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485A -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485A
KR20040026485A KR1020020057983A KR20020057983A KR20040026485A KR 20040026485 A KR20040026485 A KR 20040026485A KR 1020020057983 A KR1020020057983 A KR 1020020057983A KR 20020057983 A KR20020057983 A KR 20020057983A KR 20040026485 A KR20040026485 A KR 2004002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sal
user
standard
contents
stor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733B1 (ko
Inventor
권효진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7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제안서 라이브러리 DB;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목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스토리보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스토리보드 모듈; 상기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A Proposal Mak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안서의 구성 요소인 제안서 표준안, 목차, 스토리보드 등 각 항목에 대하여 이를항목별로 체계적으로 라이브러리화 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안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서란 기업이 자사의 프로젝트를 발주하기 위해 수주업체의 경험이나 기술적 특징을 검토할 목적으로 제출 받는 문서로써, 해당 프로젝트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주업체의 노하우, 실행능력, 기술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필수적인 업무 영역의 하나의 제안서 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기존 자료를 이용하는 지식관리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안서를 작성하는 방법은, 지식관리시스템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등록되어 있는 제안서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업특성과 업종에 맞는 최종 제안서를 선별하여, 그 선별한 제안서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참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완성된 형태의 최종 제안서를 검색·선별하는데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고 또한 이를 참조하여 제안서를 처음부터 다시 작성하여야 하는데에도 수고가 많이 요구된다. 또한 완성된 형태의 최종 제안서 내용만을 참조하여야 하므로, 제안서 내용에 적절한 리딩 메시지(Leading Message) 및 도식화된 부분을 찾기가 어렵고, 사업내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기가 어려우며, 같은 사업에 대한 제안서 작성시 유사한 작업이 항상 반복되어야 하므로 시간적인 손실이 많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형태로서만 제안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 아니라, 제안서를 제안서표준안별, 제안목차별, 스토리보드별로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단계마다 원하는 대상을 선택하여 맞춤형으로 제안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보다 편리한 제안서 작성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제안서 작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이브러링 단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제공되는 로그인 화면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안서표준안 결정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안목차 도출 단계 및 스토리보드 생성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제안서 라이브러리 DB;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목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스토리보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스토리보드 모듈; 상기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여부인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인가하는 사용자 확인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은, 제안서 라이브러리 DB(100) 및 제안서 서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선택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각 단계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안서를 작성하는 방식이므로, 상기 라이브러리 DB(100)는 제안서에 포함되는 각 단계별 메뉴, 즉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제안서의 각 내용을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고 있다.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DB(100)는 기존 제안서의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또는 신규한 제안서 양식이 추가됨에 따라 포함된 제안서 관련 데이터를 생성·변경·삭제·추가하는 등 소정 주기를 가지면서 갱신하여 최신 업데이트된 자료로 유지된다.
다음, 상기 제안서 서버(120)는 제안서 라이브러리 DB(100)에 저장된 내용을 각 단계별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60)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라이브러리 DB(100)로부터 가져와 제안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안서 서버(120)는 상기 라이브러리 DB(100)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160)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제안서 표준안 결정 모듈(122), 상기 라이브러리 DB(100)의 제안목차 중 사용자(160)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제안목차 도출 모듈(124), 상기 라이브러리 DB(100)의 스토리보드 중 사용자(160)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스토리보드 모듈(126) 및상기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최종 제안서 생성 모듈(128)을 포함한다.
상기 제안서표준안 항목은 제안서 작성 초기 단계로서의 제안서표준안 작성에 필요한 항목인 제안서 머리말, 제안서 꼬리말, 표 형태, 도식화 형태, 제안서 타이틀을 포함한다.
다음, 상기 제안목차는 제안서표준안이 결정된 다음 해당 표준안에 포함되는 세부 목차인 부문별 표준목차 및 부문별 추가목차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스토리보드는 결정된 목차에 포함될 내용인 스토리를 의미하는데, 해당 목차에 대한 기존의 우수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제안목차별 기존 우수 내용, 해당 목차에 대한 구체적인 작성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제안목차별 작성방법, 해당 목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안내하는 제안목차별 작성할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 모듈(14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142)은 제안서 작성 시스템에 접속을 원하는 사용자(160)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인지 그 여부인지를 인증하여 접속 자격이 있는 사용자(160)인 경우 접속을 인가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1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서버(120)와는 별도의 서버(140)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제안서 서버(120)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142)은 접근권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확인, 사용자등급분류, 접근권한확인, 서식사용권환확인의 각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과정을 거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아이디나 패스워드 또는 사용자의 영업 코드 확인 등 보다 간단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접속 자격을 인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제안서 작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방법은 라이브러링(S 200), 사용자 인증(S 210), 제안서표준안 결정(S 220), 제안목차 도출(S 230), 스토리보드 생성(S 240) 및 최종 제안서 생성(S 250)의 각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라이브러링 단계(S 200)는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는 단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이브러링 단계(S 200)에 대한 개념도로서, 관리자(300)가 제안서 라이브러리를 생성, 변경, 삭제, 추가하여 제안서 라이브러리 DB(100)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안서표준안은 제안서 템플릿이라고도 하며 제안서 머리말 분류, 제안서 꼬리말 분류, 타이틀 형태 분류 및 도식화 분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안목차 항목은 제안서 각 부문별 기본목차 분류를 포함하며, 스토리보드 항목은 각 목차별 스토리보드 리스트 분류 및 각 부문별 제안서 작성 가이드 분류를 포함한다. 각 분류및 이에 따른 분류별 표준안 메뉴 제공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안서표준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다음, 제안서 작성을 원하는 사용자(160)는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쳐 제안서 작성 시스템의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증 단계(S 210)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 여부인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양호하게는 사용자확인, 사용자 등급분류, 접근권한 확인, 서식사용권한 확인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제공되는 로그인 화면의 예로서, 사번입력란(410) 및 비밀번호입력란(420)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인증 단계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안서표준안 결정 단계(S 220)는 라이브러리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S 210)에 의해 인증이 허가된 사용자(160)에 대하여 서버(120)의 제안서표준안 결정 모듈(122)이 라이브러리 DB(100)로부터 분류화된 표준안 결정 항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안서표준안 결정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예로서, 표준안 결정 버튼(510)을 구비하여 사용자(160)가 이 버튼을 클릭하면, 머릿말 기재란(511) 및 그 검색버튼(512), 폰트 기재란(513) 및 그 검색버튼(514), 표도식화기재란(515) 및 그 검색버튼(516), 개요도식화기재란(517) 및 그 검색버튼(518)을 제공한다. 각 검색버튼(512, 514, 516, 518)은 클릭에 의하여 메뉴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표도식화의 선택을 위하여 검색버튼(518)을 클릭한 경우에 제공하는 메뉴화면(519)을 제공하며 원하는 도식인 경우 선택버튼(520)을 클릭하여 선택하게 된다.
상기 제안목차 도출 단계(S 230)는 제안목차 생성 모듈(124)이 라이브러리 DB(100)의 제안목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 단계(S 240)는 스토리보드 생성 모듈(126)이 라이브러리 DB(100)의 제안목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중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안목차 도출 단계 및 스토리보드 생성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목차 작성 버튼(610)을 구비하여 클릭에 의하여 대목차선택란(611), 중목차선택란(612), 소목차선택란(613)을 제공하며, 각각의 선택란은 콤보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160)가 콤보박스 내에 제공되는 항목 중에서 선하는 목차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스토리보드 작성 버튼(630)을 구비하여 클릭에 의하여 각각의 목차에 대한 작성안내란(631), 주요작성내용란(632), 리딩MSG란(633)을 제공하며, 해당 란의 클릭에 의하여 이에 대응하는 리스트란(634) 및 작성가이드란(625)을 제공한다. 사용자(160)는 제공된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도면에서는 그 한 예로서 리딩 MSG의 리스트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최종 제안서 생성 단계(S 250)는 최종 제안서 생성 모듈(128)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하나의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양호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최종 제안서를 선택하여 이를 참고하는 방식의 종래 기술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대항목에서부터 소항목으로 순차적으로 디렉토리화 되어 있는 제안서 작성 항목을 단계적으로 제공하고 원하는 각 항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항목들을 제공하고 이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안서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므로 최종 제안서 전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지 않고 변경된 해당 항목의 데이터만 갱신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Claims (14)

  1.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제안서 라이브러리 DB;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제안목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모듈;
    상기 라이브러리 DB의 스토리보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스토리보드 모듈;
    상기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서표준안 항목은 제안서 머리말, 제안서 꼬리말, 표 형태, 도식화 형태, 제안서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목차는 부문별 표준목차 및 부문별 추가목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는 제안목차별 기존 우수 내용, 제안목차별 작성방법, 제안목차별 작성할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여부인지를 인증하여 접속을 인가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 모듈의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확인, 사용자등급분류, 접근권한확인, 서식사용권환확인의 각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의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영업코드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시스템.
  8. 제안서의 각 데이터를 제안서표준안 항목별로, 제안목차 항목별로, 또는 스토리보드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는 라이브러링 단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여부인지를 확인하여 접속을 인가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의 제안서표준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서표준안으로 제안서표준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의 제안목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안목차로 제안목차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의 스토리보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스토리보드로 제안서를 구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 단계;
    상기 선택된 제안서표준안, 제안목차, 스토리보드를 병합하여 최종 제안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서표준안 항목은 제안서 머리말, 제안서 꼬리말, 표 형태, 도식화 형태, 제안서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목차는 부문별 표준목차 및 부문별 추가목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는 제안목차별 기존 우수 내용, 제안목차별 작성방법, 제안목차별 작성할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여부인지를 인증하여 접속을 인가하는 사용자인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 단계는 사용자확인, 사용자등급분류, 접근권한확인, 서식사용권환확인의 각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영업코드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안서 작성 방법.
KR1020020057983A 2002-09-25 2002-09-25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63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983A KR100635733B1 (ko) 2002-09-25 2002-09-25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983A KR100635733B1 (ko) 2002-09-25 2002-09-25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485A true KR20040026485A (ko) 2004-03-31
KR100635733B1 KR100635733B1 (ko) 2006-10-17

Family

ID=3732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983A KR100635733B1 (ko) 2002-09-25 2002-09-25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96B1 (ko) 2019-07-31 2020-10-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303692B1 (ko) 2019-07-31 2021-09-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디브리핑 제도에 기반한 제안서 작성을 위한 제안서 데이터 선별 시스템 및 방법
KR102251687B1 (ko) 2019-08-07 2021-05-1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주 입찰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7443A (ko) 2019-08-08 2021-02-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주 입찰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데이터 구축 및 자동 가공 장치와 그 방법
KR20210026697A (ko) 2019-08-31 2021-03-1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주 입찰 제안서 생성을 위한 ocr 기반의 정량자료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51408B1 (ko) 2019-08-31 2020-10-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부합율 판단에 의한 텍스트/이미지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210026695A (ko) 2019-08-31 2021-03-1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주 입찰 제안서 생성을 위한 ocr 기반의 정량자료 가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59336B1 (ko) 2019-08-31 2020-10-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문서 상의 텍스트/이미지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439764B1 (ko) 2020-04-20 2022-09-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정량자료 자동 매핑 장치 및 방법
KR102316188B1 (ko) 2020-05-12 2021-10-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주 과제의 현장 실사를 위한 과제 자원 검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4462B2 (ja) * 1992-06-02 1999-07-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KR19990055302A (ko) * 1997-12-27 1999-07-15 윤종용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개발 방법
KR19990055301A (ko) * 1997-12-27 1999-07-15 윤종용 라이브러리 형태의 범용 문서 관리 시스템
KR20010060617A (ko) * 1999-12-27 2001-07-07 이계철 초고속통신망 관리시스템에서의 보고서 생성/접근장치와그 방법
KR100368913B1 (ko) * 2000-05-17 2003-01-24 김지섭 Csv 포맷 파일 작성방법
CZ20013781A3 (cs) * 2000-11-21 2003-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zovaný systém pro navrhování dokumentu
KR100420473B1 (ko) * 2000-12-30 2004-03-02 학교법인 명지학원 관동대학교 개조 컴포넌트에 의한 바이너리 컴포넌트의 재정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733B1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0088B (zh) 工作流配置方法及相关产品
US8135755B2 (en) Templates in a schema editor
RU2586866C2 (ru)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ие набора признаков участником арендуемой среды и пользователем
US7251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grated process modeller
US10887338B2 (en) Creating notes on lock screen
CN116225399A (zh) 基于电子表格的软件应用程序开发
US9805209B2 (en)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managing document access permissions
RU2714609C1 (ru) Автоматизация формирования документа
CN115203505A (zh) 由多个不同团队进行的协作文档创建
AU2021256041B2 (en) Document sharing with annotations
JP2005004773A (ja) 電子ドキュメントの領域を保護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および装置
CN111767563A (zh) 在线文档的权限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140081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w location task completion and enterprise-wide project initiative tracking
US20220035847A1 (en) Information retrieval
CN112650766A (zh) 数据库数据操作的方法、系统及服务器
EP3800601A1 (en) Collaboration hub with blockchain verification
KR100635733B1 (ko) 제안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N109902095A (zh) 保单信息更新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229112A1 (en) Access controller
US7100126B2 (en) Electrical form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ohler Atlassian confluence 5 essentials
CN115964102A (zh) 一种基于档案业务的低代码配置平台
Siddaway PowerShell and WMI
JP2004341623A (ja) セキュリティ仕様書作成支援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仕様書作成支援方法
JP5017349B2 (ja) 仕様情報管理装置および仕様情報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4

Effective date: 200609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