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497A -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 Google Patents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497A
KR20040024497A KR1020030062895A KR20030062895A KR20040024497A KR 20040024497 A KR20040024497 A KR 20040024497A KR 1020030062895 A KR1020030062895 A KR 1020030062895A KR 20030062895 A KR20030062895 A KR 20030062895A KR 20040024497 A KR20040024497 A KR 2004002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ircular
closing ring
ring
circ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1987B1 (en
Inventor
시무라도끼오
나까가와미쯔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4002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9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 B21F37/02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of resilient rings, e.g. key-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13/023Means for holding ke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58K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 Y10T70/8703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Rotary Pump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key ring for holding a key by suspending the key allowing easy attachment/detachment of the key. CONSTITUTION: A first closed ring part 10a in the key ring 10 is formed by superposing first and second closed ring forming parts 11 and 12. The first and second closed ring forming parts are formed in the open-ring shape with opening parts 11a and 12a. The opening part of one closed ring forming part is closed by the other closed ring forming part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sed ring forming parts superposed on each other. A second closed ring part 10b is formed by a connection part 13 as the first and second closed ring forming parts are superposed.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losed ring forming parts and formed nearly in an U-shape. When the key ring is deformed by opening the connection part 13, the key ring is opened to be in the open-ring shape. Accordingly, as the closed ring forming parts are inserted into a hole 21 of the key 20 with the key ring in that state, the key can be easily suspended from the connection part.

Description

키를 키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키 커플러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Key coupler for joining keys to key holders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본 발명은 키 홀더에 키 또는 키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키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upler for coupling a key or keys to a key holder.

도12a에 도시된 이중 고리형 키 커플러가 잘 알려져 있다. 키 커플러(70)는 스프링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키 커플러(70)를 형성하는 스프링 와이어의 일 단부는 키(20)의 구멍(21)으로 키 커플러(70)를 삽입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런 후, 키(20)가 그와 결합되도록 키 커플러(70)의 고리를 따라 회전된다. 키 커플러(70)는 키 홀더(도시 생략)와 또한 결합될 수 있고, 키(20)는 키 커플러(70)를 통해서 키 홀더에 결합된다. 복수의 키(20)가 마찬가지로 키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The double ring key coupler shown in Fig. 12A is well known. The key coupler 70 is made of spring wire. One end of the spring wire forming the key coupler 70 is open to insert the key coupler 70 into the hole 21 of the key 20. The key 20 is then rotated along the ring of the key coupler 70 to engage it. The key coupler 70 can also be coupled with a key holder (not shown), and the key 20 is coupled to the key holder through the key coupler 70. A plurality of keys 20 can likewise be coupled to the key holder.

다른 잘 알려진 키 홀더가 도12b에 도시된다. 키 커플러(80)는 개구를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키(20)에 키 커플러(80)를 결합시키기 위해, 키 커플러의 개구는 강제적으로 개방되고, 키(20)가 개구를 통해서 삽입된다. 그런 후, 키 커플러의 개구는 키(20)가 키 커플러(80)에 결합된 채로 유지되도록 다시 강제적으로 폐쇄된다. 키 커플러(80)는 키(20)가 키 커플러(80)를 통해 키 홀더와 결합되도록 키 홀더(도시 생략)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Another well known key holder is shown in Figure 12b. The key coupler 80 is made into a triangular shape with an opening. In order to couple the key coupler 80 to the key 20, the opening of the key coupler is forcibly opened, and the key 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Thereafter, the opening of the key coupler is forcibly closed again to keep the key 20 coupled to the key coupler 80. The key coupler 80 may be further coupled with a key holder (not shown) such that the key 20 is coupled with the key holder through the key coupler 80.

이들 종래의 키 커플러(70, 80)를 사용하여 키(20)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것은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이중 고리형 키 커플러(70)에서, 스프링 와이어의일단부는 키(20)를 키 커플러(70)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프링 와이어의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강제적으로 개방되어야만 한다. 그런 후, 키(20)는 스프링 와이어의 고리를 따라 회전되어야 한다. 만일 키(20)를 키 커플러(70)에 결합시키고 결합해제시키는 것이 여러회 반복된다면, 키 커플러(70)의 스프링 작용은 열화될 수 있고, 키 커플러(70)는 적절하게 기능을 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더욱이, 키(20)가 수지와 같은 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키(20)가 스프링 와이어의 단부에 의해서 손상될 수도 있다. 도12b에 도시된 키 커플러(80)의 경우, 키 커플러(80)를 수동으로 변형시키기가 통상 너무 힘들기 때문에 이를 개폐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할 수도 있다.It is not very easy to engage or disengage the key 20 using these conventional key couplers 70 and 80. In the double ring key coupler 70, one end of the spring wire must be forcibly opened against the spring action of the spring wire to couple the key 20 to the key coupler 70. The key 20 then has to be rotated along the ring of spring wire. If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key 20 to the key coupler 70 is repeated many times, the spring action of the key coupler 70 may deteriorate and the key coupler 70 may not function properly. Can be. Moreover, when the key 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esin, the key 20 may be damaged by the end of the spring wire. In the case of the key coupler 80 shown in Fig. 12B, it is usually too difficult to manually deform the key coupler 80, so a tool for opening and closing it may be necessar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뤄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키 또는 키들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는 개선된 키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key coupler that can be easily engaged or decoupled to a key or keys.

본 발명에 따른 키 커플러는 제1 폐쇄 링 및 제2 폐쇄 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키 또는 키들은 제2 폐쇄 링에 연결되고, 키 홀더는 제1 폐쇄 링에 연결된다. 따라서, 키 또는 키들은 키 커플러를 거쳐서 키 홀더에 결합된다. 단일 스프링 와이어로부터 일체식으로 키 커플러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폐쇄 링은, 원형부들이 중첩된 때 각각이 다른 원형부로 폐쇄되는 개구를 갖는 한 쌍의 원형부를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한 쌍의 원형부는 연결부로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에 의해 포위된 제2 폐쇄 링은 한 쌍의 원형부가 중첩된 때 또한 형성된다.The key coupl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losing ring and a second closing ring. For example, the key or the key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losing ring and the key hold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losing ring. Thus, the key or keys are coupled to the key holder via a key coupler. It is most desirable to form the key coupler integrally from a single spring wire. The first closing ring is formed by overlapping a pair of circular portions each having openings that are closed to the other circular portions when the circular portions overlap. The pair of circular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closing ring surrounded by the connecting portion is also formed when the pair of circular portions overlap.

원형부를 다른 원형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 및 제2 폐쇄 링은 모두 동시에 개방된다. 링들을 개방할 때, 키 또는 키들은 제2 폐쇄 링으로 삽입되고 키 홀더는 제1 폐쇄 링으로 삽입된다. 분리력을 해제함으로써, 두 개의 링은 키 커플러를 형성하는 스프링 와이어의 스프링 복원 작용에 기인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키 또는 키들은 키 커플러를 거쳐서 키 홀더에 결합된다. 키를 키 홀더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두 개의 링은 원형부를 다른 원형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개방된다. 작은 갭이 한 쌍의 원형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중첩된 한 쌍의 원형부는 작은 갭에 대항하여 키의 배면을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된다.By separating the circular portion from the other circular portions, both the first and second closing rings are opened simultaneously. When opening the rings, the key or keys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losing ring and the key hold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losing ring. By releasing the separating force, the two rings are closed due to the spring restoring action of the spring wire forming the key coupler. Thus, the key or keys are coupled to the key holder via a key coupler. To remove the key from the key holder, the two rings are opened by separating the circular part from the other circular part. A small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circular portions, such that the overlapping pair of circular portions is easily separated by pressing the back of the key against the small gap.

키 또는 키들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커플러를 거쳐서 키 홀더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다. 키 커플러는 원형부를 다른 원형부로부터 단순히 분리함에 의해서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키 커플러는 손상되지 않고 오랜 동안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더 나은 이해로부터 보다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key or keys can be easily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key holder via the key coupl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key coupler can be easily opened or closed by simply separating the circular part from the other circular part, and the key coupler can be used repeatedly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damage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figures.

도1a 내지 도1d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커플러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1A-1D are front, top, rear, and left side views, respectively, of a key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및 도2b는 도1b에 도시된 선 ⅡA-ⅡA 및 ⅡB-ⅡB 따라 취한 키 커플러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key couplers taken along lines IIA-IIA and IIB-IIB shown in FIG. 1B;

도3a 내지 도3c는 키 커플러를 거쳐 키 홀더와 키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하는, 키 커플러를 도시하는 사시도.3A-3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key coupler, showing the process of engaging the key holder and the key via the key coupler.

도4a 내지 도4d는 키 커플러의 변형 형태1을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4A to 4D are front views, top views, rear views, and left sid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1 of the key coupler, respectively.

도5a 및 도5b는 도4b에 도시된 선 ⅤA-ⅤA 및 ⅤB-ⅤB를 따라 취한 변형 형태(1)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modified form 1 taken along lines VA-VA and VB-VB shown in Fig. 4B.

도6a 및 도6d는 키 커플러의 변형 형태2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6A and 6D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 back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2 of the key coupler, respectively.

도7a 및 도7b는 도6b에 도시된 선 ⅦA-ⅦA 및 ⅦB-ⅦB를 따라 취한 변형 형태2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modified form 2 taken along lines XA-XA and XB-XB shown in Fig. 6B.

도8a 내지 도8d는 키 커플러의 변형 형태(3)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8A to 8D are front, top, rear and left sid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modified form 3 of the key coupler.

도9a 및 9b는 도8b에 도시된 선 ⅨA-ⅨA 및 ⅨB-ⅨB를 따라 취한 변형 형태3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9A and 9B are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modification 3 taken along lines XA-XA and XB-XB shown in Fig. 8B.

도10a 내지 도10d는 키 커플러의 변형 형태4를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10A to 10D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 rear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a variation 4 of the key coupler.

도11a 및 11b는 도10b에 도시된 선 ⅩⅠA-ⅩⅠA 및 ⅩⅠB-ⅩⅠB를 따라 취한 변형 형태4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11A and 11B are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modified form 4 taken along the lines XXXA-XIA and XXXB-XIB shown in FIG. 10B.

도12a는 종래의 키 커플러를 도시하는 사시도.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key coupler.

도12b는 다른 종래의 키 커플러를 도시하는 사시도.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key coupl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40, 50, 60 : 키 커플러10, 30, 40, 50, 60: key coupler

10a, 30a, 40a, 50a, 60a : 제1 폐쇄 링10a, 30a, 40a, 50a, 60a: first closing ring

10b, 30b, 40b, 50b, 60b : 제2 폐쇄 링10b, 30b, 40b, 50b, 60b: second closing ring

11, 12, 31, 32, 41, 42, 51, 52, 61, 62 : 원형부11, 12, 31, 32, 41, 42, 51, 52, 61, 62: circular part

11a, 12a, 31a, 32a, 41a, 42a, 51a, 52a, 61a, 62a : 개구11a, 12a, 31a, 32a, 41a, 42a, 51a, 52a, 61a, 62a: opening

13, 33, 43, 53, 63 : 연결부13, 33, 43, 53, 63: connection

20 : 키(key)20: key

21 : 구멍21: hole

25 : 키 홀더25: key holder

50c, 60c : 갭50c, 60c: gap

51b, 52b, 61b, 62b : 각진 부분51b, 52b, 61b, 62b: angled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1a 내지 도1d, 도2a 및 도2b 및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1a 내지 도1d와 도2a 및 도2c를 참조하여, 키 커플러(10)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키 커플러(10)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측면도가 도1a 내지 도1d에 각각 도시되고, 저부도 및 우측면도는 저부도는 평면도와 동일하고,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는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1D, 2A and 2B and 3A-3C. First, referring to Figs. 1A to 1D and Figs. 2A and 2C, the structure of the key coupler 10 will be described. The front view, the top view, the back view, and the left side view of the key coupler 10 are shown in Figs. 1A to 1D, respectively. Not shown.

키 커플러는 1 ㎜의 직경을 갖는 단일 스프링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키 커플러(10)는 제1 원형부(11), 제2 원형부(12) 및 연결부(13)로 구성된다(도3b 참조). 제1 폐쇄 링(10a)은 제2 원형부(12) 상에 제1 원형부(11)를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제2 폐쇄 링(10b)은 제1 및 제2 원형부(11, 12)가 중첩될 때 또한 형성된다. 제2 폐쇄 링(10b)은 연결부(13)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며 제1 폐쇄 링(10a) 및 연결부(13)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도1b 참조).The key coupler is made of a single spring wire with a diameter of 1 mm. The key coupler 10 is composed of a first circular portion 11, a second circular portion 12, and a connecting portion 13 (see FIG. 3B). The first closing ring 10a is formed by superimpos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on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The second closing ring 10b is also formed wh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ortions 11, 12 overlap. The second closing ring 10b is partly surround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3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 (see FIG. 1B).

제1 원형부(11)는 제1 개구(11a)를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원형부(12)는 제2 개구(12a)를 갖는 동일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개구(11a, 12a)는 두 개의 원형부(11, 12)가 중첩된 때 중심선(ⅡA-ⅡA)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 설정된다(도1b 참조). 제1 원형부(11)를 형성할 때, 스프링 와이어의 일 단부는 315°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된다. 제2 원형부(12)는 스프링 와이어의 타단부를 315°만큼 시계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is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having the first opening 11a, and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is formed into the same circular shape having the second opening 12a. The two openings 11a and 12a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IA-IIA 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11 and 12 overlap (see Fig. 1B). When form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one end of the spring wire is wound counterclockwise by 315 °.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is formed by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wire clockwise by 315 °.

두 개의 원형부(11, 12)가 중첩될 때 제1 개구(11a)는 제2 원형부(12)에 의해서 폐쇄되고 제2 개구(12a)는 제1 원형부(1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제1 폐쇄 링(10a)이 형성된다. 연결부(13)에 의해 둘러싸인 제2 폐쇄 링(10b)은 또한 제1 및 제2 원형부가 중첩될 때 형성된다.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11 and 12 overlap, the first opening 11a is closed by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and the second opening 12a is closed by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Thus, the first closing ring 10a is forme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surround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also formed wh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ortions overlap.

제1 및 제2 원형부가 강제적으로 분리된 때, 제1 및 제2 개구(11a, 12a)는 개방되고, 따라서 제1 폐쇄 링(10a)은 개방된다. 제1 및 제2 원형부가 분리된 때제2 폐쇄 링(10b)도 또한 동시에 개방된다. 두 개의 원형부(11, 12)를 억지로 분리시키는 힘이 해제된 때, 두 개의 원형부(11, 12)는 스프링 와이어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그들의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제1 폐쇄 링(10a) 및 제2 폐쇄 링(10b)이 다시 형성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ortions are forcibly separate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a and 12a are open, and thus the first closing ring 10a is open. The second closing ring 10b is also open 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ortions are separated. When the force for forcibly separating the two circular portions 11 and 12 is released, the two circular portions 11 and 12 are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s by the spring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wire,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re formed again.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키(20)를 키 커플러(10)를 통해 키 홀더(25)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설명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고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키 커플러(10)가 도3a에 도시된다. 도3b에 과장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형부(11) 및 제2 원형부(12)가 서로 강제적으로 분리된다. 즉, 외력을 가함으로써 제1 폐쇄 링(10a) 및 제2 폐쇄 링(10b)은 동시에 개방된다. 키(20, 또는 복수의 키)는 두 개의 원형부(11, 12) 사이의 개구를 통해 키(20)를 삽입함으로써 제2 폐쇄 링(10b)에 결합된다. 키 홀더(25, 또는 키 홀더 링)는 제1 폐쇄 링(10a)에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원형부(11, 12)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힘을 해제시킴으로써, 키 커플러(10)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키(20)는 제2 폐쇄 링(10b)에 키(20)의 구멍(21)을 연결함에 의해서 제2 폐쇄 링(10b)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키(10)(또는 키들)는 키 커플러(10)를 통해 키 홀더(25)에 결합된다.3A to 3C, a process of coupling the key 20 to the key holder 25 through the key coupler 10 is described. A key coupler 10 with no external force applied and nothing connected is shown in FIG. 3A. As shown exaggerated in Fig. 3B,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and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are forcib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re simultaneously opened. The key 20, or a plurality of keys, is coupled to the second closing ring 10b by inserting the key 20 through the opening between the two circular portions 11, 12. The key holder 25, or key holder ring, is likewise coupled to the first closure ring 10a. By releasing the force forcibly separating the circular portions 11 and 12, the key coupler 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spring restoring force as shown in Fig. 3C. The key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losing ring 10b by connecting the hole 21 of the key 20 to the second closing ring 10b. Thus, the key 10 (or keys) is coupled to the key holder 25 via the key coupler 10.

상술된 키 커플러(10)는 제2 원형부(12)로부터 제1 원형부(11)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고, 키(20) 및 키 홀더(25)는 각각 제2 폐쇄 링(10b) 및 제1 폐쇄 링(10a)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키(20)가 키 커플러(10)로 삽입된 후 키(20)를 돌릴 필요가 없다. 분리력을 단순히 해제함으로써, 키 커플러(10)는이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이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고, 따라서 제2 폐쇄 링(10b)에 키(20)를 그리고 제1 폐쇄 링(10a)에 키 홀더(25)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key coupler 10 can be easily opened by separat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from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and the key 20 and the key holder 25 are each a second closing ring ( 10b) and the first closure ring 10a. It is not necessary to turn the key 20 after the key 20 is inserted into the key coupler 10. By simply releasing the separating force, the key coupler 1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spring restoring force, thus drawing the key 20 on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nd the key holder on the first closing ring 10a. (25) can be kept reliably.

키(20) 및 키 홀더(25)는 제2 원형부(12)로부터 제1 원형부(11)를 단순히 분리시킴으로써 키 커플러(10)로부터 용이하게 결합해제된다. 게다가, 제1 폐쇄 링(10a) 및 제2 폐쇄 링(10b)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위치 설정되므로, 키 커플러(10)는 얇고 소형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The key 20 and the key holder 25 are easily disengaged from the key coupler 10 by simply separat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from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re positioned substantially in the same plane, the key coupler 10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and compact siz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부 변형 형태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변형 형태1로서 키 커플러(30)가 도4a 내지 도4d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다. 변형 형태1에서, 제1 폐쇄 링(30a)은 도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삼각형 형상(원형 형상에서 변경)으로 형성된다. 변형 형태1의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상술된 키 커플러(10)의 것과 동일하다. 키 커플러(10)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변형 형태1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키 커플러 10 →30; 제1 원형부 11 →31; 제2 원형부 12 →32; 제1 폐쇄 링 10a →30a; 제2 폐쇄 링 10b →30b; 제1 개구 11a →31a; 제2 개구 12a → 32a; 및 연결부 13 →33.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ch can be variously changed. Some vari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variation 1, the key coupler 30 is shown in Figs. 4A to 4D and Figs. 5A and 5B. In variant 1, the first closing ring 30a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change from circ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 4B. Other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variation 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ey coupler 10 described abov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key coupler 10 correspond to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modification 1 as follows. Key coupler 10 → 30; First circular portion 11 → 31; Second circular portion 12 → 32; First closing ring 10a → 30a; Second closing ring 10b → 30b; First opening 11a → 31a; Second opening 12a → 32a; And connections 13 → 33.

변형 형태2로서 키 커플러(40)가 도6a 내지 도6d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다. 이 변형 형태2에서, 제1 폐쇄 링(40a)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삼각형 형상(변형 형태1과 동일)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제2 폐쇄 링(40b)은 사다리꼴 형상(둥근 형상에서 변경)으로 형성된다. 변형 형태2의 다른구조 및 기능은 상술된 키 커플러(10)의 것과 동일하다. 키 커플러(10)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변형 형태2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키 커플러 10 →40; 제1 원형부 11 →41; 제2 원형부 12 →42; 제1 폐쇄 링 10a →40a; 제2 폐쇄 링 10b →40b; 제1 개구 11a →41a; 제2 개구 12a → 42a; 및 연결부 13 →43.As a variant 2, the key coupler 40 is shown in Figs. 6A-6D and Figs. 7A and 7B. In this variant 2, the first closing ring 40a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same as variant 1) with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 6B. In addition, the second closing ring 40b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change from round shape). Other structures and functions of Modification 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ey coupler 10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key coupler 10 correspond to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variation 2 as follows. Key coupler 10 → 40; First circular portion 11 → 41; Second circular portion 12 → 42; First closing ring 10a → 40a; Second closing ring 10b → 40b; First opening 11a → 41a; Second opening 12a → 42a; And connection 13 → 43.

변형 형태3로서 키 커플러(50)가 도8a 내지 도8d와 도9a 및 도9b에 도시된다. 이 변형 형태3에서, 제1 원형부(51)는 각진 부분(51b)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제2 원형부(52)는 각진 부분(52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8d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각진 부분(51b, 52b)은 두 개의 원형부(51, 52)가 서로 중첩될 때 그들 사이에 갭(50c)을 형성한다. 이 변형 형태3에 갭(50c)이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부(51, 52)는 갭(50c)에 대항하여 키(20)의 배면을 단순하게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키(20)는 키 커플러(50)와 용이하게 결합된다. 키 홀더(25)도 동일한 방식으로 키 커플러(5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A key coupler 50 as a variant 3 is shown in Figs. 8A-8D and 9A and 9B. In this modification 3, the first circular portion 51 is formed to include the angled portion 51b, and the second circular portion 52 is formed to include the angled portion 52b. As best shown in Fig. 8D, the two angled portions 51b, 52b form a gap 50c therebetween 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51, 52 overlap each other. Since the gap 50c is formed in this modified form 3, the circular portions 51 and 52 can be easily opened by simply pressing the back surface of the key 20 against the gap 50c. Thus, the key 20 is easily coupled with the key coupler 50. The key holder 25 can also be easily coupled with the key coupler 50 in the same manner.

변형 형태3의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상술된 키 커플러(10)의 것과 동일하다. 키 커플러(10)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변형 형태3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키 커플러 10 →50; 제1 원형부 11 →51; 제2 원형부 12 →52; 제1 폐쇄 링 10a →50a; 제2 폐쇄 링 10b →50b; 제1 개구 11a →51a; 제2 개구 12a → 52a; 및 연결부 13 →53.Other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variation 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ey coupler 10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key coupler 10 correspond to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modification 3 as follows. Key coupler 10 → 50; First circular portion 11 → 51; Second circular portion 12 → 52; First closing ring 10a → 50a; Second closing ring 10b → 50b; First opening 11a → 51a; Second opening 12a → 52a; And connections 13 → 53.

변형 형태4로서 키 커플러(60)가 도10a 내지 도10d와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다. 변형 형태4는 갭(60c)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상술된 변형 형태3과 동일하다.상술된 변형 형태3에서, 갭(50c)은 제2 폐쇄 링(50b)의 대향 측에 위치 설정된다. 이 변형 형태4에서, 갭(60c)은 도10d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링(60b)에 대면하는 측에 위치 설정된다. 제1 원형부(61)는 각진 부분(61b)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제2 원형부(62)는 각진 부분(62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각진 부분(61b, 62b)은 두 개의 원형부(61, 62)가 서로 중첩된 때 그들 사이에 갭(60c)을 형성한다. 갭(60c)이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부(61, 62)는 갭(60c)에 대항하여 키(20)의 배면을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키 커플러(60)에 결합된 키(20)가 그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키 커플러(60)에 결합된 키 홀더(25)는 동일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s a variant 4, the key coupler 60 is shown in Figs. 10A to 10D and Figs. 11A and 11B. The modification 4 is the same as the modification 3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gap 60c. In the modification 3 described above, the gap 50c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losing ring 50b. In this variant 4, the gap 60c is positioned on the side facing the second closing ring 60b as well shown in Fig. 10D. The first circular portion 61 is formed to include the angled portion 61b, and the second circular portion 62 is formed to include the angled portion 62b. As shown in Fig. 10D, the two angled portions 61b and 62b form a gap 60c therebetween 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61 and 62 overlap each other. Since the gap 60c is formed, the circular portions 61 and 62 can be easily opened by simply pressing the back of the key 20 against the gap 60c. Thus, the key 20 coupled to the key coupler 60 can be easily removed therefrom. In addition, the key holder 25 coupled to the key coupler 60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rom in the same manner.

변형 형태4의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상술된 키 커플러(10)의 것과 동일하다. 키 커플러(10)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변형 형태4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키 커플러 10 →60; 제1 원형부 11 →61; 제2 원형부 12 →62; 제1 폐쇄 링 10a →60a; 제2 폐쇄 링 10b →60b; 제1 개구 11a →61a; 제2 개구 12a → 62a; 및 연결부 13 →63.Other structures and functions of variant 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ey coupler 10 described abov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key coupler 10 correspond to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variation 4 as follows. Key coupler 10 → 60; First circular portion 11 → 61; Second circular portion 12 → 62; First closing ring 10a → 60a; Second closing ring 10b → 60b; First opening 11a → 61a; Second opening 12a → 62a; And connections 13 → 63.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전술한 이의 변형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더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20)는 제2 폐쇄 링(10b) 대신에 제1 폐쇄 링(10a)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키 홀더(25)는 제2 폐쇄 링(1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키(20)(또는 키들)는 키 커플러(10)를 통해 키 홀더(25)와 결합된다. 비록 키 커플러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단일 스프링 와이어로 일체식으로 제작되었지만, 키 커플러는 별도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원형부를 스프링 재료로 만들어진 연결부로 연결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and their modification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urther modified. For example, the key 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losure ring 10a instead of the second closure ring 10b. Likewise, the key holder 25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losing ring 10b. In this way, the key 20 (or keys) is coupled with the key holder 25 via the key coupler 10. Although the key coupler is integrally made from a single spring wi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key coupler can be made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arts made separately with a connection made of spring material.

본 발명은 앞선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의 변형 형태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형태 및 세부 사항의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내부에서 행해질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thereof, it is understood that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의해서 키 또는 키들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는 개선된 키 커플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key coupler that can be easily engaged or disengaged from a key or keys.

Claims (11)

키 홀더에 키를 결합하기 위한 키 커플러(10)이며,A key coupler 10 for coupling a key to a key holder, 제1 원형부(11)와,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제2 원형부(12)와,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제1 원형부를 제2 원형부에 연결하는 연결부(13)와,A connecting portion 13 connect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to the second circular portion; 제2 원형부에 제1 원형부를 중첩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폐쇄 링(10a)과,A first closing ring 10a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with the second circular portion, 연결부와 제1 폐쇄 링에 의해서 한정되고 제2 원형부에 제1 원형부를 중첩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2 폐쇄 링(10b)을 포함하며,A second closing ring 10b defined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losing ring and formed by superimpos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on the second circular portion, 제1 폐쇄 링(10a) 및 제2 폐쇄 링(10b)은 제1 원형부를 제2 원형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두 개의 링은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힘을 제거함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re opened by applying a force forc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away from the second circular portion, and the two rings are removed by forcibly removing the force for separating the first circular portion. Key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제1 원형부(11)는 두 개의 원형부가 서로 중첩될 때 제2 원형부(12)에 의해서 폐쇄되는 제1 개구(11a)를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ircular portion 11 includes a first opening 11a which is closed by the second circular portion 12 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overlap each other. 제2 원형부(12)는 두 개의 원형부가 서로 중첩될 때 제1 원형부(11)에 의해서 폐쇄되는 제2 개구(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The second coupler (1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pening (12a) which is closed by the first circle (11) when the two circles overlap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13)는 스프링 작용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1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ring a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원형부(11), 제2 원형부(12) 및 연결부(13)는 단일 스프링 와이어로 모두 일체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3.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ircular part (11), the second circular part (12) and the connecting part (13) are all made integrally from a single spring wire.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원형부는 두 개의 원형부가 서로 중첩된 때 그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개별 각진 부분(51b, 52b; 61b, 6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5.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ortions comprise separate angled portions (51b, 52b; 61b, 62b) that form a gap therebetween when the two circular portions overlap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제1 폐쇄 링(10a) 및 제2 폐쇄 링(10b)은 두 개의 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서 위치 설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5.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closing ring (10a) and the second closing ring (10b) are formed such that the two rings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제6항에 있어서, 제1 링(10a)은 평면 상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7.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ring (10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a plane. 제6항에 있어서, 제1 링(30a)은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7.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ring (30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on a plane. 제8항에 있어서, 제2 링(40b)은 평면 상에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9.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cond ring (40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on a plane. 제5항에 있어서, 갭(50c)은 제1 폐쇄 링 상에서 제2 폐쇄 링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6.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ap (50c)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he second closing ring on the first closing ring. 제5항에 있어서, 갭(60c)은 제1 폐쇄 링 상에서 제2 폐쇄 링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커플러.6. A key coupl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ap (60c) is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closing ring on the first closing ring.
KR1020030062895A 2002-09-13 2003-09-09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KR1005619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8594 2002-09-13
JP2002268594A JP4032896B2 (en) 2002-09-13 2002-09-13 Key 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97A true KR20040024497A (en) 2004-03-20
KR100561987B1 KR100561987B1 (en) 2006-03-17

Family

ID=3194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895A KR100561987B1 (en) 2002-09-13 2003-09-09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50125A1 (en)
JP (1) JP4032896B2 (en)
KR (1) KR100561987B1 (en)
CN (1) CN1224358C (en)
DE (1) DE10337063B4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3239A1 (en) * 2004-11-12 2006-05-18 Ra Brands, L.L.C. Swivel connector
US20180125175A1 (en) * 2016-11-10 2018-05-10 Aha Llc Connection device for holding an object, such as a key, dog tag, and the like
JP6879733B2 (en) * 2016-12-27 2021-06-0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Multiple circular rings and connected structures
CN111616470A (en) * 2019-02-28 2020-09-04 汉娜·瓦西切克 Jewel ornament connecting piece
DE102019210215B3 (en) * 2019-07-10 2020-08-13 Martin Woltermann Spring wire holder
JP7442858B2 (en) 2021-10-25 2024-03-05 合謚實業股▲ふん▼有限公司 double helix clasp
TWI805494B (en) * 2021-10-25 2023-06-11 合謚實業股份有限公司 Two-turn spiral ring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403A (en) * 1875-02-02 Improvement in snap-hooks
US629224A (en) * 1898-04-26 1899-07-18 Edwin Watkins Snap-hook.
US850185A (en) * 1905-03-14 1907-04-16 Richard W Roberts Clip.
US868004A (en) * 1906-06-30 1907-10-15 Ezra L Post Leather or hide suspending hook.
US1236014A (en) * 1916-05-24 1917-08-07 Hermann A Sievert Snap-hook or the like.
US1333655A (en) * 1918-09-30 1920-03-16 Davis Virginia Key-ring
US1388100A (en) * 1919-05-08 1921-08-16 Davis Virginia Key-ring
US1345357A (en) * 1919-10-15 1920-07-06 Evans William Key-ring clip
US1419408A (en) * 1921-07-12 1922-06-13 Polhemus Louis Edward Key ring and holder
US1462205A (en) * 1921-11-18 1923-07-17 Lewis F Korns Key ring and the like
US2209475A (en) * 1940-01-31 1940-07-30 Hickok Mfg Co Inc Attaching device for key chains and the like
US2342078A (en) * 1940-04-09 1944-02-15 United Carr Fastener Corp Key-carrying device
US2810176A (en) * 1956-02-14 1957-10-22 Abdel-Rahman K Gaafar Tag fastener
US3657909A (en) * 1970-02-27 1972-04-25 George T Boswell Key holder
US4191038A (en) * 1978-09-15 1980-03-04 Vaughn Randy L Key holder
US5042191A (en) * 1989-08-10 1991-08-27 Fett Terry A Clip for attaching a fishing lure and the like
US5465596A (en) * 1995-01-17 1995-11-14 Park; James I. Key ring
GB9600966D0 (en) * 1996-01-17 1996-03-20 Sharp Kenneth Detachable fixing
US6240604B1 (en) * 1999-05-13 2001-06-05 William Lester Fox Zipper slide handle, tab or pull apparatus
US6243922B1 (en) * 2000-03-03 2001-06-12 Dexterity, Inc. Detachable clasping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9955A (en) 2004-04-21
DE10337063B4 (en) 2014-11-06
US20040050125A1 (en) 2004-03-18
JP2004105277A (en) 2004-04-08
CN1224358C (en) 2005-10-26
JP4032896B2 (en) 2008-01-16
KR100561987B1 (en) 2006-03-17
DE10337063A1 (en)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4093B1 (en)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strap to a wrist-watch
KR100561987B1 (en) Key-coupler for coupling key to key-holder
EP0714616A1 (en) Center binding metal for band-shaped ornament
JPH04149972A (en) Terminal stopper-attached connector
JPH06101370A (en) Flat key
JP2007085471A (en) Coupler
JP2002339635A (en) Hinge
KR100282083B1 (en) Key ring
KR200307349Y1 (en) Connect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s
JP3261835B2 (en) Graft clips
JP2002168386A (en) Dismounting jig of pipe joint
KR200157464Y1 (en) Necklace clip
JP2009095637A (en) Clasp for accessory
JP2003336418A (en) Key passing assist and attachment/detachment method for key using the key passing assist
KR19990022034U (en) a key holder
KR200359007Y1 (en) A key-loop
KR200274846Y1 (en) A Padent for Accessories
JP2004161305A (en) Housing case
JPH11344019A (en) Connecting tool
US6345901B1 (en) Miniature light bulb socket with engaging mechanism
JP2002011672A (en) Connector detachable tool
JP2000231950A (en) Terminal block
JPH07206030A (en) Joining device
KR200166449Y1 (en) Air inhalation device of liquid receptacle
JPH09238730A (en) Sea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