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419A -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419A
KR20040037419A KR1020020065896A KR20020065896A KR20040037419A KR 20040037419 A KR20040037419 A KR 20040037419A KR 1020020065896 A KR1020020065896 A KR 1020020065896A KR 20020065896 A KR20020065896 A KR 20020065896A KR 20040037419 A KR20040037419 A KR 2004003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data
call
received
phonem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419A/ko
Publication of KR2004003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 전송 장치는,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RF부로 출력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고,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 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TRANSMITTING VARIOUS ALERT TONES/OUTGO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통화가 착신될 시 전화가 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음향신호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데, 이러한 음성신호를 수신 인지음(alert tone)이라 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는 통화가 착신될 시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설정해둔 음성 안내 메시지나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특정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안내 메시지를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라 한다. 아웃고잉 메시지의 예로는 부재중 안내 메시지, 회의중 안내 메시지, 목욕중 안내 메시지, 면단중 안내 메시주 등이 있다.
아웃고잉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한 종래 방식으로, 제조업체에서 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해당하는 아웃고잉 메시지를 내용과 크기를 정하여 이를 통신 단말기의 일정 영역에 음성 형태로 저장하여 이를 필요시 연결하여 아웃고잉 메시지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아웃고잉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한 다른 종래 방식으로는, 음성을 녹음하여 이를 전화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 후 필요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수신 인지음을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제조업체에서 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단계 저장한 기본적인 수신 인지음을 사용하는 방식과,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수신 인지음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식의 수신 인지음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 째로, 수신 인지음은 기본적으로 제조 업체에서 제공한 것만을 사용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서 제공하는 수신 인지음은 요금을 지불해야만 다운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수신 인지음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방식의 아웃고잉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맞는 아웃고잉 메시지를 구성하지 못하고, 일률적인 몇 가지 것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잇다. 두 번째로, 아웃고잉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메모리를 할당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음성 녹음 방식 아웃고잉 메시지인 경우, 플로우 구성면에서 구현이 어렵고 사용자가 익숙하지 못할 경우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수신 인지음을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수신 인지음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수신 인지을 출력 장치는,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 전송 장치는,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RF부로 출력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고,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인지음(Alert tone) 및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 생성/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도 1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캐패드 조작에 따라 수신 인지음을 편집하고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B는 도 1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캐패드 조작에 따라 아웃고잉 메시지를 편집하고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A는 도 1의 제어부가 도 2A의 절차에 따라 저장된 수신 인지음들 중 하나를 사용자의 캐패드 조작에 따라 통화 착신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B는 도 1의 제어부가 도 2B의 절차에 따라 저장된 아웃고잉 메시지들 중 하나를 사용자의 캐패드 조작에 따라 통화 착신시 전송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제어부가 도 3A 및 3B의 절차에 따라 설정된 수신 인지음 또는 아웃고잉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들을 부여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수신 인지음(alert tone) 및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를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편집, 저장 및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 출력/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신 인지음 및 아웃고잉 메시지 출력/전송 장치는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00)와,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과 선택키와 확인키를 구비하는 키패드(101),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2)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03)와, 음소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04)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부(108)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음성 출력부(104)는 제어부(100)의 제어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음소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보코더(VOCODER)(105)와, 보코더(105)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코덱(CODEC)(106)과, 코덱(106)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실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스피커(107)로 구성되어 진다.
제어부(100)는 키패드(101)를 통해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메모리(103)의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메모리(103)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보코더(105)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음성 출력부(104)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는 도 1의 제어부(100)가 사용자의 캐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수신 인지음을 편집해서 메모리(103)에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전원이 온(ON)되면 동작을 시작하며, 202단계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2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인지음 편집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4단계의 검사결과, 수신 인지음 편집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다시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수신 인지음 편집 기능이 선택되면 20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06단계에서 수신 인지음 편집화면을 표시부(102)에 표시하며, 20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메모리(10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을 한 후 21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를 따라 메모리(103)에 번호로 구분되게 저장한 후 21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12단계에서 수신 인지음 편집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해서, 종료키가 입력이 되었으면 202단계의 통화대기 상태로 진행하며,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20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 인지음 편집을 계속할 수 있게 해준다.
도 2B는 도 1의 제어부(100)가 사용자의 캐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아웃고잉 메시지를 편집해서 메모리(103)에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250단계에서 전원이 온(ON)되면 동작을 시작하며, 252단계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254단계로 진행하여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54단계의 검사결과,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다시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 기능이 선택되면 25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56단계에서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화면을 표시부(102)에 표시하며, 25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메모리(10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을 한 후 26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60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를 메모리(103)에 제목별로 구분되게 저장한 후 26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262단계에서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해서, 종료키가 입력이 되었으면 252단계의 통화대기 상태로 진행하며,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25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아웃고잉 메시지 편집을 계속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A는 도 1의 제어부(100)가 도 2A의 절차에 따라 메모리(103)에 저장된 수신 인지음들중 하나를 사용자의 캐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 착신시 음성 출력부(104)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전원이 온(ON)되면 동작을 시작하며, 302단계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3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인지음 설정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수신 인지음 설정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다시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수신 인지음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306단계에서 수신 인지음 설정화면을 표시부(102)에 표시하며, 30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 인지음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보코더(105)로 출력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한 후 31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310단계에서 수신 인지음 설정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해서, 종료키가 입력이 되었으면 302단계의 통화대기 상태로 진행하며,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30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 인지음 설정을 계속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B는 도 1의 제어부(100)가 도 2B의 절차에 따라 메모리(103)에 저장된 아웃고잉 메시지들중 하나를 사용자의 캐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 착신시 RF부(108)를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전원이 온(ON)되면 동작을 시작하며, 352단계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354단계로 진행하여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54단계의 검사결과,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다시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35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356단계에서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화면을 표시부(102)에 표시하며, 35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패드(101)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제목에 해당하는 아웃고잉 메시지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RF부(108)로 출력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한 후 36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360단계에서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해서, 종료키가 입력이 되었으면 352단계의 통화대기 상태로 진행하며,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35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아웃고잉 메시지 설정을 계속할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도 1의 제어부(100)가,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착신시, 도 3A의 절차에 따라 설정된 수신 인지음을 음성 출력부(104)로 출력하거나, 도 3B의 절차에 따라 설정된 아웃고잉 메시지를 RF부(108)를 통해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400단계에서 전원이 온(ON)되면 동작을 시작하며, 402단계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404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4단계의 검사결과, 착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다시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수신되었으면 40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406단계에서 아웃고잉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해서, 설정되어 있으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아웃고잉 메시지를 RF부(108)를 통해 상기 착신신호를 발신한 상대방 단말기로 무선 전송한 후 다시 402단계의 통화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404단계의 검사결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인지음이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410단계의 검사결과, 수신 인지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설정된 수신 인지음을 음성 출력부(104)를 통해 변환해서 실제 음성으로 출력하고 416단계로 진행하며, 수신 인지음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기본 수신 인지음을 음성 출력부(104)를 통해 변환해서 실제 음성으로 출력하고 41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416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통화모드가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16단계의 검사결과 일정시간 이후가 되도록 단말기가 통화모드가 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0)는 41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알리는 아웃 고잉 메시지인 부재중 안내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402단계의 통화대기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416단계의 검사결과 일정시간 이내에 단말기가 통화모드가 되었으면, 제어부(10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인지음 출력을 중지하고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기를 대기한다. 제어부(100)는 422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종료를 확인하게 되면 402단계의 통화대기 모드로 다시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게 되면,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수신 인지음 및 아웃고잉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편집, 저장 및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원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원리는 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수신인지음을 텍스트로 편집, 저장, 설정해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양한 알람 메시지를 텍스트로 편집, 저장, 설정해서 사용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게 되면,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변경을 거의 가하지 않고서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을 통해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수신 인지음 및 아웃고잉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수신 인지음(alert tone)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는 저장되는 순서대로 번호별로 구분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코더(VOCODER)와,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CODEC)과,
    상기 코덱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실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RF부로 출력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고,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는 제목별로 구분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로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수신 인지음(alert tone)을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는 저장되는 순서대로 번호별로 구분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부로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RF부로 출력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음소 데이터는 제목별로 구분되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다수의 문자키들과 상하이동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와, 표시부와, 음소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음소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음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부로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착신시 다양한 수신 인지음(alert tone)을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다양한 아웃고잉 메시지(outgoing message)를 상기 통화를 발신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수신 인지음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번호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될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를 통해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아웃고잉 메시지 텍스트를 상기 음소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음소 데이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제목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에 상기 RF부로 출력될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인지음 설정 상황과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의 설정 상황에 따라, 상기 수신 인지음으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아웃고잉 메시지로 설정된 음소 데이터를 통화 착신시 상기 RF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65896A 2002-10-28 2002-10-28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40037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896A KR20040037419A (ko) 2002-10-28 2002-10-28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896A KR20040037419A (ko) 2002-10-28 2002-10-28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419A true KR20040037419A (ko) 2004-05-07

Family

ID=3733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896A KR20040037419A (ko) 2002-10-28 2002-10-28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84B1 (ko) * 2002-10-28 2005-04-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녹음과 자동응답 메시지 타이틀 저장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 전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740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음성메시지로 된 호출음 추가방법과 장치
KR20000042808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비통화모드에서의 음성신호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10099454A (ko) * 2001-09-28 2001-11-09 김인권 텍스트(사용자입력)와 발신자번호 및 주소록을 이용한휴대폰음성벨소리.
KR20010113336A (ko) * 2000-06-19 2001-12-28 김경익 전자메일을 이용한 이동전화 착신 벨소리 제공 방법 및 그장치
KR20030024421A (ko) * 2001-09-18 2003-03-26 (주) 보이스웨어 음성합성 및 음성변조 서버를 구비한 통합서버에서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740A (ko) * 1998-03-24 1999-10-15 윤종용 음성메시지로 된 호출음 추가방법과 장치
KR20000042808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비통화모드에서의 음성신호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10113336A (ko) * 2000-06-19 2001-12-28 김경익 전자메일을 이용한 이동전화 착신 벨소리 제공 방법 및 그장치
KR20030024421A (ko) * 2001-09-18 2003-03-26 (주) 보이스웨어 음성합성 및 음성변조 서버를 구비한 통합서버에서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KR20010099454A (ko) * 2001-09-28 2001-11-09 김인권 텍스트(사용자입력)와 발신자번호 및 주소록을 이용한휴대폰음성벨소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84B1 (ko) * 2002-10-28 2005-04-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녹음과 자동응답 메시지 타이틀 저장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 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96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ming call for use with the same
US7551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 hold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9743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xt-to-voice synthesis
JP365150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07028339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ender-specific alert signals
JP2006522551A (ja) 音を出さずに選択および聴取の可能な通信を提供する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2865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lacing a call
KR200600101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스케쥴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2118689A (ja) 携帯電話の発信時相手応答に対する自動音声再生機能
JP2002204300A (ja) 携帯電話の対話式無音応答
KR20040037419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수신 인지음/아웃고잉 메시지출력/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8099121A (ja) 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18950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녹음기로 사용하는 방법
KR100483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동응답 인사말에 배경 음악삽입 방법
KR200231930Y1 (ko) 웨이브의 양방향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이동단말시스템
KR20060130897A (ko) 휴대 단말기의 무성음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5217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이모티콜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JP4291755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信号の出力方法
JP2005222410A (ja) 車載用ハンドフリーメール装置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KR1005940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변조 장치 및 방법
KR100689464B1 (ko)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89591Y1 (ko) 음성인식형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606097B1 (ko) 휴대폰의 음성 녹음 및 재생방법
KR100439224B1 (ko)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