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277A - 하부집수장치 - Google Patents

하부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277A
KR20040025277A KR1020020057178A KR20020057178A KR20040025277A KR 20040025277 A KR20040025277 A KR 20040025277A KR 1020020057178 A KR1020020057178 A KR 1020020057178A KR 20020057178 A KR20020057178 A KR 20020057178A KR 20040025277 A KR20040025277 A KR 2004002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llecting device
side wall
conduit
low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헌곤
Original Assignee
(주) 일진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진프라임 filed Critical (주) 일진프라임
Priority to KR102002005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5277A/ko
Publication of KR2004002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정수 및 하수 고도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필터고정벽(2)과 분산구멍(3)을 설치하고, 측벽(4)과 하부벽(5)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4)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6)을 설치하여 제1도관(8)과 제2도관(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에 따르면, 역세척시 분배관이 훼손되거나 사수부로 인해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염려가 없고, 또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부집수장치{UNDERDRAIN}
본 발명은 음용수 정수 및 하수 고도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에는 필터고정벽과 분산구멍을 설치하고, 측벽과 하부벽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을 설치하여 제1도관과 제2도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에 따르면, 역세척시 분배관이 훼손되거나 사수부로 인해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염려가 없고, 또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각종 현장에서 다종 다양한 형태의 먼지나 분진이 발생하고 있고, 수질의 오염 역시 이에 못지 않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진을 제거하거나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내부에 집진필터를 장착한 집진기나 집수장치가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
예컨데,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음용수 정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부집수장치로는 휠러(Wheeler Ball)형이 최초로 개발된 이후로, 1960년대부터 스트레이너(Strainer)형이 등장하여 유공블럭형, 피블럭(The Pee Block)형, 유공관형, 다공판형 등이 소개되고 있다.
상기 휠러형은 여과지 바닥에 지주를 설치하고, 그 위의 콘크리트 성형품과 여과지 바닥사이에는 압력수실이 되는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손실수두가 비교적 적고 자갈층 교체가 용이한 점은 있으나, 역세척 균등분배가 어렵고 모르타르 이음새의 누수 염려가 있으며, 급격한 여과수압에 여상을 손상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소형 정수장에만 사용하고 있다.
스트레이너형은 여과지 바닥의 지주위에 스트레이너를 삽입한 블록을 병렬 배열하고, 여과지 바닥과 블록 사이에는 압력수실이 있는 것으로, 경제적이면서 제작과 시공이 용이하고, 정밀 시공시 균등 여과 및 균압에 의한 역세척이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역세척시 손실수두가 크며, 시공시 평판성의 유지가 어려워 균등한 역세척이 어렵고, 여과사로 인한 스트레이너 구멍의 폐쇄가 우려되며, 내구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도3에는 상기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를 사용한 경우의 역세척(air or gas scouring)과정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각 분배관(50) 사이의 거리(ℓ)로 인하여 모래부(52) 내부에 사수부(dead space)(53)가 발생하여 역세척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심지어는 노즐부(51)의 목이 부러져 시스템 자체가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유공블럭형은 여과지 바닥에 송수실과 분배실을 갖는 유공블록을 병렬연결한 것으로, 오리피스 홀을 통과한 2단 구조에 의한 균압효과의 블록상면에 배열된 다수의 집수공에 의해 평면적으로 균등한 여과와 역세척 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내식성이나 내구성, 내압성에 큰 변화가 없는 재질로 제작해야 하는 점, 분배관실이 여과지 바닥보다 깊어져야 하는 점 등으로 인해 시공과 설치가 간단하지 만은 않다.
도4는 상기 유공블럭형과 관련한 특허 제244169호(1999. 11. 22)의 기술을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는 상부에 필터고정벽(60)과 분산구멍(61)을 갖추고, 내부에는 대향벽(62)의 안쪽으로 측벽(64)을 구성하여 상부에는 회수통로(65), 하부벽(63)과의 사이에 제1수평관(67), 대향벽(62)과의 사이에는 제2수평관(66)을 형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집수과정을 살펴보면, 상측의 모래층과 필터(각 도시 생략)를 통과한 여과수가 분산구멍(61)을 통해 일단 회수통로(65)로 유입된 다음, 상기 회수통로(65)의 하부에 형성된 오리피스(68)를 통해 제2수평관(66)으로 유입되고, 이어서 측벽(64)에 형성된 하부 오리피스(69)를 통해 제1수평관(67)을 거쳐 회수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여과 및 역세척 효과가 우수한 점은 있으나, 측벽(64)의 상부에 회수통로(65)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성형의 불편함이 있는 외에, 상기 회수통로(65)의 존재의 효과는 미미하고 이로 인해 가격상승의 요인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는 필터고정벽과 분산구멍을 설치하고, 측벽과 하부벽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을 설치하여 제1도관과 제2도관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역세척시 분배관이 훼손되거나 사수부로인해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염려가 없고, 또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3은 종래 1예의 하부집수장치의 역세척과정의 설명도
도4는 종래 다른 예의 하부집수장치의 사시도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집수장치 2 : 필터고정벽 3 : 분산구멍
4 : 측벽 5 : 하부벽 6 : 경사벽
7 : 오리피스 8 : 제1도관 9 : 제2도관
10 : 필터 11 : 측면 12 : 저면
13 : 단층모래 14 : 안트라사이트 15 : 모래
본 발명의 음용수 정수 및 하수 고도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부집수장치는, 상부에는 필터고정벽과 분산구멍을 설치하고, 측벽과 하부벽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을 설치하여 제1도관과 제2도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는, 상부에는 필터고정벽(2)과 분산구멍(3)을 설치하고, 측벽(4)과 하부벽(5)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로서, 각 하부집수장치(1) 블럭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측벽(4)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6)을 설치함으로써, 측벽(4)과 경사벽(6) 사이에 제1도관(8)을 좌,우로 형성하고, 하부벽(5)과 경사벽(6) 사이에 삼각형의 제2도관(9)을 구성한 점에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상부의 모래나 필터(각 도시 생략)로 부터 여과된 정제수가 상부의 분산구멍(3)을 통해 좌,우측에 형성된 제1도관(8)으로 유입되고, 이어서 경사벽(6)의 저면에 형성된 오리피스(7)를 통하여 하부의 제2도관(9)으로 유입된 다음, 정수조(도시 생략)나 필요하면 다른 여과시설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의 주된 재질은 PE계, PP계 합성수지가 바람직한데,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함으로써, 성형성과 내구성을 개선함은 물론, 블록의 표면에 물이끼가 끼지 않아 수질의 정제효과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의 사용예로서, 음용수 정수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 상태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는 상부에 필터(10)를 적치한 상태에서 음용수 정수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음용수 정수시스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를 저면(12)에 안치하고, 측면(11)의 안쪽으로 단층 모래(13), 안트라사이트(14) 혹은 모래(15)층을 형성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정제되지 않는 음용수 원수가 상기 음용수 정수시스템으로 유입되면, 상부의 단층 모래(13), 안트라사이트(14) 혹은 모래(15)층에서의 1차 정제과정을 거쳐 필터(10)를 통과한 다음, 정제된 음용수가 본 발명의 하부집수장치(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정수조로 공급되거나 필요하다면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 등을 통해 완전한 정제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16은 가스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블로워로서, 상기 블로워(16)를 통해 역세척하여 시스템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데, 상기 본 발명의하부집수장치(1)는 상,하,좌,우 균등수압을 항시 유지할 수 있고, 몰타르 충진부에 의해 발생하는 사수부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역세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는 필터고정벽과 분산구멍을 설치하고, 측벽과 하부벽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을 설치하여 제1도관과 제2도관을 형성함으로써, 역세척시 분배관이 훼손되거나 사수부로 인해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염려가 없고, 또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기존의 하부집수장치를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관련 분야에의 이용 및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1)

  1. 상부에는 필터고정벽(2)과 분산구멍(3)을 설치하고, 측벽(4)과 하부벽(5)으로 이루어진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4)의 내부로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벽(6)을 설치하여 제1도관(8)과 제2도관(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집수장치
KR1020020057178A 2002-09-19 2002-09-19 하부집수장치 KR20040025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78A KR20040025277A (ko) 2002-09-19 2002-09-19 하부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78A KR20040025277A (ko) 2002-09-19 2002-09-19 하부집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636U Division KR200317289Y1 (ko) 2003-03-14 2003-03-14 하부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277A true KR20040025277A (ko) 2004-03-24

Family

ID=3732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178A KR20040025277A (ko) 2002-09-19 2002-09-19 하부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5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246B1 (ko) * 2006-07-08 2006-12-28 김원기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용 티피블럭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427A (en) * 1991-04-03 1992-09-22 The F.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KR200258668Y1 (ko) * 2001-08-27 2001-12-28 뉴엔텍(주)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337625B1 (ko) * 2000-01-10 2002-05-24 김영윤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427A (en) * 1991-04-03 1992-09-22 The F.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KR100337625B1 (ko) * 2000-01-10 2002-05-24 김영윤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258668Y1 (ko) * 2001-08-27 2001-12-28 뉴엔텍(주)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246B1 (ko) * 2006-07-08 2006-12-28 김원기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용 티피블럭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0237B1 (en) Low profile extruded underdrain
US5068034A (en) Purification underdrain with means to compensate for flow and pressure differences between laterals
CN111228866B (zh) 一种在线自清洗介质过滤装置
CN204734994U (zh) 多层过滤分离清洗的污水过滤装置
US5673481A (en) Air grid for underdrains and similar systems
KR101050182B1 (ko) 직물 매체 여과 시스템
CN208525914U (zh) 一种固定床过滤净化装置
CN206526559U (zh) 一种上流式自清洗过滤器
KR200317289Y1 (ko) 하부집수장치
CN209188314U (zh)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KR20040025277A (ko) 하부집수장치
KR100756820B1 (ko) 물과 공기에 의해 역세척이 가능한 하부집수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0773510B1 (ko) 급속여과지의 유공블록 시공방법
CN114873721A (zh) 一种反冲洗进气管埋底安装的反硝化深床滤池的施工方法
KR200420158Y1 (ko) 자동 정밀여과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685356B1 (ko)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JP4299396B2 (ja) 気水分配装置及びその気水分配装置を用いた水処理装置
AU2006200303B2 (en)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CN220558683U (zh) 一种帽盖式接口、螺旋式滤芯及微纤超滤设备
CN211946427U (zh) 气水分布底盘装置
KR200225090Y1 (ko) 여과지 스트레이너블럭 노즐
KR101035331B1 (ko) 여과지의 슬리브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