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414A -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414A
KR20040030414A KR10-2003-7004036A KR20037004036A KR20040030414A KR 20040030414 A KR20040030414 A KR 20040030414A KR 20037004036 A KR20037004036 A KR 20037004036A KR 20040030414 A KR20040030414 A KR 2004003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acking
adhesive layer
barrier layer
connect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링챨스제이.
맨앨런티.
데이비즈마이클피.
헤이즈로날드에이.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3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6Preparing leading edge of replacement roll
    • B65H2301/41766Preparing leading edge of replacement roll by adhesive tab or tape with cleavable or delamin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by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8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the adhesive tab or tab having a cleavable or delamin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flying splic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 선단 에지부를 제2 시트 재료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대체 종이 롤의 외측 감기부를 소모 종이 롤의 단부에 결합하고, 종이는 소정의 취급 장치를 통해 작동하게 남아 있는 것이 일반적인 용례이다. 접속 테이프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와, 이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 요소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1 배킹(14)과, 이 제1 배킹(14)의 제1 표면에 제1 접착층(16)과, 제1 배킹(14)의 제2 표면에 제1 장벽층(18)을 포함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2 배킹(22)과, 이 제2 배킹의 제1 표면에 제2 접착층과, 제2 배킹의 제2 표면에 제2 장벽층(26)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접속 테이프는 제1 배킹과 제2 배킹 중 하나와 결합 접착층 사이에 단지 하나의 장벽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층은 각 장벽층에서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 테이프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TAPE FOR FLYING SPLICE,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접속 테이프는 예를 들어,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와 다른 시트 재료 사이와 같은 2 개의 다른 재료 사이에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속 작업은 정적 모드 또는 동적 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정적 모드에 있어서, 먼저 제1 시트 재료와 제2 시트 재료를 서로에 대해 원하는 구조로 배치하고, 이어서 하나 이상의 접속 테이프를 적용하여 2 개의 시트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테이프를 먼저 시트 재료 중 하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원하는 구조로 배치된 제2 시트 재료를 제공하고, 2 개의 시트 재료를 결합한다. 정적 모드로 얻어진 접속은 종종 영구 접속이라 부른다. 정적 접속의 전형적인 구조로는 버트 접속(butt splice), 오버랩 접속(overlap splice), 및 스태거 오버랩 접속(staggerd ovelap splice)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국제 특허 제95/29115호의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때로는 동적 모드로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동적 모드 접속은 예를 들어, 인쇄 산업에 있어서, 연속적인 제조 공정을 중단할 필요없이 새로운 종이 시트 재료 롤의 선단 에지를 이전의 소모 종이 시트 재료의 후미 에지에 결합할 수 있게 해준다. 동적 모드 작업으로 구현되는 접속은 보통 플라잉 접속이라 부른다. 종래의 플라잉 접속 테이프 제조 방법에서는 국제 특허 WO 제95/2911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파열 가능한 노즈 탭을 사용한다. 제1 단계에 있어서, 국제 특허 WO 제95/29115호의 도 3a로부터 취한 본 명세서의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하기 위해 새로운 롤을 적절하게 제공하거나 "드레싱(dressing)"한다. 새로운 시트 재료 롤(30)의 최외측 감김부(32)에 W형, V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의 양면 접착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선단 에지(35)를 형성한다. 이어서, 최외측 감김부(32)를 테이프에서 뜯어내어 노즈 탭(23)에 의해 최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3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에지부(35)를 형성한다. 새로운 시트 재료 롤(30)을 이전의 소모 롤의 구동 웨브 시트와 동일한 속도까지 가속한다. 이어서, 구동 웨브 시트를 새로운 롤(30)에 압박하고, 이 새로운 롤(30)의 최외측 감김부(32)에 양면 접착 테이프(25)로 접착한다. 이전의 롤은 구동 웨브 시트로부터 절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어서, 노즈 탭에는 구동 웨브 시트에 의해 가해진 인력이 걸린다. 노즈 탭은 파열되어 새로운 시트 재료(30)의 최외측 감김부(32)와 그것에 인접한 감김부(31) 사이의 임시 결합부를 해제시킨다. 플라잉 접속을 적용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구조가 본 출원의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국제 특허 제95/29115호의 도 3b로부터 취한 것이다. 플라잉 접속과정적 접속에 유용한 다른 접속 테이프가 미국 특허 번호 제5,692,699호 및 제5,996,927호에 기재되어 있다.
플라잉 접속을 제공하기에 유용한 다른 접속 테이프가 유럽 특허 제0941954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유럽 특허에는 캐리어 층과 접촉하고 있는 비점착성 폴리머 층을 사용하는 접속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재료는 캐리어 층과 비점착성 폴리머 층 사이의 분리력을 제어하도록 선택된다. 비점착성 폴리머 층과 캐리어 층 사이에는 선택적 접착 제어층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공지된 유형의 접속 테이프로는 사용 중에 스플릿되는 중앙 종이층 또는 티슈층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5,901,919호에는 종이 배킹과 수용성 자가 접착식 조성물을 구비하는 종이 마무리 기계 등의 플라잉 릴 변경용 접착 테이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종이 배킹 한쪽 측부에는 수용성 자가 접착식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반면, 종이 배킹의 반대쪽 측부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그 테이프의 양쪽 측부에 수용성 자가 접착식 조성물이 마련되어 있는 쉽게 스플릿 가능한 접속 종이 배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새로운 롤을 소모 롤에 접속시키려고 할 때, 새로운 롤을 소모 롤로부터의 웨브 속도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새로운 롤이 장착된 코아(core)를 구동하거나, 새로운 롤의 외주부와 맞닿게 구동 벨트를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구동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 구동 벨트는 도 1c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롤의 폭 일부분과 접촉한다. 이것은접속 테이프의 접착부가 소모 웨브에 결합되도록 노출된 후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동 벨트가 노출된 접착부(21)의 상당 부분과 접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접속 테이프가 접속 테이프를 분리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구동 벨트에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새로운 롤이 벗겨지거나 풀리기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가지 공지된 방법은 구동 벨트가 접속부와 접촉하는 영역(B)에서 접속 테이프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폭에 걸쳐 접속 테이프의 노출된 접착부(21) 일부에 브릿지(29)를 배치하는 것이다. 브릿지(29)는 한 조각의 접착 테이프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접착 테이프는 접착면 아래에 도포되어 있고, 브릿지 테이프의 배킹은 구동 벨트와 접촉하도록 노출된 채 남아 있게 된다. 브릿지는 노출된 접착부(21)에 편리하게 접착될 수 있는 한 조각의 종이 또는 다른 재료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브릿지(29)에는 어떠한 자체 접착부도 있을 필요가 없다. 브릿지(29)는 접착부(21) 중 일부가 브릿지 영역에서 접속부를 강화하도록 노출된 채 남아있게 해주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를 접착부(21)의 전방으로부터 뒤로 짧은 거리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접착부(21)의 적은 부분이 노출되게 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번호 제4,905,924호에는 해제 라이너의 일부가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변형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접속 테이프는 재료 롤의 전체 폭에 걸쳐 있다. 상기 해제 라이너 부분은 접속 접착부의 길이가 노출되게 한 채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플라잉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노즈 탭이 영국 특허 제2,294,23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영국 특허에는 시트 재료 롤의 최외측 감김부의 선단부와 말미부를 일시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노즈 탭이 개시되어 있다. 노즈 탭에는 사용 시에 선단부의 표면 아래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1 층이 있다. 노즈 탭은 사용 시에 최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의 선단부 및/또는 말미부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2 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층 및 제2 층은 사용 시에 박리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그 상호 접경면에 걸쳐 서로 접합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이전의 코일의 말미 내측부와 새로운 코일의 말미 외측부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영구 접속과 플라잉 접속은 모두 2 개의 시트 재료 또는 웨브 사이에 유연하고 강한 연결을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시트 재료의 모든 성질을 유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트 재료가 프린팅되거나 코팅될 수 있는 종이라면, 접속은 얇고, 가요성 있으며, 인쇄 가능하고, 코팅 가능하며, 재펄프화할 수 있는(repulpable)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잉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도 1a 및 도 1b의 것과 같은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공기가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35) 아래로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공기가 들어가면 롤이 자체적으로 고속으로 풀려서 연속 제조가 중단된다.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35) 아래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열 가능한 소형 접착 탭(27)이 때로는 선단 에지(35)의 노즈에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1a의 선단 에지(35) 사각형 에지를 따라, 또는 외측 감김부(32) 선단부의 측방 에지에 걸쳐 롤(30) 측부에 적용된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은 구조는 양면 접착 테이프와 파열 가능한 노즈 탭을 도포하는 데에 시간 소모적인 구조이다.
접속 테이프 외에 다른 분야에서도 내부적으로 박리되는 물품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4,398,985호에는 박리시 자가 점착해제식 접착면(self-detackify adhesive surface)을 만들어 내는 상이한 해제 특성이 있는 적층 구조(laminated construct)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적층은 스톡 재료 면 중 한 쪽에 폴리머 재료 필름을 코팅한 다음에, 이 구조를 해제 라이너에 코팅되어 있는 접착부에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해제 라이너를 제거하고, 적층 구조의 잔부를 노출된 접착면을 사용하는 적절한 기재에 부착한다. 폴리머 재료는 기재로부터 스톡 면을 박리할 때, 접착 코팅부에 부착된 채 남아 있는 것을 선택한다. 그 결과 기재 상에 자가 점착해제식 접착면이 만들어진다. 상기 미국 특허의 요약서에는 이러한 적층 구조는 태그, 라벨, 스티커에 유용할 뿐 아니라 견본 인쇄 광고지의 신용장, 명함, 또는 멤버쉽 카드를 최종 사용자에게 송부하는 데에 유용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독창적인 자가 점착해제식 접착면 때문에, 스톡 면과 기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수동 또는 자동 장비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입수 가능한 접속 테이프의 상업적 성공이 인상적이지만, 접속 테이프의 성능을 더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outer turn)의 선단 에지부를 다른 시트 재료에 접속시키기에 적합한 접속 테이프와, 이 접속 테이프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플라잉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시트 재료 롤을 드레싱하는 종래 기술의 2 가지 구조를 보여준다.
도 1c는 새로운 시트 재료 롤에 적용된 종래 기술의 브릿지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새로운 롤의 외측 감김부와 그것에 인접한 감김부 사이에 도 2의 접속 테이프를 구비하고, 다른 웨브 재료와 접속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새로운 시트 재료 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플라잉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드레싱된 새로운 시트 재료의 등척도이다.
도 5는 소모 웨브 재료 롤의 말미부와 새로운 웨브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 사이에 플라잉 접속을 준비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해제 라이너에 대한 상부도이다.
도 7은 해제 라이너의 일부분이 접속 테이프에 남아있는 새로운 시트 재료 롤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의하면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를 제2 시트 재료에 접속하는 접속 테이프가 제공된다. 접속 테이프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와, 이들 테이프 구성요소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접착층을 포함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1 배킹과, 이 제1 배킹의 제1 표면에 있는 제1 접착층과, 제1 배킹의 제2 표면에 있는 제1 장벽층을 포함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2 배킹과, 이 제2 배킹의 제1 표면에 있는 제2 접착층과, 제2 배킹의 제2 표면에 있는 제2 장벽층을 포함한다. 제3 접착층은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을 분리 가능하게 함께 결합한다.
상기 접속 테이프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재펄프화 가능한 배킹(repulpable backing)을 포함한다.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셀룰로오스 배킹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종이 배킹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테이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은 제3 접착층이 제1 배킹과 제2 배킹으로 심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장벽층과 충전 장벽층 사이의 접합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충전 장벽층을 포함한다. 충전 장벽층은 실리콘 충전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벽층은 자외선 경화 장벽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 테이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착층은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착층은 합성 수지 에멀젼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테이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착층은 테이프의 폭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배를 포함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테이프는 사용 시에 제3 접착층의 정합성 분리(cohesive separation)에 의해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는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하나와 제3 접착층 사이를 박리함으로써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는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해제 라이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라이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은 접속 테이프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라이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접속 테이프의 제1 에지에 인접한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제3 부분은 접속 테이프의 제2 에지에 인접한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은 제2 부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절취선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는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보다는 단일의 장벽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속 테이프는 제1 배킹과 제2 배킹 중 어느 하나와 제3 접착층 사이에 장벽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는 사용 시에 제3 접착층과 장벽층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를제2 시트 재료에 접속하는 접속 테이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a) 제1 배킹과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제1 접착층과 대향하는 제1 배킹에 제1 장벽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c) 제2 접착층과 제2 배킹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d) 제1 접착층과 대향하는 제2 배킹에 제2 장벽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e)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중 어느 하나에 제3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그리고 f)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사이의 제3 접착층과 함께 제1 테이프 부분과 제2 테이프 부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와 d) 단계는 각각 자외선으로 장벽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와, d) 단계는 동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라잉 접속용 웨브 재료 롤을 마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a) 롤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해제 라이너와 이 해제 라이너에 의해 덮혀 있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접속 테이프를 웨브 재료 롤에 접착하는 단계와, b)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해제 라이너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접착층의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한편,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접착 테이프의 제2 부분을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으로 덮혀 있도록 유지하는 단계와, c) 웨브 재료 롤의 선단 에지부를 접착층의 제1 부분에 접착하는 단계와, d) 길이방향에 따른 제2 세그먼트를 유지하면서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 세그먼트를 제거하여, 접착층 제2 부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 세그먼트를 노출시키고, 접착층 제2 부분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제2 세그먼트가 덮혀 있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라이너의 제3 부분을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제1 부분과 제3 부분과의 사이에 제2 부분이 있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을 절취선을 따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제2 세그먼트의 대향측으로부터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의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부분은 잘 알려져 있지만 약간의 설명이 필요한 특정 용어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박리(delamination)"는 접속 테이프(10)의 접착식 분리 방식을 의미하는데, 이에 의해 접속 테이프(10)는 2 개의 인접한 층 사이에서 분리되어 이전에 서로 접촉하고 있었던 인접한 층의 표면이 노출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스플릿"은 접속 테이프(10)의 정합성 분리 방식을 의미하는데, 이에 의해 접속 테이프(10)는 그 층 중 하나를 관통 파단하여 층의 2 개의 내면이 노출된 채 남겨둔다.
이하, 유사한 구조는 몇 개의 도면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접속 테이프(10)는 일반적으로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를 포함한다. 제1 테이프 구성 요소(12) 및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3 접착층(2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접속 테이프는 선택적으로 해제 라이너(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인 동작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10)는 소모웨브 재료의 롤 말미부와 플라잉 접속을 형성하는 새로운 롤을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는 새로운 재료의 롤 외측 권취부를 최종 감김부에 인접하게 유지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새로운 재료 롤의 최종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의 외면에 접착되는 한편, 제1 테이프 구성요소의 일부는 선단 에지에서 재료의 최외측 감김부의 하부에 접착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의 다른 부분은 소모 재료 롤의 말미부에 접착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말미부가 계속하여 이동하고, 제1 테이프 구성요소 상에서 잡아 당겨짐에 따라,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3 접착층(28)에서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접속 테이프(10)와 이것의 사용 방법을 상술한다.
접속 테이프(10)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1 배킹(14)을 포함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는 또한 제1 배킹(14)의 제1 표면에 제1 접착층(16)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는 제1 접착층(16)에 대향하는 제1 배킹의 제2 표면에 제1 장벽층(18)도 포함한다. 이 선택적인 제1 장벽층은 용례에 따라서는 바람직하지만,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접속 테이프(10)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도 포함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2 배킹(22)을 포함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2 배킹(22)의 제1 표면에 제2 접착층(24)도 포함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2 접착층(24)에 대향하는 제2 배킹의 제2 표면에 제2 장벽층(26)도 포함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3 접착층(2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는 각 장벽층(18, 26)에 의해 제3 접착층(28)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테이프 구성요소의 제1 접착층(16)은 선단 에지에서 새로운 재료의 최외측 감김부의 하부에, 그리고 소모 재료 롤의 말미부에 부착되도록 외측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새로운 웨브 재료 롤의 제2 최외측 감김부에 부착되도록 외측을 향하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의 제2 접착층(24)이 제공된다.
접속 테이프의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3 접착층(2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은 새로운 롤의 최외측 감김부가 소모 웨브의 말미부에 부착되는 경우 접속 테이프가 분리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는 분리 후에 2 개의 웨브 재료 사이에서 접속을 형성하게 된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이것이 새로운 재료의 제2 최외측 감김부에 있던 장소에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 접속 테이프는 아래의 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제3 접착층(28)은 결합식으로 분리되어, 제3 접착층(28)의 일부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 상에 남아 있고, 일부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접속 테이프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제1 장벽층(18)과 제3 접착층(28) 사이에서 박리되어, 제3 접착층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제2 장벽층(26)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접속 테이프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의 제2 장벽층(26)과 제3 접착층(28) 사이에서 박리되어, 제3 접착층(28)은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제1 장벽층(18)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접착층(28)은 접속 테이프(1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다. 제3 접착층(28)은 테이프(10)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3 접착층에는 테이프(10)의 폭을 따라 구배를 두고 적용될 수 있다. 구배를 사용하여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를 서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분리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가 쉽게 시작되고 플라잉 접속 작업 중에 테이프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분리가 진행함에 따라, 폭에 따른 분리력이 증가하도록 테이프(10)의 전방에서 분리력이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배를 달성하기 위해, 접착층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접속 테이프의 폭에 걸쳐 코팅 중량이 증가하게 도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착층(28)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4개의 세그먼트(28a, 28b, 28c, 28d)를 포함한다.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각 세그먼트는 더 큰 코팅 중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28a)는 접속 테이프의 전방에서 분리가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코팅 중량을 갖는다. 세그먼트(28b, 28c, 28d)는 각각 점차적으로 더 큰 코팅 중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접속 테이프(10)의 제1 접착층(16)과 제2 접착층(24)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접착층(16, 24)은 새로운 롤(30)의 외측 감김부(32)와 그것에 인접한 감김부(31)에, 그리고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부(34)가 접속되어야 하는 다른 시트 재료에 영구적으로 그리고 강력하게 접착되는 임의의 공지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활성접착제(heat activated adhesive), 열경화성 접착제, 및 재습식 접착제(remoistenable adhesive)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로는 대체로 열용융 접착제(hot-melt adhesive), 대체로 무용제식 또는 무수식인 접착제(solvent or water-free adhesive), 용제식 또는 수용성 분산액 또는 용액일 수 있는 감압 접착제가 있다. 특정 감압 접착제로는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코폴리머, 아크릴 에스테르-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가소성 비닐 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및 고무-라텍스 수지 에멀젼계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는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단위체 폴리머와, 선택적으로 에틸렌 불포화기 뿐 아니라 다른 코폴리머화 단위체를 함유하는 작용기를 포함한다.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는 예를 들어, 충전제(filler), 산화 방지제, 난연제, 색소, 가소제(可塑劑) 또는 폴리머 첨가제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체의 양과 성질, 그리고 첨가제의 양과 성질을 변경함으로써, 최종 접착제의 결합 성질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당한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의 예가 미국 뉴욕 반 노스트랜드 레인홀드에 소재하는 사타스(Satas)의 1989년에 발매된 감압 접착제 기법 제2 판 "아크릴 접착제" 396-45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적당한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코폴리머가 있는데, 알킬기는 적어도 4개, 일반적으로는 4 개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구비한다. 이러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는 엔-부틸, 엔-펜틸, 엔-헥실, 시클로헥실, 이소헵틸, 엔-노닐, 엔-데실, 이소헥실, 이소보닐(isobornyl), 2-에틸옥틸, 이소옥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엔-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는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16)과 제2 접착층(24)은 재펄프화 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바람직한 재펄프화 가능한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5,380,779호에 기재되어 있는 유럽 재펄프화능(repulpablility) 시험에서 3 이하의 등급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재펄프화 가능한 접착제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380,779호, 제4,413,080호, 제4,569,960호, 제4,482,675호, 제4,388,432호, 제5,102,733호, 및 제5,125,995호에 기재되어 있는 재펄프화 가능한 접착제가 있다. 제1 접착층(16) 또는 제2 접착층(24)의 두께는 크게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로 독립적이고, 200㎛ 내지 350㎛이며,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00㎛이다.
제1 배킹(14)과 제2 배킹(22)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킹(14)과 제2 배킹(22)은 예를 들어, 테이프 배킹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고, 플라스틱 필름 뿐 아니라 종이층도 포함한다.적절한 배킹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팅 종이, 크라프트지(Kraft paper), 및 부직포 재료를 포함한다. 제1 배킹(14) 및 제2 배킹(22)으로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 기공도가 낮은 매끄러운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 배킹은 그것의 재펄프화능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 가지 적당한 배킹 재료가 유럽 네덜란드 아크로실(Akrosil)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백색의 재펄프화 가능한 31 gram/m2종이 배킹이다. 제1 배킹(14)과 제2 배킹(22)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이고, 일반적으로 40㎛ 내지 90㎛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는 저장과 보호를 위해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제1 접착층(16)의 노출된 표면에 부착된 해제 라이너(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테이프가 롤 형태로 제공된다면, 양면에 해제 특성이 있는 해제 라이너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는 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2 개의 해제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10)가 재펄프화 가능한 것으로{라이너(11)는 제외한다} 접속 테이프(10)의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배킹, 접착층, 및 장벽 코팅 재료는 접속 테이프(10)를 재펄프화할 수 있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요소는 접속 테이프가 미국 특허 제5,380,779호에 기재되어 있는 유럽 재펄프화능 시험에서 3 이하의 등급을 갖도록 선택한다.
해제 라이너(11)는 롤 형태의 접속 테이프(10)인 경우에 웨브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해제 재료가 코팅된 다수의 공지되고 입수 가능한 종이 또는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해제 라이너(11)의 베이스 웨브는 크라프트지, 강광택 크라프트지(super-calendered kraft paper), 점토 코팅 크라프트지(clay coated kraft paper), 글라신지, 양피지, 및 해제 코팅의 유지를 위한 적당한 하부코팅이 있는 다른 종이와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해제 코팅은 접착제의 해제 특성을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실리콘과 변성된 실리콘이 있는데, 이러한 변성은 비해제 화학 작용제(nonrelease chemical agent)와 실리콘을 코폴리머화하거나, 해제 베이스 종이에 도포하기 전에 실리콘 코팅 용액에 비실리콘 재료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플루오로카본, 워너 타입 크롬 복합물(Werner-type chromium complex), 및 폴리비닐 옥타데실 카바메이트와 같은 다른 해제 작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해제 코팅의 선택은 접착층(16)의 점착성, 접착 수준, 화학적 성질에 종속한다. 해제 라이너(11)는 이것이 접속 테이프(10)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사이에서 어떠한 조기 분리도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라이너는 제1 부분(11a)과 제2 부분(11b)을 포함하는 스플릿 해제 라이너(split release liner)이다. 이것은 제1 접착층(16)의 일부를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편리하게 노출시켜, 새로운 롤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부(34)를 제1 접착층(16)의 그 노출된 부분에만 접착시키도록 해 준다.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11b)은 새로운 롤을 소모 웨브에 접속하기 전에 재료가 제1 접착층(16)의 다른 부분에 우발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소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접속을 형성할 시점이 다가오면, 해제 라이너의제2 부분(11b)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는 테이프의 선단 에지에서 접속 테이프(10)의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제3 부분(11c)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는 접착층(16)에 걸쳐 별개의 제1 부분(11a), 제2 부분(11b), 제3 부분(11c)으로 스플릿되어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의 제2 부분(11b)은 접속 테이프(10)의 길이를 따라 별개의 세그먼트로 더 분리되어 있다. 이들 세그먼트는 천공된 라인(50)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천공된 라인(50)은 스코아 라인, 천공부, 또는 라이너의 제2 부분(11b)이 원하는 대로 분리되게 해 주는 임의의 다른 절취선일 수 있다. 천공된 라인(50)은 라이너의 폭에 걸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고,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원하는 간격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라이너의 일부가 벨트 구동 장치에서 브릿지로서 작용하도록 남겨 두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3은 전진해 있는 소모 시트 재료 롤의 말미부와 새로운 시트 재료 롤(30) 사이에 플라잉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는 새로운 롤(30)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부(34)와, 도 2에 따른 접속 테이프(10)와, 새로운 롤(30)의 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31) 및 새로운 롤(30)의 몇 개의 다음 내측 감김부과, 소모 롤의 구동 웨브 시트(41)와,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 제1 접착층(16)의 노출부에 연결되는 구동 웨브 시트(41) 부분(42)이 도시되어 있다. 접속 테이프(10)의 제2 테이프구성요소(20)의 제2 접착층(24)은 선단 에지(35)에 인접한 선단 에지부(34)의 하면이 해제 라이너의 제1 부분(11a)에 의해 덮혀 있는 접착층(16) 부분에 접착될 수 있게 새로운 롤(30)의 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31)의 상면 부분(38)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접착층(16)의 나머지 부분이 노출된 채 남아 있게 된다. 접속 테이프(10)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는 선단 에지(35)에서 외측 감김부(32)와 이것에 인접한 감김부(31)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선단 에지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새로운 롤(30)의 대체로 선단 에지(35) 전체를 따라 적용된다. 새로운 롤(30)의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35)가 새로운 롤(30)의 길이방향 대칭축에 대체로 평행한 특정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35)와 인접하거나 부착되어 있는 추가적인 양면 접착 테이프와 함께 노즈 탭으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새로운 롤(30)은 이것의 길이방향 대칭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소모 롤의 구동 웨브 시트(41)의 선형 속도에 상응하는 둘레 속도로 된다. 적당한 시점에서, 소모 롤이 거의 소비되고 새로운 롤(30)의 선단 에지(35)가 소모 롤의 구동 웨브 시트(41) 부분(42)에 대해 적당한 회전 위치에 있으면, 구동 웨브(41)는 예를 들어 새로운 롤(30) 외측 감김부(32)의 선단 에지부(34)를 향해 롤러에 의해 이동되어, 구동 웨브(41) 부분(42)의 하면이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제1 접착층(16)의 나머지 노출된 면에 접착된다. 구동 웨브시트(41)가 접속 테이프(10)에 접착되는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동할 때, 구동 웨브 시트(4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 테이프(10)에 박리력(peeling force)을 가한다. 이로 인하여 접속 테이프(10)의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가 분리된다. 분리는 초기에는 접속 테이프의 제1 전방 에지에서 시작하고, 접속 테이프 폭에 걸쳐 접속 테이프의 제2 후방 에지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는 롤 웨브 재료의 전체 폭에 걸쳐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일관되게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테이프(10)의 제1 구성요소(12)와 제2 구성요소(20)가 분리되면,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제2 접착층(24)에 의해 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31)의 상면에 접착된 채 남아있고,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는 제1 접착층(16)에 의해 소모 롤의 구동 웨브 시트(41) 부분(42)과 새로운 롤(30)의 외측 감김부 선단 에지부(34) 사이의 접속부에 접착된 채 남아 있다. 구동 웨브 시트(4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단기(50)를 사용하여 대체로 접속과 동시에 또는 접속을 형성한 직후에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접속(10)은 도 3 내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플라잉 접속을 형성하기에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는 유럽 특허 제0941954호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플라잉 오버랩 접속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새로운 롤이 벨트 구동으로 라인 속도로 되는 장치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의 라이너 장치가 바람직하다. 접속 준비는 아래의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행한다. 라이너의 제1 부분(11a)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거하여 최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가 접속 테이프의 접착층(16)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제2 부분(11b)과 제3 부분(11c)은 접속을 형성할 시간에 근접할 때까지 제자리에 남아 있게 된다. 이어서, 제3 부분을 테이프(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벨트에 접촉되어야 하는 영역(B)을 제외하고, 제2 부분을 제거한다. 원하는 다수의 제2 부분(11b) 세그먼트는 천공된 라인(50)을 따라 제2 부분(11b)을 분리하고, 잔류 브릿지 세그먼트의 양측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분리함으로써 제자리에 남아 있게 된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부분(11c)의 크기는 제1 접착층(16)이 원하는 폭만큼 제2 부분(11b)의 브릿지 세그먼트 전방에서 노출된 채 남아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플라잉 접속이 브릿지 영역에서 분리를 개시 및 유지하도록 해주는 한편, 벨트가 파열되거나 조기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준다. 몇가지 용례에 있어서, 제1 부분(11a)은 폭이 약 1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부분(11b)은 폭이 약 22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3 부분(11c)은 폭이 3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4mm 이면 더 바람직하다. 천공부(50) 사이의 제2 부분(11b)의 세그먼트는 임의의 편리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몇가지 용례에 있어서, 제2 부분(11b) 세그먼트는 천공부(50) 사이의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폭이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테이프(10)의 바람직한 한 가지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처음에 별개의 완성 부품으로서 배킹에 이미 존재하는 장벽층을 구비한 채 또는 구비하지 않은 채 제공될 수 있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모두 또는 그중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적당한 예로는 3M 컴퍼니의 상표명 9969 테이프로 입수 가능한 재펄프화 가능한 테이프가 있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배킹측은 예를 들어 아닐록스(anilox)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장벽층(26)으로 코팅될 수 있다. 도포된 장벽층의 양은 장벽층을 코팅하는 셀의 원하는 이론 체적을 갖고 있는 아닐록스 롤러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장벽층은 3kW의 수은 증기 전구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코팅이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라이너(11)에는 제1 부분(11a)과 제2 부분(11b)을 형성하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에는 원한다면 제3 부분(11c)을 형성하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천공부(50)는 원한다면 라이너의 제2 부분(11b)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벽층이 포함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배킹측은 바람직한 장벽층(18)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아닐록스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원하는 이론 체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장벽층(18)이 자외선 경화 코팅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3kW 수은 증기 전구와 같은 것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접착층(28)을 어느 하나의 테이프 구성요소 배킹에 코팅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원하는 이론 체적의 제3 접착층(28)을 아닐록스 코팅 롤러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제1 장벽층(18)에 코팅한다. 이것은 테이프(10)의 폭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테이프 구성요소 및 제2 테이프 구성요소는 제3 접착층이 구성요소를 분리 가능하게 함께 결합하도록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닙 롤 중 하나는 발포 테이프와 같은 발포체로 덮혀 있다. 발포체의 밀도와 닙 압력은 접속 테이프(10)의 이탈력(breakout force) 제어에 도움이 되도록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존재한다면,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에 마련되어 있는 라이너는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접속 테이프(10)를 마무리 롤로서 권취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를 접속 테이프(10)에 적층하기 위한 준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구성요소는 분리된 최종 물품 자체로 제공될 필요는 없다. 테이프 구성요소는 접속 테이프의 최종 조립 직전에 제조될 수 있다.
제3 접착층(28)이 테이프 폭에 걸쳐 구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의 구조는 아래의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점진적인 인쇄판(graduated printing plate)을 사용하여 제3 접착층(28)을 도포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BASF의 니로플렉스 타입 170 판(Nyloflex type 170 plate)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는 4개의 세그먼트(28a, 28b, 28c, 28d)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28a)는 폭이 9mm이고, 인쇄판은 접착제를 영역의 60%까지 도포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는 폭이 3mm이고, 인쇄 영역이 70%일 수 있다. 제3 세그먼트(28c)는 폭이 3mm이고, 인쇄 영역이 85%일 수 있다. 제4 세그먼트(28d)는 폭이 35mm이고, 인쇄 영역이 100%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세그먼트 폭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고, 세그먼트(28a, 28b, 28c, 28d)의 인쇄 영역은 각각 80%, 90%, 95%, 100%이다. 테이프의 폭에 걸쳐 도포된 접착층(28)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폭에 걸친 이탈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의 전방에서 이탈력을 40-50g/25mm 정도로 작게 하고, 접속 테이프의 후방에서는 이탈력을 115g/25mm 정도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교시의 내용으로, 당업자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사이에 원하는 이탈력을 제공하도록 여러가지 접속 테이프 구성요소에 적당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브의 접속된 부분과 제1 접착층(16) 사이의 접합력 "A"는 사용 시의 접속 테이프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데에 필요한 이탈력 "F"보다 커야 한다. 유사하게, 새로운 롤(30)의 최외측 감김부에 인접한 감김부(31)의 외면과 제2 접착층(22) 사이의 접합력 "B"는 사용 시의 접속 테이프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데에 필요한 이탈력 F보다 커야한다. 다시 말하면, 접합력 A와 B는 모두 F보다 커야한다.
제3 접착층(28)의 정합성 분리에 의해 접속 테이프를 분리시켜야 한다면, 제3 접착층의 정합성 강도 "C"는 접속 테이프의 이탈력 F를 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벽층(18)과 제3 접착층(28) 사이의 접합력 "D"은 C 보다 커야한다. 유사하게, 제2 장벽층(26)과 제3 접착층(28) 사이의 접합력 "E"는 C보다 커야한다. 다시 말하면, 접합력 D와 E는 모두 C보다 커야한다.
제3 접착층이 실질적으로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에 남아있도록 접속 테이프(10)가 제1 장벽층(18)과 제3 접착층(28) 사이에서 박리되야 한다면,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제1 장벽층(18)과 제3 접착층(28) 사이의 접합력 D는 제3 접착층(28)의 정합성 강도(C)와 제2 장벽층(26)과 제3 접착층(28) 사이의 접합 강도(E) 모두보다 작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D는 C와 E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의 전체적인 이탈력(F)을 결정하는 것은 힘 D이다.
대안으로서, 제3 접착층이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에 남아 있도록 접속 테이프(10)가 제3 접착층(28)과 제2 장벽층(26) 사이에서 박리되어야 한다면,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제2 장벽층(26)과 제3 접착층(28) 사이의 접합력(E)은 제3 접착층(28)과 제1 장벽층(18) 사이의 접합 강도(E)와 정합성 강도(C)보다 작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E는 C와 D보다 모두 작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테이프의 전체 이탈력(F)을 결정하는 것은 힘 E이다.
장벽층은 원하는 이탈력을 제공하도록 배킹(14, 22) 재료와 접착층(28)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장벽층은 특히, 배킹이 종이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배킹과 같은 재펄프화 가능한 배킹을 포함하는 경우, 제3 접착층(28)이 배킹을 현저하게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장벽층에는 또한 제3 접착층이 도포될 수 있는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접착층(28)이 배킹을 현저하게 관통한다면, 이것은 제1 테이프 배킹과 제2 테이프 배킹 사이에 강한 접합과 같은 것을 제공하여 접속 테이프의 최종 이탈력이 바람직하지 않게도 커진다. 장벽층은 특히 접속 테이프가 재펄프화가 요구되거나 요망되는 종이 접속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 접속 테이프가 재펄프화 가능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장벽층은 자외선 경화 라커와 같은 라커를 포함한다. 적당한 장벽층(18, 26) 재료로는 L001 자외선 라커, V073 자외선 라커, L044 자외선 라커, T7201 자외선 틴트 매체(tint medium)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스코틀랜드 웨스트 로씨니안 브록스번 이에치52 5엔비 이스트 메인 인더스트리얼 에스테이트에 소재하는 파라곤 잉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장벽층(18, 26)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실리콘 또는 플루오린 함유 재료와 같은 해제 재료를 포함하도록 충전된 층일 수 있다. 특히 적당한 재료는 실리콘 함유 재료이다. 장벽층(18, 26)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실리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장벽층 중 하나 또는 모두와 제3 접착층(18) 사이에서 접속 테이프(10)를 박리하는 데에 필요한 힘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이론 체적을 갖는 아닐록스 코팅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장벽층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코팅 무게를 변화시켜 원하는 이탈력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용례에 있어서, 플라잉 접속 작업 중에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분리가 더 쉽게 시작되고 종료되게 하기 위해 접속 테이프의 폭에 걸쳐 측정된 이탈력을 감소시킬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길이방향 이탈력을 유지하면서, 크로스 방향 이탈력을 낮추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른 방향으로 큰 이탈력을 유지하면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가 조기에 분리되는 일 없이 테이프를 롤 형태로 편리하게 권취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벽층(18) 또는 제2 장벽층(26)은 생략될 수 있고, 제1 장벽층이 생략되면 더 바람직하다. 어떤 구조에서는 제1 장벽층을 제거하면 크로스 방향 분리력을 약 100-120g/25mm에서 약 33-40g/25mm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길이방향 이탈력은 실질적으로 약 33-35g/25mm에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장벽층과 마찬가지로, 제3 접착층(28)은 배킹과 장벽층에 사용된 재료와 관련하여 원하는 이탈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제3 접착층은 재펄프화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접착제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제1 접착층(16)과 제2 접착층(24)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으로 전술한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로는 영국 체셔에 소재하는 에이치.비. 풀러 사의 Lunabond 1533X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합성 수지 에멀젼계 접착제가 있다. 다른 적당한 접착제로는 SUPER-LOK250, PELLETIE-FIX321, BIND-FLEX20, 072-0243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피브이에이 접착제(PVA adhesive)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버킹햄샤이어(Buckinghamshire)에 소재하는 다이렉트 어드히시브(Direct Adhesive)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제3 접착층(28)의 종류 및/또는 코팅 중량은 접속 테이프(10)의 제1 테이프 구성요소(10)과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사이의 이탈력을 제어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다. 많은 용례에 있어서, 제3 접착층의 코팅 중량을 증가시키면 이탈력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착층은 아닐록스 코팅 롤로 도포된다. 아닐록스 코팅 롤의 이론적인 코팅 체적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셀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론적인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3 접착층(28)의 코팅 체적은 증가한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가 함께 적층되는 경우 닙 압력을 제어하여 이탈력을 제어할 수 있다. 많은 용례에 있어서, 닙 압력을 증가시키면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 사이의 접합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이탈력이 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벽층과 제3 접착층은, 접속 테이프(10)가 접속을 형성하고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로 분리된 후, 접속 테이프의 특정 용도에 요구되는 바와 같은 프린팅 가능한 및/또는 코팅 가능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이하, 상세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작업을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이러한 예들은 다양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법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 1 내지 예 4를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접속 테이프를 2 개의 재펄프화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 구성요소(12, 20)로 구성하였다.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는 종이 배킹(14)과, 플라잉 접속 용도로 적당한 제1 접착층(16)과, 양면 실리콘 해제 라이너(11)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는 종이 배킹(22)과, 탭 용도로 적당한 제2 접착층(24)과, 단면 실리콘 해제 라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종이 배킹(14, 22)에 장벽층(18, 26)으로서 자외선 경화 라커를 각각 코팅하였다. 건식 접합 접착층(28)을 테이프 구성요소 중 하나의 라커 코팅부에 코팅하였다. 이어서, 테이프 구성요소(12, 20)를 함께 적층하여 접속 테이프(10)를 형성하였다. 닙 롤러 중 하나는 그것에 도포된 발포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라이너(11)에는 제1 부분(11a)과 제2 부분(11b)을 마련하기 위해 슬릿이 형성되어있다.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라이너를 제거하고 폐기하였다.
닙에서의 적층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 테이프는 압축 영 계수를 측정함으로써 특징지울 수 있다. 적층 구조에 채택된 단면 발포 테이프의 영 계수 값은 뉴저지주 파시파니에 소재하는 리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가 제조한 리오메트릭 고체 분석기 Ⅱ(Rheometrics Solid Analyzer Ⅱ)를 사용하여 얻었다. 리오메트릭 오케스트레이터 소프트웨어(Rheometrics Orchestrator software)에 의해 장비를 제어하였고, "다이내믹 프리퀀시 스위프(Dynamic Frequency Sweep)"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소프트웨어로 일련의 별개 주파수에서 압축 장치로부터 압축 영 계수 값을 계산하였다. 샘플을 적어도 8mm 높이의 스택을 형성하도록 적층된 직경 16mm의 천공된 디스크 발포 테이프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 중에 각 샘플에 일정한 100g의 예부하를 가했다. 1 Hz에서 얻은 영 계수 값을 발포 테이프 샘플의 상대적인 강성의 대표값으로 취한다.
각 예의 샘플을 180° 박리 시험으로 아래와 같이 테스팅하여 접속 테이프(10)의 이탈력을 측정하였다. 박리 시험에는 속도가 7 in/min(17.8 cm/min)이고 5 파운드 부하 셀(2.27kg)을 구비하는 접착 시험 장비를 사용하였다. 각 예에 있어서, 폭 1인치(2.54cm) 길이 약 12인치(30.5cm)의 접속 테이프 샘플을 사용하였다. 적어도 시험할 샘플 크기만큼 큰 양면 접착 테이프를 유리 표면에 접착하였다. 이어서, 접속 테이프 샘플을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접착층(16)에 의해 양면 접착 테이프에 접착하였다. 이어서, 제2 테이프 구성요소를 테스트 기구의 로드 셀에 부착하였다. 테스트 기구의 운반대를 180° 박리 시험을 위한 동작으로셋팅하였다. 로드 셀에 의해 측정된 평균 힘을 기록하였고, 이탈력으로서 아래에 나타낸다.
예 1을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1)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의 배킹 측을 11.5 cm3/m2이론 체적을 갖고 있는 아닐록스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스코틀랜드 웨스트 로씨안 브록스번 이에치52 5엔비 이스트 메인 인더스트리얼 에스테이트에 소재하는 패러곤 잉크사의 L001 라커인 장벽층(26)으로 코팅하였다.
2) 이 장벽층을 3 kW 수은 증기 전구로 경화시켰다.
3) 제1 부분(11a)과 제2 부분(11b)을 형성하도록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라이너(11)에 스코아 슬릿을 형성하였다. 라이너의 스코아 슬릿을 아래와 같이 형성하였다. 폭이 38mm인 접속 테이프(10)의 롤에 대하여, 라이너를 12mm와 26mm의 폭으로 스플릿하고, 폭이 31mm인 접속 테이프(10)의 롤에 대하여, 라이너를 12mm와 19mm 폭으로 스플릿한다.
4)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배킹 측을 11.5 cm3/m2이론 체적을 갖고 있는 아닐록스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스코틀랜드 웨스트 로씨안 브록스번 이에치52 5엔비 이스트 메인 인더스트리얼 에스테이트에 소재하는 패러곤 잉크사의 L001 라커인 장벽층(18)으로 코팅하였다.
5) 이 장벽층(18)을 3kW 수은 증기 전구로 경화시켰다.
6)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의 장벽층(18)을 12.71 cm3/m2이론 체적을 갖고있는 아닐록스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영국 체셔 더킨필드에 소재하는 에이치.비. 풀러사의 Lunabond 1533X 접착제인 제3 접착층(28)으로 코팅하였다.
7) 0.24 gram/cm3밀도의 발포 테이프로 덮힌 닙 롤 중 하나로, 제1 테이프 구성요소의 제3 접착층(28)이 제2 테이프 구성요소의 제2 장벽층(26)에 접착되도록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를 함께 적층하였다.
8)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로부터 라이너를 제거하였다.
9) 접속 테이프(10)의 마무리 롤을 권취하였다.
플라잉 접속 테스트를 양호하게 수행하기 위해 예 1에 따라 제조된 샘플을 관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박리력에 대해 예 1의 샘플을 시험하였고, 이 결과를 아래의 표에 기재하였다.
예 2 내지 예 4는 아래의 것을 제외하고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다양한 셀 체적을 가진 아닐록스 코팅 롤을 사용하여 제3 접착층(18)의 다양한 코팅 중량을 도포하였고, 아래의 표에 기록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를 함께 적층할 때, 하나의 닙 롤러에 상이한 강성의 발포 테이프를 도포하였다. 예 2 내지 예 4의 샘플을 전술한 바와 같은 이탈력에 대해 시험하였고, 이 결과를 표에 제시하였다.
아닐록스 롤 셀 체적(cm3/m2) 발포체 밀도(g/cm3) 발포체 영 계수 (Pa @ 1Hz) 이탈력(g/25mm)
1 12.71 0.24 1.98 x 105 18
2 7.05 0.35 5.02 x 105 29
3 11.5 0.35 5.02 x 105 40
4 12.71 0.35 5.02 x 105 50
제1 테이프 구성요소(12)와 제2 테이프 구성요소(20)를 함께 적층할 때, 아닐록스 롤 셀 체적과 닙 압력에 의해 결정된 제3 접착층(28)의 코팅 중량에 종속적인지를 접속 테이프(10)의 이탈력을 관찰하였다. 적층기의 닙 롤 상의 발포성 랩의 밀도를 선택함으로써 닙 압력을 변화시켰다. 아닐록스 롤 셀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3 접착층(28)의 코팅 중량을 증가시키면 측정된 이탈력이 증가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발포체 밀도 또는 발포체 계수를 증가시켜 닙 압력을 증가시키면 측정된 이탈력이 증가하는 것도 관찰되었다.
전술한 시험 및 시험 결과는 예측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시험 과정에 변화가 있으면 다른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과 예는 단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제시되었다. 이것들이 불필요한 한정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용으로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예에 많은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구조 및 상세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구조와 그 구조의 균등물에 의해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41)

  1. 제1 배킹과, 이 제1 배킹의 제1 표면에 제1 접착층과, 상기 제1 배킹의 제2 표면에 제1 장벽층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배킹과, 이 제2 배킹의 제1 표면에 제2 접착층과, 상기 제2 배킹의 제2 표면에 제2 장벽층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와,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을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인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를 제2 시트 재료에 접속시키는 접속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재펄프화 가능한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상기 제2 배킹은 셀룰로오스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종이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은 상기 제3 접착층이 상기제1 배킹과 제2 배킹으로 현저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커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장벽층과 상기 제3 접착층 사이의 접합 강도를 제어하도록 충전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벽층은 실리콘 충전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자외선 경화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합성 수지 에멀젼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테이프의 폭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배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3.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접속 테이프는 상기 제3 접착층의 정합성 분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4.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접속 테이프는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하나와 상기 제3 접착층 사이를 박리함으로써 분리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라이너는 각각 상기 접속 테이프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라이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속 테이프의 제1 에지에 인접한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접속 테이프의 제2 에지에 인접한 상기 접속 테이프이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해제 라이너의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18. 제1 배킹과, 이 제1 배킹의 제1 표면에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구성요소와,
    제2 배킹과, 이 제2 배킹의 제1 표면에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구성요소와,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이 제3 접착층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항하도록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을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접착층과,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접착층 사이에 있는 장벽층,
    을 포함하는 것인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를 제2 시트 재료에 접속시키는 접속 테이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재펄프화 가능한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셀룰로오스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은 종이 배킹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은 상기 제3 접착층이 상기 제1 배킹과 제2 배킹으로 현저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는 라커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충전 장벽층과 상기 제3 접착층 사이의 접합 강도를 제어하도록 충전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벽층은 실리콘 충전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자외선 경화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합성 수지 에멀젼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층은 테이프의 폭에 따른 방향으로 구배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0. 제18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접속 테이프는 상기 제3 접착층의 정합성 분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1. 제18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접속 테이프는 상기 제3 접착층과 장벽층 사이를 박리함으로써 분리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라이너는 각각 상기 접속 테이프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라이너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속 테이프의 제1 에지에 인접한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접속 테이프의 제2 에지에 인접한 상기 접속 테이프이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
  35. 제1 배킹과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접착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배킹에 제1 장벽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제2 배킹과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접착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배킹에 제2 장벽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중 어느 한 쪽에 제3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 사이의 상기 제3 접착층과 함께 상기 제1 테이프 부분과 제2 테이프 부분을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시트 재료 롤의 외측 감김부의 선단 에지부를 제2 시트 재료에 접속시키는 접속 테이프의 제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의 도포 단계는 상기 장벽층을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속 테이프의 제조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과 제2 장벽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동시에 행해지는 것인 접속 테이프의 제조 방법.
  38. 롤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해제 라이너와 이 해제 라이너에 의해 덮혀 있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접속 테이프를 웨브 재료 롤에 접착시키는 단계와,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해제 라이너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접착층의 제1 부분을 노출시키고,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접속 테이프의 제2 부분을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으로 덮은 채 유지하는 단계와,
    웨브 재료 롤의 선단 에지부를 접착층의 제1 부분에 접착하는 단계와,
    길이방향에 따른 제2 세그먼트를 유지하면서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 세그먼트를 제거하여, 접착층의 제2 부분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 세그먼트를 노출시키고, 접착층 제2 부분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제2 세그먼트가 덮혀 있게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잉 접속용 웨브 재료 롤 제공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제1 부분과의 사이에 제2 부분이 있는 해제 라이너의 제3 부분을 접속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잉 접속용 웨브 재료 롤 제공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제거하는 단계는 절취선을 따라 해제 라이너의 제2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잉 접속용 웨브 재료 롤 제공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제거하는 단계는 제2 세그먼트의 반대쪽으로부터 해제 라이너 제2 부분의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잉 접속용 웨브 재료 롤 제공 방법.
KR10-2003-7004036A 2000-09-22 2001-09-17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040030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833300A 2000-09-22 2000-09-22
US09/668,333 2000-09-22
PCT/US2001/029057 WO2002024562A2 (en) 2000-09-22 2001-09-17 Tape for flying splice,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414A true KR20040030414A (ko) 2004-04-09

Family

ID=2468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036A KR20040030414A (ko) 2000-09-22 2001-09-17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88228B2 (ko)
EP (1) EP1318962B1 (ko)
JP (1) JP4903353B2 (ko)
KR (1) KR20040030414A (ko)
CN (1) CN1263663C (ko)
AT (1) ATE327957T1 (ko)
AU (1) AU2001291043A1 (ko)
BR (1) BR0114084B1 (ko)
CA (2) CA2632081A1 (ko)
DE (1) DE60120196T2 (ko)
TW (1) TWI241953B (ko)
WO (1) WO20020245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697A (ko) * 2011-12-07 2014-10-31 빌딩 머티리얼즈 인베스트먼트 코포레이션 열가소성의 단일 플라이형 보호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528B2 (en) * 2000-11-01 2005-05-17 Adalis Corporation Web material advance system for web material applicator
US6899933B2 (en) * 2002-09-09 2005-05-31 Permacel Splicing tape with separating portions
US7476429B2 (en) * 2003-11-03 2009-01-13 Permacel Bridge label for splicing tape
US20070077418A1 (en) * 2003-12-12 2007-04-05 Aizo Sakurai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rticle
US7078082B2 (en) * 2004-01-15 2006-07-18 Sonoco Development, Inc. Dual-functioning mechanism for startup during winding of web material and for splicing during unwinding
KR100627139B1 (ko) * 2004-06-18 2006-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세기전 구조물 그 제조방법
DE102004040814A1 (de) * 2004-08-24 2006-03-02 Tesa Ag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Splice-Verbindung
DE102004046499A1 (de) * 2004-09-23 2006-04-06 Tesa Ag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beim fliegenden Rollenwechsel mit einem spaltbaren System
WO2006039940A1 (en) * 2004-10-13 2006-04-20 Nitto Europe N.V.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changing a reel
DE102004053189A1 (de) * 2004-11-04 2006-05-11 Tesa Ag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bahnförmigen Substraten mit mindestens zwei Klebstoffe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Klebeband sowie seine Verwendung
DE102006053439A1 (de) 2006-02-22 2008-05-15 Tesa Ag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US20080057251A1 (en) * 2006-09-01 2008-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Laminates utiliz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conventional silicon liners
US20080087370A1 (en) * 2006-10-13 2008-04-17 Custom Adhesive Products, Llc Splicing Tape
US8332962B1 (en) * 2007-07-02 2012-12-18 The Grid, Inc. Multi-layered polychloroprene tap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pplying such material
DE102008021247A1 (de) * 2008-04-28 2009-10-29 Tesa Se Klebeband für den Rollenwechsel von Flachbahnmaterialien
DE102009047680A1 (de) 2009-12-08 2011-06-09 Tesa Se Verwendung eines Splicebandes mit nebeneinander angeordneten Kaschiermassestreifen
DE102010029181A1 (de) * 2010-05-20 2011-11-24 Tesa Se Spliceklebeband umfassend zwei spaltfähige Verbindungselemente
US8460774B2 (en) 2010-07-02 2013-06-11 Appleton Papers Inc. Splice tape for imprintable webs
BR112013005367B1 (pt) 2010-09-16 2021-02-23 Electroreel Components, Llc fitas de emenda
US9315351B2 (en) 2010-09-16 2016-04-19 Electroreel Components, Llc Component carrier reel splicing tape
PL2433994T3 (pl) * 2010-09-27 2014-05-30 Illinois Tool Works Taśma klejąca i sposób wytwarzania taśmy klejącej
TW201315790A (zh) 2011-10-05 2013-04-16 Bk Chemical Co Ltd 用於動態接捲自分離型之雙面膠帶結構與使用方法
US9090383B2 (en) 2011-12-01 2015-07-28 Sealstrip Corporation Tape sealed reclosable bag
US8567674B2 (en) * 2012-02-28 2013-10-29 Ncr Corporation Two-sided sheet contain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ravel-related document items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to provide such a two-sided sheet
US20140037882A1 (en) * 2012-07-31 2014-02-06 Chem Link, Inc. Processes and structures employing silane-containing polyolefin films tenaciously adhered to substrates
TWI591040B (zh) 2012-10-22 2017-07-11 康寧公司 玻璃纖維網和拼接的方法
US8877312B2 (en) * 2012-12-11 2014-11-04 Chung-Chin Wang Flying splices tape
EP2818348B1 (en) * 2013-06-24 2018-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d seal construction
DE102015214193A1 (de) * 2015-07-27 2017-02-02 Tesa Se Klebeband fü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US9533813B1 (en) * 2015-09-27 2017-01-03 Sealstrip Corporation Re-closable, tamper-resistant, stand-up package
US10457512B2 (en) 2016-09-19 2019-10-29 New Era Converting Machinery, Inc. Automatic lapless butt material splice
DE102016119520A1 (de) * 2016-10-13 2018-04-19 Aytec Automation Gmbh Verfahren zur Herrichtung von Strangmaterial für die Verarbeitung von Dichtungen
US9855724B1 (en) 2017-02-10 2018-01-02 Custom Adhesive Products Llc Splice tape with internal, interlayer separation interface
US20180320028A1 (en) * 2017-05-08 2018-11-08 Tesa Se Combined adhesive system for flying splice tape and double-sided tape
DE102017217094A1 (de) * 2017-09-26 2019-03-28 Tesa Se Klebeband und Flachbahnmaterial mit einem derartigen Klebeband
US9909035B1 (en) * 2017-09-29 2018-03-06 Mayapple Baby Llc Mountable articles, dual-adhesive-adhesive tape and mounting methods using them
WO2019083675A1 (en) * 2017-10-24 2019-05-02 Bemis Company, Inc. RECYCLABLE FILM AND PACKAGING
EP3765576A4 (en) * 2018-03-15 2022-03-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JOINT FOR PAVEMENT STRIPS
DE102019220424A1 (de) 2019-12-20 2021-06-24 Tesa Se Klebmasse geeignet fü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von Materialien mit niederenergetischen Oberfläch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3568A (en) 1966-11-14 1970-03-31 Eastman Kodak Co Attaching tape
GB1220882A (en) 1968-02-09 1971-01-27 Sterling Coated Materials Ltd Sealing means
US4398985A (en) 1980-02-08 1983-08-16 Kimberly-Clark Corporation Releasable, self-detackifying laminate construction
US4388432A (en) 1981-12-15 1983-06-14 Permacel Repulpable acrylic acid 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4413080A (en) 1982-06-21 1983-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ape made therewith
US4482675A (en) 1982-12-13 1984-11-13 Colgate-Palmolive Company Water-solu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4569960A (en) 1983-09-06 1986-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ape made therewith
US4905924A (en) 1989-07-10 1990-03-06 Enkel Corporation Web splicing tape
SE466346B (sv) 1989-12-01 1992-02-03 Jan Olof Norrman Saett att skarva en loepande materialbana med ett vidhaeftningselement
JPH03218833A (ja) * 1990-01-25 1991-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巻取紙仕立て方法
ES2089045T3 (es) * 1990-04-03 1996-10-01 Voith Gmbh J M Procedimiento para unir el principio de banda de una bobina en un punto de empalme con el extremo final de banda de una banda que sale de otra bobina.
US5102733A (en) 1990-07-23 1992-04-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pulp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ructions
US5125995A (en) 1990-09-10 1992-06-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using a water-dispersi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n cloth body coverings
WO1993006184A1 (en) 1991-09-23 1993-04-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REPULPABLE UNDER ACIDIC pH CONDITIONS
US5323981A (en) * 1991-12-13 1994-06-28 Sequa Corporation Splicer tape system
DE9201286U1 (ko) 1992-02-03 1992-05-07 Bosse, Rolf, Dr.-Ing., 8011 Grasbrunn, De
DE9215731U1 (ko) 1992-02-03 1993-03-04 Bosse, Rolf, Dr.-Ing., 8011 Grasbrunn, De
DE4210329A1 (de) 1992-03-30 1993-10-07 Koenig & Bauer Ag Anordnung zum Verbinden aufeinanderfolgender, zu Rollen gewickelter Papierbahnen
US5275344A (en) * 1992-09-28 1994-01-04 Dennis Ray Paster tab
NL9300707A (nl) 1993-04-26 1994-11-16 Knp Papier Bv Werkwijze voor het lassen van een papierbaan en een kleefstrook ten gebruike bij deze werkwijze.
CN1064019C (zh) 1994-04-26 2001-04-04 美国3M公司 拼接胶带和使用该拼接胶带的拼接方法
GB9420900D0 (en) 1994-10-17 1994-11-30 Barrett Gary A Dry peel nose tab
DE19628317A1 (de) * 1996-07-13 1998-01-15 Beiersdorf Ag Klebeband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DE19632689A1 (de) 1996-08-14 1998-02-19 Beiersdorf Ag Klebeband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EP0941954A1 (en) 1998-03-13 1999-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DE19830673A1 (de) 1998-07-09 2000-01-13 Beiersdorf Ag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DE19830674A1 (de) * 1998-07-09 2000-01-13 Beiersdorf Ag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DE19841609A1 (de) 1998-09-11 2000-03-16 Peter Prinz Haftelement oder -streifen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697A (ko) * 2011-12-07 2014-10-31 빌딩 머티리얼즈 인베스트먼트 코포레이션 열가소성의 단일 플라이형 보호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8228B2 (en) 2002-12-03
CA2632081A1 (en) 2002-03-28
DE60120196T2 (de) 2007-03-29
WO2002024562A2 (en) 2002-03-28
TWI241953B (en) 2005-10-21
DE60120196D1 (de) 2006-07-06
CA2422670A1 (en) 2002-03-28
CA2422670C (en) 2009-04-07
CN1462255A (zh) 2003-12-17
JP2004509039A (ja) 2004-03-25
WO2002024562A3 (en) 2002-10-10
AU2001291043A1 (en) 2002-04-02
EP1318962B1 (en) 2006-05-31
EP1318962A2 (en) 2003-06-18
BR0114084B1 (pt) 2010-03-09
US20020056784A1 (en) 2002-05-16
BR0114084A (pt) 2003-07-29
CN1263663C (zh) 2006-07-12
JP4903353B2 (ja) 2012-03-28
ATE327957T1 (de)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0414A (ko) 플라잉 접속용 테이프와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US6432241B1 (en)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US5916651A (en) Adhesive tape and method of using it
US6637697B1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EP1062173B1 (en)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US7152825B2 (en) Adhesive tape for flying splice
JP5734551B2 (ja) 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
JP2005538211A (ja) 分離部を備えたスプライステープ
US9034451B2 (en) Splicing adhesive tape comprising splittable connector elements
US20020192415A1 (en) Stack of adhesive articles
JP6122465B2 (ja) 互いに並行して配置されているラミネート剤ストリップを備えたスプライステープの使用、スプライステープ、該スプライステープを用いたスプライシング方法、及び該スプライステープを含む巻きロール
US8545653B2 (en) Adhesive tape for producing a joint during a static reel change
JPH09501901A (ja)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接着テープ
JPH1035963A (ja) 巻き取りシートの末端部仮止め兼連結用粘着テープ
US20030134111A1 (en) Adhesive tape for reel changeover and use thereof
JP2003301146A (ja) 層間剥離両面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