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603A -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603A
KR20040028603A KR10-2003-7003470A KR20037003470A KR20040028603A KR 20040028603 A KR20040028603 A KR 20040028603A KR 20037003470 A KR20037003470 A KR 20037003470A KR 20040028603 A KR20040028603 A KR 2004002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reception
local oscill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따로 다까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6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복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정 PLL부(310)에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채널 PLL부(330)에서 GSM/DCS의 수신 RF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이미지 제거 믹서(370)를 각 수신 RF 신호에 대해서 공용하여, 고정 주파수 신호와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수신 RF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고, 각 직교 복조기(254 및 264)가 각각 수신 RF 신호를 대응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제거 믹서(370)를 공유하는 만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복조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RA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DEMODULATING CIRCUIT}
종래,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수신 방식으로서는,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은, 수신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주파수(이하, 이것을 수신 신호 주파수라고 부른다)를 이것과는 다른 중간 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하여 수신 처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면, 수신 처리 회로에 수신 신호 주파수를 일단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필터 등과 같이 IC(Integrated Circuit) 칩화 하기 어려운 회로 소자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에 따르면, 수신 처리 회로의 회로 규모가 비교적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에, 다이렉트 콘버전(이하, 이것을 DCR이라고 부른다) 방식이라고 불리는 수신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DCR 방식에 따르면, 수신 RF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를 바꾸지 않고서 수신 처리함으로써 주파수 변환용 필터 등의 회로 소자를 제외하고 수신 처리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최근, 휴대 전화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1개의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확보할 수 있는 통신 회선 수만으로는 부족한 경향이 있고,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부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복수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 중 예를 들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라고 불리는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900[MHz]대의 무선 통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TDMA 방식을 채용하여 1.8[GHz]대의 무선 통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DCS(Digital Cellular System)와,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라고 불리는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2[GHz]대의 무선 통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를 병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이하, 이것을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라고 부른다)가 생각되고 있다.
그리고,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GSM, DCS 및 UMTS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 처리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에 DCR 방식을 적용하면,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런데, GSM 및 DCS에 이용되는 협대역의 디지털 변조 방식에 있어서는, 수신기 검파 출력(즉, 베이스 밴드(BB) 신호)에, DCR에 의해 생성되는 직류(DC) 오프셋 성분이 출력되었을 때, DC 피드백에 의한 DC 오프셋 억압의 회로는 사용할 수없다.
그 이유는, 이러한 억압 회로를 사용하면, 주파수의 저역이 컷되어 버려, 복조 신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기 때문이다.
도 4는, DCR에 있어서의 DC 오프셋 발생의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CR의 수신 처리 회로에서는, 수신 RF 신호를 수신 신호 주파수(fRF)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fLO)의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직접 직교 복조하여, I 및 Q의 상호 직교하는 베이스 밴드 신호가 얻어진다.
그러나 동시에, 수신 신호 주파수와 국부 발진 주파수가 같은 것에 기인하여, 도 4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경로로 국부 발진 신호가 다른 부분의 회로에 누설되어, 각 회로의 비직선성에 의해, 수신 RF 신호와 혼합된다(이것을 셀프믹싱이라고 한다). 그 결과, 베이스 밴드(BB)의 I/Q출력에 DC성분이 중첩된다.
이 DC성분은, 베이스 밴드의 데이터에 있어서는 볼필요한 성분이고, 노이즈에 상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국부 발진 신호의 누설 경로에는, 예를 들면, 국부 발진 신호가 수신 칩을 구성하는 서브 스트레이트(기판)를 통해 다른 회로 블록을 통과하여 수신 RF 신호의 입력부에 돌아 들어가는 것이나, 또는, 칩이 실장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상에서 신호에 돌아 들어가는 것, 국부 발진 신호가 공간을 통해 안테나로 날아 들어가 수신 RF 신호와 혼합되는 것 등도 있다.
그리고, DC성분은, 이들 복수의 누설 경로에 의한 국부 발진 신호의 누설이 단독 또는 복합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또, DC오프셋 성분이 너무 크면, 회로의 DC 바이어스 전압에 오프셋이 중첩되고, 그 결과, 동작점이 전원 또는 접지 전위가 되어 버리고, 그것이 동작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DCR이 실용화된 예는 극히 적고, DC성분의 복조의 필요가 없는 시스템, 즉, 앞서 든 DC 피드 백에 의한 DC 오프셋 보상이 가능한 변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거의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GSM이나 DCS와 같은 협대역 변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CR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국부 발진 신호가 RF입력에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책이 필수가 된다.
여기서,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DCR을 실현하기 위한 수신 처리 회로의 회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즉,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수신처리 회로(1)는, 수신 RF 신호를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해서 직접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2)와, 그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신처리 회로(1)는, GSM, DCS, UMTS에 각각 대응시켜서 GSM 모드, DCS 모드 및 UMTS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한다. 이에 따라 GSM, DCS 및 UMTS의 수신 RF 신호를 각각 직교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 처리 회로(1)는, GSM 모드 시, GSM용의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송신된 수신 RF 신호가 안테나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수신되면, 그 수신 RF 신호를 직교 복조부(2)에 있어서 GSM용의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10)에 피드한다.
수신 RF 신호는,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10)로 증폭된 후, 주파수 혼합기(11, 12) 및 폴리페이즈 필터(1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14)에 입력되고, 거기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와 승산된다. 여기서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수신 RF 신호와 같이 취함으로써 DCR을 실현하고 있다.
이 결과, 주파수 혼합기(11 및 12)의 출력으로부터는, I/Q의 직교 베이스 밴드(BB) 신호가 얻어지고, 해당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가 후단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보내진다.
또한, 수신 처리 회로(1)는, DCS 모드 시, DCS용의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송신된 수신 RF 신호가 안테나 소자에 의해서 수신되면, 그 수신 RF 신호를 DCS용의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0)에 피드한다.
그 수신 RF 신호는,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0)로 증폭된 후, 주파수 혼합기(21, 22) 및 폴리페이즈 필터(2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24)에 입력되고, 거기서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와 승산된다.
그 결과, 주파수 혼합기(21 및 22)의 출력으로부터는, I/Q의 직교 베이스 밴드(BB) 신호가 얻어지고, 이것이 후단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보내진다.
또한, 수신 처리 회로(1)는, UMTS 모드 시, UMTS용의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송신된 수신 RF 신호가 안테나 소자에 의해서 수신되면, 그 수신 RF 신호를 UMTS용의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30)에 피드한다.
그 수신 RF 신호는,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30)로 증폭된 후, 주파수 혼합기(31, 32) 및 폴리페이즈 필터(3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34)에 입력되어, 거기에서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와 승산된다.
그 결과, 주파수 혼합기(31 및 32)의 출력으로부터는, I/Q의 직교 베이스 밴드(BB) 신호가 얻어지고, 이것이 후단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보내진다.
여기서, 주파수 생성부(3)에 있어서, 채널 PLL(Phase-Locked Loop)부(40)는, GSM 모드 시,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1)에 있어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 분주기(42)에 피드한다. 그 주파수 신호는, 출력 분주기(42)로 분주된 후, 출력 분주 신호로서 채널 PLL(43)에 입력된다.
또한, 채널 PLL부(40)는, 온도 제어형 수정 발진기(44)로부터 주어지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기준 분주기(45)에 취득한다. 기준 주파수 신호는, 기준 분주기(45)로 분주된 후, 기준 분주 신호로서 채널 PLL(43)에 입력된다.
그리고, 채널 PLL(43)은, 출력 분주 신호와 기준 분주 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 오차를 루프 필터(46)에 출력한다. 루프 필터(46)는 입력된 위상 오차 성분을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전압 제어 발진기(41)의 제어 단자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채널 PLL부(40)는, 출력 분주 신호와 기준 분주 신호의 주파수를같아지도록 수속한 상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41)의 주파수 신호를 믹서부(50)의 주파수 혼합기(51)에 송출한다.
한편, 고정 PLL부(60)는, GSM 모드 시,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1)에 있어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 분주기(62)에 피드한다. 그 주파수 신호는, 출력 분주기(62)로 분주된 후, 출력 분주 신호로서 고정 PLL(63)에 입력된다.
또한, 고정 PLL부(60)는, 온도 제어형 수정 발진기(44)로부터 주어지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기준 분주기(64)에 취득한다. 기준 주파수 신호는, 기준 분주기(64)로 분주된 후, 기준 분주 신호로서 고정 PLL(63)에 입력된다.
그리고, 고정 PLL(63)은, 출력 분주 신호와 기준 분주 신호의 위상 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 오차를 루프 필터(65)에 출력한다. 루프 필터(65)는 입력된 위상 오차 성분을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전압 제어 발진기(61)의 제어 단자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고정 PLL부(60)는, 출력 분주 신호와 기준 분주 신호의 주파수를 같아지도록 수속한 상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61)의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혼합기(51)에 송출한다.
주파수 혼합기(51)는, 2개의 주파수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이들 2개의 주파수의 합 및 차의 주파수를 생성하여, 이들을 대역 통과 필터(52)에 피드한다.
여기서, 2개의 주파수의 차로 이루어지는 주파수는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이다. 또한, 2개의 주파수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주파수는 복조에는 불필요한 이미지 주파수이다.
따라서, 대역 통과 필터(52)는, 차단 주파수가 적당하게 선택되어 있고, 2개의 주파수(국부 발진 주파수 및 이미지 주파수) 중 낮은 쪽의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직교 복조기(14)의 폴리페이즈 필터(33)에 입력한다.
이 때, 믹서부(50)는, 폴리페이즈 필터(33)의 입력단의 직전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따라서, 수신 처리 회로(1)는, 국부 발진 주파수의 전송 선로를 현격하게 짧게 하여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DC 오프셋을 대폭 저감하고 있다.
덧붙여서, 대역 통과 필터(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주파수를 제거하고 있다. 따라서, 직교 복조기(14)는, 이미지 주파수와 같은 수신 신호 주파수의 수신 RF 신호를 복조하여, 본래의 수신 RF 신호(즉, 국부 발진 주파수와 같은 수신 신호 주파수의 수신 RF 신호)가 복조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DCS 모드 시에는,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채널 PLL부(40)에 있어서 채널 PLL(43) 및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7)로 생성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혼합기(53)에 피드한다.
이 때, 고정 PLL부(60)는,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고정 PLL(63) 및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6)로 생성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혼합기(53)에 피드한다.
따라서, 주파수 혼합기(53)는, 이들 2개의 주파수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2개의 주파수의 합 및 차의 주파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GSM 모드와 마찬가지로 직교복조기(24)의 근방에 배치한 대역 통과 필터(54)로, 이들 2개의 주파수 중 낮은 쪽의 주파수(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추출하여 폴리페이즈 필터(23)에 피드한다.
또한, UMTS 모드 시에도,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채널 PLL(43) 및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8)로 생성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혼합기(55)에 피드한다.
이 때, 고정 PLL부(60)는,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고정 PLL(63) 및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7)로 생성한 소정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혼합기(55)에 피드한다.
따라서, 주파수 혼합기(55)는, 이들 2개의 주파수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2개의 주파수의 합 및 차의 주파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GSM 모드와 마찬가지로 직교 복조기(34)의 근방에 배치한 대역 통과 필터(56)로, 이들 2개의 주파수 중 낮은 쪽의 주파수(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추출하여 폴리페이즈 필터(33)에 피드한다.
이렇게 해서 수신 처리 회로(1)는, GSM 모드, DCS 모드 및 UMTS 모드에 있어서 각각 수신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DC 오프셋을 대폭 저감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수신 처리 회로(1)에 있어서는, 도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채널 PLL부(40) 및 고정 PLL부(60)에 각각 GSM용, DCS용 및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1, 47, 48 및 61, 66, 67)가 필요해진다.
또한, 믹서부(50)에는, GSM용, DCS용 및 UMTS용의 주파수 혼합기(51, 53,55)와 대역 통과 필터(52, 54, 56)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수신 처리 회로(1)는,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회로 규모가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신 처리 회로(1)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52, 54 및 56)가 디스크리트 부품이 아니면 실현할 수 없고, IC 내부에 탑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더욱 증대한다. 이 결과, 이러한 수신 처리 회로(1)에서는, DCR을 적용하지만, 회로 규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아직 불충분한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도 5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하는 도 6과 같이, 수신 처리 회로(70)의 주파수 생성부(71)에, 상술한 믹서부(50)(도 5)에 대신해서, IC 칩화 하여 형성할 수 있는 이미지 제거 믹서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제거 믹서는, 2개의 주파수를 혼합했을 때에, 합 및 차의 주파수 중 예를 들면 차의 주파수만을 추출할 수 있는 회로이다.
즉, GSM 모드 시에는, 채널 PLL(40) 및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1)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GSM용의 이미지 제거 믹서(72)의 폴리페이즈 필터(73)에 피드한다. 그 주파수 신호는, 폴리페이즈 필터(73)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되어, 각각 주파수 혼합기(74 및 75)의 한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이 때, 고정 PLL(63) 및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1)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는, GSM용의 이미지 제거 믹서(72)의 주파수 분주기(76)에 피드된다. 그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76)에 있어서 1/2로 분주된 후, 상호 직교하는 신호로 변환되어, 이들 2개의 신호가 주파수 혼합기(74 및 75)의 다른 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혼합기(74 및 75)에 입력되는 4개의 신호의 위상 관계를 적당하게 선택하면, 이들 주파수 혼합기(74 및 75)의 출력 신호를 후단의 가산기(77)에 있어서 가산함으로써 이미지 주파수를 제외하고,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만이 얻어진다.
그리고, 그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는, 가산기(77)로부터 폴리페이즈 필터(13)에 피드된다. 이에 따라 GSM 모드 시에는, GSM용의 직교 복조기(14)에 있어서 수신 RF 신호를 다이렉트로 직교 복조한다.
또한, DCS 모드 시에, 채널 PLL(40) 및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7)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는, DCS용의 이미지 제거 믹서(80)에 있어서 폴리페이즈 필터(81)로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되어, 각각이 주파수 혼합기(82 및 83)에 피드된다.
이 때, 고정 PLL(63) 및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6)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84)를 통해 1/2로 분주된 후,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변환되어, 각각이 주파수 혼합기(82 및 83)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혼합기(82 및 83)에 입력되는 4개의 신호의 위상 관계를 적당하게 선택해 놓고, 이들 주파수 혼합기(82 및 83)의 출력 신호를 가산기(85)에 있어서 가산한다. 그 결과,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생성하여, 이것을 폴리페이즈 필터(23)에 피드한다.
또한, UMTS 모드 시에도, GSM 모드 및 DCS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채널 PLL(40) 및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48)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는, UMTS용의 이미지 제거 믹서(90)에 있어서 폴리페이즈 필터(91)로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되어, 각각이 주파수 혼합기(92 및 93)에 피드된다.
이 때, 고정 PLL(63) 및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67)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94)를 통해 1/2로 분주된 후,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변환되어, 각각이 주파수 혼합기(92 및 93)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혼합기(92 및 93)에 입력되는 4개의 신호의 위상 관계를 적당하게 선택해 놓고, 이들 주파수 혼합기(92 및 93)의 출력 신호를 가산기(95)에 있어서 가산한다. 그 결과,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생성하여, 이것을 폴리페이즈 필터(33)에 피드한다.
이렇게 해서 수신 처리 회로(70)는, IC 칩화 하기 어려운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서, 원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신 처리 회로(70)에는, 도 6에서도 알 수 있듯이, GSM용, DCS용 및 UMTS용의 이미지 제거 믹서(72, 80 및 90)가 설치되기 때문에, IC 내부의 회로 규모가 증대한다. 따라서, 이 수신 처리 회로(70)에서는,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병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수신 처리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 처리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I 신호 및 Q 신호에의 DC 오프셋 성분의 중첩의 설명에 제공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이렉트 콘버전 방식을 적용한 수신 처리 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미지 제거 믹서를 이용한 수신 처리 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복조할 수 있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를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수단으로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으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 생성 수단을 각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하고, 고정 주파수 신호와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여, 각 복조 수단이 각각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 복조 수단에 대해서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을 공용하는 만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도 1에 있어서, 200은 전체로서, DCR 방식이 적용되어,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GSM, DCS 및 UMTS를 병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이하, 이것을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라고 부른다)를 도시한다.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는,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서 GSM 모드, DCS 모드 및 UMTS 모드의 3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는, TDMA 및 W-CDMA의 양방 서비스에 대응하는 멀티 밴드 시스템 단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 있어서, 안테나(210)로 수신된 수신 RF 신호는, GSM 모드, DCS 모드 및 UMTS 모드에 따라서 전환된 고주파 스위치(S/W)나 대역 통과 필터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를 통과하여 수신 처리부(201)에 송출된다. 또, 수신 처리부(201)의 상세한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신 처리부(201)의 후단에는, GSM/DCS, 및 UMTS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는, 수신 처리부(201)로 수신 RF 신호로부터 생성된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I, Q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디지털 베이스 밴드 처리를 실시한다. 즉,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는, I, Q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는 A/D 변환기 등을 갖고 있고, 일정한 비트 레이트를 갖는 IQ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송신계에는, 수신계와 마찬가지로 GSM/DCS, 및 UMTS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송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로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로 통합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IQ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들 IQ 디지털 데이터는, 송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서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된 후, 송신 베이스 밴드 신호(I, Q 신호)로서, 송신 처리부(202)로 입력된다. 또, 송신 처리부(202)의 상세한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별 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신 처리부(202)에 있어서, 후술하는 직교 변조나 주파수 변환 등이 행해진 신호는, 필요한 송신 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전력 증폭기(PA)로 전력 증폭된 후, 상술한 GSM 모드, DCS 모드 및 UMTS 모드에 따라서 전환된 고주파 스위치나 대역 통과 필터를 경유하여 안테나(211)로부터 방사된다.
또, VC-TCXO205는, 가변 주파수 온도 제어수정 발진기이고, 여기서는, 이하에 진술하는 송수신 처리에 필요한 기준 주파수(13.00[MHz])를 만들어내고 있다.
여기서,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의 수신계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2는 도 1의 수신 처리부(201)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중의 단자 부호 a, b, c, …는, 해당 수신 처리부(201)에 대한 입출력단이나 송신 처리부(202)의 접속처를 의미하고 있다.
수신 RF 신호는, 도 1에 도시하는 안테나(210)를 경유하여 고주파스위치(S/W)(211)에 입력된다. 여기서, 고주파 스위치(211)는,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가 GSM, DCS 및 UMTS 중 어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드로 되어 있느냐에 따라, 신호의 경로를 전환한다.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가 GSM 모드 또는 DCS 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수신 RF 신호는, 고주파 스위치(212)에 피드되고, UMTS 모드 시에는 듀플렉서(Duplexer)(213)로 피드된다. 그리고, GSM/DCS의 수신 RF 신호는, 고주파 스위치(212)에 의해서, 다시 GSM의 패스와 DCS의 패스로 배분된다.
즉, 수신 RF 신호는, GSM 모드 시, 고주파 스위치(214)에 피드되고, DCS 모드일 때에는, 고주파 스위치(215)에 피드된다. 또한, 이들 고주파 스위치(214 및 215)는, 송신/수신으로 패스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GSM 모드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GSM 모드 시, 수신 슬롯의 동안, 수신 RF 신호는 도 2의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50)에 피드된다.
또한, 송신 슬롯의 기간은, 도 1의 전력 증폭기(217)의 출력이 아이솔레이터(218)를 통해 고주파 스위치(214)로 수신 시와는 역방향으로 피드된다.
수신 RF 신호는,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50)로 증폭된 후, 주파수 혼합기(251, 252) 및 폴리페이즈 필터(25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254)에 입력되어, 거기에서 국부 발진 주파수와 승산된다.
이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50)는, 수신 RF 신호가 적정한 레벨이 되도록, 필요한 대역 제한을 하거나, 자동 이득 제어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폴리페이즈 필터(253)는, 상호 직교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창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
여기서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수신 RF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동일하게 취함으로써 다이렉트 콘버전을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주파수 혼합기(251 및 252)의 출력에는, I/Q의 직교 베이스 밴드(BB) 신호가 얻어진다.
이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는, 가변 이득 증폭기(255, 256) 및 저역 통과 필터(257, 258)를 통해 인접 채널 등, 사용 주파수 이외의 대역의 방해 신호가 제거된 후에 GSM/DCS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 넘겨진다.
또,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50), 가변 이득 증폭기(255, 256)는,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 있어서의 디지털 처리를 위해, A/D 컨버터 입력의 신호 진폭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되고, 이에 따라 A/D 컨버터의 입력 다이나믹 범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CS의 신호 패스에 대해서도, 상술한 GSM과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DCS 모드 시, 수신 RF 신호는,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60)로 증폭된다. 증폭 후의 신호는 주파수 혼합기(261, 262) 및 폴리페이즈 필터(26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264)에 입력된다.
그리고, 그 직교 복조기(264)에 있어서, 국부 발진 주파수와 승산하여 얻어진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는, 상술한 GSM 모드일 때와 동일한, 가변 이득 증폭기(255, 256) 및 저역 통과 필터(257, 258)를 통해 GSM/DCS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 이른다.
한편, UMTS 모드 시, 수신 RF 신호는, 듀플렉서(213)로 송신 신호와 분리되어, 도 2의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70)로 피드된다. 동시에 연속 송신 신호는, 듀플렉서(213)를 통해 고주파 스위치(211)의 방향으로 피드된다.
여기서, UMTS의 패스로 상술한 GSM/DCS의 패스인 경우와 같이 고주파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W-CDMA가 연속 송수신 시스템인 것에 기인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은, 그 시스템의 성질상, 필연이다.
UMTS 모드에 있어서, 수신 RF 신호는, GSM 모드 및 DCS 모드와 마찬가지로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70)로 증폭되어, 주파수 혼합기(271, 272) 및 폴리페이즈 필터(273)로 이루어지는 직교 복조기(274)로 피드된다.
그 결과, 주파수 혼합기(271 및 272)의 출력에는, 직교 베이스 밴드(BB) 신호의 I/Q 신호가 얻어진다.
이들 I/Q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275 및 276)를 통해 가변 이득 증폭기(277 및 278)에 입력되어, 거기에서 일정 진폭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진폭 제어된 신호는, 후단의 UMTS의 수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내에 있는 A/D 컨버터로 넘겨진다.
여기서, UMTS 모드가 GSM 모드 및 DCS 모드인 경우와 다른 것은, 저역 통과 필터(275, 276) 및 가변 이득 증폭기(277, 278)로 이루어지는 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직류 증폭기(279 및 280)에 의한 직류귀환이 가해져 있는 것이다.
이것은, W-CDMA(UMTS)의 수신 RF 신호는, 그 대역이 2[MHz]와, GSM 및 DCS의 수신 RF 신호의 대역(200[MHz])과 비교하여 충분히 넓기 때문에, 직류귀환에 의해 저역 주파수가 제거되더라도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그만큼 상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상, 저역의 차단 주파수는 약 2[MHz]이지만, GSM/DCS에 있어서 2[MHz]정도의 저역 주파수가 누락하면, 정상적인 수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W-CDMA(UMTS)계에서는, DC 오프셋 캔슬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회로로 실현할 수 있지만, GSM/DCS인 경우는 그것이 곤란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UMTS 모드에서는, DC 오프셋을 저감하기 위한 오프셋 주파수는 사용하지 않고, 전압 제어 발진기(281)를 수신 RF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발진 주파수로 발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의 송신계에 대해서, 그 신호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또, 도 3은, 도 1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 처리부(20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중의 단자 부호 h, i, j, …는, 해당 송신 처리부(202)에 대한 입출력단이나 수신 처리부(201)와의 접속처를 의미하고 있다.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가 GSM 모드 및 DCS 모드에 있을 때, I/Q 신호는, 송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서 송신 처리부(202)에 보내진다.
즉, I/Q 신호는 도 3에 도시하는 저역 통과 필터(300 및 301)를 통해 주파수 혼합기(302, 303) 및 주파수 분주기(304)로 이루어지는 직교 변조기(305)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분주기(304)에는, 760[MHz]의 고정 주파수를 만들어내는 고정 PLL부(310)로부터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분주기(311)로 분주한 신호가 입력된다. 그 때문에, 주파수 분주기(304)의 출력에는 상호 직교하는 190[MHz]의주파수를 갖는 2개의 신호가 얻어진다.
그 결과로서, 직교 변조기(305)의 출력에는, 베이스 밴드(BB) 신호로 직교 변조된 190[MHz]의 IF 신호가 얻어진다. 이 IF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307) 및 고주파 증폭기(308)를 순차 통해 오프셋 PLL(320)의 위상 비교기(PFD)(321)에 넘겨진다.
GSM 모드 시, 오프셋 PLL(320)에서는,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가 동작하고 있고, 다른 전압 제어 발진기(323, 324)는 정지하고 있다.
그래서,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로부터의 출력은 주파수 혼합기(32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채널 PLL부(330) 내의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31)로부터의 신호와 승산된다.
그리고, 그 GSM 모드 시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331)의 발진 주파수 fCH_TX_GSM이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채널 PLL부(330)를 제어하면, 주파수 혼합기(325)의 출력에는, 해당 채널 PLL용 전압 제어 발진기(331)의 발진 주파수 fCH_TX_GSM과,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의 발진 주파수 fCH_GSM의 합 및 차의 주파수가 얻어진다.
즉,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저역 통과 필터(326)에 피드된다.
그래서, 저역 통과 필터(326)의 차단 주파수를 적당하게 선택하면, 상술한 2개의 주파수 중 높은 쪽의 주파수는 제거되고,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낮은 쪽의 주파수만이 주파수 분주기(327)에 입력된다.
주파수 분주기(327)에 있어서, 그 낮은 쪽의 주파수의 신호는 1/2로 분주되어, 위상 비교기(321)에 입력된다. 따라서, 위상 비교기(321)는, 그 1/2로 분주된 신호의 주파수와, 상술한 IF 신호의 190[MHz]의 주파수를 비교함으로써 이들 주파수의 위상 오차를 루프 필터(328)에 출력한다.
루프 필터(328)는, 위상 오차 성분을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의 제어 단자에 인가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루프는, 위상 비교기(321)의 2개의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수속하기 때문에, 결국, 수학식 4가 된다.
여기서, 그 수학식 4에 수학식 1을 대입하면,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의 발진 주파수 fT_GSM는, 수학식 5로 표시되는 값이 되어, GSM의 송신주파수와 같아진다.
또, 루프 필터(328)의 상수는, GSM에서 사용되고 있는 GMSK(Gaussian filtered Minimum Shift Keying) 변조가 걸리도록, 변조 레이트보다도 충분히 높은 차단 주파수를 갖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서 GSM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2)로부터의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329)(도 1)를 통해 전력 증폭기(217)로 출력된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217)로부터의 출력이 아이솔레이터(218)를 통과하여 고주파 스위치(214)에 피드된다.
또, DCS 모드 시, 오프셋 PLL(320)에서는,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가 동작하고, 다른 전압 제어 발진기(322, 324)는 정지하고 있다.
그래서,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로부터의 출력은 주파수 혼합기(32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채널 PLL부(330)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로부터의 신호와 승산된다.
그리고, 그 DCS 모드 시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 fCH _TX_DCS가 수학식 6으로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채널 PLL부(330)를 제어하면, 주파수 혼합기(325)의 출력에는, 해당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 fCH_TX_DCS와,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의 발진 주파수 fTX_DCS의 합 및 차의 주파수가 얻어진다.
즉, 수학식 7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저역 통과 필터(326)에 피드된다.
그래서, 저역 통과 필터(326)의 차단 주파수를 적당하게 선택하면, 2개의 주파수 중 높은 쪽의 주파수가 제거되고, 수학식 8로 표시되는 낮은 쪽의 주파수의 신호만이 주파수 분주기(327)에 넘겨진다.
그리고 주파수 분주기(327)에 있어서, 그 낮은 쪽의 주파수의 신호는 1/2로 분주되어, 위상 비교기(321)에 입력된다.
따라서, 위상 비교기(321)는, 그 1/2로 분주된 신호의 주파수와, 상술한 IF 신호의 190[MHz]의 주파수를 비교함으로써 이들 주파수의 위상 오차를 루프 필터(340)에 출력한다.
루프 필터(340)는, 상술한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위상 오차 성분을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의 제어 단자에 인가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루프는, 위상 비교기(321)의 2개의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수속하기 때문에, 결국, 수학식 9가 된다.
여기서, 그 수학식 9에 수학식 6을 대입하면,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의 발진 주파수 fTX_DCS는, 수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값이 되어, DCS의 송신 주파수와 같아진다.
또, 루프 필터(340)의 상수도, DCS에서 사용되고 있는 GMSK 변조가 걸리도록, 변조 레이트보다도 충분히 높은 차단 주파수를 갖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서 DC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3)로부터의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341)(도 1)를 통해 전력 증폭기(342)로 출력된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342)로부터의 출력이 아이솔레이터(343)를 통과하여 고주파 스위치(215)에 피드된다.
한편, UMTS 모드라도 상술한 GSM 모드 및 DCS 모드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그 UMTS 모드에서는, 채널 PLL부(330)로 창출하는 주파수가 DCS의 그것과 비교적 비슷하기 때문에, 동일한 전압 제어 발진기(281)를 사용 할 수 있다. 이하에 UMTS 모드 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UMTS 모드 시, 도 3의 주파수 혼합기(302, 303) 및 주파수 분주기(304)로 구성되는 직교 변조기(305)는, 변조기로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파수 혼합기(303)의 전원을 끄고, I 채널의 차동 입력에 각각 Vbias와 0[V]를 가함으로써 주파수 혼합기(302)는 종속 접속 증폭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고정 PLL부(310)에서 만들어진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11 및 304)를 통해 1/4로 분주되고, 190[MHz]의 신호로서 주파수 혼합기(302), 가산기(306), 저역 통과 필터(307) 및 고주파 증폭기(308)를 순차 통해 위상 비교기(321)에 피드된다. 또, GSM 모드 및 DCS 모드 시와는 달리, 그 190[MHz]의 신호는 무 변조 신호이다.
여기서, UMTS 모드 시, 오프셋 PLL(320)에서는,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가 동작하고 있고, 다른 전압 제어 발진기(322 및 323)는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로부터의 출력은 주파수 혼합기(32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채널 PLL부(330)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로부터의 신호와 승산된다.
그래서,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 fCH_TX_UMS가 수학식 11로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채널 PLL부(330)를 제어하면, 주파수 혼합기(325)의 출력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 fCH_TX_UMTS와,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의 발진 주파수 fTX_UMTS의 합 및 차의 주파수가 얻어진다.
즉, 수학식 12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저역 통과 필터(326)에 피드된다.
그래서, 저역 통과 필터(326)의 차단 주파수를 적당하게 선정하면, 이들 2개의 주파수 중 높은 쪽의 주파수가 제거되고, 수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낮은 쪽의 주파수의 신호만이 얻어진다.
그래서, UMTS 모드 시에 그 낮은 쪽의 주파수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27)에 피드되지만, 해당 주파수 분주기(327)를 통과하여 위상 비교기(321)에 입력된다.
위상 비교기(321)는, 그 낮은 쪽의 주파수를 상술한 무 변조 신호의 주파수(190[MHz])와 비교함으로써 이들 주파수의 위상 오차를 루프 필터(344)에 출력한다.
루프 필터(344)는, 위상 오차 성분을 적분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의 제어 단자에 인가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루프는, 위상 비교기(321)의 2개의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같아지도록 수속하기 때문에, 결국, 수학식 14가 된다.
그래서, 그 수학식 14에 수학식 11을 대입하면,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의 발진 주파수 fTX_UMTS는, 수학식 15로 표시되는 값이 되어, UMTS의 송신 주파수와 같아진다.
이 상태에서, UMTS용의 전압 제어 발진기(3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가변 이득 증폭기(345)를 통해 폴리페이즈 필터(346)에 입력된다.
폴리페이즈 필터(346)는, 주파수 혼합기(347 및 348)와 함께 UMTS용의 직교 변조기(349)를 형성한다. 따라서, 송신 베이스 밴드 처리부에서 저역 통과 필터(350 및 351)를 통해 주파수 혼합기(347 및 348)에 이른 I/Q 신호는, 해당 주파수 혼합기(347 및 348)에 있어서, 폴리페이즈 필터(346)로부터 출력되는, 상호 직교하는 신호와 혼합된다.
이와 같이 직교 변조가 가해진 신호는, 가변 이득 증폭기(352), 대역 통과 필터(353)(도 1)를 순차 통해 전력 증폭기(354)로 출력된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354)로부터의 출력이 아이솔레이터(355)를 통과하여 듀플렉서(213)에 피드된다.
다음에, 수신용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생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상술한 바와 같이 UMTS(즉 W-CDMA)에서는, DC 오프셋 보상 회로를 아날로그 회로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부 발진 신호가 가변 이득 저잡음 증폭기(270)의 입력측, 예를 들면, 듀플렉서(213)와 접속되는 트랜스미션 라인에 누설되더라도, DC 증폭기(279 및 280)로 구성되는 보상 회로에서 DC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채널 PLL부(330)에 있어서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를 수신 RF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UMTS 모드시, 채널 PLL부(330)에 있어서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는, 상술한 수학식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MTS 대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다.
한편, GSM 모드 시에는, DC 오프셋을 될 수 있는 한 저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2의 채널 PLL부(330)에 있어서 전압 제어 발진기(331)의 발진 주파수는, 수신 신호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발진시켜야만 한다.
그래서, 수신 슬롯중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 발진기(331)의 발진 주파수 fCH_RX_GSM이 수학식 16으로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채널 PLL부(330)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331)의 출력 신호는, 폴리페이즈 필터(360)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되고, 각각 완충 증폭기(361 및 362)를 통해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의 한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이 때, 도 3의 고정 PLL부(310)에 있어서 고정 PLL(312) 및 전압 제어 발진기(313)에 의해 생성된 고정 주파수(760[MHz])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11)에 피드된다.
그 고정 주파수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11)에 있어서 1/2로 분주된 후에 상호 직교하는 380[MHz]의 신호로 변환되어, 이들 2개의 신호가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의 다른 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에 입력되는 4개의 신호가 도 2에 도시하는 위상 관계로 되어 있으면, 해당 주파수 혼합기(363)의 출력에는, 수학식 17로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나는 동시에, 주파수 혼합기(364)의 출력에는, 수학식 18로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난다.
그리고, 2개의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다음 단의 가산기(365)로 가산하면, 수학식 19로 표시되는 신호만이 출력된다.
즉, 가산기(365)로부터는, 수학식 20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의 차로 이루어지는 주파수가 얻어진다. 여기서, fIF는 고정 PLL부(310)의 주파수 분주기(313)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로 380[MHz]이다.
따라서, 수학식 20에 수학식 16을 대입하면, 수학식 2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GSM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가 얻어진다.
그리고, 그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는, 고주파 증폭기(366)를 통해 폴리페이즈 필터(253)에 피드된다. 이에 따라 GSM 모드 시에는, 그 폴리페이즈 필터(253) 및 주파수 혼합기(251, 252)로 이루어지는 GSM용의 직교 복조기(254)에 있어서 수신 RF 신호를 다이렉트로 직교 복조 할 수 있다.
또한, DCS 모드 시에도,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DC 오프셋을 될 수 있는 한 저감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2의 채널 PLL부(330)에 있어서, UMTS용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발진에 이용한 전압 제어 발진기(281)를 DCS용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로 발진시켜야만 한다.
그래서, 수신 슬롯중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발진 주파수 fCH_RX_DCS가 수학식 22로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채널 PLL부(330)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281)의 출력 신호는, 폴리페이즈 필터(367)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2개의 신호로 분해되어, 각각 완충 증폭기(368 및 369)를 통해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의 한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이 때, 도 3의 고정 PLL부(310)에 있어서 고정 PLL(312) 및 전압 제어 발진기(313)에 의해 생성된 고정 주파수(760[MHz])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11)에 피드된다.
그 고정 주파수의 신호는, 주파수 분주기(311)에 있어서 1/2로 분주된 후에 상호 직교하는 380[MHz]의 신호로 변환되어, 이들 2개의 신호가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의 다른 쪽 입력 단자에 피드된다.
여기서,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에 입력되는 4개의 신호가 GSM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하는 위상 관계가 되어 있으면, 해당 주파수 혼합기(363)의 출력에는, 수학식 23으로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나는 동시에, 주파수 혼합기(364)의출력에는, 수학식 24로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난다.
그리고, 2개의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기(365)에 있어서 가산하면, 수학식 25로 표시되는 신호만이 출력된다.
즉, 가산기(365)로부터는, 수학식 26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주파수 혼합기(363 및 364)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의 차로 이루어지는 주파수가 얻어진다.
따라서, 수학식 26에 수학식 22를 대입하면, 수학식 27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DCS 모드 시에는 DCS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가 얻어진다.
그리고, 그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는, 고주파 증폭기(366)를 통해 폴리페이즈 필터(263)에 피드된다. 이에 따라 DCS 모드 시에는, 그 폴리페이즈 필터(263) 및 주파수 혼합기(261, 262)로 이루어지는 DCS용의 직교 복조기(264)에 있어서 수신 RF 신호를 다이렉트로 직교 복조 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페이즈 필터(360, 367) 및 주파수 혼합기(363, 364) 등으로 형성되는 회로는, 주파수를 혼합했을 때에 발생하는 2개의 주파수(즉, 국부 발진 주파수와 이미지 주파수) 중 1개의 주파수(즉, 국부 발진 주파수)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제거 믹서(370)라고 불린다.
그리고, 이미지 제거 믹서(370)는, GSM 및 DCS 쌍방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생성에 고정 PLL부(310)에서 생성된 고정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이미지 제거 믹서(370)는, GSM용 및 DCS용으로 각각 개별의 폴리페이즈 필터(360 및 367)를 이용할 뿐이고, 다른 회로 소자를 GSM/DCS에서 공용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각 국부 발진 주파수의 생성에 이미지 제거 믹서(370)를 공유화 하고 있다. 또, 각 국부 발진 주파수의 생성과, 송신 신호의 생성에 채널 PLL부(330) 및 고정 PLL부(310)를 공유화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도 2에 있어서 도 중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수신 처리부(201)의 거의 전체를 1개의 수신계 IC 칩(400)으로서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도 3에 있어서 도 중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송신 처리부(202)의 거의 전체도 1개의 송신계 IC 칩(401)으로서 형성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GSM 모드 시,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331)에 있어서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발진한다. 또, 고정 PLL부(310)의 전압 제어 발진기(313)에 있어서 고정 주파수를 발진한다.
그리고, GSM용의 직교 복조기(254)의 근방에 배치한 이미지 제거 필터(370)에 있어서, 수신 신호 주파수와는 다른 이들 수신용 기준 주파수 및 고정 주파수로부터 GSM용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렇게 해서 GSM용의 직교 복조기(254)에 있어서, 그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해서 수신 RF 신호를 직접 직교 복조한다.
또,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DCS 모드 시,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에 있어서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발진한다. 이 때, 고정 PLL부(310)의 전압 제어 발진기(313)에 있어서 고정 주파수를 발진한다.
그리고, DCS용의 직교 복조기(264)의 근방에 배치한 이미지 제거 필터(370)를 GSM 모드와 공용하여, 수신 신호 주파수와는 다른 이들 수신용 기준 주파수 및고정 주파수로부터 DCS용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렇게 해서 DCS용의 직교 복조기(264)에 있어서, 그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해서 수신 RF 신호를 직접 직교 복조한다.
따라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GSM 모드 및 DCS 모드 시에 GSM용 및 DCS용의 직교 복조기(254 및 264)의 앞까지는 수신 신호 주파수와는 다른 2개의 주파수를 피드하여, 이들 2개의 주파수로부터 각각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 때문에, 직교 복조의 결과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DC 오프셋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GSM 모드 및 DSC 모드 시에 1개의 이미지 제거 믹서(370)를 공용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수신계의 회로 블록의 TC화 시에 회로 규모의 극단적인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서 DC 오프셋의 대폭적인 저감을 실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수신계 IC 칩(400)내에 GSM/DCS용의 직교 복조기(254 및 264), 이미지 제거 믹서(370), 채널 PLL부(330)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331 및 281)로 발진한 수신용 기준 주파수에 외란 등이 실리는 것을 방지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 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서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UMTS 모드 시에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에 있어서 UMTS용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에 피드한다.
그리고,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에 있어서 그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해서 수신 RF 신호를 직교 복조한 후, 해당 직교 복조기(274)로부터 출력되는 I/Q 신호에 DC 오프셋 보상 회로에 의해 DC 귀환을 가하도록 했다.
따라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UMTS용의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이것에 포함되는 송신 정보를 거의 상실하지 않고서 직류 오프셋 성분을 적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UMTS용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생성에 이미지 제거 믹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의 회로 규모가 증대하는 것을 극력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DCS 모드 및 UMTS 모드 시에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를 공용하기 때문에, 해당 채널 PLL부(330)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송수신의 쌍방에 있어서 채널 PLL부(330) 및 고정 PLL부(310)를 공용하기 때문에, 해당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의 회로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서는, GSM, DCS 및 UMTS의 3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병용하도록 구성하지만, 이와 같이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 등의 회로 소자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만큼, 동작 시에 소비 전력이 증대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면,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 이용되는 수신계 IC 칩(400) 및 송신계 IC 칩(401)의 칩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수신계 IC 칩(400) 및 송신계 IC 칩(401)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수율의 저하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GSM 모드 및 DCS 모드 시에 GSM용의 직교 복조기(254) 및 DCS용의 직교 복조기(264)의 앞까지는 수신 신호 주파수와는 다른 2개의 주파수를 피드하여, 1개의 이미지 제거 믹서(370)에 있어서 이들 2개의 주파수로부터 각각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회로 규모의 극단적인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서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DC 오프셋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GSM 및 DCS의 수신 RF 신호를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적확하게 복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UMTS 모드,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가, 채널 PLL부(330)의 전압 제어 발진기(281)에 있어서 발진한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해서 수신 RF 신호를 직접 복조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UMTS용의 베이스 밴드 신호에 오프셋 보상 회로에서 DC 귀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UMTS용의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신호 성분을 거의 상실하지 않고서, DC 오프셋 성분을 거의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GSM 및 DCS와는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UMTS의 수신 RF 신호도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적확하게 복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를 실현 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 있어서 GSM, DCS 및 UMTS를 병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기타 여러 가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병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채널 PLL부(330)로부터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에 국부 발진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의 앞에서 이미지 제거 믹서에 의해 다른 2 종류의 주파수로부터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3에 대해서 상술한 멀티 밴드 휴대 전화기(200)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병용할 수 있는 것이면, 휴대 전화기나 트랜시버,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에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으로서, 도 1에 대해서 상술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210)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무선 통신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수신 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수신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도 3에 대해서 상술한 고정 PLL부(310)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 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기준 주파수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도 2에 대해서 상술한 채널 PLL부(330)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 할 수 있으면, 1개의 전압 제어 발진기를 이용해서 2 종류 이상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 등과 같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되어, 고정 주파수 신호와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도 2에 대해서 상술한 이미지 제거 믹서(370)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되어, 고정 주파수 신호와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 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 수단으로서, 도 2에 대해서 상술한 GSM용 및 DCS용의 직교 복조기(254 및 264)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 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복조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신호에 송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송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도 3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 처리부(202)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소정의 신호에 송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송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 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송신 신호 생성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 도 1에 대해서 상술한 기지국에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소자(210)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송신 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수신 신호 중 임의의 수신 신호가 갖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넓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특정 복조 수단으로서, 도 2에 대해서 상술한 UMTS용의 직교 복조기(274)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 수신 신호 중 임의의 수신 신호가 갖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넓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정의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특정 복조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 복조 수단으로부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 결과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직류귀환을 가하는 직류귀환 수단으로서, 도 2에 대해서 상술한 DC 증폭기(279 및 280)를 갖는 오프셋 보상 회로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특정 복조 수단으로부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 결과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직류귀환을 가할 수 있으면,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의 직류귀환 수단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으로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으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국부 발진 주파수 생성 수단을 각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하고, 고정 주파수 신호와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여, 각 복조 수단이 각각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도록 함으로써, 각 복조 수단에 대해서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을 공용하는 만큼,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수신 신호를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복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병용하는 휴대 전화기, PDA, 퍼스널 컴퓨터에 이용 할 수 있다.

Claims (6)

  1. 무선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상기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되어,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에 송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송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은,
    각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가변하여 각 상기 송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송신용 기준 주파수의 송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송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신호에 송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수신 신호 중 임의의 상기 수신 신호가 갖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넓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특정 복조 수단과,
    상기 특정 복조 수단으로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 결과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직류귀환을 가하는 직류귀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은,
    각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 중 임의의 해당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복조 수단은,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신호 수신 장치.
  4. 복조 처리 회로에 있어서,
    고정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과,
    수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수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수신용 기준 주파수의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공용되어,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로부터 각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각각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수신 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처리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은, 송신 신호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송신 신호의 생성에 공유해서 이용하는 상기 고정 주파수의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은,
    각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가변하여 각 상기 송신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해당 각 송신 신호의 생성에 이용하는 송신용 기준 주파수의 송신용 기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처리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수신 신호 중 임의의 상기 수신 신호가 갖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넓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특정복조 수단과,
    상기 특정 복조 수단으로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 결과 얻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직류귀환을 가하는 직류귀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은,
    각 상기 수신용 기준 주파수 중 임의의 해당 수신용 기준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주파수와 같은 국부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특정 복조 수단은,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정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처리 회로.
KR10-2003-7003470A 2001-07-13 2002-07-09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 KR20040028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4189A JP3672189B2 (ja) 2001-07-13 2001-07-13 無線信号受信装置及び復調処理回路
JPJP-P-2001-00214189 2001-07-13
PCT/JP2002/006951 WO2003007493A1 (fr) 2001-07-13 2002-07-09 Appareil de reception de signaux radio et circuit de demod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603A true KR20040028603A (ko) 2004-04-03

Family

ID=190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470A KR20040028603A (ko) 2001-07-13 2002-07-09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31748B2 (ko)
EP (1) EP1408618A1 (ko)
JP (1) JP3672189B2 (ko)
KR (1) KR20040028603A (ko)
WO (1) WO2003007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2201C2 (de) * 2001-01-18 2003-05-08 Epcos Ag Elektrisches Schaltmodul, Schaltmodulanordnung und verwendung des Schaltmoduls und der Schaltmodulanordnung
US20050059371A1 (en) * 2001-09-28 2005-03-17 Christian Block Circuit arrangement, switching module comprising said circuit arrangement and use of switching module
US7492565B2 (en) * 2001-09-28 2009-02-17 Epcos Ag Bandpass filte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7027777B2 (en) * 2001-10-30 2006-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switch and high frequency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DE10246098A1 (de) 2002-10-02 2004-04-22 Epcos Ag Schaltungsanordnung
JP2004129076A (ja) * 2002-10-04 2004-04-22 Sharp Corp 周波数変換回路ならびにそれを用いるチューナおよびcatv受信用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US7295814B2 (en) * 2003-02-05 2007-11-13 Hitachi Metals, Ltd. Antenna switch circuit and antenna switch module
US7221922B2 (en) * 2003-02-14 2007-05-22 Hitachi Metals, Ltd. Switch circuit and composite high frequency elements
US8149952B2 (en) * 2003-10-29 2012-04-03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receiver
US7567131B2 (en) * 2004-09-14 2009-07-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ultra wide band frequency generating
FR2891422B1 (fr) * 2005-09-23 2007-11-30 Alcatel Sa Transmission synchronisee par voies radio satellitaire et terrestre de sous-groupes de groupes de donnees destines a des terminaux de communication radio
US7945217B2 (en) * 2007-11-13 2011-05-17 Provigent Ltd. Multi-mode baseband-IF converter
US7991368B2 (en) * 2007-12-27 2011-08-02 Provigent Ltd Integrated RF-IF converter
KR101588916B1 (ko) * 2011-11-11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전자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0286B (fi) * 1996-04-01 1997-10-31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in/vastaanotin RF-signaali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kahdella taajuusalueella
JP3241594B2 (ja) * 1996-04-08 2001-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数帯域移動無線装置
US6029052A (en) 1997-07-01 2000-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ple-mode direct conversion receiver
JPH1141132A (ja) * 1997-07-24 1999-02-1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US6208875B1 (en) * 1998-04-08 2001-03-27 Conexant Systems, Inc. RF architecture for cellular dual-band telephones
US6658237B1 (en) * 1999-03-02 2003-12-02 Skyworks Solutions, Inc. Multi-Band transceiver utilizing direct conversion receiver
JP4547084B2 (ja) * 1999-11-15 2010-09-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移動体通信機および送受信機
NO329890B1 (no) 1999-11-15 2011-01-17 Hitachi Ltd Mobilkommunikasjonsapparat
EP1148654A1 (de) 2000-04-18 2001-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 und Empfangseinheit
JP3626399B2 (ja) 2000-08-17 2005-03-09 株式会社東芝 周波数シンセサイザ及びこれを用いたマルチバンド無線機
JP2002135157A (ja) 2000-10-20 2002-05-10 Sony Corp マルチバンド携帯無線端末
US6694129B2 (en) * 2001-01-12 2004-02-17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conversion digital domain control
US6735426B1 (en) * 2001-01-25 2004-05-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band wireless transceiver with quadrature conver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1174A1 (en) 2003-09-25
EP1408618A1 (en) 2004-04-14
US7031748B2 (en) 2006-04-18
WO2003007493A1 (fr) 2003-01-23
JP3672189B2 (ja) 2005-07-13
JP2003032137A (ja) 200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178B1 (en) RF architecture for cellular multi-band telephones
JP4494650B2 (ja) 共有機能ブロックcdma/gsm通信トランシーバ用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US7058380B2 (en) Multiband radio signal transmitter/receiver
US7996003B2 (en) Integrated circuit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s
US653574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having a dual mode of operation
US6201952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P0905917B1 (e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49075A1 (en) Multiband portable radio terminal
US20070087702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KR20040085200A (ko)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간에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8603A (ko)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복조 처리 회로
US7386278B2 (en)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53136B1 (ko) 공유 기능 블록 멀티 모드 멀티 밴드 통신 트랜시버
US6369666B1 (en) Modulator circuit configuration
JP200012482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集積回路
JPH1093475A (ja) 複合システム共用端末
KR100590783B1 (ko) 무선 송신기
US6968159B2 (en) Frequency converter and communication device
JP458321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携帯電話端末
KR100357858B1 (ko) 주파수천이키잉 변복조 수행 무선통신기기의 송수신 장치
JP4806575B2 (ja) 送信装置
JP2005033234A (ja) 無線機
EP1257065A1 (en) Frequency synthesiser for mobile terminal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s
US20110319040A1 (en) Rf integrated circuit for development
JP2000059254A (ja)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