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590A -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590A
KR20040032590A KR1020020061791A KR20020061791A KR20040032590A KR 20040032590 A KR20040032590 A KR 20040032590A KR 1020020061791 A KR1020020061791 A KR 1020020061791A KR 20020061791 A KR20020061791 A KR 20020061791A KR 20040032590 A KR20040032590 A KR 20040032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lock
face
col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460B1 (ko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460B1/ko
Priority to US10/683,318 priority patent/US20040130631A1/en
Publication of KR2004003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2Retouching, i.e. modification of isolated colours only or in isolated picture areas only
    • H04N1/628Memory colours, e.g. skin or sk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이 개시된다.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수단,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부가하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 데이터 저장 수단, 기록매체 인터페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촬영 또는 재생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소정 크기의 단위 블록들로 분할된 영상에서 하나의 주목 블록에 대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수행한 후에 인접한 다음 블록을 주목 블록으로 하여 영상을 개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은, (a)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백 기능이 실행될 소정 크기의 영역이 지정 블록으로 지정되는 단계; (c)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얼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영역 중에서 반점을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얼굴 영상을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물 영상에 포함된 기미, 잡티등의 반점을 제거하고, 얼굴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ing face image within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물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시 또는 인물을 포함한 영상의 재생시에 미백 기능에 의하여 얼굴 영상을 개선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CCD 나 MOS형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센서는 사람의 눈과는 차이가 있어서, 작고 희미한 반점이나 기미등이 매우 강조되어 사진에 찍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촬영되는 사람들의 피부의 작은 색상 차이도 강조되어 나타나게 되어,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의 영상 출력에 대한 희망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전문적인 이미지 편집기술자에게 의뢰하거나, 개인용 컴퓨터 등에서 여러 가지 복잡한 수정 작업을 거쳐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물 영상에 포함된 기미, 잡티등의 반점을 제거하고, 얼굴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보정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조작부와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4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반점으로 검출된 블록의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반점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S5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S6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수단, 상기 영상 촬영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촬영 영상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부가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 데이터 저장 수단, 기록매체 인터페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촬영 또는 재생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소정 크기의 단위 블록들로 분할된 영상에서 하나의 주목 블록에 대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수행한 후에 인접한 다음 블록을 주목 블록으로 하여 영상을 개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은, (a)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백 기능이 실행될 소정 크기의 영역이 지정 블록으로 지정되는 단계; (c)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얼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영역 중에서 반점을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얼굴 영상을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은,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을 소정의 기준값에 의하여 후가공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은,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지시에 의하여 얼굴색이 보정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이미지 개선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영상 촬영부(10), 영상 처리부(20), 데이터 저장부(30), 조작부(40), 표시부(50), 제어부(70) 및 기록매체(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부는 데이터 버스(80)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는다.
영상 촬영부(10)은 촬상 렌즈군 및 촬상 렌즈군의 구동기구 및 구동회로, CCD 또는 MOS형 이미지 센서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고체 촬상 소자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전기적 셀로 구성되어,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고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소정의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이산화시킨다. 여기서 센서의 각 셀에 해당하는 데이터로서 이산화된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화소(pixel)라 한다.
이후 사용될 '주목 블록'이라는 용어는 화소들을 가로 및 세로의 영역에서 소정 개수 포함하는 단위 블록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이미지 개선 방법이 수행되는 블록을 지칭한다. 여기서 단위 블록의 크기는 해상도, 처리 속도 및 메모리 용량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16 ×16 크기의 단위 블록들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은 반점 제거를 수행해야 할 얼굴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이 혼재된 영상에 대하여, 하나의 주목 블록이 얼굴 영역에 속하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구분하여 반점 제거를 수행한 후에, 인접한 다음 화소를 주목 블록으로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순차적인 반점 제거를 진행해 나간다.
이후 사용될 '평균값'이라는 용어는 블록의 평균 화소값을 의미하며 평균 휘도값 및 평균 색상값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준값'은 블록의 기준 화소값을 의미하며 기준 휘도값 및 기준 색상값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영상 신호 처리부(20)(DSP, Digital Signal Processor)은 영상 촬영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촬영 영상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부(30)에는 임시 데이터 저장 수단과 비휘발성 저장 수단이 있다. 임시 데이터 저장 수단은 영상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비휘발성 저장 수단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설정, 제어부(70)를 기동하는 제어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기록 매체(60)는 디지털 카메라에 마련된 기록매체 인터페이스에 삽입되어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콤팩트 플래시카드(Compact Flash Card),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메모리 스틱(Memory Stick)등의 휴대가능한 저장 수단이다.
제어부(70)는 영상 촬영부(10)에서 촬영되어 영상 신호 처리부(20)에서 처리된 영상 또는 기록매체(60)로부터 재생한 영상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작부(40), 표시부(50) 및 기록 매체(60)를 제어한다.
도 2는 조작부(40)와 표시부(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조작부(40)는 각종의 기능 선택키와 영역 선택을 위한 방향키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들을 조작할 때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40)은 미백 기능 선택키(41)와 미백 기능이 수행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및 결정키(OK)를 갖는 방향키(42)를 포함한다. 조작부(40)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키(4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영상 촬영부(10)에 의하여 촬영되어 영상 신호 처리부(2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또는 기록매체(60)로부터 재생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50)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백 기능 선택키(41)가 선택된 경우에는 지정 블록 커서(51)를 표시한다. 지정 블록 커서(51)는 방향키(42)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얼굴 영역을 분리하여 반점을 검출하여 반점을 제거하는 단계들(S10 ~ S40 단계)을 포함하며, 반점이 제거된 영상의 후가공 단계(S50 단계)와 추가적으로 얼굴색을 보정하는 단계(S60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S10 단계에서는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예컨대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는 사용자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작부(40) 특히 도 2에 도시된 미백 기능 선택키(41)를 누른 때에 입력된다.
S20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미백 기능이 실행될 소정 크기의 블록이 지정 블록으로 지정된다. 지정 블록의 크기는 미백 기능에 의하여 제거해야할 반점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상되는 반점의 최대 크기보다는 지정 블록의 크기를 크게 정한다. 지정블록의 크기는, 지정 블록의 화소 평균치를 계산하여 그 평균값이 얼굴 이미지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정 블록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지정 블록이 반점을 포함하는 경우 지정 블록의 평균값이 너무 어둡게 되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될 S30 단계에 의해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을 결정하는데 오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정 블록의 크기는 디지털 카메라의 해상도와 지정 블록 커서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64 ×64 화소들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방향키(42)에 의하여 반점 제거 영역의 지정을 위한 지정 블록을 입력할 수 있다. 방향키(42)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우향키(▶) 및 결정키(OK)를 포함한다.
S30 단계에서는, 전체 영상 중에서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영역을 얼굴 영역구분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S30 단계는,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기준으로 소정 오차 범위내에 드는 화소값들은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영역으로 처리하는 단계로서,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산출하는 단계(S300 단계), 주목 블록의 평균값(Y, Cb, Cr) 산출 단계(S302 단계), 주목 블록의 평균값과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비교하는 단계(S304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S300 단계에서는,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산출한다. 지정 블록은 소정 개수의 화소들 예컨대 64 ×64 화소들로 이루어진 블록으로서, 하나의 화소는 휘도값과 색상값을 갖는다. 이들의 휘도와 색상을 구분하여 화소값을 표현하는 일예로는, RGB 원색 모델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갖는 YCbCr 모델이 있다.
여기서 휘도를 나타내는 Y값은 예컨대 0 ~ 255 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푸른 정보를 나타내는 Cb 값과 붉은 정보를 나타내는 Cr 값은 각각 예컨대 -127 ~ +127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지정 블록의 평균값 (Ym, Cbm, Crm)을 계산하는 일예는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n 은 지정 블록의 크기 64 ×64 가 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는, 주목 블록의 평균값(Y, Cb, Cr)을 산출한다. 주목 블록의 평균값은 수학식 2에 단위 블록의 크기 예컨대 n = 16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는, 산출된 주목 블록의 평균값(Y, Cb, Cr)과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비교하여 주목 블록의 반점 제거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주목 블록의 평균값과 지정블록의 평균값을 비교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Y, Cb 및 Cr 값은 주목 블록의 평균값이 된다. α,β 및 γ는 반점 제거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소정 오차가 된다.
S40 단계에서는 얼굴 영역 중에서 얼굴색과 다른 반점을 제거한다. S40 단계는 본래의 얼굴색을 변경하는 단계가 아니고, 단지 얼굴색 이외의 기미, 잡티 등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반점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4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산출하는 단계(S400 단계), 구분된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S402 단계), 반점 검출 단계(S404 단계), 검출된 반점 제거 단계(S406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지정 블록의 평균값(Ym, Cbm, Crm)을 산출하는 S400 단계는, 전술한 S300 단계와 동일하다.
S402 단계에서는, 반점이 제거될 것으로 결정된 얼굴 영역의 평균 휘도값 Ym1 을 산출한다.
S404 단계에서는, 구분된 얼굴 영역중에서 반점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포함하는 블록을 검출한다. S404 단계에서는, 단위 블록들의 평균 휘도값 Y, 얼굴 영역의 평균 휘도값 Ym1 및 소정 K 값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 4가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
수학식 4가 만족되는 단위 블록은 제거해야할 반점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즉 소정 휘도보다 어두운 블록은 반점을 포함한 블록으로 인식한다.
S406 단계에서는, S404 단계에서 검출된 반점을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식 4가 만족된다고 판단되면, 주변 단위 블록들의 평균 휘도값 및 평균 색상값으로 치환하여 반점을 제거한다. 도 6은 반점으로 검출된 블록의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반점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하나의 격자는 단위 블록 예컨대 16 ×16 의 단위 블록을 나타내며, E 로 표시된 블록이 반점으르 포함하는 블록이다. 반점 블록 E의 블록 화소값은 주변 단위 블록 A, B, C 및 D 의 블록 화소값의 평균값으로 치환된다. 도면에서 각각의 블록 화소값들은 (Y, Cb, Cr)의 블록 평균값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S50 단계는 반점이 제거된 영상을 후가공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단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S5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평균값 산출 단계(S500), 평균값과 기준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S502 단계), 산출된 차이를 단위 블록에 합산하는 단계(S504 단계)로 이루어진다.
S500 단계에서는, 반점이 제거된 얼굴 영역의 평균값(Ym2, Crm2, Cbm2)을 산출한다.
S502 단계에서는, 이미 설정된 미백기능의 기준값 (Yref, Cbref, Crref)과S500 단계에서 산출된 평균값(Ym2, Crm2, Cbm2)의 차이(YΔ, CbΔ, CrΔ)를 산출한다. 상기 기준값 (Yref, Cbref, Crref) 은 디지털 카메라의 제조시에 제조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는, 평균값과 기준값의 차이(YΔ, CbΔ, CrΔ)를 주목 블록의 화소값에 합산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S6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하여 얼굴색이 보정된다. S60 단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단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S6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밝기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0 단계),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S602 단계), 색상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4 단계), 색상 보정 단계(S606 단계), 추가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8 단계) 및 보정된 영상을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S610 단계)로 이루어진다.
S600 단계에서는, 얼굴 영역의 밝기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S600 단계는 S40 단계에서 수행된 반점 제거 후의 영상 또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S50 단계에서 후가공된 영상을 표시부(50)에 표시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밝기 보정을 수행할 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메시지 예컨대 '밝기를 보정하시겠습니까?아니오'를 표시한다. 기본 커서를 '' 에 지정해 놓고 만일 사용자가 결정키(OK)를 누르면 얼굴 밝기를 보정하는 S602 단계로 넘어가고, 사용자가 방향키(42)를 이용하여 커서를 '아니오' 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키(OK)를 누르면 S604 단계로 진행한다.
S602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밝기를 보정한다. S602 단계의 수행을 위한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50)에는 밝기 보정을 위한 밝기 등급을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밝기 등급의 커서는 초기에는 중앙부에 위치하였다가, 사용자의 방향키(42) 조작에 의하여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밝기 등급이 밝게 또는 어둡게 변경되는 것을 제어부(70)의 제어하에 영상에 반영하여 표시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향키(42)를 이용하여 표시부(50)에 표시된 얼굴 영상의 밝기를 참조하다가 만족하는 밝기가 결정되면 결정키(OK)를 이용하여 밝기를 결정한다.
S604 단계에서는, 얼굴 영역의 색상을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전 단계의 처리 결과 영상을 표시부(50) 표시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색상 보정을 수행할 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메시지 예컨대 '색상을 보정하시겠습니까?아니오'를 표시한다. 기본 커서를 '' 에 지정해 놓고 만일 사용자가 결정키(OK)를 누르면 얼굴 밝기를 보정하는 S606 단계로 넘어가고, 사용자가 방향키(42)를 이용하여 커서를 '아니오' 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키(OK)를 누르면 S608 단계로 진행한다.
S606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색상을 보정한다. S606 단계의 수행을 위한 일 실시예로서, 붉은 계통의 색상과 하얀 계통의 색상으로 나누어 표시부(50)에는 색상 등급을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색상 등급의 커서는 초기에는 중앙부에 위치하였다가, 사용자의 방향키(42) 조작에 의하여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색상 등급이 좀더 붉게 또는 좀더 하얗게 변경되는 것을 제어부(70)의 제어하에 영상에 반영하여 표시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향키(42)를 이용하여 표시부(50)에 표시된 얼굴 영상의 색상을 참조하다가 만족하는 색상이 결정되면 결정키(OK)를 이용하여 색상을 결정한다.
S608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보정할 사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만일 추가 보정이 있다고 판단되면 S600 단계로 진행하여, 밝기 및 색상의 보정 한다. S608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S606 단계에 의해 보정된 사항을 반영한 영상을 표시부(50)에 표시하고 추가 보정사항이 있는지 사용자의 의사를 묻는 메시지 예컨대 '표시된대로 저장하시겠습니까?아니오'를 표시한다. 기본 커서를 '' 에 지정해 놓고 만일 사용자가 결정키(OK)를 누르면 다음 단계인 S610 단계로 넘어가고, 사용자가 방향키(42)를 이용하여 커서를 '아니오' 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키(OK)를 누르면 다시 S600 단계로 진행하여 밝기의 추가 보정 및 색상의 추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S610 단계에서는, 개선된 영상을 도 1에 도시된 기록 매체(6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단계와 단계 사이에는 이전 단계에서 수행된 처리 과정이 반영된 영상이 표시부(50)에 반영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에 의하면, 인물 영상에 포함된 기미, 잡티등의 반점을 제거하고, 얼굴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및 많은 과정 단계들의 재배치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그것으로부터,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정의된 발명의 개념 및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예가 가능한 것임을 인정할 것이다.

Claims (7)

  1.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수단, 상기 영상 촬영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촬영 영상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부가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 데이터 저장 수단, 기록매체 인터페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촬영 또는 재생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소정 크기의 단위 블록들로 분할된 영상에서 하나의 주목 블록에 대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수행한 후에 인접한 다음 블록을 주목 블록으로 하여 영상을 개선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에 있어서,
    (a) 미백 기능의 실행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백 기능이 실행될 소정 크기의 영역이 지정 블록으로 지정되는 단계;
    (c)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얼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영역 중에서 반점을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얼굴 영상을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지정 블록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c2) 상기 주목 블록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c3) 상기 주목 블록의 평균값과 상기 지정 블록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지정 블록과 동일한 속성의 얼굴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지정 블록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d2) 상기 구분된 얼굴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
    (d3) 상기 주목 블록의 평균 휘도값과 상기 지정 블록의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주목 블록에 포함되는 반점을 검출하는 단계;
    (d4) 상기 검출된 반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을 소정의 기준값에 의하여 후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영상 개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화소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e2) 산출한 상기 평균값과 소정의 기준값과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e3) 산출한 상기 평균값과 상기 기준값과의 차이를 주목 블락의 화소값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지시에 의하여 얼굴색이 보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반점이 제거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얼굴 영역의 밝기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2) 상기 얼굴 영역의 밝기를 보정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얼굴 영역의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
    (f3) 상기 얼굴 영역의 밝기를 보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거나 상기 (h2) 단계 후에, 상기 얼굴 영역의 색상을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f4) 상기 얼굴 영역의 색상을 보정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얼굴 영역의 색상을 보정하는 단계;
    (f5) 상기 얼굴 영역의 색상을 보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거나 상기 (f4) 단계 후에, 추가할 보정 사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추가할 보정 사항이 있다로 판단되면 상기 (f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f6) 추가할 보정 사항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보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KR1020020061791A 2002-10-10 2002-10-10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KR100850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91A KR100850460B1 (ko) 2002-10-10 2002-10-10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US10/683,318 US20040130631A1 (en) 2002-10-10 2003-10-10 Method of improving image of human face in digit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91A KR100850460B1 (ko) 2002-10-10 2002-10-10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90A true KR20040032590A (ko) 2004-04-17
KR100850460B1 KR100850460B1 (ko) 2008-08-07

Family

ID=3267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91A KR100850460B1 (ko) 2002-10-10 2002-10-10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30631A1 (ko)
KR (1) KR100850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435B2 (en) 2008-10-29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by virtual illumination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242B2 (en) * 2006-10-26 2011-0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lemish repair tool for digital photographs in a camera
KR101475684B1 (ko) * 2008-10-17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1590868B1 (ko) 2009-07-17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색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1055170A (ja) * 2009-08-31 2011-03-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86570B2 (en) 2014-02-05 2020-03-10 Snap Inc. Real time video processing for changing proportions of an object in the video
EP2993645B1 (en) * 2014-09-02 2019-05-08 Nintendo Co., Ltd. Image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116901B2 (en) 2015-03-18 2018-10-30 Avatar Merger Sub II, LLC Background modification in video conferencing
CN106558025B (zh) * 2015-09-29 2021-02-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片的处理方法和装置
CN108961189B (zh) * 2018-07-11 2020-10-3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1967B1 (fr) * 1991-10-01 1994-11-25 Electronics For Imaging Inc Procede et appareil pour modifier les couleurs d'une image a l'aide d'un ordinateur.
JP2000049984A (ja) * 1998-07-27 2000-02-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7009644B1 (en) * 1999-12-15 2006-03-07 Logitech Europe S.A. Dynamic anomalous pixel detection and correction
KR20010047297A (ko) * 1999-11-19 2001-06-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3497801B2 (ja) * 2000-06-22 2004-02-16 花王株式会社 顔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顔画像の処理装置
JP4140181B2 (ja) * 2000-09-08 2008-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333016B2 (ja) * 2000-10-20 2009-09-16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031548B2 (en) * 2001-10-04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noise from a digital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435B2 (en) 2008-10-29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by virtual illumination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460B1 (ko) 2008-08-07
US20040130631A1 (en)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098B2 (en) Fac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883034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and program
EP2395745B1 (en) Photographic apparatus, setting method of photography conditions, and recording medium
US2003007190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US2004004279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brightness distribution chart display capability
JP492472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03205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2002158893A (ja)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930245B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753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850460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얼굴 영상 개선 방법
US202301965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capture apparatus
CN11235119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和电子系统
JP200719931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5045731B2 (ja) 撮像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7779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202000508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9883B2 (ja) 電子カメラ
JP2014021782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1273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102281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9528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10782B2 (ja) 電子カメラ
JP2008035457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407062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