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98A -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98A
KR20040026398A KR1020020057855A KR20020057855A KR20040026398A KR 20040026398 A KR20040026398 A KR 20040026398A KR 1020020057855 A KR1020020057855 A KR 1020020057855A KR 20020057855 A KR20020057855 A KR 20020057855A KR 20040026398 A KR20040026398 A KR 2004002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teletext
sig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398A/ko
Priority to EP03255743A priority patent/EP1406442A3/en
Priority to CNA031586996A priority patent/CN1491029A/zh
Publication of KR2004002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는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및 채널전환모드키를 구비한 입력부 및 입력부를 통해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여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가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동작 중 입력부를 통해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이 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분할된 화면 중 선택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텔레텍스트 수신장치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도 방송신호가 표시되는 화면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tele-text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화면을 분할하여 텔레비전 방송신호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텍스트(Tele-text : TTX)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및 뉴스 등과 같은 정보를 텍스트(text) 및 그래픽(graphic)으로 텔레비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정보이다. 텔레텍스트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비해 적은 시간동안 상당한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텔레텍스트 전송 시스템을 문자다중방송(teletext system)이라고 한다. 방송국은 송출할 방송신호 내에 문자(character) 및/또는 간단한 도형에 대한 신호를 포함시킨 텔레텍스트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 가능한 텔레비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텔레텍스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텔레텍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텔레텍스트 수신용 텔레비전의 화면 표시모드에 따라 화면전체에 텔레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과, 하나의 화면을 2화면으로 분할하여 제1화면에 선국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제2화면에는 상기 채널에 포함된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이 있다.
화면전체에 텔레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의 경우, 시청중인 방송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의 2화면 표시방식이 제공된 것이다.
2화면 표시방식을 적용한 텔레텍스트 수신용 텔레비전이 텔레텍스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중심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방송채널 또는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타 채널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텔레비전이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는 상기 2화면 중 제2화면에 대한 제어만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타 채널로의 변경이 아닌 텔레텍스트 정보에 대한 이전 또는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텔레텍스트 수신용 텔레비전이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 중에 채널 변경을 위해서는 텔레텍스트 모드에서 일반 방송모드로 전환 후 채널을 변경해야 하므로 조작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텔레텍스트 모드에서도 방송채널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채널의 변경이 가능하여 조작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e는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및 채널전환모드키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의 화면 표시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10 : 입력부
120 : 튜너부130 : 스위칭부
140 : 음성처리부150 : 영상처리부
160 : 스피커170 : 표시부
180 : TTX 디코딩부190 : 저장부
20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는,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및 채널전환모드키를 구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튜너 및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동작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선택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제1 및 제2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화면에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의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며, 상기 제2표시화면에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처리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1표시화면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2표시화면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은, 픽처/텍스트 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픽처/텍스트 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튜너 및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동작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선택된 화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제1 및 제2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표시화면에는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상기 제2표시화면에는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가 상기 제1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가 상기 제2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텔레텍스트 수신장치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도 방송신호가 표시되는 화면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주어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는 입력부(110), 튜너부(120), 스위칭부(130), 음성처리부(140), 영상처리부(150), 스피커(160), 표시부(170), 텔레텍스트(TTX) 디코팅부(180), 저장부(190) 및 제어부(200)를 갖는다.
입력부(110)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의 본체상에 마련되어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의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고, 다수의 조작키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된다. 일반적으로는 다수의 기능키(미도시)가 마련된 리모콘(112)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부(110) 및/또는 리모콘(112)에는 방송신호의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방송모드 및 텔레텍스트 모드로 전환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미도시) 및 방송모드 또는 텔레텍스트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채널전환모드키(미도시)가 마련된다. 여기서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키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화면표시모드를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여 텔레텍스트 모드키를 누르면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튜너부(120)는 메인튜너(122) 및 서브튜너(124)를 구비한다.
메인튜너(122)는 안테나(12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 한다.
서브튜너(12)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후술할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채널을 선국한다. 서브튜너(12)는 메인튜너(122)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을 포함하여 다수의 채널중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채널만을 선국 한다.
스위칭부(130)는 후술할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메인튜너(122)와 서브튜너(12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40)는 스위칭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160)로 출력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스위칭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orizontal and Vertical SYNC)를 분리하여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부터 R(Red), G(Green), B(Blue) 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160)는 음성처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표시부(170)는 영상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 R, G 및 B 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표시부(260)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가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70)의 화면을 제1 및 제2표시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화면에 메인튜너(122) 및 서브튜너(124)에 의해 선국 된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1표시화면에는 메인튜너(122)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며, 제2표시화면에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서브튜너(124)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포함된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한다.
TTX 디코딩부(180)는 텔레텍스트가 포함된 방송신호로부터 텔레텍스트 정보를 검출 및 디코딩 한다. TTX 디코딩부(18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서브튜너(124)에서 선국되는 텔레텍스트 페이지에 관한 정보 및 페이지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 한다.
저장부(190)는 TTX 디코딩부(180)에서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텔레텍스트 페이지에 관한 정보 및 페이지 내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10)의 입력신호에 따라 튜너부(120), 스위칭부(130), 음성처리부(140), 영상처리부(150), 스피커(160), 표시부(170), TTX 디코딩부(180) 및 저장부(190)를 제어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입력부(110) 또는 리모콘(112)에 의해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방송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200)는 음성처리부(140) 및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가 표시부(170) 및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입력부(110)를 통해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170)의 화면을 분할하여 메인튜너(122) 및 서브튜너(124)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가 분할된 화면 각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로 동작 중 입력부(110)를 통해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입력부(110) 또는 리모콘(112)의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및 채널전환모드키가 선택되었을 때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70)의 화면 표시상태의 일 예를 도 2a 내지 도2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표시부(170)의 화면(172)은 수직방향으로 제1표시화면(172a) 및 제2표시화면(172b)으로 분할된다. 제1표시화면(172a)에는 서브튜너(124)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 '7'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제2표시화면(172b)에는 채널 '11'의 방송신호에 포함된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된다.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로 동작되고 있는 중 입력부(110)를 통해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시화면(172a)에 콘트롤박스(172c)가 표시된다. 콘트롤박스(172c)는 리모콘(112)에 마련된 상하좌우 방향키(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현재 콘트롤박스(172c)가 위치된 화면에 대해 방향키의 조작방향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콘트롤박스(172c)는 현재 콘트롤박스(172c)가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 중 어떤 화면을 선택하였는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 처리한 것으로 음영표시처리 및 색상변환처리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112)에 마련된 방향키의 조작에 의해 제1표시화면(172a)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이 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1표시화면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리모콘(112)에 마련된 숫자키 및 방향키 조작에 의해제1표시화면(172a)에 대한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시화면(172a)이 채널 '9'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리모콘(112)에 마련된 방향키의 조작에 의해 제2표시화면(172b)이 선택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72c)가 제2표시화면(172b)에 표시된다. 제어부(200)는 제2표시화면(172b) 선택신호가 수신된 후 리모콘(112) 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2표시화면(172b)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1표시화면(172a) 제어와 마찬가지로 리모콘(112)에 마련된 숫자키 및 방향키 조작에 의해 제2표시화면(172b)에 대한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표시화면(172b)이 채널 '7'의 방송신호에 포함된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중에도 제1표시화면(172a) 및 제2표시화면(172b)에 대한 채널변경과 같이 화면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의 화면 표시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입력부(110) 또는 리모콘(112)을 통해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00). S300 단계에서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70)의 화면을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으로 분할하여, 메인튜너(122) 및 서브튜너(124)에 의해 선국 된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각각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에표시한다(S310).
제어부(200)는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로 동작 중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20).
S320 단계에서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및 제2표시화면(172a)(172b)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콘트롤박스(172c)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리모콘(112)에 마련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화면을 선택한다(S330).
제1표시화면(172a) 및 제2표시화면(172b) 중 리모콘(112)에 마련된 방향키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화면이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이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선택된 화면을 제어한다(S340).
즉, 제1표시화면(172a)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1표시화면(172a)을 제어한다. 이 경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는 제2표시화면(172b)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반대로, 제2표시화면(172b)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00)는 제2표시화면(172b) 선택신호 수신 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2표시화면(172b)만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2표시화면(172b)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텍스트 수신장치(100)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도 방송신호가 표시되는 화면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즉, 방송채널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채널의 변경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 화면 표시방법에 의하면, 픽처/텍스트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텔레텍스트 수신장치가 텔레텍스트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도 방송채널 및 텔레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채널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에 있어서,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및 채널전환모드키를 구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튜너 및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동작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선택된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제1 및 제2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화면에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의 영상신호를 표시처리하며, 상기 제2표시화면에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1표시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전환모드키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2표시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5.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 텔레텍스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픽처/텍스트 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픽처/텍스트 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메인튜너 및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픽처/텍스트 표시모드 동작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선택된 화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제1 및 제2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표시화면에는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상기 제2표시화면에는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가 상기 제1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채널전환모드로의 전환명령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표시화면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텔레텍스트 정보가 상기 제2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텍스트 수신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0020057855A 2002-09-24 2002-09-24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KR20040026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55A KR20040026398A (ko) 2002-09-24 2002-09-24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EP03255743A EP1406442A3 (en) 2002-09-24 2003-09-15 Teletext-enabled television apparatus
CNA031586996A CN1491029A (zh) 2002-09-24 2003-09-23 图文电视使能的电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55A KR20040026398A (ko) 2002-09-24 2002-09-24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98A true KR20040026398A (ko) 2004-03-31

Family

ID=3198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55A KR20040026398A (ko) 2002-09-24 2002-09-24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406442A3 (ko)
KR (1) KR20040026398A (ko)
CN (1) CN14910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171B2 (ja) * 2008-02-08 2012-12-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供給装置、供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システム
CN102104753B (zh) * 2009-12-16 2014-07-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具备主显示单元和副显示单元的电视机
CN106851379A (zh) * 2017-01-16 2017-06-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图文处理方法、处理系统及电视机
CN106899874B (zh) * 2017-03-17 2020-01-07 山东浪潮商用系统有限公司 一种遥控器、机顶盒及节目播放系统
CN110430460A (zh) * 2019-08-08 2019-11-08 上海云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节目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064A (ja) * 1994-11-04 1996-05-31 Sony Corp 文字放送受信装置
JPH0970025A (ja) * 1995-08-31 1997-03-1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970019485A (ko) * 1995-09-14 1997-04-30 배순훈 2-튜너 텔레비전에서의 방송상태표시방법
KR970024989A (ko) * 1995-10-12 1997-05-30 배순훈 2-튜너식 텔레비전에서의 타채널의 스포츠 경기점수 표시장치
KR970057351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970057255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20030092551A (ko) * 2002-05-3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채널의 텔레텍스트 부화면 표시기능을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6828A1 (en) * 1991-10-07 1993-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vision receiver
JP3393356B2 (ja) * 1995-05-26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064A (ja) * 1994-11-04 1996-05-31 Sony Corp 文字放送受信装置
JPH0970025A (ja) * 1995-08-31 1997-03-1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970019485A (ko) * 1995-09-14 1997-04-30 배순훈 2-튜너 텔레비전에서의 방송상태표시방법
KR970024989A (ko) * 1995-10-12 1997-05-30 배순훈 2-튜너식 텔레비전에서의 타채널의 스포츠 경기점수 표시장치
KR970057351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970057255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20030092551A (ko) * 2002-05-3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채널의 텔레텍스트 부화면 표시기능을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6442A3 (en) 2004-08-25
CN1491029A (zh) 2004-04-21
EP1406442A2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1541A1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with function of on-screen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EP198870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295301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40026398A (ko) 텔레텍스트 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방법
JP200828370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723579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7074384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システム
JPH0727408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4698332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複数画面操作方法
KR0185315B1 (ko)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KR100474491B1 (ko) 텔레텍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42471A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20040040589A (ko) Epg 조작 방법
JP4257541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対応型テレビジョン
KR1006529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프로그램 시청환경 설정방법
KR1007079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8266B1 (ko) 영상 수신 처리 장치의 서브 타이틀 모드시 화질 조정방법
JP2006081106A (ja) マルチ画面制御装置,表示装置
JP2002252835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20010083342A (ko) 셋톱박스의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49530B1 (ko) 텔레웹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0964B1 (ko) 텔레텍스트방송의 수신이 용이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284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배너 표시방법
KR19990043799A (ko) 창의 배열형태를 갖춘 부화면 텔레비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