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461A -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461A
KR20040035461A KR1020020064619A KR20020064619A KR20040035461A KR 20040035461 A KR20040035461 A KR 20040035461A KR 1020020064619 A KR1020020064619 A KR 1020020064619A KR 20020064619 A KR20020064619 A KR 20020064619A KR 20040035461 A KR20040035461 A KR 2004003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user
wireless
health car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식
장한식
이동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461A/ko
Publication of KR2004003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4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무선 단말기로부터 신체상태 데이터를 전송받고, 신체상태 분석 결과를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수단,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입력된 신체 상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신체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및 데이터 분석 수단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자신의 현재 신체 상태를 공간적, 시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로부터 신체상태 데이터를 전송받고, 신체상태 분석 결과를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이 경제적 심리적으로 여유를 갖게 됨에 따라,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적지 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다이어트, 조깅, 헬스 클럽 등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고, 주기적으로 병원 등을 방문하여 자신의 건상 상태를 체크하는 등 건강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에는 예를 들어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소변 상태 등을 이용한 자신의 기본적인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여야 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에 비하여 자신의 현재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신체 상태에 적합한 운동의 종류나 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무리한 운동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치거나, 반대로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및 무선 단말기 보급율의 급증에 따라 현재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 PDA 등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는 이제 단순히 휴대하면서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는 수단으로써 만이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및 컨텐츠 이용, 대금 결제, 금융 정보 처리등에 이르기 까지 일상 생활과 관련된 대부분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동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을 활용한다면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신체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개개인의 현재 건강 상태를 안내함으로써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석된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단문 메시지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개개인이 자신의 건강 상태에 적합한 생활 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의한 건강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생체신호 측정 장치20 : 무선 단말기
30 : 무선망 사업자40 : 건강 관리 시스템
400 : 제어부402 : 통신망 인터페이스
404 : 사용자 관리 수단406 : 데이터 분석 수단
408 :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410 : 데이터베이스
412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14 :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416 : 조언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 사업자와 접속되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수단;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입력된 신체 상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에따라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및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체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건강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체상태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신체상태 데이터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반영한 조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강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건강 관리 시스템(40)은 무선망 사업자(30)와 접속되며, 무선망 사업자(30)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20)로 입력되는 개개인의 신체 상태 관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한다. 또한, 분석 결과에 따라 개개인에게 어떠한 운동, 식습관 등이 적합한지 조언 메시지를 작성하여무선망 사업자(30)를 통해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개개인의 신체 상태 관련 데이터는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신체상태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심박수, 체온, 소변 상태 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무선 단말기(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장치를 구비한다.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는 무선 단말기(2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블루투스, 홈 RF, IrDA 등과 같은 모든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시 또는 원하는 시간에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상태를 측정한다.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측정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20)는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신체 상태 데이터를 무선망 사업자(30)를 통해 건강 관리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단말기(10)는 신체상태 측정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0)와 무선망 사업자(30), 건강 관리 시스템(40) 간에는 신체상태 관련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메뉴가 미리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즉, 무선망 사업자(30)는 건강 관리 시스템(40)을 컨텐츠 제공자로 취급하여 제휴 관계를 맺어야 하고, 건강 관리 시스템(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무선 단말기(20)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상태 관련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무선 단말기(10)는 건강 관리 시스템(40)과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만 건강 관리 시스템(40)과 온라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20)에서 무선망 사업자(30)를 통해 신체상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무선 단말기(20)와 신체상태 측정 장치(1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건강 관리 시스템(40)이 무선망 사업자(30)와 제휴 상태에 있어서, 건강 관리 시스템(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무선망 사업자(20)가 컨텐츠 목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30)로 제공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건강 관리 시스템(40)은 제어부(400), 통신망 인터페이스(402), 사용자 관리 수단(404), 데이터 분석 수단(406),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408) 및 데이터베이스(4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410)는 사용자 DB(412), 건강정보 DB(414) 및 조언 메시지 DB(416)를 포함하는데,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관리 수단(404)은 건강 관리 시스템(4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 인터페이스(402)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30)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 DB(412)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관련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무선 단말기(20) 번호, 성별, 나이, 기본 신체상태 정보(혈액형,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심박수, 체온, 소변 상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수단(406)은 신체상태 측정 장치(10)에서 측정된 신체 상태 데이터가 무선 단말기(20)로 전송된 후, 무선망 사업자(30)를 경유하여 건강 관리 시스템(40)의 통신망 인터페이스(402)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가 다양한 신체상태 관련 데이터 중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 분류하고, 사용자 DB(412) 및 건강정보 DB(414)를 참조하여 현재 참조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분석하고 사용자 DB(41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시스템(40)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혈압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분석 수단(406)은 사용자 DB(412)에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기타 신체 상태 정보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혈압 정도가 어떠한 상태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조깅을 하면서 조깅 중에 나타나는 신체의 변화, 예를 들어 맥박, 뇌파 맥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상태를 측정하고, 신체상태 측정 결과를 무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 시스템(40)으로 전송하면, 데이터 분석 수단(406)은 사용자 DB(412)에 저장된 사용자 상태 및 건강정보 DB(414)를 참조하여 현재 조깅 속도 등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를 분석한다.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408)은 데이터 분석 수단(406)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메시지를 생성하여 조언 메시지 DB(416)에 저장하는 한편,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 인터페이스(402)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0)로 조언 메시지를 전송한다. 조언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 신체 상태에 따른 효과적인 운동의 종류, 운동 방법, 운동 시간, 운동 주기, 식습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문, 음성 메시지, 멜로디,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 관리 시스템(40)은 무선망 사업자(30)가 직접 운영하거나 무선망 사업자(30)는 독립적인 별도의 운영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무선 단말기(20) 사용자는 운동중, 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상태(예를 들어, 혈액형,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심박수, 체온, 소변 상태 등)를 측정하고,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는 측정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기(20) 사용자가 신체상태 데이터를 무선망 사업자(30)를 통하여 건강 관리 시스템(40)으로 전송하면, 사용자 관리 수단(402)은 신체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DB(412)에 저장한다(S101).이후, 데이터 분석 수단(404)은 사용자 DB(412) 및 건강정보 DB(414)를 참조하여 수신한 신체상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S102), 이어서, 해당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S103). 또한,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406)은 데이터 분석 수단(404)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조언 메시지를 생성하여 조언메시지 DB(416)에 저장한 후(S104), 이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한다(S105).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신체상태 데이터가 조깅 중의 맥박수인 경우, 데이터 분석 수단(404)은 단계(S102)에서, 해당 데이터를 맥박수로 분류하고, 단계(S103)에서, 해당 맥박수가 사용자의 나이, 성별, 기초 신체상태 정보를 참조하였을 때 적합한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맥박수가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비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04)에서 이를 반영한 조언 메시지를 생성 및 저장하고, 단계(S105)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S104)에서 조언 메시지를 생성할 때,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적합한 운동의 종류, 운동 방법, 운동 시간, 운동 주기, 식습관 등을 포함하여 조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조언 메시지는 단문, 음성 메시지, 멜로디,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무선 단말기(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는 신체상태 측정 장치(10)를 통해 무선 단말기(10)로 전자적으로 입력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현재 신체 상태를 공간적, 시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자신의 신체 상태에 적합한 운동 방향 등을 조언받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운동으로 무리를 하거나 비효율적인 운동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등의 비효율적 운동 방식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무선망 사업자와 접속되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수단;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입력된 신체 상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수단; 및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조언 메시지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정보는 혈액형,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심박수, 체온, 소변 상태를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 사용자 이름, 무선 단말기 번호,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운동 종류, 운동 방법, 운동 시간, 운동 주기, 식습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언 메시지는 단문, 음성 메시지, 멜로디,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성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상태 데이터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신체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되어 무선 단말기로 입력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6.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체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건강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체상태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신체상태 데이터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반영한 조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정보는 혈액형, 혈압, 맥박수, 뇌파, 맥파, 심박수, 체온, 소변 상태를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 사용자 이름, 무선 단말기 번호,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운동 종류, 운동 방법, 운동 시간, 운동 주기, 식습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언 메시지는 단문, 음성 메시지, 멜로디,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성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상태 데이터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신체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되어 무선 단말기로 입력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1020020064619A 2002-10-22 2002-10-22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5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19A KR20040035461A (ko) 2002-10-22 2002-10-22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19A KR20040035461A (ko) 2002-10-22 2002-10-22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61A true KR20040035461A (ko) 2004-04-29

Family

ID=3733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619A KR20040035461A (ko) 2002-10-22 2002-10-22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4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215A (ko) * 2003-07-07 2005-01-13 평성인 자동 응답 시스템의 개인 건강 관리 방법
KR101141398B1 (ko) * 2004-05-17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상의학 체질 운용장치 및 방법
WO2013027869A1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자가 인지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WO2014210130A1 (en) * 2013-06-25 2014-12-31 Qard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diagnostic in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96A (ja) * 1998-09-25 2000-04-04 Pioneer Electronic Corp 生体監視システム
KR20020008532A (ko) * 2000-07-21 2002-01-31 이태성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9182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20020026073A (ko) * 2000-09-30 2002-04-06 신동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96A (ja) * 1998-09-25 2000-04-04 Pioneer Electronic Corp 生体監視システム
KR20020008532A (ko) * 2000-07-21 2002-01-31 이태성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9182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20020026073A (ko) * 2000-09-30 2002-04-06 신동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215A (ko) * 2003-07-07 2005-01-13 평성인 자동 응답 시스템의 개인 건강 관리 방법
KR101141398B1 (ko) * 2004-05-17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상의학 체질 운용장치 및 방법
WO2013027869A1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자가 인지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WO2014210130A1 (en) * 2013-06-25 2014-12-31 Qard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diagnostic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9755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health of a patient
Parkka et al. A wireless wellness monitor for personal weight management
KR101381520B1 (ko)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Papi et al. A knee monitoring device and the preferences of patients living with osteoarthritis: a qualitative study
CN103329510B (zh) 移动通信设备和通信方法
JP2004507935A (ja) 医療装置システムにより実施される遠隔患者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8122608A (zh) 收集可以从其确定糖尿病疗法的患者信息的系统和方法
KR100453503B1 (ko)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7870A (ko) 가정용 의료기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2987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a multiprocessor health data system
US20090150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collaboration between bio-signal measurement devices
KR20060045404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3861B1 (ko)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과 신체 측정 디바이스
US20190198171A1 (en) Interactive physiology monitoring and sharing system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20040035461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010562A (zh) 一种健康数据交互系统
KR2006012147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종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7323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ashima et al. A peer-to-peer telecare system using smart watches and wireless biosensors: A system architecture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on smart watches
TWM565858U (zh) 智能健康管理系統
KR20150000538A (ko) 네트워크를 통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1867A (ko) 이동형 건강 관리 장치
KR20020008532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시스템
Wac et al. COPD24: From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to health telemonitoring and teletreatmen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