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230A -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230A
KR20040035230A KR1020020064005A KR20020064005A KR20040035230A KR 20040035230 A KR20040035230 A KR 20040035230A KR 1020020064005 A KR1020020064005 A KR 1020020064005A KR 20020064005 A KR20020064005 A KR 20020064005A KR 20040035230 A KR20040035230 A KR 2004003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versity
data
personal
computer
de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형철
Original Assignee
우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형철 filed Critical 우형철
Priority to KR102002006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230A/ko
Publication of KR2004003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23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인터넷망을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수능점수,내신성적등)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합격 가능여부에 따른 자료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의 해당점수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전국대학의 학과별 리스트를 제공받아 다양한 각도에서 대학입시에 대한 진학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와, 이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종 대학입시현황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자컴퓨터는 사용자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 내신성적)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받아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별 전형요소, 전체지원자수, 각 지원자들의 개인별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해당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판독하고, 입력된 수험생들의 점수 차이에 따라 선택된 문구를 포함한 상담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각 수험생들이 지원하기에 적합한 대학 및 학과를 선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인터넷망을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수능점수,내신성적등)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합격 가능여부에 따른 자료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의 해당점수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전국대학의 학과별 리스트를 제공받아 다양한 각도에서 대학입시에 대한 진학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들은 자신의 성적 및 취향에 따라,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 및 학과에 대한 합격가능성을 점검하고, 현재 자신의 모의고사 점수에 따라 진학할 수 있는 전국대학의 학과별 리스트를 참고하여, 그 합격가능점수 이상의 점수를 목표로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진학하고자 하는 희망대학의 학과 설정과 합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대학들의 학과별 합격 가능점수를 일련의 리스트로 보여주는 각종 대학입시정보지를 통하여 각 대학의 학과별 합격 가능점수를 참고하고 있으며, 때로는 진학 상담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진학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희망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성을 점검받아, 그 결과를 통해 공부방법에 참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학입시정보지의 경우에는 수많은 대학과 학과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학의 희망학과의 합격 가능점수를 찾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아니라, 각 대학의 학과별 합격 가능점수만을 단순하게 나열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입시준비중인 수험생 들이 자신의 진학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점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자신의 개인컴퓨터를 이용하여 대학입시현황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컴퓨터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내신성적등)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면, 운영자컴퓨터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된 수험생들의 데이터에 따라 지원자수와 지원자들의 성적을 비교분석하고 점수획득 조건 및 각 대학의 전형별,학과별 배점으로 환산하여, 수험생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합격 가능여부에 따른 입시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제공하고, 수험생 자신의 해당점수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전국대학의 학과별 리스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대학입시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지원 시스템은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와, 이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종 대학입시현황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자컴퓨터는 사용자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 내신성적)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받아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별 전형요소, 전체지원자수, 각 지원자들의 개인별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해당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판독하고, 입력된 수험생들의 점수 차이에 따라 선택된 문구를 포함한 상담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각 수험생들이 지원하기에 적합한 대학 및 학과를 선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도 3은 도 2의 개인데이터 처리단계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컴퓨터 20 : 인터넷망
30 : 운영자컴퓨터 32 : 데이터베이스
34 : 개인데이터 처리부 36 : 개인데이터 저장부
38 : 전체데이터 처리부 40 : 출력부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개인데이터 처리단계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전체데이터 처리단계를 보여주는 상세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모의 지원 시스템은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와, 이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종대학입시현황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첫째, 수험생들이 자신의 사용자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컴퓨터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둘째, 수험생들의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 내신성적)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셋째, 상기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운영자컴퓨터에서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별 전형요소, 전체지원자수, 각 지원자들의 개인별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해당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판독하는 정보처리단계;
넷째, 수험생들의 점수 차이에 따라 선택된 문구를 포함한 상당결과를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을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단계는 수험생들의 접속에 따라, 운영자컴퓨터에서 내부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사용자컴퓨터에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을 알리는 화면을 제공하고, 수험생의 개인신상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와 같은 접속단계를 거쳐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컴퓨터를 통해 수험생 자신들이 상기 운영자컴퓨터의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의 양식에 따라, 자신의 현재 모의고사점수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여, 입력된 현재 점수에 의해 희망대학 및 희망학과에 대한 자료나 합격 가능성에 대한 상담을 요청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처리단계는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의 개설학과, 각 개설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점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입력된 수험생들의 정보를 기본으로 지원대학이 요구하는 전형별 요소를 참고하여 수능점수와 내신성적을 평가하는 개인데이터 처리단계와, 처리된 데이터에 의해 개인결과 및 대학별전형원칙, 개인점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개인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개인데이터를 기본으로 전체 지원자의 통계처리와 실제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개인 자료와 전체 자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개인의 지원 대학을 전체대학 중에서 검색하여 개인에 맞춘 데이터와 함께 저장, 지원한 대학의 당락여부(전체 지원자 중 석차, 합격 예상관 등)를 저장하는 전체 데이터 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단계는 개인 데이터 전체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지원 대학의 합격 가능여부를 실시간을 통해 사용자컴퓨터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희망대학 및 희망학과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 현재 자신의 점수에서 일정점수 가감시 합격 가능한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를 수험생의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보여줄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점수로 합격 가능한 희망지역 내의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은;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10)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컴퓨터(10)에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인터넷망(20)과, 상기 인터넷망(20)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수험생들에게 상기 인터넷망(20)을 통해 수험생들의 개인정보와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받아 대학별 입시정보와 해당 대학 및 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처리하는 운영자컴퓨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영자컴퓨터(30)는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의 개설학과, 각 개설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점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2)와, 입력된 수험생들의 정보를 기본으로 지원대학이 요구하는 전형별 요소를 참고하여 수능점수와 내신성적을 평가하는 개인데이터 처리부(34)와, 이 개인데이터 처리부(34)에 의해 처리된 개인결과 및 대학별전형원칙, 개인점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개인데이터 저장부(36)와, 상기 개인데이터를 기본으로 전체 지원자의 통계처리와 실제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개인 자료와 전체 자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개인의 지원 대학을 전체대학 중에서 검색하여 개인에 맞춘 데이터와 함께 저장, 지원한 대학의 당락여부(전체 지원자 중 석차, 합격 예상관 등)를 저장하는 전체데이터 처리부(3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학 입시 모의 지원 시스템에 의하여, 인터넷망(20)을 통해 운영자컴퓨터(30)에 접속한 수험생들의 사용자컴퓨터(10)에서 자신의 수능모의고사 현재점수, 희망지역, 희망대학, 희망학과 등의 자료를 입력하면, 상기 운영자컴퓨터(30)에서 입력된 자료를 대학입시 현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2)와, 개인데이터 처리부(34), 저장부(36)를 거쳐 상기 전체데이터 처리부(38)에서 비교,분석한 후, 수험생이 희망하는 희망대학 및 희망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합격 가능성을 사용자컴퓨터(10)의 출력부(화면)(40)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줌은 물론 수험생들의 선택에 따라 희망학과가 개설된 전국 대학리스트와, 수험생들 자신의 현재점수에 일정점수 가감시 합격 가능한 희망학과가 개설된 전국대학리스트와, 현재점수로 합격 가능한 희망지역 내의 희망학과가 개설된전국 대학리스트 등을 보여 줌으로써,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진학에 대한 점검과 정보 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자신의 개인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컴퓨터와 접속한 후, 자신의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내신성적등)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간단하게 입력하면, 운영자컴퓨터에서 수험생 자신이 희망하는 희망대학과 희망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합격가능여부에 따른 입시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수험생 자신들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대학진학에 필요한 자료 및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와, 이 사용자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종 대학입시현황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첫째, 수험생들이 자신의 사용자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컴퓨터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둘째, 수험생들이 개인정보(수능모의고사점수, 내신성적) 및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셋째, 상기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운영자컴퓨터에서 해당년도의 모집시기 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별 전형요소, 전체지원자수, 각 지원자들의 개인별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해당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판독하는 정보처리단계;
    넷째, 수험생들의 점수 차이에 따라 선택된 문구를 포함한 상당결과를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을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의 개인정보 및 모의고사점수, 내신성적을 기입하여 모의 원서를 작성하는 단계와 지원하고자 하는 희망대학 및 희망학과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단계는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의 개설학과, 각 개설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점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입력된 수험생들의 정보를 기본으로 지원대학이 요구하는 전형별 요소를 참고하여 수능점수와 내신성적을 평가하는 개인데이터 처리부와, 이 개인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개인결과 및 대학별전형원칙, 개인점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개인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개인데이터를 기본으로 전체 지원자의 통계처리와 실제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개인 자료와 전체 자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개인의 지원 대학을 전체대학 중에서 검색하여 개인에 맞춘 데이터와 함께 저장, 지원한 대학의 당락여부(전체 지원자중 석차, 합격 예상관 등)를 저장하는 전체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운영자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에 의해 수험생들이 희망하는 희망대학 및 희망학과에 대한 기본 정보 및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 현재 자신의 점수에서 일정점수 가감시 합격 가능한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를 수험생의 컴퓨터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현재 자신의 점수로 합격가능한 희망지역 내의 희망학과가 개설된 대학리스트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5.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컴퓨터(10)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컴퓨터(10)에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인터넷망(20)과, 상기 인터넷망(20)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수험생들에게 상기 인터넷망(20)을 통해 수험생들의 개인정보와 희망대학, 희망학과를 입력받아 대학별 입시정보와 해당 대학 및 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여부를 처리하는 운영자컴퓨터(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운영자컴퓨터(30)는 해당년도의 모집시기별 대학리스트 및 각 대학의 개설학과, 각 개설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점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2)와, 입력된 수험생들의 정보를 기본으로 지원대학이 요구하는 전형별 요소를 참고하여 수능점수와 내신성적을 평가하는 개인데이터 처리부(34)와, 이 개인데이터 처리부(34)에 의해 처리된 개인결과 및 대학별전형원칙, 개인점수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개인데이터 저장부(36)와, 상기 개인데이터를 기본으로 전체 지원자의 통계처리와 실제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자료를 개인 자료와 전체 자료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개인의 지원 대학을 전체대학 중에서 검색하여 개인에 맞춘 데이터와 함께 저장, 지원한 대학의 당락여부(전체 지원자 중 석차, 합격 예상관 등)를 저장하는 전체 데이터 처리부(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20020064005A 2002-10-18 2002-10-18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5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05A KR20040035230A (ko) 2002-10-18 2002-10-18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05A KR20040035230A (ko) 2002-10-18 2002-10-18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30A true KR20040035230A (ko) 2004-04-29

Family

ID=3733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05A KR20040035230A (ko) 2002-10-18 2002-10-18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2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98B1 (ko) * 2006-06-02 2008-02-28 (주)엘림에듀 통합진단평가를 통한 대입지원정보 제공방법
KR101046762B1 (ko) * 2008-12-30 2011-07-06 메가스터디(주) 학습계획형 강의시스템
KR20150117511A (ko) * 2014-04-10 2015-10-20 김민호 가산점 분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26058A (ko)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유웨이 수능 점수로 온라인을 통한 해외 대학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59A (ko) * 2000-12-28 2001-04-06 전명호 대입모의지원순위서비스
KR20010025217A (ko) * 2000-10-31 2001-04-06 조현민 인터넷을 통한 대입 모의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83847A (ko) * 2001-07-04 2001-09-03 김병기 대입전형 합격가능확률 계산 시스템
KR20010096779A (ko) * 2000-04-14 2001-11-08 이태권 인터넷 진학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30094578A (ko) * 2002-06-04 2003-12-18 고영진 가상대입지원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779A (ko) * 2000-04-14 2001-11-08 이태권 인터넷 진학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10025217A (ko) * 2000-10-31 2001-04-06 조현민 인터넷을 통한 대입 모의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25459A (ko) * 2000-12-28 2001-04-06 전명호 대입모의지원순위서비스
KR20010083847A (ko) * 2001-07-04 2001-09-03 김병기 대입전형 합격가능확률 계산 시스템
KR20030094578A (ko) * 2002-06-04 2003-12-18 고영진 가상대입지원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98B1 (ko) * 2006-06-02 2008-02-28 (주)엘림에듀 통합진단평가를 통한 대입지원정보 제공방법
KR101046762B1 (ko) * 2008-12-30 2011-07-06 메가스터디(주) 학습계획형 강의시스템
KR20150117511A (ko) * 2014-04-10 2015-10-20 김민호 가산점 분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26058A (ko)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유웨이 수능 점수로 온라인을 통한 해외 대학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thwood et al. Linking leadership to student learning: The contributions of leader efficacy
Eckes et al. A closer look at the construct validity of C-tests
Molin et al. Are teachers and students ready for the new middle school geography syllabus in Sweden? Traditions in geography teaching, current teacher practices, and student achievement
Bonastre et al. Comparison of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of emotional expression in music performance between Spanish and English HE students of music
Espin et al.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science learning: Vocabulary-matching as an indicator of performance and progress
Wikström Grade stability in a criterion‐referenced grading system: the Swedish example
Hampton et al. Examining the technical adequacy of progress monitoring using early writing curriculum-based measures
O Olumorin et al. Computer-based tests: a system of assessing academic performance in university of Ilorin, Ilorin, Nigeria
Jurajda et al. Admission to selective schools, alphabetically
Ventura et al. Learning styles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A cross-sectional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Grady et al. Women in K-12 educational administration: A synthesis of dissertation research
Freimuth An examination of cultural bias in IELTS Task 1 non-process writing prompts: A UAE perspective
Elpus Middle school music uptake and achievement: Evidence from the 2016 Art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Rees et al. Analysing and evaluating the linguistic benefit of residence abroad for UK foreign language students
Siller et al. Modelling tasks in central examinations based on the example of Austria
Zoechling et al. Students’ interest in particle physics: conceptualisation, instru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Rasch theory and analysis
Ford et al. Improving Efficiency for Making Screening Decisions: A Statewide Comparison of Early Literacy Curriculum–Based Measurement Tools
Mahoney Linguistic influences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JP2019185343A (ja) 問題分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eedie et al. Challenging equivalency in measures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for university admission: data from an undergraduate engineering programme
Sütő et al. What determines GCSE marking accuracy? An exploration of expertise among maths and physics markers
Cim et al. Occupational mismatch of immigrants in Europe: The role of education and cognitive skills
KR20040035230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대학입시 모의 지원 방법 및 시스템
Bloom et al. Chapter V: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Tests of Educational Achievement
KR20120078242A (ko) 대학진학분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