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526A - 부표 지지앵커 - Google Patents

부표 지지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526A
KR20040032526A KR1020020061714A KR20020061714A KR20040032526A KR 20040032526 A KR20040032526 A KR 20040032526A KR 1020020061714 A KR1020020061714 A KR 1020020061714A KR 20020061714 A KR20020061714 A KR 20020061714A KR 20040032526 A KR20040032526 A KR 20040032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uoy
buoy support
support anchor
pl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철
Original Assignee
오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철 filed Critical 오수철
Priority to KR102002006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526A/ko
Publication of KR2004003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0Anchors rigid when in use
    • B63B21/32Anchors rigid when in use with one flu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 지지앵커에 관한 것으로, 수중에 박히며, 일단이 뾰족한 'V'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 다수개가 일렬로 위치되는 앵커체; 상기 앵커체의 몸체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몸체 상호간을 연결하는 단일의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측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매립방지판; 상기 앵커체의 몸체 하단부에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봉; 상기 보강봉에 삽입되는 회전링;과 와이어와 고정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는 아령 형상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회전고리; 및 상기 보강봉 및 상기 앵커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부상방지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는 수중에 부표 설치 시 앵커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부표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고 용이하며, 추후 부표 해체 시에는 상기 앵커의 수거 또한 용이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며,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순응하도록 상기 부표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상기 부표가 설치위치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표 지지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표 지지앵커{Unlighted buoy support anchor}
본 발명은 부표 지지앵커에 관한 것으로, 수중에 부표 설치 시 앵커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부표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고 용이하고, 추후 부표 해체 시에는 상기 앵커의 수거 또한 용이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며,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순응하도록 상기 부표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상기 부표가 설치위치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표 지지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 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해저와는 체인으로 연결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에 설치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1)는 하부에 착설된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를 그 수직선상 해저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4) 상면의 연결고리에 와이어(3)로 결속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켜주고, 또 상기 부표(1)가 설치된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는 중앙의 콘크리트 블록(4)으로부터 동일간격을 유지하게 해저에 좌우로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4a, 4b)들 상면의 연결고리에 와이어(3)로 각각 결속하여 그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부표(1) 및 오탁방지막(2)을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은,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 등에 의해 그 설치위치가 임의로 변동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침전물 및 오염물질 등이 상기 부표(1) 및 오탁방지막(2)을 넘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상기 해저에 설치되는 부표(1) 및 오탁방지막(2)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4, 4a, 4b)들은 3개조를 1조로 하여 상기 부표(1) 및 오탁방지막(2)이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다량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4, 4a, 4b)은 대략 가로, 세로는 1,100~1,400 m/m 정도, 높이는 1,000 m/m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어, 넓은 면적의 제작 및 보관장소가 필요하게 됨은 물론,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할 때 기중기나 바지선 등과 같은 해상운송 및 중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또 썰물 때와 같이 해상여건의 변화에 따라 중장비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설치작업을 중단하여야 되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상기 부표(1) 및 오탁방지막(2) 해체 시에는 반드시 상기 콘크리트 블록(4, 4a, 4b)들을 수거하여 파기 처분해야 하지만, 이를 수행하는 데에도 많은 경비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일일이 수거하여 파기처분하지 않고 해저에 그대로 방치되기 쉬워 해양오염원이 된다.
또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부표(1)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4, 4a, 4b)에 완전고정되어 있는 연결고리에 와이어(3)로 연결되어 있어, 바람 및 조류의 흐름에 따른 움직임에 한계가 있으며, 바람이나 조류의 세기가 강할 경우 설치위치에서 유실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인 부표 지지앵커는 수중에 부표의 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며, 추후 상기 부표의 해체 시에 상기 앵커의 수거 또한 용이하여 해양의 오염을 방지하는 부표 지지앵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는 상기 수중에 설치된 부표가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설치위치에서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표 지지앵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의 다른 예 설치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의 다른 예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가 설치된 부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가 설치된 부표의 다른 예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 부표2 : 오탁방지막
3 : 와이어4, 4a, 4b : 콘크리트 블록
100, 100' : 부표 지지앵커110 : 앵커체
120 : 연결봉130 : 회전고리
131 : 회전링132 : 고정링
140 : 매립방지판150 : 보강봉
160 : 부상방지판170 : 보강대
본 발명은 수중에 부표(1)를 설치하기 위한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 관한 것으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를 설명하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설치된 부표(1)의 설치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중에박히며, 일단이 뾰족한 'V'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 다수개가 일렬로 위치되는 앵커체(110); 상기 앵커체(110)의 몸체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몸체 상호간을 연결하는 단일의 연결봉(120); 상기 연결봉(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매립방지판(140); 상기 앵커체(110)의 몸체 하단부에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봉(150); 상기 보강봉(150)에 삽입되는 회전링(131);과 와이어와 고정되는 고정링(132);으로 구성되는 아령 형상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회전고리(130); 및 상기 보강봉(150) 및 상기 앵커체(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부상방지판(1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서 상기 앵커체(11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중에 박히는 일단이 뾰족한 'V'자 형상의 다수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도 2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몸체의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단일의 연결봉(120)에 연결되어 하나의 앵커체(110)를 형성한다. 이 때 설치되는 상기 앵커체(110)의 갯수는 조류의 흐름 등과 같은 설치장소의 여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의 중량에 차이를 두도록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로 조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앵커체(110)의 몸체 하단부에는 상,하로 보강봉(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체(110)의 몸체와 몸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앵커체(110)를 일체화시키며, 상기 앵커체(110)의 형상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앵커체(110)를 구조적으로 보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는 상기 앵커체(110)의 몸체 일단과 타단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보강대(170)가 더 설치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를 더 견고히 하며, 이 때 상기 보강대(170)의 설치여부는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결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서 상기 보강봉(150)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회전링(131)과 상기 부표(1)와 연결된 와이어(3)와 결속되는 고정링(132)으로 구성되는 아령 형상의 회전고리(130)는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따라 그 움직임이 유연하게 대처됨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표(1)가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4, 4a, 4b)의 완전고정된 연결고리에 와이어(3)로 연결되어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이 강할 경우 그 세기를 견디지 못하고 설치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유실되는 것과는 달리,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순응하며 그 세기의 상관없이 상기 부표(1)가 설치위치에서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고리(130)는 상기 부표(1) 해체 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여,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해양 오염원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고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2a 및 도 3b에서는 한 개만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수개의 설치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서 상기 연결봉(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매립방지판(140)은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가 수중에서 일정깊이 이상으로 너무 깊이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후 상기 부표(1) 해체 시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의 수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서 상기 앵커체(110)의 하단부에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기 부상방지판(160)은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에 일정무게를 가지게 하여 수면 위로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수중에 박힐 경우 수중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수중 토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가 설치된 부표(1)의 설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a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1)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동일간격(D)으로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들을 상기 부표(1)의 설치방향을 따라 일정간격(d)으로 투하하여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앵커체(110)가 수중에 박히게 한다.
이 때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는 매립방지판(140)이 형성되어 있어 수중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가 박히는 것이 방지되며, 추후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수거가 용이하며, 또한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앵커체(110) 하단부에는 부상방지판(16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에 일정무게를 실어주어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가 쉽게 수면위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중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가 수중 토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회전고리(130)의 고정링(132)과 수중에 설치될 부표(1)의 하단부에 설치된 오탁방지막(2)의 상, 하부 양옆을 와이어(3)로 연결하여 결속고정하여 마무리한다. 이 때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회전고리(130)는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수개 설치도 가능하며,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회전고리(130)는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따른 그 움직임 또한 유연하여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으로 인해 상기 부표(1)가 설치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100, 100')를 조류의 흐름이 완만한 장소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2b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1)의 설치위치의 수직 아래에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를 상기 부표(1)의 설치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투하하여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앵커체(110)가 수중에 박히게 한다. 이때 도면에는 설치되는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가 복수개의 앵커체(110)를 가지는 부표 지지앵커(10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의 앵커체를 가지는 부표 지지앵커(100, 100')를 선택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그 밖의 상기 부표 지지앵커(100')의 각 부분들에 역할 및 기능은 상기 전술한 부표 지지앵커(100)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는 수중에 부표 설치 시 앵커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부표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고 용이하고, 추후 부표 해체 시에는 상기 앵커의 수거 또한 용이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부표 지지앵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는 제작이 용이하며, 구조적으로도 안정되고, 또한 부피가 작아 보관, 운반, 설치 및 수거가 용이하며, 조수간만의 차이 등 해상여건의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높은 부표 지지앵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부표 지지앵커는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에 따른 상기 부표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바람이나 조류의 흐름이 강할 경우 상기 부표가 설치위치에서 이탈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부표 지지앵커가 수중에 깊이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표 지지앵커에 매립방지판이 형성되어 있어, 추후 부표 해체 시 수거가 용이한 부표 지지앵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중에 박히며, 일단이 뾰족한 'V'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 다수개가 일렬로 위치되는 앵커체;
    상기 앵커체의 몸체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몸체 상호간을 연결하는 단일의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측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다수개의 매립방지판;
    상기 앵커체의 몸체 하단부에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봉;
    상기 보강봉에 삽입되는 회전링;과 와이어와 고정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는 아령 형상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회전고리; 및
    상기 보강봉 및 상기 앵커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부상방지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지지앵커.
  2. 제1항에서, 상기 앵커체의 몸체 일단과 타단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지지앵커.
  3. 제1항에서, 상기 회전고리는 다수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지지앵커.
KR1020020061714A 2002-10-10 2002-10-10 부표 지지앵커 KR20040032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14A KR20040032526A (ko) 2002-10-10 2002-10-10 부표 지지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14A KR20040032526A (ko) 2002-10-10 2002-10-10 부표 지지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26A true KR20040032526A (ko) 2004-04-17

Family

ID=3733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14A KR20040032526A (ko) 2002-10-10 2002-10-10 부표 지지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5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34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장치
KR102077405B1 (ko) 2018-12-13 2020-02-13 해양환경공단 야간 표시등을 갖는 앵커 부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494U (ko) * 1975-10-04 1977-04-08
JPS5548579U (ko) * 1978-09-28 1980-03-29
JPS611492U (ja) * 1984-06-11 1986-01-07 末喜 来 逆に抜ける錨
US4732105A (en) * 1986-11-28 1988-03-22 Roger Fisher Boat anchor
JPH0193191U (ko) * 1987-10-09 1989-06-19
KR890006800Y1 (en) * 1986-05-03 1989-10-05 Hwang Il Sob Standing in line machine of butto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494U (ko) * 1975-10-04 1977-04-08
JPS5548579U (ko) * 1978-09-28 1980-03-29
JPS611492U (ja) * 1984-06-11 1986-01-07 末喜 来 逆に抜ける錨
KR890006800Y1 (en) * 1986-05-03 1989-10-05 Hwang Il Sob Standing in line machine of buttom
US4732105A (en) * 1986-11-28 1988-03-22 Roger Fisher Boat anchor
JPH0193191U (ko) * 1987-10-09 1989-06-1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34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장치
KR102077405B1 (ko) 2018-12-13 2020-02-13 해양환경공단 야간 표시등을 갖는 앵커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650B2 (en) Multi-purpose rotational barrier unit
ES2517867T3 (es) Sistema de amarre
KR20100071117A (ko) 수역 유출입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로보틱 폰툰 및 자동 쓰레기 스크리닝 시스템
CN106677120A (zh) 一种消中长周期波浪的浮式防波堤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JP2015031043A (ja) 可変勾配浮上式斜路桟橋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CN202551906U (zh) 一种可潜式抗风浪钢筋混凝土养殖网箱结构
US10602725B1 (en) Modular habitat apparatuses for aquatic life
KR20040032526A (ko) 부표 지지앵커
US55075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artificial reef
CN215715490U (zh) 海洋牧场人工鱼礁及风机基础的分布式重力锚结构
CN212533918U (zh) 一种柔性网消浪装置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WO1998027810A1 (en) Installation for growing fish in the open sea
JPH0432058Y2 (ko)
WO2007065203A1 (en) Floating containment boom
JPH06212606A (ja) 浮桟橋および水上浮構造物の係留柱
JPH0453256Y2 (ko)
KR10084239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상 부력 결합체
CN220243475U (zh) 一种水域用钢链浮球
RU2014380C1 (ru) Экран для защиты водной среды от загрязнения грунтом при подводных земляных работах
CN215500922U (zh) 一种随水位升降的近海围网养殖装置
KR20100117781A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RU67111U1 (ru)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ветрового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