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923A -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923A
KR20040034923A KR1020020063575A KR20020063575A KR20040034923A KR 20040034923 A KR20040034923 A KR 20040034923A KR 1020020063575 A KR1020020063575 A KR 1020020063575A KR 20020063575 A KR20020063575 A KR 20020063575A KR 20040034923 A KR20040034923 A KR 2004003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eutral lipid
yanggang
composition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옵토켐 (주)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토켐 (주), 김동현 filed Critical 옵토켐 (주)
Priority to KR102002006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4923A/ko
Publication of KR2004003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포함하는 양강 추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COMPOSITION FOR INHIBITING TRIGLYCERIDE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성 지질 억제 효과가 우수한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식생활과 인간의 건강은 떼어놓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생존하기 위한 조건은 크게 의(衣), 식(食), 주(住)로 나누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식(食)'이다. 식품은 인간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간이 식품을 섭취하는 것, 즉 영양의 유지 및 균형있는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은 인간 생존에 있어 최대의 궁극적인 삶의 목적이라 할 수 있으며, 어떠한 식품을 어떠한 방법으로 섭취하느냐에 따라 건강이 좌우되기도 한다. 따라서 식품의 섭취는 단순히 생명의 존속만이 아니라 건강의 유지 및 증진 혹은 질병으로부터의 빠른 회복, 나아가서는 질병 예방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식품의 기능을 1차, 2차, 3차 기능으로 구분하면 1차는 생명 유지의 기능, 즉 영양소로서의 기능을 말하며, 2차는 미각, 취각, 응답 기능으로 신호성을 나타낸다. 식품의 3차 기능은 생체 조절 기능으로 생체 방어, 신체 리듬 조절, 노화 억제, 질환 방지, 질병 회복 기능, 즉 식품의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식품에는 인체의 재반거동을 조절하는 인자가 존재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저농도로 생리 활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영양소와 구분되고 있다. 이 인자들은 신경계, 순환계, 외분비계, 내분비계 등의 조절을 비롯한 생체 방어의 활성화 등 다양한 생리 작용을 갖고 있으며, 체내에서 흡수된 후 질병의 방지, 회복, 노화 억제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생체 조절 기능의 인체 내 발현 기작은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 기능성 물질이 직접 흡수되거나 소화된 후 체내 내인성 생체 조절 인자들과 상호 작용하는 형태와 내인성 인자들의 생산 또는 분비를 촉진하는 간접적인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생리 활성이 기대되는 식품은 예부터 한국, 중국, 일본 그리고 그 외 아시아 지역의 여러 나라에서 약물 또는 건강 식품으로 상용되며 한방에서는 질병을 치료하는 소재로써 사용해오고 있다.
음식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보다 윤택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한 것이며, 약물은 건강하지 못한 신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음식물과 약물의 구별이 곤란한 것이 많이 있으며, 식과 약의 경계가 확실하지 않은 것이 많다. 예부터 약물과 식품은 그 기원을 같이한다는 사상이 있으며 약용으로도 또 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을 약선 식품이라 한다. 이러한 약선 식품들을 이용한 것 중에서 삼계탕, 산채, 더덕구이, 갈근차, 인삼차, 유자차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약선 소재를 일상 식단에서 이용한다면 식품의 특정 성분들에 의한 생리 활성에 의해 지속적이고도 자연스러운 건강 유지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과 그에 따른 당뇨 지질 대사 이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파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양강 추출물은 3-메틸에테르갈란긴(3-methylethergalangin)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과 그에 따른 당뇨, 지질 대사 이상에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약선 소재를 찾아내기 위하여 연구를 하던 중, 양강이 리파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알아내어 완성되었다.
리파아제는 일종의 에스테라아제로 섭취된 리피드를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시킨다. 인체 내에서는 위산 리파아제(gastric lipase)와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 등이 있으나 지방의 소화는 위산 리파아제에 의해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대부분 췌장 리파아제에 의해 장관에서 이루어진다. 리파아제 저해제란 장관 내 지방 분해 효소 저해제로서 리파아제 저해제에 의해 장관내 지방 분해 효소 활성이 저하되어 지방의 흡수가 감소된다. 이는 칼로리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며, 비만 예방에 이용되고 저칼로리 식약과 함께 체중의 감량에 이용될 수 있다. 리파아제 저해제 개발에 대한 연구는 의학적, 영양학적, 식품 공업적 필요성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화학적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 유래의 리파아제 저해제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인 사람에게서는 흔히 고중성 지방혈증이 나타나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LDL)-콜레스테롤, 초저밀도(VLDL)-콜레스테롤의 상승과 고밀도(HDL)-콜레스테롤 감소 현상이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들은 결국 심혈 관계 질환, 고혈압 및 동맥 경화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지질의 흡수를 저해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개발은 비만을 예방함으로써 이를 비만의 동반 질환의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의의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양강(Alpinia officinarum)은 중국의 광동성, 해남성 및 운남성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며 대만에서도 재배하는 높이 30-80㎝인 다년생 초본이다. 뿌리는 근경으로 옆으로 뻗으며 원주성이며 홍색 또는 자홍색이다. 성분으로는 근경에 정유가 0.5 내지 1%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1,8-시네올레(cineole), 메틸 시나메이트이며 이외에 신미 성분으로 갈란골(galangol), 플라보놀(flavonol) 화합물로 갈란긴(galangin), 켐프페라이드(kaempferide), 알핀(alp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약효로는 방향성 건위, 진통, 진토약으로 한방에서 한냉에 의한 위통, 소화불량, 구토, 복통하리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양강 추출물은 양강으로부터 용매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추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양강으로부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중성 지질 억제 효과가 있는 성분을 추출시킬 수 있는 용매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로는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강을 물을 사용하여 1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의 양은 양강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배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작은 양의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추출 공정을 충분하게 실시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여도 추출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이후의 농축 공정에서 용매 제거 작업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사용하는 용매의 비점에 따르지만, 50 내지 120℃가 적당하고, 80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가 50℃ 미만일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20℃보다 높은 경우에도 추출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더 이상 고온에서 실시할 필요는 없다.
추출 시간은 0.5 내지 5시간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이 0.5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추출 공정을 충분하게 실시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5시간 보다 길 경우에는 추출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더 이상 장시간 동안 실시할 필요는 없다.
또한, 추출 공정은 1회만 실시할 수도 있고, 추출 후의 잔사에 다시 새로운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공정을 더욱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회 추출 공정은 물을 사용하고, 2회 추출 공정은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시킨다. 농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농축기와 같은 감압 농축 장치나 원심식 박막 진공 증발 장치를 사용하거나 가열에 의한 용매 제거에 의해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순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제 공정을 더욱 실시할 수도 있다. 정제 공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정, 예를 들면, 물 세정, 헥산 세정, 실리카 겔 칼럼이나 수지 칼럼, 역상 칼럼 등을 통과시키는 방법, 극성이 상이한 용매에 의한 분배, 재결정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강 추출물은 활성 성분으로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포함하며, 이 양강 추출물은 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에 유효 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양강 추출물에서 분리된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유효성분으로 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에 유효 성분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양강 추출물을 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 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양강 추출물에서 분리된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 0.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량 증가에 따른 효과 개선 정도가 미미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양강 추출물 또는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중성 지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과 그에 따른 당뇨, 지질 대사 이상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mg/kg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속쓰림을 일으킬 문제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1일 투여량을 수회의 분활 용량으로 예를 들면 1일에 2 내지 4회 투여할 수 있다. 이 투여량은 체중,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및 질환의 심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다양한 투여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구 투여, 직장내 투여, 경피 투여, 피하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및 비강내 투여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함에 앞서서 이는 적절한 형태의 약제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상기 양강 추출물 유효량과,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같은 담체를 일컫는 것으로서, 이들은 약제 제조시 다른 성분과 양립할 수 있고, 숙주 또는 환자에게 유독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의 제조는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tablets), 환제(pills), 분말제(powders), 현탁제(suspensions), 유화제 (emulsions), 액제(solution), 시럽(syrups), 에어로졸(aerosols; 고체로서 또는 액체 매체내에서), 연고제(ointment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좌제(suppositories), 멸균 주사액제(sterile injectable solutions), 멸균 포장분말제(sterile packaged powders) 등의 여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험 재료 및 방법
1. 재료
계피(Cinnamomum cassia) 및 양강(Alpinia officinarum)은 경동 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시약
트리부티린(trybutyrin), 트리올레인(triolein), 리파아제(lipase), 옥수수 기름, 올리브유, 트리톤 WR-1339(triton WR-1339) 및 검 아카시아는 Sigma Chem. Co.(미국)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전체 글루코스(total glucose),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킷트는 아산제약사(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아가로스는 Quantum Appligene(미국)에서 구입하였고 콜레스테롤은 Lancaster(영국)에서 구입하였고, 콜린산은 Fluk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기타 시약은 특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3. 실험 동물
ICR계 마우스 수컷(체중 25±5 그램)은 삼육 실험 동물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사료로는 삼양(주) 펠렛형 곡물 사료를 공급하고, 온도는 23±2℃, 습도는 50±5%에서 사육하였다.
실시예 1: 시료의 추출
계피을 300g씩 준비하고, 여기에 5배의 물을 가하여 수욕상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추출 잔사에 다시 5배의 물을 가해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기 추출 여액과 합쳐서 물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양강(Alpinia officinarum) 900g에 5배의 물을 가하여 수욕상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추출 잔사에 다시 5배의 물을 가해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기 추출 여액과 합쳐서 물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양강의 항고지혈증 활성 측정
1)In vitro에서 약선 소재로부터 리파아제 저해 활성 검색
(1) 평판 배지법(Plate assay method for lipase)
1% 트리부티린을 균질화시켜 1% 한천 플레이트를 만들고, 여기에 직경 0.5㎝의 웰을 파고 리파아제 용액(units)과 상기 여과액인 검체 추출액(mg)을 최종 농도가 5mg/ml가 되도록 넣고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여 형성된 클리어존(clear zone)의 지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지방 분해 효소 억제제로 시판되는 제니칼((Xenical)(로슈제약)을 비교 약물로 사용하여 그 결과도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첨가한 것이다.
클리어존의 직경(cm)
계피 0.95
대황 0.85
양강 0.90
제니칼(0.5mg/ml) 0.80
대조군 1.00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니칼과 함께 계피 및 양강의 저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좋았다.
(2) 적정법(titrimetric method)
10% 검 아카시아에 트리부티린과 트리올레인을 각각 206mM의 농도가 되도록 잘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10mM NaOH를 첨가하면서 pH 8.8이 되도록 하였다. 얻어진 트리부티린 용액 및 트리올레인을 각각 2ml, 165mM 글라이코콜레이트 용액 40㎕, 코리파아제 용액(2mg/ml) 20㎕, 최농 농도가 3.3mg/ml가 되도록 상기 추출액 1ml을 넣고 25℃에서 60분간 반응시키고 얼음상에서 반응을 정지하였다. 이 반응정지액을 pH가 다시 8.8이 되도록 10mM NaOH로 적정하여, 적정에 사용된 NaOH의 용량을 측정하여, 이 결과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저해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첨가한 것이다.
[수학식 1]
저해율%=[(효소만을 첨가하여 반응시 소비한 용량-효소 및 저해제를 첨가하여 반응시 소비한 용량)/효소만을 첨가 반응시 소비한 용량] x 100
저해율(%)
트리부티린 트리올레인
계피 11.9 12.90
양강 44.0 27.05
제니칼(0.5mg/ml) 36.9 10.85
대조군 0.00 0.00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를 보면, 양강이 트리부티린 및 트리올레인에 대하여 리파아제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고지혈증 모델 마우스에서 항고지혈증 활성 측정
(1) 옥수수 기름 투여 유도 고지혈증 마우스에서 항고지혈증 활성 측정
먼저 마우스 한 군을 5마리로 하여 계피 추출물, 대황 추출물 및 양강 추출액을 각각 1g/kg 경구 투여하였고, 대조군에는 상기 추출물 대신 생리 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2시간 후에 옥수수 기름 1g/kg을 경구투여하고, 정상군에는 옥수수 기름 대신 생리 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여 옥수수 기름 및 생리 식염수 투여 2시간 후에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 약물로는 제니칼을 사용하였다. 그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LDL 값(mg/dl)
정상 - 156.7 ±21.30 94.9 ± 12.65 66.4 ± 0.74 36.2 ±7.13
대조군 - 155.5 ±10.10 155.2 ± 5.12# 65.9 ± 5.54 58.5 ±13.6
계피 1.0 147.2 ±22.60 151.1 ± 7.32 67.6 ± 11.98 38.3 ±6.52
양강 1.0 162.4 ± 8.73 100.3± 15.18* 78.1 ± 4.09* 52.8 ±9.33
대황 1.0 155.9 ±6.82 87.6 ±18.54* 75.6 ± 8.68 42.0 ±5.27
제니칼 1.0 143.8 ± 7.61 98.2 ±4.07* 61.4 ±7.65 52.7 ±5.32
#: 정상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 대조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본 실험에서 사용된 옥수수 기름은 고중성 지혈증을 유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급격히 상승시킨다.
실험 결과 옥수수 기름으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마우스에서는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농도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는 급격히 상승하였다. 계피 물 추출물, 양강 물 추출물 및 대황 물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양강 물 추출물 및 대황 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혈중 HDL 농도는 증가하였고, LDL 농도는 감소하여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있었다.
(2) 트리톤 WR-1339 유도 고지혈증 마우스에서 항고지혈증 활성 측정
마우스 한군을 5마리로 하여 계피 물 추출물, 대황 물 추출물 및 양강 물 추출물을 각각 1일 1회 1g/kg 5일간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에는 상기 추출액 대신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후 16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트리톤WR-1339 250mg/kg을 멸균한 증류수에 녹여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정상군에는 트리톤 WR-1339 대신 생리 식염수를 주사하고, 18시간 후에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약물로는 제니칼을 사용하였다(질문 사항; 하기 표 4에 제니칼을 사용한 결과가 기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재 부탁드립니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LDL 값(mg/dl)
정상 - 212.1 ± 9.0 79.6 ± 3.9 70.5 ± 3.2 83.0
대조군 - 337.5 ± 17.7* 1040.0 ± 11.2# 59.8 ± 8.2 -a)
계피 1.0 362.5 ± 10.2 924.6 ± 5.6 65.0 ± 7.5 92.5 ± 8.2
양강 1.0 308.3 ± 13.2 809.2 ± 12.3* 72.9 ± 3.1* 73.5 ± 5.6*
대황 1.0 247.2 ± 4.2* 619.5 ± 7.5* 50.9 ± 4.2 72.4 ± 6.9*
a): 트리글리세라이드 값의 비정상적인 향상으로 인하여 측정 불가능(> 100mg/dl)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키기 위해 사용된 트리톤 WR-1339는 세포의 리파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혈액 내의 중성 지방과 저밀도 저단백을 증가시키고, 고분자 Apo B, 유리 및 에스테르 결합 콜레스테롤, 인지질, 지방산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또한 세포내 지방분해 효소 활성 억제에도 관여하여 세포내 중성 지방의 축적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실험 결과, 계피 물 추출물, 양강 물 추출물 및 대황 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계피 물 추출물, 양강 물 추출물 및 대황 물 추출물 투여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이 억제되었으며, 그 중 양강 물 추출물과 대황 물 추출물이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혈중 HDL의 농도는 계피 물 추출물 및 양강 물 추출물의 경우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대황 물 추출물은 증가 효과가 없었다. LDL의 농도는 양강 물 추출물 및 대황 물 추출물의 경우 감소하였으나, 계피 물 추출물은 감소 효과가 없었다. 특히 양강 물 추출물 투여군의 혈중 지질 농도를 비교 약물 투여군인 제니칼군과 비교하였을 경우 전체 콜레스테롤 농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HDL 농도는 제니칼군보다 오히려 높아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을 유발한 동물에서는 양강 물 추출물이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3: In vitro 에서 양강의 분획별 리파아제 저해 효과
옥수수 기름 및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우수했던 양강 물 추출물에 대하여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였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얻은 양강 물 추출액에 에테르를 가해 추출하여 에테르층과 나머지 물층을 분리하였다. 나머지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잔류물로 나누었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잔류물 분획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농축 분획을 얻었다.
상기 농축 분획을 이용하여 각각 분획에 대해 리파아제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 2의 적정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획 저해율(%)
트리부티린 트리올레인
에테르 25.0 17.9
에틸아세테이트 29.1 50.0
부탄올 13.9 12.7
잔류물 18.5 16.4
상기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1시간 동안 배양시키며 트리부티린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모든 분획에서 저해 활성이 있었으나, 트리올레인을 기질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저해 활성이 가장 크고, 나머지 분획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결과에 따라, 양강 물 추출물의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저해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대부분 비극성 성분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himura 등의 연구에서 Cassia mimosides L. var. nomame(차풀)에서 분리한 리파아제 저해 성분 분획이 기질인 트리올레인에 대해 10mg/ml 농도에서 24%, 50mg/ml 농도에서 66%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던 것과 비교하여, 양강의 물 추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저농도에서도 높은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In vivo 에서의 양강의 분획별 리파아제 저해 효과 및 활성 성분의 분리
양강의 물추출물에 대하여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있었던, 옥수수 기름 투여, 트리톤 WR-1339 유도 고지혈증 마우스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혈중지방 저하 효과를 측정하여 옥수수 기름으로 고지혈증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표 6에,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 모델 동물을 만들어 실험한 경우에는 표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LDL 값(mg/dl)
정상 - 171.67 ± 7.42 165.38 ±12.67 71.09 ±7.05 65.42 ±5.54
대조군 - 167.78 ±24.29 239.64 ±12.69# 58.69 ±10.79 81.28 ± 5.93*
양강 물 추출물 0.1 170.83 ±13.09 231.54 ±17.75 67.15 ± 4.79 63.16 ±2.17*
양강 물 추출물 1.0 165.63±8.64 121.44 ±18.22* 71.26 ±14.25 66.47 ±6.46*
양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1 175.83 ±10.61 124.00 ±12.66* 81.38 ±14.04* 74.87 ±1.01*
양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5 172.50 ±6.24 127.33 ±27.89* 69.32 ±7.82 76.98 ±14.20
제니칼 0.1 172.22 ±7.28 160.15 ±10.44* 85.97 ±22.24* 75.52 ±2.22
#: 정상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 대조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옥수수 기름으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마우스의 경우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값에는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는 양강 물 추출물 100mg, 1000mg을 투여한 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500mg을 투여한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양강 물 추출물 1000mg을 투여한 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500mg을 투여한 군에서 비교 약물로 사용된 제니칼보다 더 큰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HDL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양강 물 추출물 1000mg을 투여한 군은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을 투여한 군은 HDL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양강 물 추출물 투여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투여군 모두 LDL 값이 감소하여 양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LDL 값(mg/dl)
정상 - 151.46 ±18.31 84.00 ± 14.96 113.74 ±5.82 50.32 ±9.59
대조군 - 188.33 ±16.20# 148.69 ±13.12# 95.30 ±13.44# 67.76 ±12.74*
양강 물 추출물 0.1 166.25 ±18.98 116.82 ±15.08* 121.26 ±5.77* 34.98 ±12.74*
양강 물 추출물 1.0 158.88 ±12.65# 64.15 ±7.04* 134.99 ±20.61 43.68 ±7.86*
양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1 141.86 ±30.03# 84.76 ±15.50* 113.25 ±2.41* 35.34 ±5.47*
양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5 169.72 ±8.01 69.84 ±14.23* 124.79 ±15.45* 39.44 ±1.63*
제니칼 0.1 141.04± 25.41# 74.92 ±12.70* 97.32 ±9.43* 39.19 ±11.31*
#: 정상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 대조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 유도한 마우스의 경우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값은 양강 물 추출물 100mg, 1000mg 투여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500mg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양강 물 추출물 1000mg을 투여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투여군에서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값은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양강 물추출물 1000mg 투여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500mg 투여군에서 저해 활성이 우수하였다. HDL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수치가 감소한데 비해 양강 물추출물 100mg, 1000mg 투여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mg, 500mg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있었다. LDL 역시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실시예 5: In vitro 에서 양강의 3-메틸에테르갈라긴 분리성분의 리파아제저해 효과
옥수수 기름 및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우수했던 양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그램을 실리카젤 칼람 (5x50cm)에 걸어 분리되는 성분들 중 리파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인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0.9그램 분리하였다.
이 성분을 이용하여 각각 분획에 대해 리파아제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 2의 적정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분획 저해율(%)
트리부티린 트리올레인
대조군 0 0
3-메틸에테르갈란긴 37.8 45.7
제니칼 45.8 52.1
상기 표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1시간 동안 배양시키며 트리부티린 또는 트리올레인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3-메틸에테르갈란긴에서 저해 활성이 있었다. 제니칼은 장내이상발효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나 3-메틸에테르갈란긴은 천연물에 함유한 것으로 아직까지 부작용이 알려진 것이 없다.
상기 표 8에 나타낸 결과에 따라, 양강에서 분리한 3-메틸에테르갈란긴은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In vivo 에서의 양강의 3-메틸에테르갈란긴의 리파아제 저해 효과 및 활성 성분의 분리
양강의 물추출물에 대하여 혈중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있었던, 옥수수 기름 투여, 트리톤 WR-1339 유도 고지혈증 마우스에 대해 3-메틸에테르갈란긴의 혈중 지질 저하 효과를 측정하여 옥수수 기름을 사용하여 고지혈증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표 9에, 트리톤 WR-1339을 사용하여 고지혈증 모델 동물을 만들어 실험한 경우에는 표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정상 - 175.0 ±32.80 48.1 ±8.47 105.9 ± 1.93
대조군 - 167.5 ±32.3# 88.4 ±14.22# 101.9 ±28.15
3-메틸에테르갈란긴 0.01 196.6 ±2.26 45.5 ±8.70* 70.8 ±7.22
3-메틸에테르갈란긴 0.02 182.9 ±15.72 39.3 ±15.22* 105.6 ±11.19
제니칼 0.02 172.2 ±27.19 31.5 ±8.41* 68.2 ±15.01
#: 정상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 대조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옥수수 기름으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마우스의 경우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값에는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는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10mg, 20mg을 투여한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비교약물로 사용된 제니칼에 못지 않은 더 큰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주입량(g/kg/일) TC 값(mg/dl) TG 값(mg/dl) HDL 값(mg/dl)
정상 - 196.1 ±27.0 66.7 ±12.6 81.1 ±14.7
대조군 - 299.2 ±52.9# 492.8 ±20.7# 41.3 ±15.8#
3-메틸에테르갈란긴 0.01 308.9 ±52.5 187.1 ±16.3* 62.1 ±10.4*
3-메틸에테르갈란긴 0.02 238.2 ±30.8* 146.3 ±17.4* 60.5 ±6.5*
제니칼 0.02 275.2 ±14.7* 149.6 ±18.4* 63.45 ±5.8*
#: 정상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 대조군과 현저하게 다름(p < 0.05)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 유도한 마우스의 경우 혈중 전체 콜레스테롤 값은 3-메틸에테르갈란긴 10mg을 투여한 경우는 효과가 없었으나 20mg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혈중 트리글리
세라이드 값은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3-메텔에테르갈란긴 20mg 투여군에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HDL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수치가 감소한데 비해 3-메틸에테르갈란긴 10mg, 20mg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의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은In vitro에서 리파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10)

  1.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강 추출물은 양강을 물을 사용하여 1회 추출하고, 1회 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인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강 추출물은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포함하는 것인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4. 양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은 상기 양강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강 추출물은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포함하는 것인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
  7. 유효 성분으로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은 상기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9.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은 상기 3-메틸에테르갈란긴을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중성 지질 억제 기능성 식품.
KR1020020063575A 2002-10-17 2002-10-17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040034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75A KR20040034923A (ko) 2002-10-17 2002-10-17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75A KR20040034923A (ko) 2002-10-17 2002-10-17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23A true KR20040034923A (ko) 2004-04-29

Family

ID=3733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575A KR20040034923A (ko) 2002-10-17 2002-10-17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9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111B1 (ko) * 2005-12-15 2013-03-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억제용 조성물
US10081871B2 (en) 2013-07-12 2018-09-25 Femvix Corp. Metal oxide film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111B1 (ko) * 2005-12-15 2013-03-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억제용 조성물
US10081871B2 (en) 2013-07-12 2018-09-25 Femvix Corp. Metal oxide film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gizi-Ashtiyani et al. The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alcoholic extract on induced hypercholesteroleomia in rats
Bustanji et al. Inhibition of hormone sensitive lipase and pancreatic lipase by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 and selected phenolic constituents
Umar et al. Effects of Cydonia oblonga Miller leaf and fruit flavonoids on blood lipids and anti-oxydant potential in hyperlipidemia rats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i et al. Reduction of aging-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ctivation of autophagy by bilberry anthocyanin supplementation via the AMPK–mTOR signaling pathway in aged female rats
Husen et al. Activity assay of mangosteen (Garcinia mangostana L.) pericarp extract for decreasing fasting blood cholesterol level and lipid peroxidation in type-2 diabetic mice
KR20110122158A (ko) 대사성 증후군의 조절을 위한 스파란터스 인디커스 및 가르시니아 망고스타나 유래의 조성물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11171766A (ja) フラバノン類含有組成物
CN101233145A (zh) 改善胰岛素抵抗的药剂
Kamal et al.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Pistacia khinjuk
Kadir et al. Beneficial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ed (SC-CO2) Dabai (Canarium odontophyllum) pulp oil in hypercholesterolemia-induced SPF sprague-dawley rats
WO2005041995A1 (ja)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剤
RICHARD et al. Ameliorative Potentials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Nephrolepis undulat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Rebollo‐Hernanz et al. Cocoa shell: source of novel bioactive ingredient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metabolic diseases
CN105878801A (zh) 一种具有降血脂作用的红曲虾青素组合物
KR20040034923A (ko) 중성 지질 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Gaffer et al. The hypolipidaemic effect of the ethanolic extract of Hibiscus sabdariffa L. calyces on induced hyperlipidaemia in Albino rats
Venugopal et al. Management of diabetic dyslipidemia with subatmospheric dehydrated barley grass powder
RU258228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стресспротективной и антигипокс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20180000136A (ko) 오신채를 유효성분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남성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4161644A (ja) 膵リパーゼ阻害剤及び該阻害剤を含有する食品
Al-Jowari Effect of spices mixture on blood glucose and lipids profile in experimentally-induced oxidative stress female rabbits
Devina et al. Development of the Obesity Nutraceutical from Raja and Kepok Banana Peels
CN105012352B (zh) Equisetin在制备用于防治和治疗代谢综合症药物方面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