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865A - 공기조화용 디퓨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865A
KR20040023865A KR1020020055304A KR20020055304A KR20040023865A KR 20040023865 A KR20040023865 A KR 20040023865A KR 1020020055304 A KR1020020055304 A KR 1020020055304A KR 20020055304 A KR20020055304 A KR 20020055304A KR 20040023865 A KR20040023865 A KR 2004002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iffuser
frame
diffusio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양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선 filed Critical 양홍선
Priority to KR102002005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865A/ko
Publication of KR2004002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Abstract

이 발명은 다수개의 공기 확산부재를 갖는 디퓨져에 채용 가능하면서도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고 견고성을 갖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면에 설치되는 제1,2,3확산부재(11,12,13)를 갖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통기공(10a) 주연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린더관체(21)와 상기 실린더관체(21)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는 승강로드(22)를 갖는 복수개의 승하강수단(20)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게 하고, 상기 제1,2,3확산부재(11,12,13)는 일체가 되도록 중앙부에서 고정관부재(14)에 의해 고정되게 하되 제1확산부재(11)의 통기공(11a) 주연부에 다수의 돌출부(15)를 형성시켜 그 돌출부(15)에 승하강수단(20)의 승강로드(22)가 고정되게 하여 프레임(10)으로부터 제1,2,3확산부재(11,12,13)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되게 하고; 상기 승하강수단(20)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지점의 프레임(10) 하부에 가이드축(16)을 고정시켜 그 가이드축(16)이 돌출부(15)의 가이드공(17)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진운동 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디퓨져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건물의 에어덕트를 통해서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확산되게 하기 위해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져(diffus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퓨져에 구비하는 다수개의 확산부재가 승하강되게 함으로써 실내에 확산되는 공기의 확산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2002-0026289호의 개량 발명에 관련한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져는 통상 3개의 확산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디퓨져를 통해서 확산되는 공기는 사방으로 퍼지는 상태로 확산되게 되며, 그로 인해 천장 주변으로 공기 확산되어 점차 아래 방향으로 확산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퓨져를 통해 공기가 확산되는 것은 실내에 외부 공기만 공급하는 동계절에는 바람직한 공기 확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공기(찬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하계절에는 찬공기가 실내에 신속하게 확산되지 못함으로써 바람직한 공기 확산이라고 할 수 없다.
즉, 하계절에는 찬공기가 실내에 급속하게 확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려면 디퓨져를 통한 공기 확산이 천장 주변의 사방으로 퍼져서 공기 확산되는 것 보다는 아래 방향을 향하여 공기가 확산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공기 확산되도록 한 선행기술이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1828호로 개시 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랙과 피니언과 같은 정밀 부품과 정역모터등을 이용함으로써 전환스위치 조작에 의한 간편한 조절이 되는 편리함을 가지고 있지만 제작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수반한다.
다른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한국 실용신안 선등록번호 20-0239023호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1개의 공기확산부재를 구비하여 그 확산부재가 공기 출구를개폐시켜 공기가 사방 또는 아랫 방향으로 확산되게 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다수개의 확산부재를 갖는 통상적인 사각형태의 디퓨져일 경우에는 전혀 채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실용신안 선등록번호 20-0239023호의 구조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디퓨져를 제공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다수개의 확산부재를 갖는 통상의 디퓨져에는 전혀 채용하기 곤란하고 단지 1개의 확산부재를 갖는 디퓨져의 경우에만 실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공기조화용 디퓨져는 대개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경우 댐퍼조절손잡이가 확산부재 중앙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선행기술들은 상기와 같이 댐퍼장치와 댐퍼조절손잡이를 갖는 통상적인 디퓨져의 경우 전혀 채용하기 난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범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댐퍼장치와 댐퍼조절손잡이를 갖는 통상적인 디퓨져에 채용할 수 있는 것이 출원인에 특허출원 제2002-0026289호로 선출원 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 출원된 것은 승하강수단이 프레임 및 확산부재의 상부연결부재에 설치됨으로써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확산부재가 승하강되면서도 견고한 상태를 갖는 디퓨져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기 확산부재를 갖는 디퓨져에 채용 가능하면서도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고 견고성을 갖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장치를 갖는 디퓨져에서도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부재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면에 설치되는 제1,2,3확산부재를 갖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통기공 주연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린더관체와 상기 실린더관체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는 승강로드를 갖는 복수개의 승하강수단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게 하고; 상기 제1,2,3확산부재는 일체가 되도록 중앙부에서 고정관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하되 제1확산부재의 통기공 주연부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그 돌출부에 승하강수단의 승강로드가 고정되게 하여 프레임으로부터 제1,2,3확산부재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수단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지점의 프레임 하부에 가이드축을 고정시켜 그 가이드축이 돌출부의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진운동 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수직홈부와 제1경사면부와 걸림턱부와 제2경사면부가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실린더관체와, 상기 실린더관체의 내부턱에 걸림되는 밀음부 상단에 톱니경사면부를 다수 가진 승강로드와, 상기 톱니경사면부에 밀려서 상승되는 다수의 경사돌기를 가지며 걸림턱부가 승강로드 중앙공에 삽입되어 공회전걸림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걸림되게 설치되는 승하강회전부재와, 상기 승하강회전부재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실린더관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캡에 의해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디퓨져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수단의 승강로드가 하강된 상태의 디퓨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수단의 승강로드가 상승된 상태의 디퓨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전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상승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작용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하강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확산 공기가 윗쪽 사방으로 확산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확산 공기가 아랫쪽 사방으로 확산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제1확산부재
12 : 제2확산부재 13 : 제3확산부재
14 : 고정관부재 15 : 돌출부
16 : 가이드축 17 : 가이드공
20 : 승하강수단 21 : 실린더관체
22 : 승강로드 23 : 수직홈부
24 : 제1경사면부 25 : 걸림턱부
26 : 제2경사면부 27 : 밀음부
28 : 톱니경사면부 29 : 경사돌기
30 : 걸림턱부 31 ; 공회전걸림부
32 : 승하강회전부재 33 : 탄력부재
35 : 실린더캡 40 : 댐퍼수단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디퓨져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요부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디퓨져는 건물의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확산부재(11)와, 상기 제1확산부재 (11) 하측으로 제2확산부재(12) 및 제3확산부재(1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확산부재(11)의 통기공(11a)주연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린더관체(21)와 상기 실린더관체(21)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는 승강로드(22)를 갖는 복수개의 승하강수단(20)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확산부재(11,12)와 제3확산부재(13)는 일체가 되도록 중앙부에서 고정관부재(14)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하되, 상기 제1확산부재(11)의 통기공(11a) 주연부에는 다수(3개)의 돌출부(15)가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5)는 도 2에 보인바와 같이 금속편으로 만들어서 그 금속편을 프레임(10)에 스폿트 용접시켜 돌출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프레스금형(미도시 됨)에 의해 절곡시켜 제조할 때 그 프레임(10)으로부터 절곡시켜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확산부재(11)의 돌출부(15)에 승하강수단(20)의 승강로드(22)가 고정되게 하여 제1,2,3확산부재(11,12,13)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하강수단(20)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지점의 프레임(10) 하부에 가이드축(16)을 고정시키고 그 가이드축(16)이 돌출부(15)의 가이드공(17)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레임(10) 상부에는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댐퍼수단(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수단(40)은 공기조절구(41)에 의해 그 통로의 공기 통과 면적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디퓨져는 댐퍼수단(40)이 채용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채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4는 승하강수단(20)의 승강로드(22)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때는 프레임(10)과 제1확산부재(11)의 간격(H)이 넓어진 상태를 갖는다.
도 5는 승하강수단(20)의 승강로드(22)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프레임(10)과 제1확산부재(11)의 간격(h)이 좁아진 상태를 갖는 것으로서, 제1확산부재(11)와 고정된 제2 및 제3확산부재(12,13) 중에 어느 하나의 확산부재를 눌러 줌으로써 하강된 상태를 갖도록 운동하거나 또는 상승된 상태를 갖도록 동작된다.
이때, 프레임(10)에 고정된 가이드축(16)은 돌출부(15)의 가이드공(17)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진운동할 때 제2,3확산부재(12,13)를 포함하여 제1확산부재(11)가 옆으로 기울어 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승하강수단(20)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를 참조하면, 승하강수단(20)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실린더관체(21)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관체(21)는 제1확산관체(11)의 상부연결부재(11a)의 구멍(11b)에 다수의 훅크부(21b)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훅크부(21b)는 실린더관체(21)의 하단부에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3-4개의 훅크부(21b)를 갖게 된다. 물론 상기 훅크부(21b) 대신에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관체(21)의 내부에는 도 7에 더욱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길다란 수직홈부(23)와 제1경사면부(24)와 걸림턱부(25)와 제2경사면부(26)가 내주면에 원주면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수직홈부(23)와 제1경사면부(24)와 걸림턱부(25)와 제2경사면부(26)는 다수(3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관체(21) 내부에는 상부에 밀음부(27)를 가진 승강로드(22)가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상기 밀음부(27)는 실린더관체(21)의 내부턱(21a)에 걸림되기 때문에 실린더관체(21)의 하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밀음부(27) 상단에는 다수의 톱니경사면부(28)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승강로드(22)의 중앙공(22a) 내주면에는 공회전걸림부(31)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회전부재(32)는 작동시에 상기 톱니경사면부(28)에 밀려서 상승되는 다수(3개)의 경사돌기(29)를 가지며 하부에 구비하는 걸림턱부(30)가 승강로드(22) 중앙공(22a)에 삽입되어 공회전걸림부(31)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조립되면서도 헐겁게 걸림 됨으로써 승하강회전부재(32)는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
승하강회전부재(32)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력부재(33)가 설치된 다음 그 탄력부재(33)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실린더관체(21) 상단부에는 실린더캡(34)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승강로드(22)와 제2확산부재(12)의 결합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벳(35) 이음을 하여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동작에 있어서는 제2확산부재(12)를 윗쪽으로 힘(외력)을 가하여 누름으로써 승강로드(22)가 상승된 후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승되어 있는 승강로드(22)를 하강되게 하는 경우에는 다시 제2확산부재(12)를 윗쪽으로 약간 누름으로써 승강로드(22)가 약간 상승하다가 아랫 방향으로 내려 오게 되는 하강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승강로드(22)의 상승에서 정지되는 동작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를 참조하면, 승강로드(22)의 밀음부(27)에 있는 톱니경사면부(28)는 항시 승하강회전부재(32)의 경사돌기(29)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또한, 경사돌기(29)는 실린더관체(21) 내주면에 있는 수직홈부(23)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갖기 때문에 상기 승하강회전부재(32)는 이 상태에서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승강로드(22)에 외력을 가하여 위로 올라 가도록 밀게 되면 탄력부재(33)가 압축되면서 승강로드(22)가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톱니경사면부(28)가 경사돌기(29)를 밀고 올라가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수직홈부(23)를 따라 올라 가던 경사돌기(29)가 수직홈부(23)의 끝단부(23a)에 도달 하게 되면 경사돌기(29)의 경사면(29a)과 실린더관체(21) 내면의 제1경사면부(24)의 경사진 상태가 일치되는 상태가 되고 또한 이 상태는 탄력부재(33)의 가압력에 의해서 승하강회전부재(32)가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경사돌기(29)의 경사면(29a)과 제1경사면부(24)의 경사진 상태가 일치되는 순간에 경사돌기(29)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부(24) 쪽으로 미끄러지는 상태가 되면서 승하강회전부재(32)가 약간 회전되는 상태가 되면서 도 8d와 같이 경사돌기(29)가 실린더관체(21)의 걸림턱부(25)에 걸림되는 상태가되어 정지된 상태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도 6과 같이 승강로드(22)의 공회전걸림부(31)에 승하강회전부재(32)의 걸림턱부(30)가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드(22)의 밀음부(27)는 도 8d의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상승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로 인해서 제1확산부재(11)와 제2확산부재(13)는 그 간격(h)이 좁아진 상태가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승강로드(22)가 하강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a는 실린더관체(21)의 걸림턱부(25)에 승하강회전부재(32)의 경사돌기(29)가 걸림되어 정지된 상태로서 도 8d와 동일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상태에서 제2확산부재(12)를 윗쪽으로 약간 가압하여 승강로드(22)가 약간 상승되도록 하면 밀음부(27)의 톱니경사면부(28)가 경사돌기(29)를 밀고 올라가게 되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경사면부(26)의 끝단부(26a)에 경사돌기(29)의 끝단부가 일치되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탄력부재(33)의 가압력이 승하강회전부재(32)에 작용하기 때문에 도 9c와 같이 경사돌기(29)의 경사면(29a)이 제2경사면부(26)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 가면서 승하강회전부재(32)가 회전하는 상태로 동작된다.
그리고 제2경사면부(26)가 끝나는 지점에서는 도 9d와 같이 경사돌기(29)가 수직홈부(23)로 삽입되어 아랫 방향으로 하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밀음부(27)를 포함한 승강로드(22)가 하강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제1확산부재(11)와 제2확산부재(12) 간격(H)이 크게 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도 10은 프레임(10)에 대해 제2,3확산부재(12,13)를 포함한 제1확산부재(11)가 상승된 상태로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는 디퓨져를 통해서 공급되는 확산 공기가 천장(1)과 근접되는 옆 방향으로 확산되며, 이와 같이 조절하는 하는 것은 겨울철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조절 상태이다.
도 11은 프레임(10)에 대해 제2,3확산부재(12,13)를 포함한 제1확산부재(11)가 하강된 상태로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는 제1,2,3확산부재(11)가 내려간 상태를 가짐으로써 프레임(10) 통기공(10a)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아랫 방향을 향하여 확산되게 공급되고, 그로 인해 여름철에 냉방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신속한 냉방을 도모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승하강수단(20)이 프레임(10) 및 제1확산부재(11)의 통기공(10a,11a) 주연부에 고정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기 확산부재를 갖는 디퓨져에 채용 가능하면서도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장치를 갖는 디퓨져에서도 공기 확산 각도를 변위 시킬 수 있게 채용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디퓨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면에 설치되는 제1,2,3확산부재(11,12,13)를 갖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통기공(10a) 주연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실린더관체(21)와 상기 실린더관체(21)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는 승강로드(22)를 갖는 복수개의 승하강수단(20)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게 하고, 상기 제1,2,3확산부재(11,12,13)는 일체가 되도록 중앙부에서 고정관부재(14)에 의해 고정되게 하되 제1확산부재(11)의 통기공(11a) 주연부에 다수의 돌출부(15)를 형성시켜 그 돌출부(15)에 승하강수단(20)의 승강로드(22)가 고정되게 하여 프레임(10)으로부터 제1,2,3확산부재(11,12,13)가 승하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수단(20)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지점의 프레임(10) 하부에 고정된 가이드축(16)이 돌출부(15)의 가이드공(17)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진운동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20)은, 수직홈부(23)와 제1경사면부(24)와 걸림턱부(25)와 제2경사면부(26)가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실린더관체(21)와, 상기 실린더관체(21)의 내부턱(21a)에 걸림되는 밀음부(27) 상단에 톱니경사면부(28)를 다수 가진 승강로드(22)와, 상기 톱니경사면부(28)에 밀려서 상승되는 다수의경사돌기(29)를 가지며 걸림턱부(30)가 승강로드(22) 중앙공(22a)에 삽입되어 공회전걸림부(31)에 공회전 가능하게 걸림되게 설치되는 승하강회전부재(32)와, 상기 승하강회전부재(32)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탄력부재(33)와, 상기 탄력부재(33)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해 실린더관체(21)에 고정되는 실린더캡(34)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20020055304A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0023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04A KR20040023865A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용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04A KR20040023865A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용 디퓨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382U Division KR200300438Y1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용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865A true KR20040023865A (ko) 2004-03-20

Family

ID=3732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04A KR20040023865A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용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8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128B1 (ko) * 2016-02-23 2016-10-13 (주)대한기업 Dh 안티 스머징 가변형 디퓨져
CN106287953A (zh) * 2016-08-04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EP3633285A1 (en) * 2018-10-01 2020-04-08 FläktGroup Sweden AB Ventilation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128B1 (ko) * 2016-02-23 2016-10-13 (주)대한기업 Dh 안티 스머징 가변형 디퓨져
CN106287953A (zh) * 2016-08-04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EP3633285A1 (en) * 2018-10-01 2020-04-08 FläktGroup Sweden AB Ventilation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076B1 (ko) 신축장치
KR200300438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002386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287333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20111822A (ko) 에어컨용 바람 안내장치
KR2003008861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300437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0023441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56714Y1 (ko) 건물 냉,난방용 디퓨져의 공기확산판 승강장치
KR20030070573A (ko) 내부격자가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US6519910B2 (en) Spot mast for a carrying system
JP2000179706A5 (ko)
KR100613243B1 (ko) 공기확산부재가 승하강 조절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239023Y1 (ko) 에어 디퓨져
JP3651466B2 (ja) 高さ調整機能付きフット
KR200332240Y1 (ko) 내부격자가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381999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CN217759780U (zh) 一种调高底座及龙骨支撑结构
KR200372250Y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CN220103209U (zh) 支撑结构、安装底座以及电磁炉
CN214367943U (zh) 燃气阀转动定位控制构造
KR20041809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공기유도날개 작동장치
US20050161945A1 (en) Cantilever wind-exhausting pipe
KR102596346B1 (ko) 루버의 슬랫 체결 장치
KR102233113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