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028A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028A
KR20040029028A KR10-2004-7002725A KR20047002725A KR20040029028A KR 20040029028 A KR20040029028 A KR 20040029028A KR 20047002725 A KR20047002725 A KR 20047002725A KR 20040029028 A KR20040029028 A KR 20040029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lid
control device
drive device
elevator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시타미야코오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02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1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의 바닥면에는 凹부가 설치되어 있다. 凹부내에는 제어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凹부에는 凹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다. 뚜껑은 凹부를 닫은 상태에서 바닥면과 연속한 평면을 구성한다.In an elevator device, a drive device for elevating a ca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are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 recess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The control unit is housed in the recess. The lid is equipped with a lid to open and close the recess. The lid constitutes a continuous plane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closed stat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기계실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카(도시않음)가 승강되는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2)은 바닥면(3), 측벽(4) 및 천정 (5)을 가지고 있다. 측벽(4)에는 출입구(4a)가 설치되어 있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chine room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9. In the drawing, a machine room 2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through which a car (not shown) is lifted. The machine room 2 has a bottom 3, a side wall 4 and a ceiling 5. The side wall 4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exit 4a.

바닥면(3)상에는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6)와, 구동장치(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반)(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6)는 주위에 보수점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On the bottom surface 3, a drive device (winder) 6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and a control device (control panel) 7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6 are provided. The drive device 6 is arranged to secure a maintenance inspection work space around it.

또, 제어장치(7)는 전면도어(7a)가 있고 전면도어(7a)를 열고 보수점검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7 has a front door 7a, and is installed to open the front door 7a and to perform maintenance inspection work.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장치(6) 및 제어장치(7)의 설치 스페이스외에 구동장치(6) 및 제어장치(7)의 보수점검 작업스페이스와, 보수점검 작업시의 작업자의 이동스페이스를 기계실(2)내에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계실(2)의 바닥면적이 커저 버린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rive device 6 and the control device 7, the maintenance work space of the drive device 6 and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worker's moving space at the time of maintenance work. Must be secured in the machine room 2, so that the floor area of the machine room 2 becomes large.

본 발명은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가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in a machine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achine room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기계실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achine room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기계실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표시하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achine room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기계실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achine room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기계실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 기계실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machine room;

도 10은 도 9의 기계실의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2은 도 1의 기계실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카(도시 않음)가 승강하는 승강로(11)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12)은 바닥면(13), 측벽(14) 및 천정(15)을 가지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and FIG. 2 is sectional drawing of the machine room of FIG. The machine room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1 which a car (not shown) raises and lowers in figure. The machine room 12 has a bottom surface 13, side walls 14, and a ceiling 15.

측벽(14)에는 출입구(14a)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면(13)상에는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6)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면(13)에는 凹부(16)가 설치되어 있다. 凹부(16)는 저면(16a)과 저면(16a)에 대향하는 개구부(16b)가 있다. 凹부 (16)에는 개구부(16a)를 개폐하는 평판상의 뚜껑(17)이 설치되어 있다.The side wall 14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14a. On the bottom surface 13, a drive device (winder) 6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is provided. A bottom portion 16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3. The recess 16 has an opening 16b opposite the bottom face 16a and the bottom face 16a. The concave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flat lid 17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6a.

도 1은 뚜껑(17)을 덮은상태, 도 2는 뚜껑(17)을 연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 뚜껑(17)은 凹부(16)를 닫은상태로 바닥면(13)과 연속한 평면을 구성한다.1 shows a state where the lid 17 is covered, and FIG. 2 shows a state where the lid 17 is opened. In addition, the lid 17 constitutes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bottom surface 13 in a state where the cap 16 is closed.

또, 뚜껑(17)의 위에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가 있고, 뚜껑(17)위에는 구동장치(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로 되어 있다.Moreover, an operator can climb on the lid 17, and the lid 17 i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work with respect to the drive device 6.

凹부(16)내에는 구동장치(6)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반) (18)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장치(18)는 凹부(16)내에 수납한채로 뚜껑(17)을 여는 것만으로 보수점검이 가능한 방향에서 凹부(16)내에 수납되어 있다.In the convex portion 16, a control device (control panel) 18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6 and other devices is housed. The control apparatus 18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art 16 in the direction which can be checked and repaired only by opening the lid 17, while storing in the recessed part 16. As shown in FIG.

즉, 제어장치(18)는 그 전면이 카를 향하도록 저면(16a)상에 놓여져 있다.That is, the control device 18 is placed on the bottom face 16a with its front side facing the car.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장치(18)의 설치스페이스가 구동장치 (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를 겸하고 있으므로 기계실(12)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In such an elevator device,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device 18 also serves a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for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on the drive device 6, space saving in the machine room 12 can be achieved.

또, 제어장치(18)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은 뚜껑(17)을 여는 것만으로 쉽게 실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maintenance work on the control device 18 can be easily performed by only opening the lid 17.

또, 凹부(16)의 개구부(16b)를 개폐하는 뚜껑(17)을 설치하였으므로 제어장치(18) 자체의 강도를 변경하지않고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 바닥의 일부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고 제어장치(18)를 보호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lid 17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16b of the convex part 16 is provided, sufficient intensity | strength can be ensured as a part of the floor of a moving space or a workspace, without changing the intensity of the control apparatus 18 itself. The control device 18 can be protected.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개구부(16b)를 한개의 뚜껑으로 개폐 하도록 하였으나, 여러개의 뚜껑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뚜껑의 중량이 가벼워져 개폐가 쉬워진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ning part 16b was opened and closed with one lid in Embodiment 1, you may open and close partially with several lids. In this case, the weight of each lid is light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is easy.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17)을 표시하였으나 바닥면(13)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됨으로서 개폐되는 뚜껑이나, 바닥면(13)이 완전히 제거되는 뚜껑이라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lid 17 which opens and closes by rotation is shown in Embodiment 1, the lid which opens and closes by sliding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13, or the lid which completely removes the bottom surface 13 may be sufficient.

또, 뚜껑에는 개폐시에 작업자가 잡는 핸들을 설치해도 된다.The lid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that is held by the operator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또, 핸들은 개폐시에 일시적으로 뚜껑에 접속되는 것도 된다. 이 경우 개폐시 이외에는 뚜껑의 표면을 평면으로 보존할 수가 있고 핸들의 이동이나 작업의 장해가 되는 일이 없다.Moreover, the handle may be connected to the lid temporarily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lid can be preserved flat except for opening and closing, and the handle is not hindered from moving or working.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수동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17)을 표시 하였으나 전동모터등에 의해 구동되어 개폐되는 뚜껑이라도 된다.In Embodiment 1, although the lid 17 which is opened and closed manually is indicated, the lid which is driven and opened by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may be used.

또, 뚜껑에 투명한 창을 설치 하거나, 뚜껑 전체를 투명한 재료로 구성 하거나 해도 되고 이로서 뚜껑을 닫은채라도 제어장치(18)의 목시점검을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window may be provided on the lid, or the entire li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us,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controller 18 can be performed even with the lid closed.

또, 뚜껑에는 통기공을 설치해도 된다. 또, 통이공에 팬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다시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저면(16a)상에 제어장치(18)를 두었으나, 제어장치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에는 제어장치를 뚜껑의 이면에 탑재해도 된다.In addition, a vent may be provided in the lid. Moreover, you may install a fan apparatus in a through hole. Moreover, in Embodiment 1, although the control apparatus 18 was provided on the bottom face 16a, when a light weight of a control apparatus is light, you may mount a control apparatus in the back surface of a lid | cover.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기계실의 단면도이다.Next, FIG. 3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FIG. 4 is sectional drawing of the machine room of FIG.

또, 도 3 및 도 4는 뚜껑(17)이 열린상태를 표시하고 있다.3 and 4 show a state where the lid 17 is open.

도면에서 凹부(16)내에는 구동장치(6)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반)(19)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장치(19)는 저면(16a)상에 놓여진 제어장치 본체(19a)와 뚜껑(17)의 이면에 탑재된 분할부(19b)를 가지고 있다.In the figure, the concave portion 16 houses a control device (control panel) 19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6 and other devices. The control apparatus 19 has the control apparatus main body 19a put on the bottom face 16a, and the division part 19b mount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lid 17. As shown in FIG.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장치(19)의 설치 스페이스가 구동장치(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를 겸하고 있으므로 기계실(12)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apparatus 19 also serves a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during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on the drive device 6, space saving in the machine room 12 can be achieved.

또, 뚜껑(17)의 이면에 분할구(19b)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뚜껑(17)을 열었을때 노출되는 제어장치(19)의 면적이 확장된다.Moreover, since the dividing opening 19b is mount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lid 17, the area of the control apparatus 19 exposed when the lid 17 is opened is expanded.

즉, 보수점검 가능한 제어기기의 배치 면적이 뚜껑(17)에 분할부(19b)가 탑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의 2배 정도까지 넓어진다.That is, the arrangement area of the control device which can be checked and repaired is widened by about twice as much as when the partition portion 19b is not mounted on the lid 17.

따라서, 제어장치(19)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Therefore, the workability of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pparatus 19 can be improved.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기계실의 단면도이다.Next,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도면에서 凹부(16)내에서는 구동장치(6)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반)(20)가 수납되어 있다. 제어장치(20)는 제1 및 제2의 분할유닛(21),(22)로 분할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concave portion 16 houses a control device (control panel) 20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6 and other devices. The control device 2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dividing units 21 and 22.

각 분할유닛(21),(22)은 각각 독립해서 凹부(16)에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분할유닛(21),(22)은 작업자에 의해 운반 가능한 중량으로 구성되어 있다.Each of the dividing units 21 and 22 can be pulled out from the recess 16 independently of each other. Moreover, each division unit 21, 22 is comprised by the weight which can be carried by an operator.

또, 제1 및 제2의 분할유닛(21),(22)은 각각 광체(21a),(22a)를 소유하고 있다. 광체(21a),(22a)는 바닥면(13)과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는 광체상면(21b), (22b)을 소유하고 있다. 광체상면(21b),(22b)의 위에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고, 광체상면(21b),(22b)상에는 구동장치(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units 21 and 22 own the bodies 21a and 22a, respectively. The bodies 21a and 22a possess the bodies upper surfaces 21b and 22b constituting a plane continuous with the bottom surface 13. The operator can ascend on the upper body surfaces 21b and 22b, and the moving space or the working space in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or the drive device 6 is provided on the upper body surfaces 21b and 22b.

또, 광체상면(21b),(22b)에는 손잡이(21c),(22c)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21c),(22c)는 광체상면(21b)(22b)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handles 21c and 22c are provided in the shell body surfaces 21b and 22b. The handles 21c and 22c are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body surface 21b and 22b.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장치(20)의 설치스페이스가 구동장치 (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를 겸하고 있으므로 기계실(12)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device 20 also serves a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for maintenance work on the drive device 6, space saving in the machine room 12 can be achieved.

또, 제어장치(20)의 일부인 광체상면(21b),(22b)이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의 바닥의 일부가 되므로 凹부(16)는 개방된 그대로 이고 구성이 간단한 동시에 제어장치(20)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body surfaces 21b and 22b, which are part of the control device 20, become part of the bottom of the moving space or the work space, the indentation portion 16 remains open and the configuration is simpl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is easy.

또, 제어장치(20)는 제1 및 제2의 분할유닛(21),(22)에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유닛(21),(22)은 각각 독립해서 凹부(16)에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20)의 부분적인 교환이 용이하다.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20 is divided | segmented into the 1st and 2nd dividing units 21 and 22, and each dividing unit 21 and 22 can be taken out from the convex part 16 independently. Since partial replacement of the control device 20 is easy.

또,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어장치(20)를 2개의 분할유닛(21),(22)으로 분할 하였으나 3개 이상의 분할유닛으로 분할해도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20 is divided into two dividing units 21 and 22, but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dividing units.

또, 분할유닛은 서로 다른 사이즈 형상으로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division units may have different size shapes.

또,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공통의 凹부(16)에 2개의 분할유닛(21),(22)을 수납하였으나 바닥면에 다수의 凹부(16)를 설치하고, 분할유닛을 별개로 수납해도 된다.In addition, in Embodiment 3, although the two division units 21 and 22 were accommodated in the common recess part 16, many recess parts 16 may be installed in the bottom surface, and a division unit may be stored separately. do.

실시의 형태 4.Embodiment 4.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기계실 내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기계실의 단면도이다.Next,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FIG.

도면에서 凹부(16)내에는 구동장치(6)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반)(23)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장치(23)는 광체(22a)를 가지고 있다.In the figure, a control device (control panel) 23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6 and other devices is housed in the recess 16. The control device 23 has an optical body 22a.

광체(23a)는 바닥면(13)과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는 광체상면(23b)을 가지고 있다. 관체상면(23b)의 위에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게 되고 광체상면(23b)상은 구동장치(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로 되어 있다.The housing 23a has a housing top surface 23b constituting a plane continuous with the bottom surface 13. The operator can ascend above the tubular top surface 23b, and the top surface 23b i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during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on the drive device 6.

凹부(16)의 상방의 천정(15)에는 훅(24)이 고정되어 있다. 훅(24)에는 와이어등의 매다는용구(26)를 통해서 제어장치(23)를 매달기 위한 권양장치(25)가 부착되어 있다.The hook 24 is fixed to the ceiling 15 above the convex part 16. The hook 24 is attached with a hoisting device 25 for hanging the control device 23 through a hanging tool 26 such as a wire.

권양장치(25)로는 예를들면 체인블록 또는 원치가 사용된다.As the hoist 25, for example, a chain block or an element is used.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장치(23)의 설치스페이스가 구동장치(6)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시의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를 겸하고 있으므로 기계실(12)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rol device 23 also serves as a moving space or a work space in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or the drive device 6, space saving in the machine room 12 can be achieved.

또, 제어장치(23)의 일부인 광체상면(23b)이 이동스페이스 또는 작업스페이스의 바닥의 일부가 되므로 凹부(16)는 개방된 대로이고 구성이 간단한 동시에 제어장치(23)에 대한 보수점검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body surface 23b, which is a part of the control device 23, becomes part of the bottom of the moving space or the work space, the recessed part 16 is open and simple in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maintenance work for the control device 23 is performed. This is easy.

또, 권양장치(25)에 의해 제어장치(23)를 들어 올릴수 있으므로 제어장치 (23) 전체의 교환을 쉽게할 수 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device 23 can be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25, the entire control device 23 can be easily replaced.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된 것으로 기계실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vator device capable of saving space in a machine roo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바닥면이 있는 기계실, 기계실에 설치되고,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기계실에 설치되고,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기계실의 바닥면에는 凹부가 있고, 凹부내에는 제어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chine room having a bottom surface, a driv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 driving device for elevating a ca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and having a recess at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The control unit is housed in the unit.

Claims (3)

바닥면이 있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상기 기계실의 상기 바닥면에는 凹부가 설치되고, 상기 凹부내에는 상기 제어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device having a machine room having a bottom surface, a drive devic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 car lifting device and a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nd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And an elevator device in which said control device is ho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凹부에는 상기 凹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凹부를 닫은상태에서 상기 바닥면과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ss is provided in the recess, and the lid constitutes a plane continuous with the bottom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recess is clos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일부가 상기 뚜껑의 이면에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art of the control device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d.
KR10-2004-7002725A 2002-07-09 2002-07-09 Elevator apparatus KR200400290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6954 WO2004005175A1 (en) 2002-07-09 2002-07-09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028A true KR20040029028A (en) 2004-04-03

Family

ID=3002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725A KR20040029028A (en) 2002-07-09 2002-07-09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20828A1 (en)
JP (1) JPWO2004005175A1 (en)
KR (1) KR20040029028A (en)
CN (1) CN1525935A (en)
WO (1) WO2004005175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783A (en) * 1983-12-27 1985-07-22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ontroller
JP3399161B2 (en) * 1995-06-15 2003-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2001002352A (en) * 1999-06-24 2001-01-09 Toshiba Corp Elevator device
JP2001002353A (en) * 1999-06-24 2001-01-09 Toshiba Corp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0828A1 (en) 2005-04-06
CN1525935A (en) 2004-09-01
JPWO2004005175A1 (en) 2005-11-04
WO2004005175A1 (en)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5456C (en) Arrangement of the elevator shaft wall opening and dashboard
EP1849736B1 (en) Car device of elevator
US6691833B1 (e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EP0719724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machine spac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CN109476460B (en) Elevator installation for safety maintenance work
CA2148423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KR20050031396A (en)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 lift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US6148962A (en)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JP4353898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567364B1 (en) Elevator
KR20040029028A (en) Elevator apparatus
JP4403142B2 (en) Elevator apparatus drive unit,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and elevator apparatus maintenance and inspection method
JP5201553B2 (en) Elevator car lighting device
JP6940607B2 (en) Elevator equipment, how to maintain elevator equipment, and how to manufacture elevator equipment
JP2563804B2 (en) Crane drive operation tower
JP2000159452A (en) Controller for elevator
JP2001106459A (en) Elevator car
JPH092762A (en) Elevator device
WO2022259634A1 (en) Protective cover
JPWO2004074156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1072351A (en) Elevator
KR100804866B1 (en) Drive unit for elevator apparatus, 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and maintenance/inspec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KR100336351B1 (en) Control panel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elevator
KR100336352B1 (en) Control panel loading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