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72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727A
KR20040025727A KR1020020056329A KR20020056329A KR20040025727A KR 20040025727 A KR20040025727 A KR 20040025727A KR 1020020056329 A KR1020020056329 A KR 1020020056329A KR 20020056329 A KR20020056329 A KR 20020056329A KR 20040025727 A KR20040025727 A KR 2004002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assword
termin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438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5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4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에 무선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원격 잠금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Remote locking metho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에 무선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등록, 일정 관리 기능 등이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 잠금 기능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잠금 기능이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타인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기능으로써,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만 가능하게 하고 단말기의 발신은 제한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 의해 잠금 기능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로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에 타인에 의해 단말기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막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업체로 단말기의 사용 중지를 요청해야 하고, 단말기를 다시 찾았을 경우에도 번잡한 절차를 통해야만 통신 서비스 재개를 할 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선으로단말기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1 : 단말 제어부 202 : 표시부
203 : 키 입력부 204 : DTMF 톤 디코더
205 : 메모리부 206 : RF 부
207 :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 208 : 신호 처리부
209 : 안테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원격 잠금 상태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미리 원격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 및 접속 코드를 저장시켜 단말기의 분실 등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원격으로 발신 등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크게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국들간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전송 시스템(Base Transmission System, BTS)(103)과 복수개의 기지국 전송 시스템(103)들을 제어하며 호 처리와 관련된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 등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0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는 PSTN(Public Switched Center)(105)과 인터넷 망(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 간이나 또는 동일한 사업자의 기지국의 하부 네트워크끼리의 데이터와 제어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담당하는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Manager, MSC)(101)와 전체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기지국 관리자(Base Station Manager)(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MSC(101)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연결되며, 동일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기지국 하부 네트워크끼리의 호 및 사용자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와, PSTN(105) 이나 또는 인터넷 망과 해당 이동국과의 각종 데이터와 제어신호 송수신 경로를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제어부(201)와, 상기 단말 제어부(20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표시부(202), 키 입력부(203), DTMF 톤 디코더(204), RF부(206),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207), 신호 처리부(208), 메모리부(205)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205)는 기본적인 역할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증용 접속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02)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그래픽 화면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상기 키 입력부(203)는 복수개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단말 제어부(201)로 키 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RF부(206)는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20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승압(Up-converting)시켜 안테나(209)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 출력한다. 또한, RF부(206)는 안테나(209)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207)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207)는 RF부(20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베이스밴드부(207)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206)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20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Channel Demodulation)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 동작 등을 수행하며,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208)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208)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압축 해제 동작 등을 수행하고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08)는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하여 단말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 디코더(204)를 이용하여 사용자(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자)로부터 수신된 DTMF 톤 신호를 디코딩하고 메모리에 기 저장된 원격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이 때, 상기 DTMF 톤 디코더(204)는 상기 단말 제어부(201)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격 잠금 상태 설정에 요구되는 비밀번호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를 미리 키 입력부(203)를 통해 입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205)에 저장한다(S301).
상기와 같이 원격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가 설정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실 등의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일반 전화 또는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PSTN(105) 또는 기지국을 거쳐 소정의 키 데이터를 통해 호 연결을 시도한다(S302). 연결된 호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격 잠금 상태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 때,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연결된 호를 통하여 입력된 원격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 즉, 소정의 DTMF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05, 306).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상태을 설정한다(S307).
한편, 상기와 같은 원격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가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소정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잠금 설정용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하는 접속 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다(S303, 304).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는 상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다.
원격 잠금 설정을 위해 비밀번호 입력만 요구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접속 코드 및 비밀번호 모두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2가지의 원격 잠금 상태 방법의 설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전에 미리 단말기의 메뉴 등을 통해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여 키패드를 이용한 단말기의 잠금 상태 설정이 어려울 경우에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발신 등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원격 잠금 상태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이외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및 접속 코드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가 디티엠에프(DTMF) 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10-2002-0056329A 2002-09-17 2002-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10048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29A KR100484438B1 (ko) 2002-09-17 2002-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29A KR100484438B1 (ko) 2002-09-17 2002-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27A true KR20040025727A (ko) 2004-03-25
KR100484438B1 KR100484438B1 (ko) 2005-04-22

Family

ID=373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29A KR100484438B1 (ko) 2002-09-17 2002-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253B1 (ko) * 2004-05-1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해제방법 및 장치
WO2007107554A1 (en) * 2006-03-23 2007-09-27 Lucas Kruijswijk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users
US10219156B2 (en) 2015-10-23 2019-0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flash memory based on unauthorized activity on sma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4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 디티엠에프 신호를 이용한 무선 잠금 방법
KR20010045885A (ko) * 1999-11-09 2001-06-05 박종섭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US6662023B1 (en) * 2000-07-06 2003-12-0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securing mobile phones that are lost, stolen or misused
KR20020028436A (ko) * 2000-10-10 2002-04-17 윤종용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253B1 (ko) * 2004-05-1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해제방법 및 장치
WO2007107554A1 (en) * 2006-03-23 2007-09-27 Lucas Kruijswijk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users
US10219156B2 (en) 2015-10-23 2019-0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flash memory based on unauthorized activity on sma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438B1 (ko) 200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890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잠금 기능 방법
KR20080060870A (ko) 음성인증을 통한 이동단말기의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JP2000049933A (ja) キ―ボ―ドを有する無線電話装置
KR100618267B1 (ko)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생성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H098412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854396B1 (ko) 음성인증데이터 생성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28732A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6012102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송수신 잠금 이동통신단말기
JPH11355417A (ja)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シークレットデータ表示方法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6452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공유 비밀 데이터 갱신방법
KR100664259B1 (ko) 정보보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44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KR100458450B1 (ko) 정보 보호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H1146240A (ja) 音声通知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KR100632118B1 (ko) 음성 호 접속 자동 차단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처리 방법
JPH11313140A (ja) 移動体通信装置
KR1010108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보안 방법
KR100632104B1 (ko) 음성 호 접속 자동 차단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음성 호 접속 자동 차단 시스템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448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제한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