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18A - 충전기 - Google Patents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18A
KR20040026318A KR1020020057729A KR20020057729A KR20040026318A KR 20040026318 A KR20040026318 A KR 20040026318A KR 1020020057729 A KR1020020057729 A KR 1020020057729A KR 20020057729 A KR20020057729 A KR 20020057729A KR 20040026318 A KR20040026318 A KR 2004002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harging
terminal
charg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318A/ko
Publication of KR2004002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하고 동시에 휴대폰의 모델에 무관하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전화기가 무선전화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1 센서와; 휴대폰이 휴대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 연결되어 제 1 센서와 제 2 센서가 인식한 데이터를 불러들이며, 휴대폰 정격 전압과 전류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와 휴대폰 사이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로 휴대폰 정격전압과 전류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과, 휴대폰 충전기와 무선전화기 충전기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되며, 동시에 휴대폰 모델에 관계없이 모든 기종의 충전이 가능하게된다.

Description

충전기{Battery Re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하고 동시에 휴대폰의 모델에 무관하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겸용전화기는 사설교환기로부터 가입자루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운용되는 고정장치(이하 본체라 칭함)와, 무선통신회로를 통하여 이 고정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구역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장치(이하에서는 무선전화기라고 칭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전화기는 본체와는 별도의 전용 충전장치인 무선전화기용 충전기가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에서 필요한 전원을 충전받아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용 충전장치인 휴대폰 충전기에서 필요한 전원을 충전받아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무선전화기와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각각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충전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사용자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무선전화기와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충전기를 구입하여야 함으로 경제적 부담이 발생한다. 동시에, 두개의 충전장치가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공간 사용상의 효율도 저하된다.
그리고, 무선전화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선전화기 충전기를,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휴대폰 충전기가 있어야 하므로 충전상의 불편함도 제기된다.
또한, 무선전화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선전화기 충전기가 있는 곳에서,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충전기가 있는 곳에서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전상의 공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도 제기된다.
한편, 휴대폰 충전기의 경우만에 대하여 살펴보면,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 제조사에 따라 또는 동일 제조사라도 각 휴대폰의 모델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전용 충전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충전기의 호환성이 없어서, 휴대폰의 모델에 따른 전용 충전기에 의하지 않으면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모델 또는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충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충전기 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전화기 20,20′;휴대폰
100 ;충전기 102 ;무선전화기 거치부
112 ;휴대폰 거치부 150 ;충전용카트리지
154a ;접속단자 156a ;데이터접속단자
202 ;정전압발생부 212 ;제1센서
214 ;무선전화기충전회로부 252 ;제2센서
254 ;인터페이스 256 ;휴대폰충전회로부
200 ;마이크로컴퓨터
14,24,24′,104,114,154b ;충전단자
26,26′,116,156b ;데이터전송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는,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무선전화기가 안착 충전되는 무선전화기 거치부와,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충전단자와 휴대폰의 정격전압과 전류를 받아들이는 데이터전송단자를 구비하여 휴대폰이 안착되는 휴대폰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화기 충전기와 휴대폰 충전기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휴대폰 고유의 모델에 무관하게 휴대폰 충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의 충전단자와 접촉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의 데이터전송단자와 접하는 데이터접속단자와 상기 데이터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데이터전송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폰 거치부에 끼워지고 휴대폰이 안착되는 충전용카트리지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휴대폰 거치부의 충전단자의 위치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휴대폰의 데이터전송단자와 휴대폰 거치부의 데이터전송단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충전용카트리지에 의해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는, 무선전화기가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1 센서와;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 연결되어 제 1 센서와 제 2 센서가 인식한 데이터를 불러들이며, 휴대폰 정격 전압과 전류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와 휴대폰 사이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로 휴대폰 정격전압과 전류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화기 충전회로와 휴대폰 충전회로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하며, 각 휴대폰 모델의 고유의 정격 전압과 전류를 휴대폰으로 인가하여 휴대폰 모델에 무관하게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0)의 하부에는 무선전화기 거치부(102)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에는 무선전화기(10)가 안착된다. 즉, 상기 무선전화기(10)의 하면(10a)이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의 저면 (102a)에 접하여서 수직으로 안착된다.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의 저면(102a)에는 한 쌍의 무선전화기 충전단자(104)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104)는 무선전화기(10) 하면(10a)에 설치된 충전단자(14)에 접촉하여서 폐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의 사선 후방에는 휴대폰 거치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102)에는 휴대폰이 안착되거나, 아래에서설명하는 충전용카트리지(150)가 결합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의 저면(112a)에는 한 쌍의 충전단자(114)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114)는 휴대폰의 하측에 설치된 충전단자(24)와 접속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 저면(112a) 일측에는 데이터전송단자(116)가 설치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자(116)는 휴대폰(20)의 데이터전송단자(26)에 접속한다.
그리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20′)과 결합되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된다.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는, 휴대폰(20′)의 충전단자(24′)와 휴대폰 거치부(112)의 충전단자(114)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단자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전송단자(26′)와 데이터전송단자(116)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단자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의 저면부 상면(150a)에는 충전단자(154b)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154b)는, 휴대폰(20′)이 충전용카트리지(15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20′)의 충전단자(24′)에 접촉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의 저면부 하면(150b)에는 접속단자(154a)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154a)는, 상기 충전단자(154b)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되는 경우 충전단자(154b)는 접속단자(154a)를 매개로하여 충전단자(114)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20′)이 결합된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 (112)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충전단자(24′,154b)와 접속단자(154a) 그리고 충전단자(114)는 순차적으로 접속되어서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의 저면부 상면(150a)에는 데이터전송단자(156b)가 설치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자(156b)는, 휴대폰(20′)이 충전용카트리지(15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20′)의 데이터전송단자(26′)에 접촉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의 저면부 하면(150b)에는 데이터접속단자 (156a)가 설치된다. 상기 데이터접속단자(156a)는, 상기 데이터전송단자(156b)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 (112)에 안착되는 경우 데이터통신단자(156b)는 데이터접속단자(156a)를 매개로하여 데이터전송단자(116)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20′)이 결합된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 (112)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단자(26′,156b)와 데이터접속단자(156a)그리고 데이터전송단자(116)는 순차적으로 접속되어서 연결된다.
요컨대,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의 기능은, 충전단자(24′)와 충전단자 (114)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충전단자(24′,114)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하며, 데이터전송단자(26′)와 데이터전송단자(11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데이터전송단자(26′,116)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물리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 회로에 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정전압발생부(202)가 구성된다.
상기 정전압발생부(202)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0)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는 아래에서 기술하는 제1센서(212)와 제2센서(252)에 기초해서 무선전화기 충전과정과 휴대폰 충전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의 자세한 제어과정은 아래에서 기술한다.
무선전화기(10)가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무선전화기 충전의 시작을 인식하는 제1센서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어를 받아서 무선전화기(10)의 충전과정을 수행하는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에 연결된다. 상기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의 구성은 이미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센서(212), 마이크로컴퓨터(200),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 (214)로 구성되어 무선전화기(10)가 충전되는 과정을 제1충전모드라고 칭하겠다.
휴대폰(20)이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되어져 휴대폰 충전과정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252)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는 인터페이스(254)가 또한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254)는 휴대폰(20)의 제어장치{예를 들면 MSM(Mobile Station Modem)}에서 출력되는 휴대폰(20)의 정격전압과 정격전류(이하에서는 ‘고유 데이터’라고 함)를 받아서 마이크로컴퓨터(200)가 처리가능하도록 신호보정한 후 마이크로컴퓨터(200)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어를 받아서 휴대폰(20)의 충전과정을 수행하는 휴대폰 충전회로부(256)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 연결된다. 상기 휴대폰 충전회로부(256)의 구성은 이미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2센서(212), 인터페이스(254), 마이크로컴퓨터(200), 휴대폰 충전회로부(214)로 구성되어 휴대폰(20)이 충전되는 과정을 제2충전모드라고 칭하겠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물리적·전기회로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의 충전과정을 기술한다.
먼저, 무선전화기(10)를 충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무선전화기(10)를 파지하여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102)에 안착시키면, 상기 무선전화기(10) 하면(10a)에 설치된 충전단자(14)와 무선전화기 거치부 (102)의 저면(102a)에 설치된 충전단자(104)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전화기(10) 하면(10a)에 설치된 충전단자(14)와 충전단자 (104)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센서(212)는 상기 충전단자 간의 접촉을 인식한다.
상기 제1센서(212)가 인식한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 의해서 읽힌다. 상기 제1센서(212)의 신호를 읽어들인 마이크로컴퓨터(200)는 상기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를 구성하고 있는 구동릴레이(미도시)를 온시켜서 상기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를 구동시킨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는 무선전화기(10)에 충전하여야할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의 구동은 상기 무선전화기에 충전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값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무선전화기 충전회로부(214)가 구동되면 상기 제1충전모드가 진행되어서 무선전화기(10)에 전하가 충전되어서 충전전압을 형성한다.
다음은 휴대폰(20)의 충전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20)을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시키면, 휴대폰(20) 하측의 충전단자(24)와 상기 충전단자(114)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24)와 충전단자(114)가 접촉하게 되면, 이를 상기 제2센서(252)가 인식한다.
상기 제2센서(252)가 인식한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에 의해서 읽혀지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는 제2충전모드를 진행시킨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가 제2충전모드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휴대폰(20)에 충전시키는 전압및 전류의 값은 상기 인터페이스와 마이크로컴퓨터(200)의 제어과정에서 결정된다.
즉, 상기 휴대폰(20) 내의 제어부(예를 들면 MSM)에 의해서 휴대폰(20)의 고유데이터가 데이터전송단자(26)와 데이터전송단자(116)를 통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254)로 입력된다.
상기 인터페이스(254)로 입력된 휴대폰(20)의 고유데이터는 인터페이스 (254)를 거쳐 보정된 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는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인터페이스(25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불러낸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 고유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불러낸 마이크로컴퓨터 (200)는 상기 고유데이터에 해당하는 전압과 전류를 휴대폰(20)에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휴대폰 충전회로부(256)를 구동시킨다.
상기 휴대폰 충전회로부(256)는 휴대폰(20)에 충전되는 전압이 마이크로컴퓨터(200)에서 명령한 값이 될 때까지 구동된다. 그리고, 휴대폰(20)에 충전되는 전압이 마이크로컴퓨터(200)가 명령한 데이터에 이르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0)는 상기 휴대폰 충전회로부(256)의 구동을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고유데이터가 기종 또는 모델마다 다르더라도, 충전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즉, 휴대폰의 고유데이터가 휴대폰 모델마다 다르더라도, 상기와 같이 인터페이스(254)와 마이크로컴퓨터(200)의 제어에 의해서 항상 휴대폰 고유의 데이터를 충전시킬 수 있게된다.
다음은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휴대폰을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시켰을 때,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20′)의 하부에 설치된 충전단자(24′)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의 저면 (112a)에 설치된 충전단자(114) 위치가 달라서 접촉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을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시켰을 때,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20′)의 하부에 설치된 데이터전송단자(26′)와 상기 데이터전송단자(116)의 위치가 달라서 접촉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에도 역시,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게 된다.
즉, 통상 휴대폰이 휴대폰 거치부(11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충전단자 (114)는 충전단자(24′)와 접촉이 원활하도록 표준 설계될 것이고, 상기 데이터전송단자(26′)는 데이터전송단자(116)와 접촉이 원활하도록 표준 설계될 것이다.
그러나, 휴대폰의 제조업체와 모델에 따라서는 상기 충전단자(24′)와 충전단자(114) 또는 데이터전송단자(16′)와 데이터전송단자(116) 간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게 된다.
즉, 먼저,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20′)을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는, 휴대폰(20′)에 설치된 충전단자 (24′)와 데이터전송단자(26′)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충전단자(154b)와 데이터전송단자(156b)의 위치가 결정되어지고, 상기 충전단자(114)와 데이터전송단자(116)와 일치하도록 접속단자(154a)와 데이터접속단자(156a)의 위치가 결정되어져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는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20′)이 결정된 다음에 성형되어서 결정된다. 즉, 휴대폰(20′) 기종 또는 모델에 따라서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하나씩 만들어져서 사용된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0′)이 상기 충전용카트리지(150)에 안착되면, 상기 충전단자(24′)와 충전단자(154b)가 접촉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자(26′)와 데이터전송단자(156b)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휴대폰(20′)이 안착된 충전용카트리지(150)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112)에 측면(112b)의 안내를 받으면서 결합된다.
상기 휴대폰(20′)이 안착된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112)에 결합되면, 상기 접속단자(154a)와 충전단자(114)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접속단자(156a)와 데이터전송단자(116)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단자(154a)와 충전단자(114)가 접촉하는 순간, 상기 충전단자(154b)와 충전단자(114)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자 (156b)와 데이터전송단자(116)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충전단자(154b)와 접속단자(154a)는 이미 충전용카트리지(150) 자체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또한 데이터전송단자(156b)와 데이터접속단자(156a)가 이미 충전용카트리지(150) 자체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112)에 결합되면, 상기 충전단자(154b)와 충전단자(114)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자(156b)와 데이터전송단자(116)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폰(20′)이 안착된 충전용카트리지(150)가 휴대폰 거치부(112)에 결합되면, 상기 충전단자(24′)와 충전단자(114)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자(26′)와 데이터전송단자(112a)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휴대폰의 모델 또는 기종에 무관하게, 휴대폰(20′)을 충전단자 (114) 또는 데이터전송단자(116)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어 언제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는 경우의 회로 구성 및 작용은, 충전용카트리지(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는 충전용카트리지(150)의 기능이 상기 휴대폰(20′)의 충전단자(24′) 또는 데이터통신단자(26′)와 휴대폰 거치부(112a)의 충전단자(114) 또는 데이터통신단자(116)를 연결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과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휴대폰의 제어부와 충전기의 마이크로컴퓨터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 모델 또는 기종에 관계없이 휴대폰 충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휴대폰과 충전기의 충전단자 또는 데이터전송단자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용카트리지를 사용함에 의하여, 휴대폰의 모델 또는 기종에 무관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세째, 무선전화기 충전기에 휴대폰 충전기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무선전화기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상의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3)

  1.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무선전화기가 안착 충전되는 무선전화기 거치부와;
    상기 무선전화기 거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충전단자 그리고, 휴대폰의 정격전압과 전류를 받아들이는 데이터전송단자를 구비하여 휴대폰이 안착되는 휴대폰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의 충전단자와 접촉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의 데이터전송단자와 접하는 데이터접속단자와;
    상기 데이터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데이터전송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폰 거치부에 끼워지고 휴대폰이 안착되는 충전용카트리지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무선전화기가 제 1 항의 무선전화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1 센서와;
    휴대폰이 제 1 항의 휴대폰 거치부에 착탈되는 것을 인식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 연결되어 제 1 센서와 제 2 센서가 인식한 데이터를 불러들이며, 휴대폰 정격 전압과 전류를 판별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와 휴대폰 사이에 연결되어, 마이크로컴퓨터로 휴대폰 정격전압과 전류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KR1020020057729A 2002-09-24 2002-09-24 충전기 KR20040026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29A KR20040026318A (ko) 2002-09-24 2002-09-24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29A KR20040026318A (ko) 2002-09-24 2002-09-24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18A true KR20040026318A (ko) 2004-03-31

Family

ID=3732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729A KR20040026318A (ko) 2002-09-24 2002-09-24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3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387B2 (en) 2008-05-13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312924B2 (en) 2009-02-10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US9583953B2 (en) 2009-02-1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387B2 (en) 2008-05-13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184632B2 (en) 2008-05-13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furnishings and building elements
US9190875B2 (en) 2008-05-13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with negative resistance in wireless power transfers
US9236771B2 (en) 2008-05-1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un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9954399B2 (en) 2008-05-13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signaling via receive antenna impedance modulation
US9991747B2 (en) 2008-05-13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US9312924B2 (en) 2009-02-10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US9583953B2 (en) 2009-02-1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7584C (en) Battery charger
US6709784B2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KR100276999B1 (ko) 콘택트 구조
CN217607501U (zh) 适于对第一电池组和第二电池组中的任一个充电的充电器及套件
EP0824778B1 (en) Intelligent battery charging in a hand-held phone
JP2006311670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電力供給方法
KR20040026318A (ko) 충전기
JPH08237345A (ja) 無線電話機用充電台並びに無線電話機の充電及びデー タ伝送システム
JPH1032934A (ja) 携帯電話用二次電池の充電装置
JP3258925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JPH118942A (ja) 直流電源の識別装置、電池パックの電源切換装置及び電子装置
JP4843552B2 (ja) 充電システム
KR20090002661U (ko) 충전용 시거잭
KR100272089B1 (ko) 공용잭이 구비된 이동전화기의 배터리 및 충전용 아답터
JP2000323181A (ja) 携帯装置用充電器
JPH06204934A (ja) 移動体通信機の充電装置
KR200165484Y1 (ko) 이동 통신 기기용 배터리 팩
KR200372173Y1 (ko) 데이터통신을 지원하고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JP2003087982A (ja) 充電池、通信機器及び携帯電話装置
KR200374585Y1 (ko) 밧데리충전장치
KR2005000723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충전장치
JPH07154323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H04233853A (ja) 多機能充電器を備えた移動無線電話装置
JPH0568074A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