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41A -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41A
KR20040026341A KR1020020057771A KR20020057771A KR20040026341A KR 20040026341 A KR20040026341 A KR 20040026341A KR 1020020057771 A KR1020020057771 A KR 1020020057771A KR 20020057771 A KR20020057771 A KR 20020057771A KR 20040026341 A KR20040026341 A KR 20040026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information
ssp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810B1 (ko
Inventor
박정옥
우상우
김태환
김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10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망 기반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전화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선불카드 서비스가 요청된 상태에서 착신번호로 전화정보 서비스 호에 대한 프리픽스를 갖는 번호가 입력되면, 가상의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상기 전화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에 연결되어, 가입자가 원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화정보 사용에 따른 정보이용료는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을 통해 결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선불카드로 국내외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전화정보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짐으로서 선불카드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ividing telephone information service using prepayment card service in based intelligent network}
본 발명은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망 기반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전화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지능망에서 제공되고 있는 전화정보서비스는 전화정보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정보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를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상기 전화정보서비스 제공자는 유선망 제공자의 교환회선을 이용하여 전화정보장치를 설치한 후 이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사용한 정보 이용료는 유선망 사업자가 수납대행하여 정보제공 사업자에게 정산 처리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전화정보 서비스 제공구성도이며, 발신단말(2)에서 전화정보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면 단국교환기(4)를 거쳐 서비스교환기(이하 SSP : Service Switching Point)(6)로 전달된다.
SSP(6)은 전화정보제공을 위한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SCP(8)로 서비스 요청하고, SCP(8)는 상기 서비스 로직에 의해 실제 전화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의 착신번호를 결정하고 SSP(6)로 착신연결을 지시한다.
SSP(6)은 수신한 착신번호로 호를 연결하고, 통화 종료 후 과금 레코드를 생성한다. 전화정보 서비스 이용요금은 이용 정보의 요율에 따라 달라지며, 이용 요율표는 고객관리시스템(도시 생략)에서 통합 관리한다. 따라서, SSP(6)는 단지 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만 가질 뿐 정확한 이용 요금의 계산은 SSP(6)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고객관리시스템에서 수행한다.
지능망 기반 선불카드 서비스는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부여받은 카드번호를 이용해서 공중전화카드나 동전이 없어도 일반전화, 공중전화, 이동전화로 시내/외, 국제전화를 걸 수 있으며, 해외에서도 국내는 물론 다른 나라로 전화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지능망 기반 선불카드 서비스 제공 구성도이며,발신단말(20)이 선불카드번호·비밀번호·착신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호는 단국교환기(22)를 거쳐 SSP(24)로 전달된다. SSP(24)는 선불카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SCP(26)로 서비스 요청 및 발신자의 인증정보(선불카드번호·인증번호)를 전달하면 SCP(26)는 카드번호의 유효성을 판별하고 선불잔액으로 이용가능한 최대 시간을 계산한후 SSP(24)로 착신번호로의 연결을 지시한다.
이용가능 최대 시간이 초과되었거나 이용자가 호를 종료한 경우, SCP(24)는 이용요금에 대한 과금 자료를 생성하고, 이용 금액만큼 선불 잔액에서 삭감처리한다.
그러나, 선불카드 서비스는 발신번호와 착신번호로 통화요금 산출이 가능한 시내/외 전화 및 국제 전화 통화만 가능하며 지능망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의 선불카드 서비스 제공구조에서 착신번호로 전화정보를 제공하는 전화번호(예컨대, 060-700-****)를 입력하면, SCP(26)는 전화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제 착신번호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착신지 지정을 할 수 없으며, 전화정보 이용 요율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과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상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전화정보 제공자에게 호를 연결하고 선불카드 SCP에 전화정보 요율 DB를 구축함으로써 정확한 과금을 수행하여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일반적인 지능망 기반의 전화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입자에 의해 제 1 서비스 교환기(SSP)로 선불카드 서비스 이용이 요청되면,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가 제 1 서비스 제어기(SCP)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제1과정;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제2과정;
상기 가입자에 대한 선불잔액을 확인하여 선불잔액이 존재하면,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착신번호가 전화정보이용을 위한 호인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착신번호가 전화정보이용을 위한 호로 판단되면 상기 가입자의 선불잔액을 이용하여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착신번호의 프리픽스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로 전달하는 제4과정;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가 상기 변경된 프리픽스를 갖는 착신번호를 전화정보 서비스를 위한 교환을 행하는 제 2 서비스 교환기(SSP)로 전달하는 제5과정;
상기 제 2 서비스 제어기(SSP)가 전화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제 2 서비스 제어기(SCP)로 전화정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2 서비스 제어기(SCP)에 의해 상기 착신번호로 등록된 정보제공 서버로 호를 연결하는 제6과정;
제 1 서비스 제어기(SCP)에 의해 상기 가입자와 정보제공 서버간의 통화 시간이 상기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호가 절단된 상태가 판단되면, 해당 호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호에 의한 통화 요금을 상기 선불잔액에서 감액시키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럭구성도로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국교환기(42)는 발신 단말(40)로부터의 선불카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인식하고 서비스 이용요청을 선불카드 SSP(46)로 전달한다.
SSP(44)는 단국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 이용요청을 SCP(46)의 호처리모듈(46a)로 전달하고 SCP(46)의 호처리모듈(46a)로부터 전화정보서비스 가상의 전화정보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전화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전화정보 SSP(48)로 해당 호를 전달한다.
SSP(52)는 SSP(44)로부터 수신한 가상의 전화정보식별번호를 인식하고 전화정보 SCP(48)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전달하고 전화정보 SCP(48)로부터 수신한 착신번호로 호를 연결한다.
선불카드 SCP(46)의 호처리모듈(46a)은 착신번호가 전화정보서비스 번호인 경우 착신번호의 프리픽스(prefix)를 변경하여 가상의 착신번호를 SSP(44)로 전달하여, 상기 가상의 착신번호로의 연결 요청을 전달한다.
선불카드 SCP의 과금모듈(46b)은 착신번호와 선불카드잔액, 현재시간 등의 정보와 전화정보이용 요율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선불카드 SCP(46)의 DB관리모듈(46c)은 인증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 선불 서비스의 과금에 필요한 과금요율 정보, 전화정보 이용요율 정보, 가입자의 통화기록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지능형 부가 장치(50)는 선불카드 SCP(46)의 호처리모듈(46a)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에게 해당되는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들려주고 가입자로부터 디지트 입력을 받아 이를 수집한 뒤 이를 선불카드 SCP(46)의 호처리모듈(46a)로 전송한다.
선불카드 SMP(56)는 마스터 DB가 구축되어 선불카드 SCP(46)의 DB 관리모듈(46c)로 과금 요율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선불카드 SMP(56)와 접속된 고객관리시스템(58)은 의 master DB를 관리하며 변경이 발생할때마다 선불카드 SMP(56)로 변경 데이터를 전송하고 SSP(52)로부터 수신한 가상 식별번호를 갖는 전화정보서비스의 이용내역은 무과금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SSP(44), 선불카드 SCP(46), 지능형부가장치(50), SSP(52), 전화정보 SCP(48)는 서로 No.7 공통신호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신 단말(40)이 선불카드 서비스 이용요청을 하면(S2), SSP(44)는 가입자번호 및 인증정보를 가입자에게 요청하며 이에 대한 가입자의 응답을 수신한다(S4).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선불카드 SCP(46)의 호처리모듈(46a)로 가입자의 인증을 요청하며(S6), 호처리모듈(46a)은 선불카드 SCP(46)의 DB관리모듈(46c)로 가입자 번호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요청한다(S10).
DB관리모듈(46c)은 해당 가입자 정보를 호처리모듈(46a)로 전송하며(S14, S16), 호처리모듈(46a)은 상기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유효성을 판별하게 된다(S18). 인증이 실패한 경우 호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서비스를 종료하며, 성공한 경우에는 지능형 부가장치(50)와 SSP(44)를 통해 발신 단말(40)로 착신번호를 요구한다(S20).
이에, 지능형 부가장치(50)가 착신번호 입력에 따른 안내방송을 발신 단말(40)로 출력하므로서 발신 단말(40)로 착신번호를 요구하여(S24), 발신 단말(40)로부터 착신번호가 수신되면(S26), 수신된 착신번호를 호처리모듈(46a)로 송신한다(S28, S30).
호처리모듈(46a)은 SSP(44)를 통해 착신번호를 수신하고, 현재 가입자의 선불잔액을 확인하여(S32) 선불잔액이 존재하면(S32에서 Yes), 착신번호의 프리픽스를 확인하여 해당 호가 전화정보 서비스로 할당된 프리픽스 예컨대, "060"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34).
호처리모듈(46a)은 단계 S34에서의 판단결과, 착신번호의 프리픽스가 "060"이면(S34에서 Yes), 과금모듈(46b)로 선불카드 잔액한도내에서 이용가능한 전화정보 이용시간의 산출을 요구한다(S36).
과금모듈(46c)은 DB 관리모듈(46b)에 저장된 발신번호 및 전화정보 이용요금 요율 테이블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현재 선불카드의 잔액으로 이용할 수 있는 최대시간을 산출하여 호처리모듈(46a)로 최대 이용 가능 시간을 통보한다(S38 내지 S50).
호처리모듈(46a)은 수신한 착신번호인 전화정보서비스의 식별번호를 가상의 식별번호로 변경한 후(S52, S54), SSP(44)로 상기 최대 이용 가능 시간과 변경된 착신번호를 전달한다(S56).
SSP(44)는 호처리모듈(46a)로부터 수신된 착신번호가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것이므로, 타 SSP(52)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한다(S58, S60).
SSP(52)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착신번호를 미리 등록된 지능망 서비스 식별번호 테이블을 기반으로 전화정보 서비스로 인지하고(S64), 전화정보 SCP(48)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한다(S66).
전화정보 SCP(48)는 서비스 로직에 따라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실제 착신번호를 확인하여 SSP(52)로 전달하고(S68 내지 S72), SSP(52)는 전화정보 SCP(48)로부터 전달받은 실제 착신번호를 이용하여(S74), 상기 발신 단말(40)과 착신 단말에 해당하는 정보제공 서버(54)간의 호를 연결한다.
한편, SSP(44)는 상기 발·착신간의 통화시간이 단계 S58을 통해 선불카드 SCP(46)의 호처리모듈(46a)을 통해 수신한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상기 발신 단말(40)이 호를 종료하면, 호처리모듈(46a)로 선불카드 서비스 종료를 통보한다(S76).
호처리모듈(46a)은 종료된 선불카드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과금모듈(46b)에 요구하며(S78, S80), 과금모듈(46b)은 과금 기능을 수행한 후, DB관리모듈(46c)로 선불카드 통화기록 생성 및 잔액에 대한 감액처리를 요구한다(S82 내지 S86).
DB관리모듈(46c)은 선불카드 이용기록 생성 및 선불잔액을 감액처리하고(S90), 이를 호처리모듈(46a)에 통보하며(S92), 호처리모듈(46a)은 발·착신측이 호를 절단했거나 통화시간이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초과하여 선불통화서비스가 종료된 경우에는 호 연결을 해제하고 서비스를 종료하고, SSP(44)로 호해제를 요구한다(S96, S98).
SSP(44)는 호처리모듈(46a)로부터의 호 해제 요구에 의해 호 관련 자원을 해제한 후(S102), SSP(52)로 호 해제를 요구하고(S104), SSP(52)는 상기 호 해제 요구에 의해 호 관련 자원을 해제한다(S108).
이어, SSP(52)는 전화정보 서비스 관련 CDR(Call detailed Record)을 생성하여 과금전용망을 통하여 고객관리 시스템(58)으로 전달한다(S110).
한편, 고객관리시스템(58)은 가상 식별번호를 갖는 전화정보서비스의 이용내역은 무과금 처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선불카드로 국내외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전화정보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짐으로서 선불카드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가입자에 의해 제 1 서비스 교환기(SSP)로 선불카드 서비스 이용이 요청되면,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가 제 1 서비스 제어기(SCP)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제1과정;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제2과정;
    상기 가입자에 대한 선불잔액을 확인하여 선불잔액이 존재하면,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착신번호가 전화정보이용을 위한 호인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착신번호가 전화정보이용을 위한 호로 판단되면 상기 가입자의 선불잔액을 이용하여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착신번호의 프리픽스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로 전달하는 제4과정;
    상기 제 1 서비스 교환기(SSP)가 상기 변경된 프리픽스를 갖는 착신번호를 전화정보 서비스를 위한 교환을 행하는 제 2 서비스 교환기(SSP)로 전달하는 제5과정;
    상기 제 2 서비스 제어기(SSP)가 전화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제 2 서비스 제어기(SCP)로 전화정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2 서비스 제어기(SCP)에 의해 상기 착신번호로 등록된 정보제공 서버로 호를 연결하는 제6과정;
    제 1 서비스 제어기(SCP)에 의해 상기 가입자와 정보제공 서버간의 통화 시간이 상기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호가 절단된 상태가 판단되면, 해당 호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호에 의한 통화 요금을 상기 선불잔액에서 감액시키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에서는
    상기 선불잔액을 전화정보 이용 요율에 적용시켜 최대이용가능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과정은
    상기 제 2 서비스 제어기(SCP)로 전화정보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제 2 서비스 제어기(SCP)가 상기 착신번호로 등록된 정보제공 서버의 실제 착신번호를 검색하는 제1단계;
    상기 착신번호를 상기 제 2 서비스 교환기(SSP)로 전달하여 상기 착신번호로의 호 연결을 지시하는 제2단계;
    상기 제 2 서비스 교환기(SSP)가 상기 착신번호를 호출하여 상기 가입자와 상기 정보제공 서버간의 호를 연결하는 제3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과정에 이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어기(SSP)에 의해 호가 해제되면, 상기 제 2 서비스 제어기(SSP)는 전화정보 이용에 따른 정보이용료를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이용료를 과금을 총괄하는 고객센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고객센터 시스템은 상기 정보이용료를 무과금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57771A 2002-09-24 2002-09-24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1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71A KR100911810B1 (ko) 2002-09-24 2002-09-24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71A KR100911810B1 (ko) 2002-09-24 2002-09-24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41A true KR20040026341A (ko) 2004-03-31
KR100911810B1 KR100911810B1 (ko) 2009-08-12

Family

ID=3732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771A KR100911810B1 (ko) 2002-09-24 2002-09-24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406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연동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어 교환기
CN113620698A (zh) * 2021-09-03 2021-11-09 江西尚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MnZn软磁铁氧体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309B1 (ko) * 1998-12-24 2002-08-24 한국전기통신공사 발신형지능망서비스에서착신형지능망서비스번호처리방법
KR20010057717A (ko) * 1999-12-23 2001-07-05 박종섭 개인휴대통신 시스템의 선불 서비스 기능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406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 연동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어 교환기
CN113620698A (zh) * 2021-09-03 2021-11-09 江西尚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MnZn软磁铁氧体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10B1 (ko)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6010B1 (en) Charging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6974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alling-party-pays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8363802B2 (en) Caller controlled time demarcation system
CN1244987A (zh) 提供预付费电信业务的方法和系统
WO2001035628A1 (fr) Procede permettant d'offrir un service a valeur ajoutee pour le prepaiement mobile a differents emplacements
EP1173970B1 (en) Call charg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1924956A (zh) 被叫付费业务的实现方法和系统
US6977999B2 (en) Reverse charging system, reverse-charging service control apparatus, call agent and reverse charging method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782052B1 (ko) 에스엠에스 콜백 서버를 이용한 국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911810B1 (ko) 지능망 기반의 선불카드를 이용한 전화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CN1738344B (zh) 智能业务的计费方法
US6718029B1 (en)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establishing local payphone calls through long distance carrier switches
KR100540327B1 (ko) Wcdma 시스템에서 선불 이동전화 서비스의 음성호처리방법
KR100553796B1 (ko) 통화카드 서비스에서의 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CA2275006A1 (en) Method, server and communications node for setting up fee-optimized communications connections
KR100648066B1 (ko) 공중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선불 요금 충전 시스템 및방법
JP3134372B2 (ja) 課金交換局における発信課金エリア番号対応の課金制御方式
KR20090030437A (ko) 아웃바운드 해외 로밍 서비스에서의 음성호 과금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3424704B2 (ja) 料金情報第3者通知方法及びその装置
CN100550938C (zh) 一种gsm网络在线式公话的实现方法
KR20020035378A (ko) 선불카드서비스의 과금처리방법
KR20040079657A (ko) 선후불통신카드를 이용한 자동접속장치를 통한 이동전화기전화접속 방법
KR20020020617A (ko) 콜백 유무선교환기
KR20040092389A (ko) 자동 콜렉트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