 체력 단련기
KR100540514B1 (ko) 신축성을 갖는 운동기구
KR20080082445A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245592Y1 (ko) 펌프를 이용해 복근 운동을 시켜주는 스카이 점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