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17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175A
KR20040029175A KR10-2004-7003735A KR20047003735A KR20040029175A KR 20040029175 A KR20040029175 A KR 20040029175A KR 20047003735 A KR20047003735 A KR 20047003735A KR 20040029175 A KR20040029175 A KR 2004002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torage device
power
elev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770B1 (ko
Inventor
반노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전지에 의한 전력축적장치(30)를 사용한 성에너지형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전력축적장치(30)는 직류전력을 저장 또는 방출하는 전력축적부 (31)와 전력축적부(31)의 충방전을 하는 충방전 회로부(32)와, 전력축적부(31)의 온도 또는 그 입출력 전류 또는 전압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는 계측부(33)와, 계측부(33)의 출력에 따라 전력축적부(3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34)를 포함하고, 또 필요에 따라 전력축적부(31)에 송풍하는 송풍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전력축적장치(30) 또는 적어도 그 소정의 구성부분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1)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승강로(1)내에 배치된 제어반(10)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성스페이스화가 도모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근년,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예를 들면 권양기 및 제어반을 승강로내에 설치해서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는 엘리베이터가 보급되고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에는 그 회생운전시에는 직류전력을 저장하고 역행운전시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소위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에서 전력축적장치를 실장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과제이고 예를 들면 전력축적장치에 사용하는 2차전지를 길게 적층한 것을 승강로의 귀퉁이에 설치하는 예가 제시 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2차전지를 컴팩트하게 정리하는 동시에, 2차전지를 포함하는 전력축적장치를 성스페이스 적으로 설치하고 취급, 보수 등에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은 아직 제공되어 있지 않다.
즉, 2차전지 등을 사용한 전력축적장치에 대해 승강로 스페이스가 좁은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에 관해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어느 부분에 전력축적장치를 배치하는 카가 과제로 되어 있었다.
또, 2차전지를 사용한 전력축적장치는 일반적으로 충방전 효율이 좋은 적정한 온도범위가 있으므로 그 온도범위까지 간단한 수단으로 냉각하거나 보다 효율적으로 송풍한다는 것이 과제가 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의 성스페이스인 메리트를 손상하지 않고 2차전지와 같은 전력축적장치를 적절하게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로 인해, 전력축적장치에의 케이블류의 삭감, 또 그 보수ㆍ점검이 쉽게 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2차전지 등을 사용한 전력축적장치를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소음을 가능한 한 억제해서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전력축적장치에 대해 효율 좋게 송풍해서 냉각하기 위한 송풍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해, 직류모선에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모선에 접속되고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반을 구비하고, 상기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해서 엘리베이터 카를 운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직류모선과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하는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력축적장치는 상기 직류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해 상기 직류모선에 전력을 방출하는 전력축적부와, 상기 직류모선과 상기 전력축적부 사이에 접속된 충반전 회로부와, 상기 전력축적부의 온도 또는 그 입출력 전류 또는 전압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전력축적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력축적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어반과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전력축적장치는 전력축적부와 충방전 회로부와, 계측부와,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반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가, 또는 적어도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의 어느 것인가가, 제어반과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로내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어반과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전력축적장치는 전력축적부와 충방전 회로부와 계측부와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반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가, 또는 적어도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의 어느 것인가가 제어반과 별체로 형성되어 제어반의 근린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피트내에 설치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축적장치 또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가, 상기 제어반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하는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직류모선에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모선에 접속되어 상기 직류전력에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반을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해서 엘리베이터 카를 운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직류모선과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하는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력축적장치는 상기 직류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직류모선에 전력을 방출하는 전류축적부와, 상기 직류모선과 상기 전력축적부와의 사이에 접속된 충방전 회로부와, 상기 전력축적부의 온도 또는 그 입출력 전류 또는 전압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전력축적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와 전력축적부에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력축적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어반과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전력축적장치는 전력축적부와 충방전 회로부와, 계측부와 충방전 제어부, 송풍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반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가 또는 적어도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 송풍부의 어느 것인가가, 제어반과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로내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어반과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전력축적장치는 전력축적부와 충방전 회로부와 계측부와, 충방전 제어부, 송풍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반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가, 또는 적어도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 송풍부의 어느 것인가가, 제어반과 별개로 형성되어 제어반의 근린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피트내에 설치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축적장치 또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 충방전 회로부, 계측부, 충방전 제어부, 송풍부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가, 상기 제어반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가, 다수의 전력축적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적층한 전력축적모듈을 다수 포함하고 이 전력축적모듈을 병렬로 다수 배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력축적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호적한 예로써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는 상기와 같은 전력축적유닛을 1개 또는 여러개 접속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다수의 전력축적모듈을 수평방향에는 바둑판상 또는 물떼새 배열상으로 배열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전력축적모듈을 데미와 함께 배열해서 수평방향의 통풍로의 균일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전력축적모듈에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전력축적모듈에 근접해서 소정거리 떨어져 구비하고 있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전기적으로 접속한 다수의 모듈의 전력을 전력축적유닛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전력전달부재를 구비한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전력축적모듈의 온도 또는 전압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전력축적모듈을 지지하는 기판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 기판을 전력전달부재 또는 정보전달부재로 사용한다.
또 호적한 예로는 전력축적유닛은 다수의 전력축적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직류전력의 저장방출을 하는 전력축적장치를 또는 적어도 그 구성부분을 승강로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전력축적장치에 접속하는 케이블류를 짧게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보수ㆍ점검도 쉬워진다.
또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를 유닛화함으로써 전력축적부를 쉽게 운반, 보수ㆍ점검 교환할 수가 있다.
또 다수의 유닛의 조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2차전지 등에 의한 전력축적장치를 사용한 성에너지형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전력축적장치의 회로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전력축적장치를 포함하는 복합반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에서 사용하는 전력축적용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전력축적부에서의 모듈의 배열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전력축적부에서의 각종의 모듈 배열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전력축적부에서의 모듈의 또다른 배열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전력축적부에 사용하는 전력축적유닛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0은 지지부재의 예로써의 지지판을 표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전력축적유닛의 전기회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수평방향에서 본 부분 입면도, (B)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각각 엘리베이터 장치 요부의 배치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승강로의 벽면, 3은 승강로(1)가 대향하는 벽면을 따라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 4는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 5는 엘리베이터(4)의 권양기, 6은 균형추를 표시한다. 또 7은 주삭이고, 도시는 생략하나 일단이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권양기(5)와 엘리베이터 카(4)의 하측의 풀리에 감겨, 타단이 균형추(6)에 결합되어 있고 권양기(5)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4)를 승강시킨다. 8은 층상을 표시한다.
다음, 10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0은 권양기 구동용의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 40은 제어장치(10)와 전력축적장치(30)를 일체로 구성한 복합반이다.
41은 한쌍의 부착 암이고, 각각 일단이 가이드레일(3)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3)에서 승강로 벽면(2)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고 그 말단에서 복합반(40)의 상하 양단을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합반(40)은 승강로의 벽면(2)과 엘리베이터 카(4)와의 사이의 극간에 배치되고, 가이드레일(3)에 설치되고 특별한 설치스페이스를 취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10)와, 전력축적장치(30)의 회로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우단부분은 도 1에 표시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하드부분을 표시하고 권양기(5)가 유도전동기 IM에 구동되고, 권양기(5)에 감긴 주삭(7)을 구동해서 주삭(7)의 양단에 결합된 카(4)와 균형추(6)를 승강시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9는 인코더를 표시한다.
제어장치(10)에서 11은 3상 교류전원, 12는 3상 교류전원에 접속된 컨버터, 13은 컨버터의 출력회로에 접속된 직류모선(13)이고, 컨버터(12)는 3상교류전력을 교직변환해서 직류모선(13)에 직류전력을 출력한다.
14는 직류모선(13)에 접속된 인버터, 15는 교류출력선, 16은 교류출력선(15)의 CT이고, 인버터(14)는 직류모선(13)으로부터의 직류입력을 직교변환해서 교류출력선(15)에 교류전력을 출력한다. 17은 컨트롤러, 18은 인버터 제어회로, 19는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이고, 인버터 제어회로(18)는 인코더(9)와 CT(1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얻어 게이트 드라이브회로(19)를 제어한다.
또, 20은 회생저항, 21은 회생저항 제어회로를 표시한다.
다음, 전력축적장치(30)에서 31은 전력축적부, 32는 전력축적부(31)와 직류모선(13)과의 사이에 접속된 충방전 회로부, 33은 전력축적부(31)의 상태를 계측하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계측부, 34는 계측부(33)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충방전 회로부(32)를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표시한다.
또 부연하면 전력축적부(31)는 직류모선(13)으로부터 직류전력을 얻어 저장하고, 또는 직류모선(13)에 직류전력을 방출한다. 충방전 회로부(32)는 직류모선 (13)과 전력축적부(31)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전력축적부(31)의 충반전을 실시한다. 계측부(33)는 전력축적부(31)의 온도 또는 그 입출력 전류 또는 전압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한다. 또 계측부(33)는 직류모선(13)에도 접속되어 그 전압을 계측한다.
충방전 제어부(34)는 계측부(33)의 출력에 따라 충방전 회로부(32)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축적부(31)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이 전력축적장치(30)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회생운전시에 직류모선(13)으로부터의 직류전력을 축적하고, 역행운전시에는 축적된 직류전력을 직류모선(13)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정원승차로 카(4)를 승강시킬 때에, 카(4)의 하강시는 회생운전, 상승시에는 역행운전이 된다. 또 무부하로 카(4)를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카(4)의 하강시는 역행운전, 상승시에는 회생운전이 된다.
이와 같은 전력축적장치의 회로구성의 예와 그 동작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바대로이고,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공P2001-240323A, P2001-240324A에도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장치 (10)를 수납하는 제어반중에 전력축적장치(30)를 일체로 조립해서 복합반(40)으로 한 것이다.
즉, 제어장치(10)를 수납하는 제어반을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설계함으로서 제어반내에 전력축적장치(30)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축적장치(30)를 제어장치(10)의 제어반과 일체화함으로서 양자간의 배선케이블 등을 짧게 설계할 수가 있고 스페이스 효율을 좋게 할 수가 있다.
종래로부터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단히 성스페이스화 되어 설계되어 있고, 본 발명과 같이 종래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예를 들면 2차전지 등의 전력축적장치(30)를 부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새로 부가되는 전력축적장치(30)를 스페이스 적으로 헛됨이 없이 설치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현재의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에 적용되고 있는 제어반은 승강로 스페이스의 유효비용이나 관수대책을 위해, 예를 들면 최하층의 층상높이로부터 위쪽이고, 카실과 벽 사이에 박형으로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계된 제어반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승강방향에는 기타의 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전력축적장치(30)를 부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전력축적장치(30)를 구체적으로는 그 구성요소인 전력축적부(31),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충방전 회로부(32), 또 그 충방전 회로부(32)를 제어하기 위한 충방전 제어부(34) 등의 기기를 종래로부터의 제어반을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설계함으로서 제어반내에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전력축적장치를 스페이스 적으로 손실없이 설치할 수가 있고, 또, 보수ㆍ점검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수가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30)는 도 2에 그 구성부분을 표시한 것의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의 모두가 제어장치(10)와 일체로 복합반(40)에 일체로 내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력축적장치(30)의 구성부분의 모두가 제어장치(10)와 일체가 아니더라도, 적어도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 (34)의 어느 것인가 또는 그 몇개인가가,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제어장치(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들 기기의 설치에서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 경우에, 제어장치(1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구성부분은 별체로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도 승강로(1)외에 배치되어도 상관이 없다.
실시의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수평방향에서 본 부분 입면도, (B)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로 각각 엘리베이터 장치 요부의 배치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에서, 10은 제어장치이고, 구체적으로는 제어반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30은 전력축적장치이고, 구체적으로는 전력축적장치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41은 한쌍의 부착 암이고, 각각 일단이 가이드레일(3)에 고정되고, 그 말단에서 제어장치(제어반)(10)의 상하 양단을 고정하고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제어장치와 이것을 하드화한 반(제어반)을 모두 부호(10)로 표시하고, 전력축적장치와 그 반(전력축적장치반)을 모두 부호(30)로 표시한다.
42는 다른 한쌍의 부착 암이고, 각각 일단이 가이드레일(3)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3)로부터 승강로 벽면(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고 그 말단에서 전력축적장치반(30)의 상하 양단을 고정하고 있다. 전력축적장치반(30)을 제어반(10)에 가깝고 그 바로 위에서 승강로 벽(2)과 카(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어반(10)은 승강로의 벽면(2)과 엘리베이터 카(4) 사이의 극간에 배치되어 있고 전력축적장치반(30)도 승강로의 벽면(2)과 엘리베이터 카(4)와의 사이의 극간에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레일(3)에 부착되고, 특별한 설치스페이스를 취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므로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3(B)의 평면도에서 제어반(10)과 전력축적장치반(30)은 겹쳐지므로, 전력축적장치반(30)만 보인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기기와 새롭게 부가하는 기기를 나누어,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19)와는 별개로 새롭게 부가되는 전력축적장치(30)를 별개로 전력축적장치로 설계하고, 그 전력축적장치반(30)을 제어반 (10)에 근접해서 승강로방향 상부에 바람직하게는 제어반(10)의 바로 위에 설치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이 최하증의 층상높이 부근에 설치되고, 이에 전력축적장치반(30)을 부가설치하는 경우, 전력축적장치반(30)을 최하층 층상에 위치하는 카의 높이보다 위쪽에 설치함으로서, 카(4)의 위에서 보수ㆍ점검을 할 수가 있다. 또 제어반(10)으로부터도 비교적 가깝고 엘리베이터의 다른 기기의 부착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전력축적장치(30)는 별개반이 되므로, 제어반(10)은 배선케이블을 연결하는 기기를 증설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고, 새롭게 제어반을 설계할 필요가 없다.
즉 전력축적장치반(30)을 제어반(10)의 옵션으로 설계하면 된다.
또, 도 3에서는 새로히 부가하는 전력축적장치(30)를 전력축적장치반으로서 제어반(10)의 위쪽에 설치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이것은 승강로(1)에서의 제어반 (10)의 위치에 따라서는, 제어반(10)의 아래쪽에 설치해도 된다. 어느 쪽이던, 일반적으로 승강로(1)내에 여분의 스페이스는 없는 것이 보통이고, 그중에서도, 제어반(10)의 위쪽 또는 아래쪽이 제어반(10)을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을 정도로 비어 있고 이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전력축적장치반(30)의 가로폭과 안쪽으로의 깊이, 즉 수평방향의 단면은, 제어반(10)의 가로폭과 안쪽으로의 깊이와 거의 같은 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배치스페이스상 편리하다. 그리고 전력축적장치반(30)을 제어반(10)의 바로 위 또는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도 1에 표시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제어반(10)을 승강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해서 전력축적장치(30)를 일체화해서 복합반(40)을 구성한 경우, 복합반 (40)의 높이가 너무 높게 되면, 예를 들면 제어반(10)이 최하증의 층상높이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보수ㆍ점검작업 때 발판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손이 닿지 않을 때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성이 나빠지고, 작업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본 실시의 형태 2와 같이 전력축적장치반(30)을 별반으로 해서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승강이 2층상의 엘리베이터나 승강행정이 짧은 엘리베이터 등은 제어반 (10)의 상하방향으로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예를 들면 제어반(10) 가까이의 승강로 벽(2)의 적당한 위치에 전력축적장치반(30)을 설치하거나 아니면 전력축적장치반(30)을 승강로(1) 하부의 피트에 설치하는 등, 승강로내의 스페이스가 비어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다른 기기의 재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적절하다고 본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30)는 도 2에 표시한 구성부분인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를 포함해 전체로 하나의 반으로 형성되고, 승강로(1)내에서 제어장치(10)의 바로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력축적장치(30)의 구성부분의 모두가 전력축적장치로서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적어도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의 어느 것인가 또는 그 몇개가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반으로 형성되고, 승강로(1)내에서, 제어장치(10)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이들 기기의 설치의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경우, 전력축적장치(30)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은 다시금 별체로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도, 승강로(1)외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 제어반(10)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력축적장치(30)를, 또는 이를 구성하는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또는 그 몇개를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1)내에 설치하는 것은 제어반(10)이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이들 기기의 설치의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전력축적장치를 포함하는 복합반의 개략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40은 제어장치(10)와 전력축적장치(30)를 일체로 내장한 복합반, 42는 그 광체, 31은 내장된 전력축적부를 표시한다. 52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용의 단위전지를 적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력축적모듈이다. 이와 같이, 전력축적부(31)는 다수의 전력축적모듈(52)을 병렬로 배열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35는 전력축적부(31)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배치된 팬의 송풍장치를 표시한다. 팬(35)은 복합반(40)과 일체로 배치되고 예를 들면 그 광체(42)에 고정되어 있다.
전력축적부(31)는 그 온도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송풍장치(35)를 전력축적부(31)쪽에 배치해서 전력축적부(31)를 향해 송풍한다(도시 화살표 참조). 송풍은 도 4의 좌측에서 송풍장치(35)에 내장되어, 전력축적부(31)를 통풍냉각해서 광체(42) 우측의 통풍창(36)에서 배출된다.
또, 상기 한 예에서는 도 4에서 복합반(40)에 송풍장치(35)가 설치되어 있는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어장치(10)와 전력축적장치(30)가 별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풍장치(35)는 전력축적장치반(30)에 설치된다. 이 경우, 도 4의 복합반(40)을 전력축적장치반(30)으로 보면 된다.
다음 본 발명에 적용하는 전력축적부(31)의 전력축적용 전지의 배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력축적용의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한개의 단위전지(51)(본 발명에서는 전력축적셀 또는 단지셀이라고도 한다)를 표시하고 위쪽의 도면에 측면도, 아래쪽의 도면이 하면의 단면도(부극측)를 표시한다.
또, 도 5(B)는 전력축적모듈(52)(본 발명에서는 단지모듈이라고도 칭한다)를 표시하고, 다수의 셀(51)의 정부전극을 접속해서 길이방향으로 적층하고, 전기적으로 종속접속한 것이다. 도면의 예에서는 6개의 셀(51)을 접속하고 있고 위쪽의 도면이 측면도, 아래쪽의 도면이 하면의 단면도(부극측)를 표시한다. 또 도 5(B)에서는 전력축적모듈(52)로서, 다수의 셀(51)을 단순히 전기적으로 종속접속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전력축적모듈(52)은 다수의 셀(51)의 종속접속과 병렬접속이 조합되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6은 전력축적부(31)에서의 모듈의 배열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52는 모듈을 표시하고, 53은 전극접속용의 부스바를 표시한다. 부스바(53)는 모듈(52)의 상하단에서 2개의 셀(5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기계적으로도 고정하는 바입니다. 도 6의 예에서는, 4개의 모듈(52)이 전기적으로종속접속되어 있다. 또 도 6에서는 전력축적부(31)로서 복수의 모듈(52)을 단순히 전기적으로 종속접속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는 전력축적부(31)는 다수의 모듈(52)의 종속접속과 병렬접속이 조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전력축적장치(30)의 전력축적부(31)에 사용하는 2차전지 등의 전력축적용의 전지(셀)(51)는 예를 들면 니켈수소전지나 리튬이온전지라는 종류가 있고, 또 형상으로는 원통형 또는 각형 등이 있다. 또 도 5(B)와 같이 셀을 5개 또는 6개 등 직렬접속해서 모듈화 한 것 등 여러가지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최대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30)에 모두 충전하기 위해서는 셀(51) 또는 모듈(52)을 여러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셀(51) 또는 모듈(52)의 개수의 결정방법은 엘리베이터 또는 모터의 속도용량에 의하는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엘리베이터 회생운전시의 최대전력을 모두 충전시킬 수 있을 만큼의 셀(51)을 사용하는 것이 전력의 고효율화측에서 보아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최대 회생전력이 약 2㎞정도의 엘리베이터에서 단위전지당 50w의 전지(셀)를 40개 사용하면 좋다.
전력축적부(31)의 형태의 예로써 셀(51)을 접속해서 모듈화 한 것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나 이와 같은 셀(51) 또는 모듈(52)의 접속방법에는 예를 들면 용접이 사용되고 있고, 간단하게 셀(51)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관없으나 강도가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여러개의 셀(51)을 연결한 모듈(52)을 수직방향으로 세로로 설치하면 연결부분에 전지자중에 의한 모듈(52)의 구부리는 힘을주지 않고 설치할 수가 있다.
전력축적부(31)에 대해 송풍하는 송풍장치(35)로는 예를 들면 값싼 팬이 사용된다. 여러가지 팬이 있으나, 일반적인 팬으로 축류팬, 라인플로, 시락코 (sirocco)팬 등이 있다. 송풍하는 바람의 유로폭, 형상이나 전력축적부(31)의 모듈(52)의 형상, 배치방법, 배치간격에 의해 바람의 압력손실은 결정된다. 그 압력손실과 전력축적부(31)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송풍량에 적합한 송풍장치 (35)를 결정해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음 전력축적부(31)에서의 모듈(52)의 배열방법과, 송풍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전력축적부(31)에서의 각종의 모듈 배열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7(A) ~ (C)에서 각각 위측의 도면은 상면도, 아래측의 도면은 측면도를 표시한다. 또 상면도에서 2중 동그라미는 셀의 정전극이 있는 쪽, 한번만 그린 동그라미는 셀의 부전극이 있는 쪽을 표시하고 있다. 도 7에서 52는 모듈, 54는 전력축적부(31)의 광체벽면을 표시한다. 또 부스바는 도시생략하고 있다.
도 7(A)는 전력축적부(31)에서 다수의 모듈(52)을 밀집시켜 거의 극간이 없게 나란히 한 예이다. 이 경우, 송풍장치(35)로는 압력손실에 강한 예를 들면 시락코팬은 장치로서는 크고, 또 소음이 크다. 특히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와 같이 장치를 승강로(1)내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카(4)내에의 소음외에 거실과 엘리베이터 승강로(1)가 인접해 있는 장소에서는 소음이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7(B)는 다수의 동형상의 모듈(52)을 물떼새 배열로 나란히 한 예를 표시한다. 또 도 7(C)는 다수의 동형상의 모듈(52)을 바둑판상으로 배열한 예를 표시한다.
어느 것도 인접하는 가장 가까운 모듈(52) 사이의 간격이 같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A)와 같이 다수의 모듈(52)을 접촉할 정도로 조밀하게 나란히 했을 때에는 송풍의 압력손실이 커지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7(B) 또는 도 7(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52)간에 어느 정도 공간을 갖게 함으로써, 송풍의 압력손실을 적게할 수가 있다. 또 모듈(52)의 간격을 균일하게 하도록 나열함으로서, 모듈 (52) 또는 셀(51)에 대해 균일하게 송풍되도록 된다. 특히 다수의 동형상의 모듈 (52)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모듈(52)을 물떼새 배열(도 5(B)) 또는 바둑판상 배열(도 5(C))로 하면 균일하게 송풍된다.
또, 압력손실이 작으므로 축류팬 등의 압력손실에 강하지 않은 팬이라도 충분히 송풍이 가능하고 소음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도 8은 전력축적부(31)에서의 전력축적용의 모듈(52)의 또다른 배열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A),(B)에서 각각 위측의 도면은 상면도, 아래측의 도면은 측면도를 표시한다. 또 상면도에서 2중으로 친 동그라미는 셀의 정전극이 있는 단면, 한번 친 동그라미는 셀의 부전극의 어느 단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8에서, 52는 모듈, 54는 광체벽면, 55는 모듈의 더미를 표시한다. 더미 (55)는 모듈(52)을 종단 2분한 것과 같은 외형을 갖는 반통체 또는 반봉상태의 것이고 그 평면이 벽면(54)에 접해서 배치되고, 곡면이 인접하는 모듈(52)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듈(52)끼리의 사이의 거리와, 모듈(52)과 더미(55)와의 사이의 거리가 같게 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모듈(52)과 더미(55)를 합친 것의 배치를 균등하게 하거나 또는 상호간격을 균등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전력축적부(31)내로 균일하게 송풍하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송풍이 벽면(54)에 편중하지 않고 전력모듈(52)끼리의 공간에도 충분히 송풍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모듈(52)끼리의 공간에도 충분히 송풍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모듈 (52)의 더미(55)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더미(55)라는 것은 그 외형이 모듈(52)의 더미로 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이 모듈(52)과 동형상 또는 동형상에 가까운 것을 벽면(54)에 배치함으로서, 모듈(52)끼리의 공간에 더해서, 벽면(54)과의 공간도 균일하게 한다. 또는 벽면(54)에 날개형상의 것을 배치함으로서, 벽측을 흐르는 바람을 적극적으로 모듈(52)간에 송풍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것도 넓은 의미에서 더미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과 같이, 평면상의 벽면에 둘러싸인 공간에 예를 들면 동형상의 원통형상의 모듈(52)만을 배열한 경우에는 송풍한 바람이 주로 평면의 벽측에 따라 흘러가므로 모듈(52)끼리의 공간이 충분히 송풍되지 않고, 열이 축적되기 쉽다. 이는 모듈(52)의 수평 단면이 원형상에 한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가 있다. 이 대책으로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벽면(54)에 더미(55)를 배치하면 모듈(52)간을 흐르는 송풍을 균일화 할 수가 있다.
전력축적용 전지(셀)(51)의 예로는 2차 전지가 있으나, 2차 전지의 충방전 효율은 온도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면 니켈수소전지의 경우, 전지사용온도로서 0 ~ 40도, 충방전효율이 좋은 온도는 20 ~ 30도이고, 0 ~ 20도는 방전효율이 나쁘고 30 ~ 40도는 충전효율이 나쁘다. 이 때문에, 니켈수소전지는 30도이상이 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팬 등의 송풍장치(35)를 사용해서 송풍을 해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수의 셀(51) 또는 모듈(52)을 사용하는 경우 각 셀(51) 또는 모듈(52)의 온도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해둘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니켈수소전지에서 A, B 2개의 니켈수소전지를 직렬 접속해서 충방전을 한다고 한다. A가 고온이고, B가 저온이었을 때 A는 충전효율이 나쁘고, B는 방전효율이 나쁘다. 충방전을 한 결과, 충전량이 A < B로 되어 불균일하게 되고 시스템 전체로서의 충전량의 파악이 어렵고 어느 전지만 과충전, 과방전해, 그 과충전, 과방전에 의해 장치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대책을 취하면 이 종류의 문제는 해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30)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적당한 수의 셀(51)과 모듈(52)에 의해 적당한 용량의 전력축적장치(30)를 구비할 수가 있고 저소음이고 또 송풍효율이 좋은 송풍방법을 수반한 전력축적장치(30)가 얻어진다.
또,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전력축적장치(30)에 송풍장치(35)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1에 이 실시의 형태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30) 또는 그 전력축적부(31)에 송풍장치(35)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실시의 형태 1과의 관련에서는 송풍장치(35)를 포함하는 전력축적장치(30)의 전체 또는 그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 및 송풍부(35)중의 어느 것인가, 또는 그 몇개인가가 제어반(10)과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또 실시의 형태 2와의 관련에서는 송풍장치(35)를 포함하는 전력축적장치 (30)의 전체 또는 그 전력축적부(31), 충방전 회로부(32), 계측부(33), 충방전 제어부(34) 및 송풍부(35)중의 어느 것인가 또는 그 몇개인가가 제어반(10)과 별체로 형성되고, 승강로(1)내에 설치되게 된다.
실시의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전력축적부에 사용하는 전력축적유닛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측면도, (B)는 상면도, (C)는 하면도를 표시한다.
도 9에서, 60은 전력축적유닛(본 명세서에서 단지유닛이라고도 함), 61은 전력축적유닛의 광체, 62는 모듈실, 63은 하부스페이스, 64는 상부스페이스를 표시한다. 또 65는 하부의 기판이고, 모듈실(62)과 하부스페이스(63)를 구분하는 격벽이 되어 있다. 66은 상부의 기판이고, 모듈실(62)과 상부스페이스(64)를 구분하는 격벽으로 되어 있다.
67은 모듈(52)을 지지고정하는 지지판 등의 지지부재, 68은 전력전달용의 배선, 69는 전력전달용의 커넥터이다.
또, 35는 송풍장치를 표시한다.
모듈실(62)에는 다수의 모듈(52)이 수직으로 놓여져 소정의 간극으로 배열되고, 상하단은 상부기판(66)과 하부기판(65)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다수의 더미(55)가 광체(61) 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모듈(52)의 상면과 하면은 도 9(B),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모듈(52)이 부스바(53)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모듈(52)의 직렬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직렬회로의 양단의 모듈(52)에는 도 9(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70)가 결합되어 있다.
단자(70)는 배선(68)을 통해서 커넥터(69)에 접속되고, 외부와의 전력의 전달이 실시된다. 커넥터(69)는 보호상 또는 핑거 프로텍터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호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70), 배선(68), 커넥터(69) 등으로 전력전달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전력축적유닛(60)은 그 자체로 전력축적부(31)로서의 기능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사양에 의해 유닛화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필요전력은 엘리베이터의 속도, 용량에 의해 변화한다. 이에 따라 전력축적부(31)의 용량도 변환하고 필요한 셀(51)의 수, 모듈(52)수도 변환하나, 필요 최소의 셀(51)의 수로 유닛화하고, 그 배수로 적용수를 결정하면 같은 형상의 유닛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다른 필요전력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유닛을 공통화할 수 있고 설계나 관리도 쉬워진다.
또, 이와 같이 소정개수의 모듈(52)을 하나의 유닛(60)으로 구성하면, 셀 (51)의 수명이 다되었을 때, 유닛(60)과 교체할 수가 있어 편리하다. 예를 들면 모듈이 10개정도로 유닛화 되어 있으면 모듈(52)을 하나씩 교체작업을 하기 보다 예를 들어 전지교환 등이 작업효율이 좋다.
예를 들면 니켈수소전지와 같이 전력축적전지에는 일반적으로 수명이나 열화가 생각된다. 니켈수소전지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기계적 수명보다 니켈수소전지의 수명이 짧다. 그래서, 전력축적용의 보수ㆍ점검, 교환이라는 작업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유닛(60)을 구성해두면, 모듈 (52)을 하나씩 작업을 하는 것보다 작업효율이 좋다.
또 전력축적유닛(60)의 적합한 일 예로, 전력전달부재를 그 충전부에 직접 접촉할 수가 없는 구조로 유닛화 해두면, 운동효율도 좋고 운반, 보수ㆍ점검, 교환시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 전력축적유닛(60)의 적합한 한 예로, 기판(65)으로는 대전류기판 같은 배선기판을 사용함으로서 전력의 전달에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대전류기판을 사용해서 모듈(52) 등을 예를 들면 나사고정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 비교적 경비를 들이지 않고 쉽게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모듈(52)을 쉽게 결정된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또 전력축적유닛(60)의 적합한 예로써, 도 9(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듈을 지지부재(67)로 지지고정 한다.
도 10에 지지부재의 예로, 지지판(67)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이는 모듈(52)이나 더미(55)를 통과시키는 부분에 원형의 구멍을 꿇는 판부재이다. 이와 같이, 모듈부재(67)를 판상으로 해서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67)의 단부를 광체 (61)에 결합하고, 송풍장치(35)의 송풍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52)이 예를 들면 원통형의 단 셀 니켈수소전지를 접속해서 작성한 경우, 그 접속부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셀 세로방향에서 수직으로 쌓아 올리면, 설치후는 대응이 되나, 전지수송시는 접속부에 하중이 걸리므로, 그 접속부분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도 9,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은 모듈지지판(67)에 의해 모듈(52)을 지지하면, 지지강도를 올릴 수가 있다.
또,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67)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면, 송풍장치(35)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송풍한 바람을 크게 방해하는 일 없이 셀(51)을 지지할 수가 있다.
또,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냉각팬 등의 송풍장치(35)로부터의 송풍이 지지판(67)을 따라 흐르도록 송풍장치(35)의 위치와 지지판(67)의 위치를 조정하면 모듈(52)의 열이 비교적 집중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송풍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축적유닛(60)내에 있는 다수의 모듈(52) 또는 셀(51)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지지판(67)을 열전도율이 높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것으로 작성한 경우, 지지판 자체가 냉각팬의 역활을 하고 전지의 냉각효율이 올라간다. 또 지지판(67)을 수지 같은 비도전성의 것으로 작성한 경우에는 다수의 전지를 유닛화 할 때에 절연내력이 향상되고, 안전하게 유닛화 할 수가 있다.
또, 전력축적유닛(60)의 적합한 한 예로써, 상기 유닛(60)에 송풍장치(35)를 내장시켜 고정한다.
송풍장치(35)를 조합해 둠으로써 유닛(60)의 송풍구조와 밀폐구조를 쉽게 만들어 낼 수가 있다. 또 이로 인해 모듈(52)과의 위치관계도 쉽게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모듈(52)간에 균일한 송풍을 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축류팬에서는 팬의 전후 가까이 예를 들면 20㎜정도에 물체가 있을 때에 소음치가 커진다. 유닛(60)에 송풍장치(35)를 장착함으로서, 송풍장치 (35)와 모듈(52)이 어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가 있고 소음을 억제한 구조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전력축적유닛(60)의 호적한 일 예로써 유닛(60)내의 모듈(52)에 온도검출기(72)를 배치하고 그 온도를 계측한다. 또 각 모듈(52)에서의 전압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모듈(52)에서의 온도, 전압을 외부로 전달하는 정보전달수단을 설치한다. 이는 다수의 니켈수소전지를 사용한 유닛(60)의 전력량을 치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셀(51) 또는 모듈(52)의 온도, 전압을 측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계측하는 온도, 전압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부재로서, 도 9에 표시한 기판(65),(66)상의 배선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로써 간단한 접속으로 모듈 (52)의 정보를 파악할 수가 있다. 또 동일한 기판(65)상에 전력전달부재와 정보전달부재를 형성하고, 일체기판이라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온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51)의 충전량을 균일하게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온도계측에 대해서는 전력축적부(31)가 유닛화되고 송풍장치(35)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송풍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그 유닛(60)내에서의 최고온도와 최저온도가 되는 모듈(52)의 점이 있다. 적어도 그 2점의 모듈(52)의 온도를 계측하면, 모듈(52)의 온도의 최대의 흐트러짐이 파악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전압은, 전지(셀)(51)의 과충전, 과방전을 감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특히 전지(51)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각각의 전지(51), 또는 소정의 수의 전지(51)로 나누어 과충전 과방전을 감시한 쪽이 안전하다. 왜냐하면, 예를 들면 전지(51)를 100개 사용한 경우 정상시에 단 셀(51)에서의 전압이 1.2V라고 한다. 그때 충전압이 120V가 된다. 그리고 충전을 했을 때, 단 셀(51)로 1.6V 충전압으로 160V가 되는 것이나, 만약 정상시에 하나의 셀(51)이 이상으로 과충전이 되었을 때 충전압을 120.4V 밖에는 안된다. 즉 충전압을 감시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단 셀(51)의 이상을 판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1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전력축적유닛(60)의 전기회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 이 예에서는 종속접속된 모듈(52)의 양단이 전력전달부의 커넥터(6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모듈(52)의 양단에서 전압검출용으로 배선이 인출되어 전압, 온도검출용의 터미널(7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전 모듈(52)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선이 표시되어 있으나, 각 모듈(52)마다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인출배선을 설치할 수가 있다(도시생략 한다).
또, 모듈(52)의 적절한 위치에 온도검출기(72)가 배치되고, 전압, 온도검출 터미널(7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온도검출기(72)는 1개만 표시되어 있으나, 적어도 2개 또는 다수의 온도검출기(72)를 적절한 2개소, 또는 여러개소에 설치할 수가 있다(도시생략 한다).
또 송풍장치(35)에 전력을 보내는 터미널(73)도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2차전지 같은 전지를 사용해서 전력축적부(31)를 유닛화할 수가 있고, 전력축적부(31)를 쉽게 운반, 보수ㆍ점검, 교환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필요전력에 따라 동일한 유닛(60)을 필요한 개수만큼 사용해서 소망하는 전력축적장치(30)를 준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실 리스엘리베이터의 성스페이스인 메리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2차전지를 사용한 전력축적장치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승강로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케이블을 삭감되고, 보수ㆍ점검이 쉬운 엘리베이터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 2차전지를 사용한 전력축적장치를 소음을 가능한 한 억제해서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 2차전지를 사용한 전력축적부를 유닛화함으로서, 쉽게 전력축적부를 쉽게 보수ㆍ점검 교환할 수가 있다.

Claims (3)

  1.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모선에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모선에 접속되고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반을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해서 엘리베이터 카를 운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직류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직류모선에 전력을 방출하고, 또 다수의 전력축적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적층한 전력축적모듈을 여러개 포함하고 상기 전력축적모듈을 병렬로 여러개 배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력축적유닛으로 구성한 전력축적부와, 상기 직류모선과, 상기 전력축적부 사이에 접속된 충방전 회로부와, 상기 전력축적부의 온도 또는 그 입출력 전류 또는 전압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충방전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전력축적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축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축적장치를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를 상기 제어반과 별개로 상기 제어반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피트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력축적부는 상기 전력축적유닛을 1개 또는 여러개 접속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3735A 2002-07-17 2002-07-1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37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7246 WO2004007332A1 (ja) 2002-07-17 2002-07-17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75A true KR20040029175A (ko) 2004-04-03
KR100537770B1 KR100537770B1 (ko) 2005-12-19

Family

ID=3002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735A KR100537770B1 (ko) 2002-07-17 2002-07-1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22519B8 (ko)
JP (1) JP4279251B2 (ko)
KR (1) KR100537770B1 (ko)
CN (1) CN100391819C (ko)
WO (1) WO2004007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86B1 (ko) * 2009-10-29 2013-11-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479A (ja) * 2004-03-22 2005-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US8826345B2 (en) 2006-09-08 2014-09-02 Edgeware Ab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ata streaming
WO2008085169A1 (en) * 2007-01-11 2008-07-17 Otis Elevator Company Thermoelectric thermal management for drive circuitry and hoist motors in an elevator system
WO2008085171A1 (en) * 2007-01-11 2008-07-17 Otis Elevator Company Thermoelectri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the energy storage system in a regenerative elevator
CN104271487B (zh) 2012-01-06 2017-10-20 奥的斯电梯公司 电梯井道内的电池安装
CN107223113B (zh) * 2014-07-31 2019-10-25 奥的斯电梯公司 在电梯轿厢中安装的电池
WO2018138916A1 (ja) * 2017-01-30 2018-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4960B2 (ja) * 1998-07-31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KR100424874B1 (ko) * 1998-12-25 2004-03-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3528668B2 (ja) * 1999-03-24 2004-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480403B2 (ja) * 1999-12-09 2003-1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JP4261010B2 (ja) * 2000-02-28 2009-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683708B2 (ja) * 2000-11-14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86B1 (ko) * 2009-10-29 2013-11-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기 시스템
US9150385B2 (en) 2009-10-29 2015-10-06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providing DC power to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2519B1 (en) 2017-05-31
JP4279251B2 (ja) 2009-06-17
EP1522519A1 (en) 2005-04-13
CN100391819C (zh) 2008-06-04
EP1522519B8 (en) 2017-07-26
WO2004007332A1 (ja) 2004-01-22
KR100537770B1 (ko) 2005-12-19
EP1522519A4 (en) 2011-03-23
CN1555335A (zh) 2004-12-15
JPWO2004007332A1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389B2 (en) Battery control device
US8486548B2 (en) Battery storage system
EP2159862B1 (en) Battery equipment of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WO2011068154A1 (ja) 蓄電ユニット、発電システムおよび充放電システム
CN101238611B (zh) 功率存储装置
US20140017528A1 (en) Rack-mount power supply devi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detachable connector
US9586498B2 (en) Battery for work vehicle and battery-type work vehicle
TWI422093B (zh) Battery system, electric railway power supply system and battery module
US9579988B2 (en) Work vehicle
CN1178842C (zh) 电梯控制装置
KR1005377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9815665B2 (en) Battery mounting in elevator hoistway
EP3950407B1 (en) Vehicle-mounted power battery, rechargeable energy storage system, and electric car
US20190036370A1 (en) Elevato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transmitting electrode unit,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WO2015015648A1 (ja) 充電装置
US11959269B2 (en) Platform for stacking containers as housings of components of an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energy conversion system
CN103474593A (zh) 一种高能量比的锂离子动力电池箱
KR101557415B1 (ko) 휴대용 충방전 장치
JPH0322546B2 (ko)
CN113800361A (zh) 基于电动底盘的电梯驱动系统
CN1612836A (zh) 电源系统
JP6341828B2 (ja) 蓄電モジュールを組み合わせた蓄電装置
CN220475118U (zh) 逆变器和光伏系统
US20230268114A1 (en) Pickup apparatus using multi pickup coil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and industrial equipment
CN202308805U (zh) 换流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