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108A - 척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108A
KR20040031108A KR10-2004-7004381A KR20047004381A KR20040031108A KR 20040031108 A KR20040031108 A KR 20040031108A KR 20047004381 A KR20047004381 A KR 20047004381A KR 20040031108 A KR20040031108 A KR 2004003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main surface
fixation device
spinal fixation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다케이방
르쿠에디레지
Original Assignee
스파인 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파인 넥스트 filed Critical 스파인 넥스트
Publication of KR2004003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7Devices acting on, or attached to, a transverse process or rib;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벽과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가 돌출해 나오는 두 개의 측벽(側壁)이 제공되는 척추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대칭인 대향 단부(18, 20)가 제공되는 신장형 가로부(16)와, 클램프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부(16)는 상기 척추의 상기 후벽(51)에 대항하도록 놓이기에 적합하며, 상기 각각의 단부(18, 20)는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52, 5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는 상기 두 개의 단부(18, 20)에 각각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52, 54)는 상기 척추의 상기 후벽에 대항하여 고정 위치에 상기 가로부(16)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에 계지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척추 고정 장치{Vertebral Fixing Device}
척주는 요추에서부터 경추까지 수직 축을 따라 정상적으로 정렬된, 중첩된 척추로 구성되며, 각 척추에는 가시돌기(spinous process)가 돌출하는 후벽(後壁)과, 갈비뼈 및/또는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가 돌출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두 개의 측면이 제공된다.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만곡되는 경우, 척추는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척추축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어느 한 쪽에 위치하고 있는 척추의 측면들은 서로를 향해서 이동하여 오목면을 형성하고, 반대로 다른 쪽의 척추의 측면들은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볼록면을 형성하게 된다.
척주를 곧게 하기 위해서는, 오목한 쪽에 있는 척추의 측면이, 다른 쪽의 척추 측면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에 대해 떨어져있도록 더욱 이동할 필요가 있다. 계속해서 척추를 서로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장치는 척추 안쪽으로 삽입되는 나사 또는 척주관의 안쪽 벽을 따라 삽입되는 후크(hook), 그리고 나사 또는 후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로드(rod)를 포함하고 있다.
후크는 일반적으로 줄기(pedicle)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각각의 척추안으로 쌍으로 삽입되고, 머리 부분은 척추의 후벽(後壁)으로부터 돌출하는데, 가시 돌기의 각 측방에 놓인다. 예를 들면, 머리부는, 머리부에 체결되고 로드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너트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로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소켓을 형성한다. 가로 돌기의 각 측방에 위치하는 후크의 머리부로 구성된 열은, 서로 평행하면서 척주 축에 평행한 두 개의 로드로 상호 연결되고,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크는 시술자가 여하한 일이 있어도 척주관의 중심에 있는 척수에 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다시 말해 환자의 몸이 불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힘들다.
나사의 사용은 그러한 외과 수술의 위험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나사에도 소켓이 형성된 머리부가 제공되고, 가로 돌기의 각 측방에 있는 줄기에서 척추의 후벽으로 쌍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나사는 척추를 서로에 대해 보지(保持)하기 위한 척추의 고정 지점을 구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필수적으로 어떤 상황에서는 크기가 작고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척추의 줄기에 삽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척추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와, 그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척주를 곧게 펴게 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타적으로 해석되지는 않지만, 특히 본 발명이 의도하는 적용 범위는, 척주측만증(scoliosis)의 치료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척주의 비정상적인 만곡을 교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비제한적으로 해석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의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개의 척추 고정 장치가 끼워진 두 개의 척추를 포함하는 척주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발명에 의한 척추 고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두 개의 척추 고정 장치가 끼워진 두 개의 척추를 포함하는 척주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나사를 만곡된 척추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후크의 사용이 너무 위험할 때에 고정 지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척추 고정 장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가 제공되는 신장형 가로부와, 클램프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와, 상기 연결 요소가 상기 척추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기 가로부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는 앵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는 상기 신장형 가로부를 직교하여 교차하는 대칭면에 대해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각각의 단부는 제1 주면과, 제2 주면과, 단부 엣지면이 제공된다. 상기 가로부는 상기 척추 칼럼(척주)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척추의 후벽(後壁)에 대항하여 배치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단부의 제1 주면의 각각은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제1 주면을 향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두 개의 단부 각각에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는 상기 척추의 상기 후벽에 대항하여 고정 위치에 상기 가로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에 계지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고정 장치의 특징은, 각 척추에 고정되는 가로부에 의해 척주의 각 척추상에 고정 지점이 결정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가로부는 나사에 의해 척추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 각각에 의하여 그 단부가 척추의 각 측방에 배치되는 가로 돌기 및/또는 갈비뼈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앵커 수단이, 변위되어지는 일련의 척추에 고정되는 가로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고, 두 개의 로드에 의해 서로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데, 가시 돌기의 각 측방에 놓여, 고정 시스템이 그들을 로드부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각의 조정 가능 연결 요소는, 연장부에 상기 가로부의 상기 단부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연결 수단과 조정 수단이 제공되는 자유 단부가 제공되는 U자형 부품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척추의 두 개의 측면 각각에 대해서, U자형 부품이 척추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가로 돌기 및/또는 갈비뼈상에 계지되어 U자형 부품의 바닥부가 가로 돌기 또는 갈비뼈의 전벽(前壁)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연장부는 가시 돌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두 개의 U자형 부품은,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연결 수단과 조정 수단에 의해 신장형 가로부의 두 개의 단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U자형 부품은 상기 U자형 부품에 계지되는 상기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의 외곽에 대항하여 누르기에 적합한 변형 가능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U자형 부품에는 갈비뼈 또는 가로 돌기에 전체적으로 접촉하는 지점이 제공되어, 보다 더 양호한 체결을 보장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가로부의 상기 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상기 단부의 상기 제1 주면 및 제2 주면으로 각각 개구되고 서로에 대해서 상기 가로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가 제공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조정 가능 연결 요소와 협동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정 가능 연결 요소는 단부를 관통하는 리세스에 의해 가로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리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세스는 다른 리세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단부의 단부 엣지면으로 개구된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보다 더 간단히 그리고 보다 더 신속하게 가로부를 척추상에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자형 부품의 상기 연장부의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제1 주면을 향하도록 상기 리세스에 자유롭게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자유 단부에 고정된 상기 연결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주면에 대항하여 지지하여 상기 U자형 부품이 상기 제1 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병진 운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주면을 향해 병진 운동이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가로부가 척추의 후벽과 척추의 각 측방에 배치된 두 개의 U자형 부품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가로 돌기 또는 갈비뼈 뒤에 계지되어 그것들에 대항하여 지지될 때와,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가 대응하는 리세스로 삽입될 때에, 상기 조정 수단을 사용하면 상기 가로부를 척추에 대항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수단은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견부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는 조정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견부는 제2 주면에 대항하여 지지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것을방지하고, U자형 부품의 바닥부는 갈비뼈 또는 가로 돌기의 전벽에 대항하여 지지되게 되는 반면에 다른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는 조정 수단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조정 수단을 조절하면 그것이 장착되어 있는 연장부를 제1 주면을 향하여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U자형 부품이 견부의 지지 지점에 대해 선회하도록 하고, 결국 U자형 부품의 바닥부가 제1 주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갈비뼈 및/또는 돌기에 대항하여 클램핑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U자형 부품과 갈비뼈 또는 돌기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여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연장부는 서로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의 상기 자유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기에 적합한 나사산 형성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연결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너트는 대응하는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대해서 회전하기에 적합함으로써 U자형 부품의 바닥부가 클램핑될 때에 변위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연장부의 자유 단부가 관통하는 리세스 주위에서 제2 주면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너트가 U자형 부품이 제2 주면과 대향하는 제1 주면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앵커 수단은 상기 단부의 상기 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앵커 수단은 척추의 후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부터 고정 시스템이 점유하는 빈공간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앵커 수단은 상기 조정 가능 연결요소를 상기 제2 주면을 바라보도록 연장시킨다. 그러므로 앵커 수단은 척추의 후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지만, 조정 가능 연결 요소에 고정됨으로써, 가로부 자체를 장착할 때에 시술 동작수를 저감시키고 주어진 재료의 양에 대해서 더 큰 강도의 척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척주를 곧게 펴는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복수 개의 연속적인 척추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척추 고정 장치와, 고정 시스템과, 상기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두 개의 길이 방향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 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척추의 가시 돌기의 열의 각 측방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두 개의 열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시스템은 앵커 수단 각각에 장착되며, 로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상기 장치는 앵커 수단과 로드를 서로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두 개의 길이 방향 로드는 가시 돌기의 상기 열의 각 측방에 배치된 앵커 수단 각각의 열에서 상기 장치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주어진 열의 앵커 지점을 적어도 서로에 대해서 고정 위치에 유지한다.
척추 고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고정 장치(10)로서, 고정된 위치에 로드(14; ROD)가 유지될 수 있게 해 주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시스템(12)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는 로드의 오직 일부만이 도시 되어 있다.
척추 고정 장치(10)는, 중앙면 Pm을 규정하고,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 (18, 20)가 제공되며 축 A상에 있는 신장형 가로부(16)를 포함한다. 이 두 개의 단부(18,20)는 가로부(16)를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대칭면 P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주면(22;主面)과 제2 주면(24;主面)과 단부 엣지(25)가 제공된다.
두 개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26, 28)는 두 개의 주면(22)을 향하여 각각의 단부(18,20)에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단부는 제2 주면(24)으로부터 돌출하는 구형(球形) 앵커 수단(30, 32)을 포함한다.
연결을 위해, 단부(18,20)에는 구멍으로 구성된 제1 리세스(34; RECESS)와, 제1 리세스(34)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바라보도록 엣지면(25)에 개구(開口)되어 있는 제2 리세스(36)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리세스는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가로부(16)를 관통하여 제1 주면과 제2 주면(22, 24)에서 개구된다. 또한,제1 구멍(34)과 제 2 구멍(36)은 가로부(16)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선을 형성한다.
연결 요소(26, 28) 각각은, 상기 제1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너트(42, 44)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두 개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 (38, 40)를 가지는 U자형 부품이다. 연장부의 자유 단부(38, 40)는, 연결 요소 (26, 28)를 각각 가로부(16)의 제1 주면(22)에 대해 정렬시켜 리세스(34, 3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일단 자유 단부(38, 40)가 리세스(34, 36)에 삽입되어 제2 주면(24)으로부터 돌출하면, 아래에 더욱 자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연결 부품을 유지하고, 가로부(16)가 척추의 후벽(後壁)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42, 44)가 자유 단부상에 나사결합된다.
제2 리세스(36)의 형상은, 연결 요소(26, 28)를 가로부에 장착하기 쉽게 해주고, 특히 신속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엣지면(25)을 향해 개구되어, 장방형 구멍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로부(16)가 장착 위치에 있을때, 너트(44)는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40)에 미리 장착되고, 그 U자형 부품은 P 면에 평행한 면에 있으며, 자유 단부(40)는 제2 리세스(36)를 향하게 되어 연장부는 상대적으로 중앙면 Pm에 대해 경사진다. 그 후, 자유 단부(40)가 제공되는 U자형 부품의 연장부는 중앙면 Pm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리세스(36)에 계지(係止)되어, 너트(44)는 제2 주면(24)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이것은 U자형 부품이 너트(44)가 제2 주면에 놓인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초기에 제1 주면(22)을 향하도록 놓인 자유 타단부(38)는 리세스에 계지되고, 이어서 너트(42)로 제 위치에 고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U자형 부품이 선회할 때, 제1 주면(22)을 향하고 있는 갈비뼈 또는 가로 돌기를 고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적합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U자형 부품이 그것이 둘러싸고 있는 물체의 외곽면을 꽉 누르도록 변형 가능하여, 그에 의해서 더 잘 보유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U자형 부품은 원재료 혹은 혼합 물질 상태에서 본질적으로 폴리에틸렌계 고분자 또는 생물학적 적합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 진다.
변형 가능한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는 그 물질에 적합한 연결 수단과 조정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견부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경질 재료에 주름이 잡힌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재료가 연장부의 자유 단부상에 오버몰드(overmold)되기에 적합하다.
결과적으로, 연결 수단과 조정 수단은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비가역적으로 체결되어, 연결 수단과 조정 수단에 의해 U자형 부품에 인가되는 증대된 견인력이 그들을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구형 머리부로 형성되는 앵커 수단(30, 32)은 두 개의 리세스(34, 36) 사이에서 제 2주면(24)상에 배치된다. 앵커 수단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가로부(16)에 연결되어, 상기 수단(30, 32)에 인가되는 기계적 힘이 분리를 유발함이 없이 가로부(1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기계적 작용은 고정 시스템(12)과 로드(14)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는 척주의 일부를 구성하는 두 개의 연속적인 척추(V1, V2)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은 후벽(51)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시 돌기(50)와 측면(55)으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가로 돌기(52, 54)를 포함하고 있다. 각 척추(V1, V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고정 장치(10)에 끼워져 있다. 또한, 두 개의 척추 고정 장치(10)는 로드(1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고정 시스템(12)으로 서로 연결된다.
간결성을 위해서, 단지 두 개의 척추(V1, V2)가 도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척추 고정 장치는 여러 개의 연속하는 척추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마찬가지 이유로, 단지 하나의 로드(14)와 두 개의 고정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의 형상에서는 고정 시스템이 가시 돌기(50)에 대해 대칭으로 구형 머리부(32)에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로드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16)는 척추의 후벽(51)에 대해서 척주의 AR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인다. 제2 주면(24)에 대해 압착하는 너트(42, 44)에 의해 리세스(34, 36)에 유지되는 자유 단부(38, 40)를 가지는 U자형 부품 (28, 26)에 의해 가로부가 이 위치에 고정된다. 너트(42, 44)를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조임으로써 U자형 부품의 바닥부가 가로 돌기의 전벽(前壁)에 대해 당겨지고, 결과적으로 가로부의 단부(18, 20)가 가로 돌기(54, 52)를 향해 당겨진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결국, 신장형 가로부(16)는 척추의 각 측방에 고정되고, 그 후벽에 걸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척추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완전히 방지된다. 너트는 양호한 보지(保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골벽(骨壁)을약간 누르도록 충분히 조여져야 한다.
일단 척추 고정 장치가 척추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나서, 가능하다면 척주를 곧게 한 후, 로드가 끼워진 고정 시스템이 자리잡아 척추의 양쪽의 구형 머리부상에 클램핑된다. 따라서, 고정 시스템(12)은 구형 머리부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고, 로드는 고정 시스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구형 머리부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척추는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앵커 수단에 연결되는 클램프 형상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U자형 부품(60, 62) 각각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너트 (42)를 수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자유 단부(64)가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자유 타단부(66)는 견부(68)에 의해 연장되고, 앵커 수단을 형성하는 구형 머리부(70)가 그 위에 놓인다. 그러므로 가로부를 앵커 수단에 끼울 필요가 없다.
또한,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너트가 미리 체결되는 전술한 실시예의 U자형 부품과 관련하여서는, 각각의 U자형 부품(60, 62)의 자유 단부(66)는 견부(68)가 리세스(36) 주변의 제2 주면(24)에 대하여 놓이도록 리세스(36)에 계지된다. 따라서, U자형 부품(60, 62)은 견부(68)가 제2 주면(34)에 대해서 리세스 주위에 지지되어 있는 지점에 대해 선회하기 적합하고, 따라서 U자형 부품의 타단부 (64)가 리세스(34)에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너트(42)가 각 U자형부품(60 또는 62)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64)에 조여질 때, 대응하는 부분이 제1 주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앵커 수단을 구성하는 구형 머리부는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는 연결 요소와 함께 가로부(16)에 장착된다. 가로부(16) 자체의 끼워맞춤을 간결화함에 더하여, 본 실시예는 이동하고자 하는 척추에 더욱 확고히 고정되는 앵커 수단을 제공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척추는 갈비뼈를 포함하지 아니하므로, 연결 요소들은 홀로 가로 돌기 주위에 계지된다. 자연적으로, 복수의 척추 고정 장치를 갈비뼈가 있는 복수의 척추에 장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영역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특히 그 측면들이 실질적으로 가로돌기의 전벽과 정렬되어 있는 갈비뼈를 가진 등쪽 척추에 적용된다. 따라서, U자형 부품은 갈비뼈를 포함하지 않는 척추에 사용되는 U자형 부품에 비해 연장부의 길이가 길어야 하고, 이 더 긴 부분은 그 하단부가 갈비뼈의 전벽에 대항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갈비뼈 주위에 계지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장부의 자유 단부가 가로부의 리세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로부의 리세스를 관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U자형 부품의 연장부가 가로 돌기의 각 측방에서 연장되지만, 더 이상 척추 고정 장치를 계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되지 않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신장형 가로부를 갈비뼈에 의해 척추에 연결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한 재료로 U자형 부품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진 U자형 부품의 길이를 증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가시 돌기가 돌출해 나오는 후벽(後壁)과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가 돌출해 나오는 두 개의 측벽(側壁)이 제공되는, 척주의 척추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18, 20)가 제공되는 신장형 가로부(16)와,
    클램프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와,
    상기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가 상기 척추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장착되기에 적합한 상기 가로부(16)의 상기 단부(18, 20)에 배치되는 앵커 수단(30, 32)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18, 20)는 상기 신장형 가로부(16)에 직교하도록 교차하는 대칭면 P에 대해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이며, 각각의 단부(18, 20)에는 제1 주면(22; 主面)과, 제2 주면(24, 主面)과 단부 엣지면(25)이 제공되며, 상기 가로부(16)는 상기 척주의 축 AR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척추의 상기 후벽(51)에 대항하도록 놓이기에 적합하며, 상기 단부(18, 20)의 제1 주면(22)은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52, 54)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는 상기 제1 주면(22)을 향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두 개의 단부(18, 20)의 각각에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52, 54)는 상기 척추의 상기 후벽에 대항하여 고정 위치에 상기 가로부(16)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에 계지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는, 연장부에 상기 가로부(16)의 상기 단부(18, 20)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연결 수단(42, 44, 68)과 조정 수단(42, 44)이 제공되는 자유 단부(38, 40, 64, 66)가 제공되는 U자형 부품을 포함하는, 척추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품은, 상기 U자형 부품에 계지되는 상기 갈비뼈 및/또는 가로 돌기(52, 54)의 외곽에 대항하여 누르기에 적합한 변형 가능 재료로 만들어지는, 척추 고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16)의 상기 단부(18, 20) 각각에는, 적어도 상기 단부(18, 20)의 상기 제1 주면 및 제2 주면(22, 24)으로 각각 개구되고 서로에 대해서 상기 가로부(1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34, 36)가 제공되며, 상기 리세스(34, 36)는 상기 조정 가능 연결 요소(26, 28, 60, 62, 42, 44, 68)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두 개의 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6)는 다른 리세스(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단부(18, 20)의 단부 엣지면(25)으로 개구되는, 척추 고정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과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품의 상기 연장부(38, 40, 64, 66)의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제1 주면(22)을 향하도록 상기 리세스(34, 36)에 자유롭게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자유 단부(38, 40, 64, 66)에 고정된 상기 연결 수단(26, 28, 60, 62, 42, 44, 68)과 상기 조정 수단(42, 44)은 상기 제2 주면(24)에 대항하여 지지하여 상기 U자형 부품이 상기 제1 주면(22)으로부터 멀어지는 병진 운동을 하지 못하게 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주면(22)을 향해 병진 운동이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척추 고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U자형 부품의 연장부의 자유 단부(66)에서 견부 형성 수단(68)에 의해 형성되는, 척추 고정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기 자유 단부(38, 40, 64)에는 너트(42, 44)가 체결되기에 적합한 나사산 형성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연결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26, 28, 60, 62, 42, 44, 68)을 형성하는, 척추 고정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단(30, 32)은 상기 단부(18, 20)의 상기 주면(24)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주면(2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척추 고정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수단(70)은 상기 조정 가능 연결 요소(60, 62)를 상기 제2 주면(24)을 바라보도록 연장시키는, 척추 고정 장치.
  11. 척주를 곧게 펴기 위한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연속적인 척추(V1, V2)에 장착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복수 개의 척추 고정 장치(10)와,
    고정 시스템(12)과,
    상기 장치(12)를 상호 연결하는 두 개의 길이 방향 로드(14)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척추(V1, V2)의 가시 돌기(50)의 열의 각 측방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두 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시스템(12)은 앵커 수단(30, 32, 70)의 각각에 장착되며, 로드(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각각의 상기 장치(12)는 앵커 수단(30, 32, 70)과 로드(14)를 서로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두 개의 길이 방향 로드(14)는 가시 돌기(50)의 상기 열 중 각 측방에 배치된 앵커 수단(30, 32, 70) 각각의 열에서 상기 장치(12)를 상호 연결함으로써,고정 위치에서 주어진 열의 앵커 지점(30, 32, 70)을 적어도 서로에 대해서 유지하는, 척주를 곧게 펴기 위한 조립체.
KR10-2004-7004381A 2001-09-26 2002-09-25 척추 고정 장치 KR20040031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2354 2001-09-26
FR0112354A FR2829919B1 (fr) 2001-09-26 2001-09-26 Dispositif de fixation vertebral
PCT/FR2002/003263 WO2003026521A1 (fr) 2001-09-26 2002-09-25 Dispositif de fixation vertebr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108A true KR20040031108A (ko) 2004-04-09

Family

ID=88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381A KR20040031108A (ko) 2001-09-26 2002-09-25 척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31972B2 (ko)
EP (1) EP1429672B1 (ko)
JP (1) JP4225899B2 (ko)
KR (1) KR20040031108A (ko)
AU (1) AU2002341110B2 (ko)
DE (1) DE60217696T2 (ko)
ES (1) ES2278971T3 (ko)
FR (1) FR2829919B1 (ko)
WO (1) WO2003026521A1 (ko)
ZA (1) ZA200401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4238B2 (en) * 2003-07-08 2006-07-11 Archus Orthopedics, Inc. Prostheses, tools and methods for replacement of natural facet joints with artificial facet joint surfaces
US20060084976A1 (en) 2004-09-30 2006-04-20 Depuy Spine, Inc. Posterior stab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8092496B2 (en) 2004-09-30 2012-01-10 Depuy Spin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osterior stabilization
US7896906B2 (en) 2004-12-30 2011-03-01 Depuy Spine, Inc. Artificial facet joint
US7766940B2 (en) 2004-12-30 2010-08-03 Depuy Spine, Inc. Posterior stabilization system
US9055981B2 (en) 2004-10-25 2015-06-16 Lanx, Inc.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241330B2 (en) 2007-01-11 2012-08-14 Lanx, Inc. Spinous process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s
US7621942B2 (en) * 2005-03-21 2009-11-24 Zimmer Spine, Inc. Variable geometry occipital fixation plate
US9942511B2 (en) 2005-10-31 2018-04-1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degradation of video/audio aspects of a data stream
CN101316558B (zh) 2005-09-27 2013-03-27 帕拉迪格脊骨有限责任公司 棘突间脊椎稳定装置
US8267970B2 (en) * 2005-10-25 2012-09-18 Depuy Spine, Inc. Laminar hook spring
US20070191844A1 (en) * 2006-01-31 2007-08-16 Sdgi Holdings, Inc. In-series, dual locking mechanism device
DE602006008266D1 (de) 2006-02-21 2009-09-17 Stryker Trauma Sa Klemm- und Gelenkelement
US20070299441A1 (en) * 2006-06-09 2007-12-27 Zachary M. Hoffman Adjustable Occipital Plate
US7901433B2 (en) * 2006-10-04 2011-03-08 Zimmer Spine, Inc. Occipito-cervica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8147527B2 (en) * 2006-11-28 2012-04-03 Zimmer Spine, Inc. Adjustable occipital plate
US8246662B2 (en) * 2006-12-27 2012-08-21 Zimmer Spine, Inc. Modular occipital plate
US8636737B2 (en) 2006-12-27 2014-01-28 Zimmer Spine, Inc. Modular occipital plate
US9265532B2 (en) 2007-01-11 2016-02-23 Lanx, Inc. Interspinous implants and methods
FR2930718B1 (fr) * 2008-05-02 2010-05-14 Warsaw Orthopedic Inc Element de liaison d'un dispositif d'osteosynthese vertebrale, et dispositif d'osteosynthese vertebrale le comprenant
US8043338B2 (en) * 2008-12-03 2011-10-25 Zimmer Spine, Inc. Adjustable assembly for correcting spinal abnormalities
US20110137345A1 (en) * 2009-03-18 2011-06-09 Caleb Stoll Posterior lumbar fusion
JP2012522588A (ja) 2009-03-31 2012-09-27 ラン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棘突起インプラントおよび関連の方法
US11812923B2 (en) 2011-10-07 2023-11-14 Alan Villavicencio Spinal fixation device
FR2989264B1 (fr) * 2012-04-11 2014-05-09 Medicrea International Materiel d'osteosynthese vertebrale
EP2668921B1 (en) * 2012-06-01 2015-08-12 Zimmer Spine Device for fixing a bony structure to a support member
US9707015B2 (en) * 2014-01-14 2017-07-18 Life Spine, Inc. Implant for immobilizing cervical vertebrae
WO2018009671A1 (en) 2016-07-07 2018-01-11 Stern Mark S Spinous laminar clamp assembly
US11246629B2 (en) 2017-04-07 2022-02-15 K2M, Inc. Transverse connector
US11006980B2 (en) 2018-02-28 2021-05-18 Kabushiki Kaisha Hikari Surgical medical instrument for spinal fix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376A (en) * 1975-08-25 1977-01-18 Bio-Dynamics, Inc. Apparatus for straightening the spinal column
US5360431A (en) * 1990-04-26 1994-11-01 Cross Medical Products Transpedicular screw system and method of use
US5397363A (en) * 1992-08-11 1995-03-14 Gelbard; Steven D. Spinal stabilization implant system
US5330473A (en) * 1993-03-04 1994-07-19 Advanced Spine Fixation Systems, Inc. Branch connector for spinal fixation systems
AU692343B2 (en) * 1994-11-16 1998-06-04 Asfs Acquisition Corp. Segmental lamina grapple hooks
US5688272A (en) * 1995-03-30 1997-11-18 Danek Medical, Inc. Top-tightening transverse connector for a spinal fixation system
US6277120B1 (en) * 2000-09-20 2001-08-21 Kevin Jon Lawson Cable-anchor system for spinal fix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5899B2 (ja) 2009-02-18
ZA200401986B (en) 2005-03-11
DE60217696D1 (de) 2007-03-08
DE60217696T2 (de) 2007-11-15
FR2829919B1 (fr) 2003-12-19
FR2829919A1 (fr) 2003-03-28
WO2003026521A1 (fr) 2003-04-03
JP2005503234A (ja) 2005-02-03
ES2278971T3 (es) 2007-08-16
EP1429672B1 (fr) 2007-01-17
US7131972B2 (en) 2006-11-07
US20040267259A1 (en) 2004-12-30
EP1429672A1 (fr) 2004-06-23
AU2002341110B2 (en)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1108A (ko) 척추 고정 장치
EP0425783B1 (en) Pedicle screw clamp
US5344422A (en) Pedicular screw clamp
US9629663B2 (en) Rod attachment for head to head cross connector
JP3776456B2 (ja) 上部を固定する骨固定装置
KR100202329B1 (ko) 밴드 클램프를 구비한 척추 구조물
US5007909A (en) Apparatus for internally fixing the spine
US5989251A (en) Apparatus for spinal stabilization
US5122131A (en) Orthopaedic device for mechanical coupling to a surgical rod
US7857834B2 (en) Spinal implant fixation assembly
US66130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fixation
US20060052783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EP0929265B1 (en) A device for fixating and adjusting the positions of vertebrae in vertebral surgical operations
JP4290558B2 (ja) 脊柱の骨接合コネクタ及び器具
US20060052784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US20060052786A1 (en) Polyaxial device for spine stabilization during osteosynthesis
WO1997023170A1 (en) Spinal fixation device with laterally attachable connectors
KR20010012482A (ko) 접골 장치용 후크형 이식 조직
MXPA97003631A (en) Hooks of subjection of lamina se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