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333A -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333A
KR20040036333A KR1020020065307A KR20020065307A KR20040036333A KR 20040036333 A KR20040036333 A KR 20040036333A KR 1020020065307 A KR1020020065307 A KR 1020020065307A KR 20020065307 A KR20020065307 A KR 20020065307A KR 20040036333 A KR20040036333 A KR 2004003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ategorization
voice
sente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웬세이-링
창제카리
유레거
장벡
Original Assignee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2006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333A/en
Publication of KR2004003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33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voice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manual input of a user by enabling the user to select a candidate sentence to be inputted through an application of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o increase an input speed while avoiding an input error. CONSTITUTION: A sentence database(210) is categorized, and stores sentences for categorization. A receiving and recognition module(230) receives a candidate sentence for assigning a number to a voice of a user through a voice peripheral device, recognizes the inputted voice of the user, and processes a voice transmission. A data retrieval module(220) retrieves a corresponding data item from a categorization checklist based on results of the voice transmission. An output display module(240) expresses a sentence for the checklist and the categorization, and outputs the expressed sentence as an editable file.

Description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보문장과 관련된 카테고리의 선택절차에서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그/그녀의 입력 속도를 더 증가할 수 있게 하는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nese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Chinese, which enables a user to further increase his / her input speed by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o assist the user in the selection procedure of a category related to candidate sentences. It relates to an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중국어 입력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느린 입력속도와 불편함이다. 일반적으로, 느린 입력속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촛점을 둔 대부분의 중국어 입력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속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어분해 기능을 가지게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가 정말로 그/그녀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전에, 그/그녀는 자기학습과 분해 중국어(disassembly Chinese) 입력방법들 중 하나에 친숙해지는데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 이러한 분해 중국어 입력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학습은 너무 어렵고 불편하며, 사람들은 분해 중국어 입력방법을 사용하는데 관심이 없어지고 있다.The biggest problem with Chinese input method is slow input speed and inconvenience. In general, most Chinese input methods focused on solving the problem of slow input speed have been developed with word decomposi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user's input speed. However, before the user can really increase his / her speed, he / she must spend a lot of time getting used to one of self-learning and disassembly Chinese input methods. Learning to use such a decomposed Chinese input method is too difficult and inconvenient, and people are not interested in using a decomposed Chinese input method.

일부 중국어 입력방법들은 내장된 문장을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느린 입력속도와 불편함의 두 문제를 해결하도록 시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해결책은 사용자가 반복입력하지 않고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장을 직접 선택함으로써 빠른 입력과 시간절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대부분의 저장된 문장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최초 입력후 잇따라 선택하도록 일대일의 가능한 문장으로 열거되어 진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문장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해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문장 데이터베이스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방해가 된다. 더욱이, 이런 종류의 수동 중국어 입력방법에 의하여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전체 입력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소홀 또는 부주의를 초래하면서 사용자는 오류(error)를 범하게 된다.Some Chinese input methods attempt to solve the two problems of slow input speed and inconvenience by building a database with embedded sentences. This kind of solution allows the user to achieve the goal of fast input and time savings by directly selecting sentences from the embedded database without repetitive typing. However, most stored sentences in this embedded database are listed as one-to-one possible sentences for the user to make subsequent selections after the user's initial input. The method of selecting sentences in such a database requires the user to manually input data through a keyboard or a mouse, and is an obstacle for users who frequently use the sentence database. Moreover, this type of manual Chinese input method is time consuming and induces input negligence or carelessness by the user, which affects the overall input speed, resulting in the user making an error.

현재 음성인식 기술은 잘 발달되었다. 비록 여전히 일부 기술적 어려움이 있지만, 고정된 기본요소를 인식하는 것은 여전히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성인식 기술의 잇점을 가지고 중국어 입력방법을 개발하는 방법과 사용자의 입력속도를높이기 위해 수동 입력절차와 입력 오류율(error rate)을 줄이는 방법이 다양한 입력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관심이 되고 있다.Currently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s well developed. Although there are still some technical difficulties, recognizing fixed fundamentals can still be applied. Therefore, the method of developing Chinese input method with the advantage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method of reducing the input error rate and the manual input procedure to increase the user's input speed are of interest to users who use various input methods. have.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여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입력 빈도를 줄이고, 입력오류를 피하며 입력 속도를 증가시키는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speech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Chinese input method that reduces the frequency of manual input by the user, avoids input errors, and increases the input speed by applying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장 데이터베이스와, 수신 및 인식모듈과, 데이터 검색모듈 및 출력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peech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having a sentence database, a reception and recognition module, a data retrieval module and an output display module.

게다가, 개시된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방법은 편집 가능한 파일에서 입력방법 초기 인터페이스를 시작하는 단계와,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를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카테고리로부터 항목을 선택하도록 후보문장에 대해 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로부터 문장을 나타내는 단계와, 음성입력을 통해 상기 후보문장에 대한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분류된 문장항목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문장항목을 상기 편집 가능한 파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disclosed speech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starting an input method initial interface in an editable file, presenting a categorization checklist, and selecting and entering a number for a candidate sentence to select an item from the category. And a step of displaying a sentence from the selected category, selecting a number for the candidate sentence through voice input, searching for a classified sentence item, and searching for the classified sentence item. The output consists of:.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 및 기술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 의해 나타내어 진다.The details and techniques of the invention a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igures an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과 방법의 계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system structure of the speech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입력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voice input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data retrieval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및 4c는 개시된 시스템과 방법의 중국어 입력방법 및 음성입력 디스플레이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4A, 4B and 4C illustrate Chinese input methods and voice input displays, respectively, of the disclosed systems and methods.

개시된 발명은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과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어 입력시스템과 방법의 계통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The disclosed invention proposes a speech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structure of the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is described as follows.

(1) 문장 데이터베이스(210)는 주로 카테고리화 내용과 각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문장 데이터베이스(210)는 데이터 검색에서의 정확도와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돕도록 각 카테고리화와 각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 사이의 연관된 찾아보기(index)를 구축하는 조합 데이터베이스이다.(1) The sentence database 210 is mainly used for storing categorization contents and sentences for each categorization. Sentence database 210 is a combination database that builds an associated index between each categorization and sentences for each categorization to help increase the accuracy and speed in data retrieval.

(2) 데이터 검색모듈(220)은 주로 수신 및 인식모듈(230)로부터 전송된 음성결과에 기초한 문장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의 대응하는 데이터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검색모듈(220)은 현재 나타난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의 상태를 기록하고, 전송된 음성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기존의 대응하는 데이터와 대조하며, 문장 데이터베이스(210)으로부터 음성결과를 검색한다.(2) The data retrieval module 220 is mainly for retrieving corresponding data contents from the sentence database 210 based on the voice result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and recognition module 230. The data retrieval module 220 records the status of the currently displayed categorization checklist, matches the transmitted voice result with existing corresponding data in the database, and retrieves the voice result from the sentence database 210.

(3) 수신 및 인식모듈(230)은 주로 음성입력 주변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인식 및 전송업무를 수행한다. 인식절차는 주로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른 기존의 후보문장 번호를 찾고, 이들 번호가 이용 가능한 후보문장의 인식 가능한 범위내에 있는 지를 확인하는데 촛점을 둔다. 만일 사용자의 음성 입력데이터가 후보문장의 번호범위를 넘어서거나 그/그녀의 불분명한 음성으로 인해 인식될 수 없다면, 모듈(230)은 즉각적으로 오류 메세지를 보내고 사용자가 그/그녀의 음성 데이터를 반복하도록 요청한다. 음성전송에 대해,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인식 가능한 후보문장 번호의 합당한 범위내에 있음을 확인한 후 아날로그신호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디지털 호로 전송한다.(3) The receiving and recognizing module 230 mainly performs a task of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voice data input by a user through a voice input peripheral device. Recognition procedure mainly focuses on finding existing candidate sentence numbers according to user's voice input and checking whether these numbers are within the recognizable range of available candidate sentences. If the user's voice input data exceeds the number of candidate sentences or cannot be recognized due to his / her unclear voice, module 230 immediately sends an error message and the user repeats his / her voice data. Ask. For voice transmission, the module confirms that the user's voice input is within a reasonable range of recognizable candidate sentence numbers and then transmits the analog signal to a digital call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program.

(4) 출력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주로 (음성 입력영역과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categorization checklist)를 나타낸다. 게다가, 출력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사용자가 카테고리에 대한 문장을 선택한 후,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문장을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편집 가능한 파일로 출력하므로,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시간이 줄어든다.(4) The output display module 240 mainly shows a categorization checklist (including the voice input area and the item display area). In addition, the output display module 240 automatically selects a sentence for a category and then outputs a corresponding sentence as an editable file used by the user, thereby reducing the user's data input time.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과 방법의 음성입력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는 도 2는 다음과 같이 주 작동 플로우를 기술한다.Fig. 2, which shows a voice input flowchart of the voice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describes the main operation flow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어떤 자주 사용되는 (워드(WORD), 노트패드(Notepad) 등의)소프트웨어 에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는 편집 가능한 파일에서 입력방법 초기 인터페이스(100)를 시작해야 한다(단계 300); 그런 후 입력방법 시스템(200)은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와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다(단계 310);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음성입력을 처리하도록 음성입력 영역과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상에 나타난 후보문장 카테고리 번호를 선택하기 위해 그/그녀의 음성을 이용함으로써 카테고리화 선택을 처리할 수 있다(단계 320). 그런 후 시스템은 선택된 카테고리화 항목 아래에 서브카테고리(sub-categories)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30). 만일 서브카테고리가 있다면, 플로우(flow)는 단계 310으로 되돌아가서 더 상세한 서브카테고리를 계속 나타낸다; 그렇지 않다면,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을 나타낸다(단계 340). 그런 후 사용자는 후보문장에 대한 번호를 엔터함으로써 카테고리화에 대한 필요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350). 마지막으로,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편집 가능한 파일로 선택된 문장을 출력한다(단계 360).First, the user must start the input method initial interface 100 in an editable file, which can be any frequently used software application (WORD, Notepad, etc.) (step 300); The input method system 200 then presents a display screen with the categorization checklist (step 310); The display is comprised of a voice input area and an item display area for the user to process voice input. The user may process the categorization selection by using his / her voice to select the candidate sentence category number shown on the categorization checklist (step 320). The system then checks if there are sub-categories under the selected categorization item (step 330). If there is a subcategory, the flow returns to step 310 to continue showing more detailed subcategories; Otherwise, a sentence for categorization (step 340). The user can then select the necessary sentence for categorization by entering the number for the candidate sentence (step 350). Finally, the system automatically outputs the selected sentence to the user's editable file (step 360).

도 3은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과 방법의 데이터 검색 플로우차트이다.3 is a data retrieval flowchart of a voice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먼저, 입력시스템(200)은 음성 주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내용을 수신하고(단계 400), 그리고 나서 음성인식 절차를 실행한다(단계 410). 상기 음성인식 절차는 주로 사용자의 음성입력 데이터가 후보문장의 인식 가능한 범위내에 있는지를 찾는데 촛점을 둔다(단계 420). 만일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후보문장의 번호 범위를 넘어서거나 인식될 수 없다면, 오류 메세지가 즉각적으로 주어지게 된다(단계 470). 그런 후 플로우는 단계 400으로 돌아가서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그/그녀의 음성입력을 반복하도록 요청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도록 음성전송 처리를 계속한다(단계 430). 시스템은 문장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이러한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단계 440), 출력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통해 데이터를 나타낸다(단계 450). 한편,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200)은 사용자가 하나의 표시된 내용을 선택하고 표시된 내용이 카테고리화의 마지막 레벨에 도달함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하다. 만일 NO이면, 서브 카테고리가 더 있으므로, 플로우는 단계 400으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계속 수신한다; 그렇지 않다면, 플로우는 완료된다.First, the input system 200 receives the voice content of the user through the voice peripheral device (step 400), and then executes the voice recognition procedure (step 410). The voice recognition procedure mainly focuses on finding whether the voice input data of the user is within the recognizable range of the candidate sentence (step 420). If the user's voice data exceeds the candidate sentence number range or cannot be recognized, an error message is given immediately (step 470). Flow then returns to step 400 where the system asks the user to repeat his / her voice input; Otherwise, the system continues the voice transmission process to transmit the analog signal as a digital signal (step 430). The system retrieves data from the sentence database 210 from the categorization checklist corresponding to this digital signal (step 440) and presents the data via the output display module 240 (step 450). On the other hand, the input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one displayed content and outputs the same as the displayed content reaches the last level of categorization. If NO, there are more subcategories, so the flow returns to step 400 to continue receiving the user's voice input; Otherwise, the flow is complet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4a, 4b 및 4c에 더 도시되어 있다.Final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rther illustrated in FIGS. 4A, 4B and 4C.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를 보게 되며, 상기 카테고리 체크리스트에는 사용자가 음성입력을 처리하도록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에 나타난 (예를 들면, 생활, 자연, 인생 등) 문장 데이터베이스(210)의 기본 카테고리화가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생활" 카테고리 아래의 관련된 한 문장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그/그녀는 그/그녀의 음성입력을 통해 "생활" 카테고리 아래의 후보문장 번호(즉 "1")를 선택한다. 도 4b에서와 같이, "생활" 카테고리 아래의 ("음식", "일", "가정", "오락", "애정" 등을 포함한) 모든 서브카테고리가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에 도시되어 있으며, 현재 카테고리화 상태는 음성입력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일" 카테고리 아래의 관련된 문장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그/그녀는 음성입력을 통해 "일" 카테고리 아래의 후보문장 번호(즉 "2")를 선택한다. 유사하게, 시스템은 "일" 카테고리 아래의 모든 서브카테고리를 나타낸다. 만일 "일" 카테고리 아래에 또 다른 서브카테고리가 없다면, 시스템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아래의 모든 분류된 문장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음성입력을 통해 후보문장 번호에 따른 필요한 문장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대응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문장을 오픈된 편집 가능한 파일에 출력한다.The user sees the displayed categorization checklist, as shown in FIG. 4A, in which the sentence (eg, life, nature, life, etc.) appears in the item display area for the user to process voice input. There is a basic categorization of the database 210. For example, if a user wishes to enter a relevant sentence under the "living" category, he / she selects a candidate sentence number under the "living" category (ie "1") via his / her voice input. do. As shown in FIG. 4B, all subcategories (including "food", "work", "home", "entertainment", "affection", etc.) under the "living" category are shown in the item display area, and the current category The call state is shown in the voice input area. If the user wishes to enter a relevant sentence under the "work" category, he / she selects the candidate sentence number under the "work" category (ie "2") via voice input. Similarly, the system shows all subcategories under the "one" category. If there is no other subcategory under the "one" category, the system displays all classified sentences under the category (as shown in Figure 4C). The user can then select the required sentence number according to the candidate sentence number through voice input and the system automatically retrieves the corresponding sentence and outputs the sentence to an open editable file.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은 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이 명백해진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한 모든 이러한 변경은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되어지게 의도되어 있다.It is therefore evident that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 many ways. Such modifications are not to be regarded as a departure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that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술의 적용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그/그녀가 입력하고자 하는 후보문장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동입력 빈도를 줄이고 입력오류를 피하며 입력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음성인식 중국어 입력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a candidate sentence that he / she wishes to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reduce the frequency of manual input by the user, avoid input errors, and increase the input spe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Claims (9)

카테고리화 및 상기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을 저장하기 위한 문장 데이터베이스와;A sentence database for storing categorization and sentences for categorization; 음성 주변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에 번호를 부여한 후보문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여 음성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수신 및 인식모듈과;A receiving and recognizing module for receiving candidate sentences numbered voices from a user through a voice peripheral device and recognizing a user's voice input to process voice transmission; 음성전송 결과에 기초한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 항목을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모듈과;A data retrieval module for retrieving a corresponding data item from a categorization checklist based on the voice transmission result; 상기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와 상기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을 나타내고 편집가능한 파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후보문장과 연관된 카테고리로부터 선택절차에서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 오류율을 줄이게 하고 그/그녀의 입력속도를 높이게 할 수 있는 중국어 입력시스템.Allow the user to us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assist the user in the selection procedure from a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candidate sentence including the categorization checklist and an output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sentence for categorization and outputting it to an editable file. Chinese input system that can reduce the input error rate and speed up his / her inp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장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카테고리화와 각각의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 사이의 연관된 찾아보기를 제공하는 조합 데이터베이스인 중국어 입력시스템.And said sentence database is a combinatorial database providing an associated lookup between each categorization and a sentence for each categoriz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 및 인식모듈은 즉각적으로 오류 메세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중국어 입력시스템.The receiving and recogniz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providing an error message immediately Chinese inpu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중국어 입력시스템.The voice transmission is a Chinese input system for transmitting an analog signal as a digital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는 음성입력 영역과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시스템.The categorization checklist further comprises a voice input area and an item display area. 편집 가능한 파일에서 입력방법 초기 인터페이스를 시작하는 단계와;Starting an input method initial interface in an editable file;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를 나타내는 단계와;Presenting a categorization checklist; 음성 입력된 문장에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문장 카테고리화의 선택을 실행하는 단계와;Executing selection of sentence categorization by numbering speech input sentences; 선택된 카테고리화에 대한 문장을 나타내는 단계와;Indicating a sentence for the selected categorization;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하에 대한 후보문장 번호와 이에 따른 문장을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a candidate sentence number under the selected category and a sentence according to a voice input;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화에 대한 상기 선택된 문장을 편집 가능한 파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보문장과 관련된 카테고리로부터의 키(key) 선택절차에서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 오류율을 줄이게 하고 그/그녀의 입력속도를 높이게 할 수 있는 중국어 입력방법.Outputting the selected sentence for the selected categorization to an editable fil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put error rate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o assist the user in selecting a key from a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candidate sentence. Chinese input method that can reduce the number and speed up his / her inpu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카테고리화 체크리스트는 음성입력 영역과 항목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방법.The categorization check list further includes a voice input area and an item display are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음성입력된 문장에 번호를 부여하고 문장번호를 선택함으로써 문장 카테고리화의 선택을 실행하는 단계와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테고리화에 대한 후보문장번호와 이에 따른 문장을 선택하는 단계가, 음성입력 주변장치를 통해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Numbering sentences input by voice and selecting sentence numbers to perform sentence categorization and selecting candidate sentence numbers for the selected categorization based on the voice input and the corresponding sentences are performed. Receiving voice via the device; 음성인식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와;Executing a voice recognition procedure;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디저털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the analog voice signal as a digital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program; 대응하는 데이터 항목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방법.Chinese inpu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dicating a corresponding data item.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신 및 인식단계는 즉각적으로 오류 메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방법.The receiving and recognizing step further includes providing an error message immediately.
KR1020020065307A 2002-10-24 2002-10-24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00363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07A KR20040036333A (en) 2002-10-24 2002-10-24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07A KR20040036333A (en) 2002-10-24 2002-10-24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33A true KR20040036333A (en) 2004-04-30

Family

ID=3733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307A KR20040036333A (en) 2002-10-24 2002-10-24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333A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379A (en) * 1996-01-22 1997-07-31 Sharp Corp Chinese language processor
JPH10187689A (en) * 1996-12-20 1998-07-21 Nec Eng Ltd Character input facilitating device
JPH10269210A (en) * 1997-03-24 1998-10-09 Sharp Corp Character input device
JPH11238051A (en) * 1998-02-23 1999-08-31 Toshiba Corp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or,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ing program
KR20000032270A (en) * 1998-11-13 2000-06-05 구자홍 Voice recognition method of voice typing system
KR20030044138A (en)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Chinese input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writing model
KR20040036334A (en) * 2002-10-24 2004-04-30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Chinese Input System With Categorized Databas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379A (en) * 1996-01-22 1997-07-31 Sharp Corp Chinese language processor
JPH10187689A (en) * 1996-12-20 1998-07-21 Nec Eng Ltd Character input facilitating device
JPH10269210A (en) * 1997-03-24 1998-10-09 Sharp Corp Character input device
JPH11238051A (en) * 1998-02-23 1999-08-31 Toshiba Corp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or,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chinese input conversion processing program
KR20000032270A (en) * 1998-11-13 2000-06-05 구자홍 Voice recognition method of voice typing system
KR20030044138A (en)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Chinese input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writing model
KR20040036334A (en) * 2002-10-24 2004-04-30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Chinese Input System With Categorized Databas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969B2 (en) Generation of language understanding systems and methods
US7853446B2 (en) Generation of codifi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by processing clinician commentary
US11494161B2 (en) Coding system and coding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KR1017815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ext input
US5748841A (en) Supervised contextual language acquisition system
CN101276245B (en) Reminding method and system for coding to correct error in input process
US20170330567A1 (en) Vocabulary generation system
US75840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preting verbal inputs in multimodal dialog system
JP58351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5283914A (en) System and methods for recognizing speech
US200700335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users in interacting with multi-modal dialog systems
CA248896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stenography
WO2019167281A1 (en) Reply processing program, reply processing method, reply processing device, and reply processing system
KR1007077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ally completed query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040078189A1 (en)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0036333A (en) Phonetic Identification Assisted Chinese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10454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ally completed query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275174C (en) Chinese language input method possessing speech sound identification auxiliary function and its system
JP5402307B2 (en) Data out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02014751A (en) On-line help system
JP2014229180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upport of introspection, and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teraction
US20030187661A1 (en) Meaning processor
KR101506909B1 (en) Method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Which Allows Users Who Use Different Languages To Chat With Each Other
JP2017182395A (en) Voice translating device, voice translating method, and voice translating program
Gustafson et al. Constraint manipulation and visualization in a multimodal dialog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