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029A - 효율이 높은 양수기 - Google Patents

효율이 높은 양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029A
KR20040032029A KR1020020061942A KR20020061942A KR20040032029A KR 20040032029 A KR20040032029 A KR 20040032029A KR 1020020061942 A KR1020020061942 A KR 1020020061942A KR 20020061942 A KR20020061942 A KR 20020061942A KR 20040032029 A KR20040032029 A KR 2004003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haft
female screw
pip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2006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029A/ko
Publication of KR2004003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나 중력(重力)으로 물을 양수하는 양수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효율이 높은 양수기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팔(3)을 장착하고, 이 팔(3) 끝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하며, 실런더(7)안에 U패킹(9)이 끼워진 피스톤(10)의 중심공(53)에 밀대(11)를 끼우고 너트(12)로 고정시킨 피스톤(10)을 밀어 넣은 다음 이 밀대(11)를 U패킹(18)이 끼워진 뚜껑(8)의 구멍(46)에 관통시키고 나서 실린더(7)에 뚜껑(8)을 결합하며, 뚜껑(8)상단 암나사에 배수관(17)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내벽의 환형턱(16)위에 패킹(15)을 놓고 그위에 볼(14)을 내장시키며, 뚜껑(8)의 원주 밑 암나사에 흡수관(19)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내벽의 환형턱(20)위에 패킹(21)을 놓고 그 위에 볼(22)을 내장시키고, 실린더(7)의 상단 원주 암나사에 배수관(17)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23)을 결합하며, 실린더(7)의 하단 원주의 암나사에 흡수관(19)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24)을 결합하고, 이들 배수관(17)(23)상단과 흡수관(19)(24)하단에 각각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는 펌프(A)의 밀대(11)와 밀대(4)를 축(13)으로 축설하고, 펌프(A)와 동일하게 구성된 펌프(B)의 밀대(11')와 밀대(5)를 축(13')으로 축설하는 피스톤 식 양수기』 로서 펌프(A)(B)나 회전펌프(C)(D)에 의하여 고속회전으로 인한 위험과 많은 에너지 소모 없이 물을 양수하거나, 중력(重力)으로 물을 양수하며 유가 에너지의 100%를 절감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효율이 높은 양수기{omitted}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나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중력(重力)으로 물을 양수하는 양수기를 개발한 목적으로 발명한 효율이 높은 양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나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중력(重力)으로 물을 퍼 올리는 양수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효율이 높은 양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수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뿌릴 때의 원심력에 의하여 물이 양수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고속으로 인하여 위험이 있고, 그 구성부품이 쉽게 손상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역류가 방지되는 흡입관으로 흡입한 물을 역류 방지용 배수관으로 배출시키거나 좌우로 반복 회전하는 날개에 의하여 역류가 방지되는 흡입관으로 흡입한 물을 역류 방지용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되 전력(電力)이나 유류(油類) 등의 유가(有價)에너지를 조금 사용하는 양수기나 또는 중력에 의하여 흐르는 물을 시이소 식물통에 유입시켜서 시이소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힘에 의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이나 날개의 반복 회전에 의하여 역류가 방지되는 흡입관으로 흡입한 물을 역류 방지용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중력양수기를 개발하기 위한 효율이 높은 양수기에 관한 것이데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피스톤 식 양수기의 사시도
[도 1b] 는 본 발명의 날개 식 양수기의 사시도
[도 1c] 는 본 발명의 회전펌프의 측면 사시도
[도 1d] 는 본 발명의 시이소 식 양수기의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피스톤 식 양수기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 날개 식 양수기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c] 는 본 발명 시이소 식 양수기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1a] 및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팔(3)을 장착하고, 이 팔(3) 끝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한다.
오링이나 U패킹(9)이 원통 요홈에 끼워진 피스톤(10)의 중심공(53)에 밀대(11)의 수나사를 끼우고 너트(12)로 고정시킨 피스톤(10)을 실린더(7)안에 밀어 넣고, 밀대(11)가 U패킹(18)이 끼워진 뚜껑(8)의 구멍(46)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실린더(7)와 뚜껑(8)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결합한다.
뚜껑(8)의 상단 원주 암나사에 배수관(17)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내벽의 환형턱(16)위에 패킹(15)을 놓고 그 위에 역류 방지용 볼(14)을 내장시키며, 배수관(17)상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배수관(17)의 역류방지 장치는 볼(14)을 포함한 밸브나 깔대기 등 기존의 모든 역류방지 방법 중에서 택일하면 되며, 본 발명의 모든 역류방지 장치는 전부 이와 같이 만든다.
뚜껑(8)의 원주 밑 암나사에 흡수관(19)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내벽의 환형턱(20)위에 패킹(21)을 놓고 그 위에 역류 방지용 볼(22)을 내장시키며, 흡수관(19)하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실린더(7)의 좌측 상단 원주 암나사에 배수관(17)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23)을 결합하고, 배수관(23)상단에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린더(7)의 좌측 하단 원주의 암나사에 흡수관(19)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24)을 결합하고 이 흡수관(24)하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펌프(A)의 밀대(11)와 밀대(4)를 축(13)으로 축설하여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한 팔(3)이 회전할 때 피스톤(10)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펌프(A)와 동일하게 구성된 펌프(B)의 밀대(11')와 밀대(5)를 축(13')으로 축설하여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한 팔(3)이 회전할 때 피스톤(10')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도 1b] [도 1c] 및 [도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팔(3)을 장착하고 이 팔(3) 끝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한다.
칸막이(26)가 있는 원형통(25)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앞뒤의 양쪽 마개(47)(56)의 중심공에 축설된 회전축(27)과 중심중 사이에 물이 새지 않도록 오링이나 U패킹을 끼우고, 날개(28)(29)를 회전축(27)에 장착하며, 날개(28)(29)의 둘레에 각각 오링(30)(31)을 끼워서 날개(28)(29)와 원형통(25)및 마개(47)(56)의 접촉면에서 물이 새지 않게 구성한다.
회전축(27)끝에 팔(45)을 장착하여 이 팔(45)이 좌우로 왕복 회전할 때 날개(28)(29)도 팔(45)과 같이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상단 우측의 마개(47)쪽 암나사에 배수관(17)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내벽의 환형턱(16)위에 패킹(15)을 놓고 그 위에 역류 방지용 볼(14)을 내장시키며, 배수관(17)상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하단 우측의 마개(47) 쪽 암나사에 흡수관(19)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내벽의 환형턱(20)위에 패킹(21)을 놓고 그 위에 역류 방지용 볼(22)을 내장시키며, 흡수관(19)하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상단 좌측의 마개(47) 쪽 암나사에 배수관(17)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23)을 결합하며, 이 배수관(23)상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하단 좌측의 마개(47) 쪽 암나사에 흡수관(19)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24)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하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원형통(25)의 칸막이(26)상단 우측의 마개(56) 쪽 암나사에 흡수관(117)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17)내벽의 환형턱(116)밑에 패킹(115)을 놓고 그 밑에 역류 방지용 볼(114)이 밀착되며 유연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장착하며, 흡수관(117)상단에는 호스나 관을 연결하여 그 끝이 양수할 물에 잠기게 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하단 우측의 마개(56) 쪽 암나사에 배수관(119)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19)내벽의 환형턱(120)밑에 패킹(121)을 놓고, 그 밑에 역류 방지용 볼(122)이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을 장착하며, 배수관(119)하단에 호스나 관을 연결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상단 좌측의 마개(56) 쪽 암나사에 흡수관(117)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123)을 결합하며, 이 흡수관(123)상단에 호스나 관을 연결하여 그 끝이 양수할 물에 잠기게 한다.
원형통(25)의 칸막이(26)하단 좌측의 마개(56) 쪽 암나사에 배수관(119)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124')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24')하단에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펌프(C)의 팔(45)과 밀대(4)를 축(44)으로 축설하여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한 팔(3)이 회전할 때 날개(28)(29)가 상하로 왕복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회전펌프(C)와 동일하게 구성된 회전펌프(D)의 팔(45')과 밀대(5)를 축(44')으로 축설하여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한 팔(3)이 회전할 때날개(28')(29')가 상하로 왕복 회전운동을 하게 구성한다.
[도 1c] 및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큰 물통(48)의 중앙 상단 앞전에 천공된 구멍(49)과 뒷전에 천공된 구멍(50)을 관통하는 회전축(35)이 큰 물통(48)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이소 형 물통(32)(33)의 칸막이(51)를 앞뒤로 관통하는 구멍(52)에 회전축(35)을 축설한 시이소 형 물통(32)(33)이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왕복 회전하게 구성한다.
칸막이(51) 상단 중앙에 장착된 밀대(34)의 중간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하고, [도 2a] 의 펌프(A)와 동일한 구성에서 실린더(7)의 바닥과 뚜껑(8)의 바닥에 각각 자석(57)(58)을 장착하며, 피스톤(10)을 자석으로 만들되 이 피스톤(10)의 자력과 자석(57) 및 자석(58)의 자력에 의하여 피스톤(10)과 자석(57) 및 자석(58) 사이에서 강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펌프(A')를 제작한다.
펌프(A')의 밀대(11)와 밀대(34) 중간의 밀대(4)를 축(13)으로 축설하며, 펌프(A')와 동일하게 구성된 펌프(B')의 밀대(11')와 밀대(34) 중간의 밀대(5)를 축(13')으로 축설한다
그리고 밀대(34)상단의 구멍(54)과 밸브(41)의 자루(42)를 끈(36)으로 연결하되 이 밸브(41)는 물통(38)의 좌측바닥에 형성된 환형턱(39)위에 패킹(40)을 놓고 그 위에 밸브(41)가 밀착되면서 배수공(55)을 관통하는 자루(42)끝에 끈(36)이 연결되는 물통(38)의 좌측 개폐 부(E)를 구성한다.
물통(38) 좌측 개폐 부(E)와 동일하게 구성된 물통(38) 우측 개폐부(F)의 자루(42')와 구멍(54)을 끈(37)으로 연결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및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관(19)(19')(24)(24')에 연결된 호스나 관의 끝이 양수할 물에 잠기도록 하고, 감속모터(1)를 작동시키면 회전축(2)에 장착된 팔(3)이 회전하면서 팔(3)끝에 축(6)으로 축설한 밀대(4)(5)가 밀리며 피스톤(10)(10')이 좌측으로 밀릴 때는 흡수관(19)(19')에서 물을 흡입하고, 피스톤(10)(10')이 우측으로 밀릴 때는 흡수관(24)(24')에서는 물을 흡입하며, 배수관(17)(17')에서는 흡수관(19)(19')에서 이미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시키며 양수하게 된다.
피스톤(10)(10')이 다시 좌측으로 밀릴 때는 흡수관(19)(19')에서 는 물을 흡입하고, 배수관(23)(23')에서는 흡수관(24)(24')에서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하면서부터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된 팔(3)이 1회전할 때마다 물을 계속하여 흡입하며 배출하기 때문에 양수되는 물의 총량은 펌프(A)(B)의 총 용적과 같고, 양수되는 압력은 감속모터(1)의 힘에 비례하며, 감속모터(1)가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양수되기 때문에 위험요소가 제거되는 작용효과와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도 1b] [도 1c] 및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관(19)(19')(24)(24')(117)(117')(123)(123')에 연결된 호스나 관의 끝이 양수할 물에 잠기도록 하고, 감속모터(1)를 작동시키면 회전축(2)에 장착된 팔(3)이 회전하면서 팔(3)끝에 축(6)으로 축설한 밀대(4)(5)가 ←표 방향으로 밀릴 때는 날개(28)(29)(28')(29')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흡수관(19)(19')(123)(123')에서 물을 흡입하고, 밀대(4)(5)가 ←표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때는날개(28)(29)(28')(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수관(24)(24')(117)(117')에서 물을 흡입하며, 동시에 배수관(119)(119')(124)(124')에서는 흡수관(19)(19')(123)(123')에서 이미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시키면서 양수하게 된다.
밀대(4)(5)가 다시 ←표 방향으로 밀릴 때는 날개(28)(29)(28')(29')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9)(19')(123)(123')에서는 물을 흡입하고, 배수관(17)(17')(124)(124')에서는 흡수관(24)(24')(123)(123')에서 이미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하게 되면서부터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된 팔(3)이 1회전할 때마다 물을 계속하여 흡입하며 배출하기 때문에 감속모터(1)의 저속회전으로 인하여 위험요소가 제거되며 많은 물을 고압으로 양수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관(19)(19')(24)(24')에 연결된 호스나 관의 끝이 양수할 물에 잠기도록 하고, 밸브(41)의 자루(42)를 끈(36) 쪽으로 밀어주면 밸브(41)가 열리면서 물통(38)의 물이 시이소 형 물통(32)에 고이며 그 무게에 의하여 이 시이소형 물통(32)(33)과 밀대(34)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대(11)(11')와 피스톤(10)(10')을 좌측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시이소 형 물통(32)에 물이 조금 고였을 때는 피스톤(10)과 자석(58)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 및 피스톤(10')과 자석(57')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두 피스톤(10)(10')은 좌측으로 밀리지 못하고 있다가 시이소 형 물통(32)에 많은 물이 고이면서 두 피스톤(10)(10')을 좌측으로 밀어주는 힘이 커졌을 때 피스톤(10)은 자석(58)에서 분리되고, 피스톤(10')은자석(57')에서 분리되면서 두 피스톤(10)(10')이 좌측으로 밀리다가 피스톤(10)은 자석(57)에 근접하고, 피스톤(10')은 자석(58')에 근접하였을 때 두 피스톤 (10)(10')의 자력과 두 자석(57)(58')의 자력에 의한 인력으로 두 피스톤(10)(19')이 좌측으로 더 강력하게 밀리면서 흡수관(19)(19')에서 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 때 시이소 형 물통(32)에 고여있던 물이 쏟아지며, 동시에 끈(37)이 자루(42')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밸브(41')가 열리며 물이 시이소 형 물통(33)에 고이므로 시이소 형 물통(32)(33)과 밀대(34)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대(11)(11')와 피스톤(10)(10')이 우측으로 밀어주지만 시이소 형 물통(33)에 물이 조금 고였을 때는 피스톤(10)과 자석(57)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 및 피스톤(10')과 자석(58')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두 피스톤(10)(10')은 우측으로 밀리지 못하고 있다가 시이소 형 물통(33)에 많은 물이 고이면서 두 피스톤(10)(10')을 우측으로 밀어주는 힘이 커졌을 때 피스톤(10)은 자석(57)에서 분리되고, 피스톤(10')은 자석(58')에서 분리되면서 두 피스톤(10)(10')이 우측으로 밀리다가 피스톤(10)은 자석(58)에 근접하고, 피스톤(10')은 자석(57')에 근접하였을 때 두 피스톤(10)(10')의 자력과 두 자석(57')(58)의 자력에 의한 인력으로 두 피스톤(10)(19')이 우측으로 더 강력하게 밀리면서 흡수관(24)(24')에서는 물을 흡입하고, 배수관(17)(17')에서는 이미 흡수관(19)(19')에서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하면서 양수하게 된다.
이 때 시이소 형 물통(33)에 고여있던 물이 쏟아지며, 동시에 끈(36)이 자루(42)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밸브(41)가 열리며 물이 시이소 형 물통(32)에 고이므로 시이소 형 물통(32)(33)과 밀대(34)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대(11)(11')와 피스톤(10)(10')을 좌측으로 밀어주지만 시이소 형 물통(32)에 물이 조금 고였을 때는 피스톤(10)과 자석(58)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 및 피스톤(10')과 자석(57')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두 피스톤(10)(10')은 좌측으로 밀리지 못하고 있다가 시이소 형 물통(32)에 많은 물이 고이면서 두 피스톤(10)(10')을 좌측으로 밀어주는 힘이 커졌을 때 피스톤(10)은 자석(58)에서 분리되고, 피스톤(10')은 자석(57')에서 분리되면서 두 피스톤(10)(10')이 좌측으로 밀리다가 피스톤(10)은 자석(57)에 근접하고, 피스톤(10')은 자석(58')에 근접하였을때 두 피스톤(10)(10')의 자력과 두 자석(57)(58')의 자력에 의한 인력으로 두 피스톤(10)(19')이 좌측으로 더 강력하게 밀리면서 흡수관(19)(19')에서는 물을 흡입하고, 배수관(23)(23')에서는 이미 흡수관(24)(24')에서 흡입하였던 물을 배출하면서 양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전력이나 유류 없이 중력과 자력으로 물을 양수하게 되며, 양수된 물을 물통(38)에 유입시키면 위와 같은 작용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펌프(A)(B)나 회전펌프(C)(D)에 의하여 고속회전으로 인한 위험과 많은 에너지 소모 없이 물을 양수하며, 중력(重力)으로 물을 양수하며 유가(有價)에너지의 100%를 절감하면서 많은 물을 고압으로 양수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팔(3)을 장착하고, 이 팔(3) 끝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하며, 실린더(7)안에 U패킹(9)이 끼워진 피스톤(10)의 중심공(53)에 밀대(11)를 끼우고 너트(12)로 고정시킨 피스톤(10)을 밀어 넣은 다음 이 밀대(11)를 U패킹(18)이 끼워진 뚜껑(8)의 구멍(46)에 관통시키고 나서 실린더(7)에 뚜껑(8)을 결합하며, 뚜껑(8)상단 암나사에 배수관(17)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내벽의 환형턱(16)위에 패킹(15)을 놓고 그 위에 볼(14)을 내장시키며, 뚜껑(8)의 원주 밑 암나사에 흡수관(19)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내벽의 환형턱(20)위에 패킹(21)을 놓고 그위에 볼(22)을 내장시키고, 실린더(7)의 상단 원주 암나사에 배수관(17)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23)을 결합하며, 실린더(7)의 하단 원주의 암나사에 흡수관(19)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24)을 결합하고, 이들 배수관(17)(23)상단과 흡수관(19)(24)하단에 각각 호스나 관을 연결할 수 있는 펌프(A)의 밀대(11)와 밀대(4)를 축(13)으로 축설하고, 펌프(A)와 동일하게 구성된 펌프(B)의 밀대(11')와 밀대(5)를 축(13')으로 축설하는 피스톤 식 양수기와 감속모터(1)의 회전축(2)에 장착한 팔(3)끝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하고, 칸막이(26)가 있는 원형통(25)의 마개(47)(56) 중심공에 축설한 오링이나 U패킹을 끼워진 회전축(27)에 날개(28)(29)를 장착하며, 날개(28)(29)둘레에 각각 오링(30)(31)을 끼우고, 회전축(27) 끝에 장착한 팔(45)에 밀대(4)를 축(44)으로 축설하는 회전펌프(C)의 원형통(25) 칸막이(26)상단 우측 마개(47) 쪽 암나사에 배수관(17)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내벽의 환형턱(16)위에 패킹(15)을 놓고 그 위에 볼(14)을 내장시키며, 원형통(25) 칸막이(26)하단 우측 마개(47) 쪽 암나사에 흡수관(19)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9)내벽의 환형턱(20)위에 패킹(21)을 놓고 그 위에 볼(22)을 내장하고, 원형통(25) 칸막이(26)상단 좌측 마개(47) 쪽 암나사에 배수관(17)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23)을 결합하며, 원형통(25) 칸막이(26)하단 좌측 마개(47) 쪽 암나사에 흡수관(19)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24)을 결합하고, 원형통(25) 칸막이(26)상단 우측마개(56) 쪽 암나사에 흡수관(117)을 결합하되 이 흡수관(117)내벽의 환형턱(116)밑에 패킹(115)을 놓고 그 밑에 역류를 방지하는 볼(114) 밑에 스프링을 장착하며, 원형통(25) 칸막이(26)하단 우측 마개(56) 쪽 암나사에 배수관(119)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19)내벽의 환형턱(120) 밑에 패킹(121)을 높고, 그 밑에 볼(122)을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장착하며, 원형통(25) 칸막이(26) 상단 좌측마개(56) 쪽 암나사에 흡수관(117)과 동일하게 구성된 흡수관(123)을 결합하고, 원형통(25) 칸막이(26)하단 좌측마개(56) 쪽 암나사에 배수관(119)과 동일하게 구성된 배수관(124')을 결합하되 이 배수관(17)(17')(23)(23')(119)(119')(124)(124')과 흡수관(19)(19')(24)(24')(117)(117')(123)(123')의 상·하단에 각각에 호스나 관을 연결하는 회전펌프(C)의 팔(45)과 밀대(4)를 축(44)으로 축설하며, 회전펌프(C)와 동일한 회전펌프(D)의 팔(45')과 밀대(5)를 축(44')으로 축설하는 날개 식 양수기 및 큰 물통(48)중앙 상단의 두 구멍(49)(50)을 관통하는 회전축(35)으로 큰 물통(48)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이소 형 물통(32)(33)을 축설하고 칸막이(51)상단 중앙에 장착한 밀대(34)의 중간에 밀대(4)(5)를 축(6)으로 축설하며, 펌프(A)와 동일한 구성에서 실린더(7)와 뚜껑(8)바닥에 각각 자석(57)(58)을 장착하며, 피스톤(10)을 자석으로 만들되 피스톤(10)의 자력과 자석(57)(58)의 자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펌프(A')를 제작하고, 이 펌프(A')의 밀대(11)와 밀대(34)중간의 밀대(4)를 축(13)으로 축설하며, 펌프(A')와 동일하게 구성된 펌프(B')의 밀대(11')와 밀대(34) 중간의 밀대(5)를 축(13')으로 축설하는 시이소 식 양수기를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높은 양수기
KR1020020061942A 2002-10-08 2002-10-08 효율이 높은 양수기 KR20040032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42A KR20040032029A (ko) 2002-10-08 2002-10-08 효율이 높은 양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42A KR20040032029A (ko) 2002-10-08 2002-10-08 효율이 높은 양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29A true KR20040032029A (ko) 2004-04-14

Family

ID=3733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942A KR20040032029A (ko) 2002-10-08 2002-10-08 효율이 높은 양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0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79Y1 (ko) * 2010-06-07 2011-02-16 유은상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427B2 (en) Vacuum-assisted pump
KR100859368B1 (ko) 풍력 또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기포발생기
CN107902204B (zh) 一种自清洗易排水的桶
JPS5692381A (en) Air compressor
KR100808640B1 (ko) 풍력 또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기포발생기
KR20040032029A (ko) 효율이 높은 양수기
CN210153000U (zh) 一种分离式连续出水装置
WO2002081004A1 (en) Fluid displacement pumps
KR840001305Y1 (ko) 간이 양수 펌프
JP2003155969A (ja) 揚液装置及び水力発電装置
CN201053380Y (zh) 全密封耐腐蚀人力泵
CN2854160Y (zh) 手晃式抽油抽水器
CN218244891U (zh) 一种节能型虹吸式灌溉应用装置
CN209809121U (zh) 一种胃肠外科用胃肠液减压装置
CN211904757U (zh) 一种油田采油用防喷型取样装置
CN109058122A (zh) 一种小型排灌泵
CN210660463U (zh) 一种具有定量输出功能的水泵
RU2685353C1 (ru)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00168862A (ja) ミニポンプ
CN202023711U (zh) 直联浮动阀手摇活塞式抽气引水器
US6948920B2 (en) Toilet bowl and tank drainage device
KR200204706Y1 (ko) 유류 배출용 펌프
KR200159741Y1 (ko) 드럼용 수동식 액체펌프
CN207437287U (zh) 一种单缸潜水泵
CN207879634U (zh) 污泥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