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556A -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 Google Patents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556A
KR20040022556A KR1020020054157A KR20020054157A KR20040022556A KR 20040022556 A KR20040022556 A KR 20040022556A KR 1020020054157 A KR1020020054157 A KR 1020020054157A KR 20020054157 A KR20020054157 A KR 20020054157A KR 20040022556 A KR20040022556 A KR 2004002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ousing
vibrator
unit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김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민 filed Critical 김광민
Priority to KR102002005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2556A/ko
Publication of KR2004002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7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 A61B5/4393Sexual arousal or erectile dysfunction evaluation, e.g. tumescence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2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s
    • A61B5/4041Evaluating nerves condition

Abstract

본발명은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발생 장치부가 발생한 힘에 의해 바이브레이터가 진동을 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결합되어진 자극수단이 진동을 하면 귀두에 접속시켜 귀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 여부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An apparatus for diagnosing nerve using vibration}
본 발명은 신경 진단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이용하여 귀두신경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의 진단법에는 자각적 진단과 객관적 진단법이 있으며 객관적 진단에는 성기능에 대한 자가접근법, 행동학적 접근법, 정신학적 접근법, 내과적 검사등이 있으며 내과적 검사에는 요로생식계 증상, 전반적 혹은 국소적 신경질환의 증상, 이전의 수술 및 외상병력, 약물복용, 이전 치료의 결과 등에 문진 및 신체검진, 이외에 감각신경 진동각 검사등으로 진단을 해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수행 함에 있어서, 객관적인 측정방법과 그에 따른 기술적인 측정 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루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부분의 부분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봉의 작동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봉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60: 좌측 하우징20: 트랜스
22: 전자석30: 바이브레이터
40: 자극수단50: 전원부
70: 전동 모터72: 편심캠
74: 자극봉66: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가 제공되며: 상기 기구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진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발생 장치부가 발생한 힘에 의해 바이브레이터가 진동을 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결합되어진 자극수단이 진동을하면 귀두에 접속시켜 귀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 여부를 측정하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부와 바이브레이터를 가지며, 하우징의 외부에는 자극수단과 전원부가 위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발생 장치부는 전자석과 전동 모터와 진동자를 구비한다.
바이브레이터는 전자석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자석에 의해 진동운동을 한다.
전원부는 외부의 전력으로 하우징 내부의 진동 발생 장치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으며; 자극수단은 원형의 통에 안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가짐으로써, 여기에 귀두가 쉽게 얹어질 수 있게 된다.
자극수단과 바이브레이터는 연결핀으로 연결된다.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모터가 회전을 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편심캠이 결합되어 자극봉이 하우징의 리드부를 따라 운동하면 귀두에 접속시켜 귀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와 자극봉을 가질 수 있고, 그 외부에는 리드부와 전원부가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전동모터부에는 편심캠이 연결되므로써 자극봉이 전후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편심캠은 전동모터부와 연결되고, 자극봉이 편심캠의 편심점에 연결되므로써 자극봉은 전후운동될 수 있다.
또한, 자극봉은 편심캠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리드부에 삽입되어 전후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의 외관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 하우징(10)의 상부에 트랜스(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고, 트랜스(20)가 위치되어진 곳에 맞추워져 자극 수단(40)이 관통될 수 있는 홈(16)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좌측 하우징(10)의 중앙부위에 전원부(50)가 볼트(5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진다. 이때, 전원부(50)의 스위치(52)는 상기 하우징(10)의 중앙부위에 뚫려있는 홈(14)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20)에는 전자석(22)이 삽입된다. 상기 트랜스(20)는 하부에 바이브레이터(30)를 볼트(34)로 고정하고, 브래킷(24)을 좌우로 감싸듯이 위치하여 하부 하우징(18)에 볼트(26)로 고정된다. 또한, 바이브레이터(30)는 전자석(22)이 위치한 부위에 나사 구멍(32)이 형성되고, 그곳에 진동 전달핀(36)이 고정된다. 진동 전달핀(36)은 다시 상기 자극수단(40)에 체결된다. 자극수단(40)은 안으로 파여 있는 경사면(42)을 갖는다. 이 경사면(42)에 귀두를 가져다 대서 조루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부분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22)은 코일(23)에 감싸져 있다. 또한, 전자석(22)은 트랜스(20)에 삽입되어지고, 바이브레이터(30)는 전자석(22)과 일정 간격을 두고 트랜스(20)에 고정된다. 바이브레이터(30)에는 진동 전달핀(26)의 일단부가 끼워지고, 진동 전달핀(26)에는 자극수단(40)이 연결되며, 자극수단(40)은 좌측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의 작동전 상태도이다. 철심이 없어도 전류가 지나는 코일은 원래 자석과 동등한 자기장을 가지지만, 그 속에 철심을 넣으면 철이 강력하게 자기화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자기장이 가해져서 한층 강력한 자석이 된다. 전자석은 영구자석으로는 얻기 힘든 강력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자기장의 세기를 바꿀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자석을 응용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22)은 전류를 단속(斷續)해서 코일(23)에 흘려서 바이브레이터(30)를 진동시키게 된다.
바이브레이터(30)가 진동을 하게 되면, 연결되어져 있던 자극수단(40)이 진동을 하게 되고, 그 진동의 효과로 조루 여부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추진기 등의 뒤에 생기는 진공 현상)이 일어나 옅은 안개가 발생한다.
여기에 전압을 걸면 전기일그러짐효과에 의해 변형력이 더해져서 진동이 일어나 바이브레이터(30)를 진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의 외관구조는, 좌측 하우징(60)의 상부에 전동 모터(70)가 위치할수 있도록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전동 모터(70)가 위치되어진 곳에 맞추어져 자극봉(74)이 관통할 수 있는 리드부(66)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하우징(60)의 중앙부위에 전원부(80)가 볼트(8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원부(80)의 스위치(82)는 상기 좌측 하우징(6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홈(6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전동 모터(70)에는 편심캠(72)이 결합되고, 편심캠(72)에는 자극봉(74)이 연결되어 리드부(66)에 삽입되어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전동 모터(70)는 브래킷(76)에 의해 고정되고 브래킷(76)은 볼트(78)에 의해 좌측 하우징(60)의 돌출부(62)에 고정된다. 그리고, 우측 하우징(68)이 좌측 하우징(60)에 결합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봉의 작동전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모터(70)의 회전력은 편심캠(72)으로 전달되고,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장치된 편심캠(72)이 회전하여 자극봉(74)을 피스톤 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 진동을 조루 측정에 응용하는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봉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72)이 돌아가고 편심캠(72)에 편심되어 장치된 자극봉(74)은 피스톤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좌측 하우징(60)에 형성된 리드부(66)의 구멍(67)으로 돌출되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반복적인 피스톤 운동에 의해 얻어지는 자극으로 조루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는 사용자의 조루 검사를 할때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 할 수 있다. 또한 성기를 다루니만큼 민감한 부위에 대한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편의를 도모할수 있고, 안전성에 있어서도 여타 다른 방법에 의한 것 보다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4)

  1.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진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발생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바이브레이터가 진동을 하고 바이브레이터와 결합되어진 자극수단이 진동을 하면 귀두에 접속시켜 귀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부와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자극수단과 전원부가 위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부가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부가 전동 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부가 진동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전자석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자석에 의해 진동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의 전력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수단은 원형의 통에 안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가짐으로써, 여기에 귀두가 쉽게 얹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수단과 바이브레이터가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10.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진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모터가 회전을 하고 상기 전동모터에 편심캠이 결합되어 자극봉이 하우징의 리드부를 따라 운동하면 귀두에 접속시켜 귀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조루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전동모터와 자극봉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리드부와 전원부가 설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부에는 상기 편심캠이 연결되므로써 자극봉이 전후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은 상기 전동모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극봉은 편심캠의 편심점에 연결되어 전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14.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봉은 상기 편심캠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리드부에 삽입되어 전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KR1020020054157A 2002-09-09 2002-09-09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KR20040022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57A KR20040022556A (ko) 2002-09-09 2002-09-09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57A KR20040022556A (ko) 2002-09-09 2002-09-09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56A true KR20040022556A (ko) 2004-03-16

Family

ID=3732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57A KR20040022556A (ko) 2002-09-09 2002-09-09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255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443A (ko) * 1990-12-06 1992-07-24 이종영 진동 감각 측정기(感覺測定器)
KR19990012239U (ko) * 1997-09-05 1999-04-06 배의자 진동자를 설치한 맛사지기
US6027444A (en) * 1995-04-21 2000-02-22 Multicept Aps Vibrator
JP2001104351A (ja) * 1999-10-08 2001-04-17 Tsutomu Nagayama 早漏治療器
US6251076B1 (en) * 1997-08-01 2001-06-26 Urometrics Inc. Male impotence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JP2001321381A (ja) * 2000-05-15 2001-11-20 Ryukichi Kato 不感症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443A (ko) * 1990-12-06 1992-07-24 이종영 진동 감각 측정기(感覺測定器)
US6027444A (en) * 1995-04-21 2000-02-22 Multicept Aps Vibrator
US6251076B1 (en) * 1997-08-01 2001-06-26 Urometrics Inc. Male impotence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KR19990012239U (ko) * 1997-09-05 1999-04-06 배의자 진동자를 설치한 맛사지기
JP2001104351A (ja) * 1999-10-08 2001-04-17 Tsutomu Nagayama 早漏治療器
JP2001321381A (ja) * 2000-05-15 2001-11-20 Ryukichi Kato 不感症診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258A (en) Intracavitary ultrasound scanner means
CN102860825B (zh) 基于洛仑兹力力学效应的磁声电阻抗成像系统及成像方法
JP4713339B2 (ja) 高周波数高フレームレート超音波撮像システム
EP3262434B1 (en) Vibration inducing apparatus for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
JPH01250241A (ja) 超音波吸引装置
AU2019228303B2 (en) Hybrid elastography method, probe, and device for hybrid elastography
KR20130064260A (ko) 초음파 진단장치
JP3095413U (ja) 歯牙あるいは人工埋込物の動揺度測定装置
KR20040022556A (ko) 진동을 이용한 신경 진단 기구
CN112274408A (zh) 一种电磁式冲击波发生器
JP4342197B2 (ja) 磁気共鳴弾性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この装置に用いるプローブ
JP5956066B2 (ja) 診断用プローブ及びこれを有する検査装置
CN217448103U (zh) 一种动度测量仪
JP4517185B2 (ja) 風力発電装置
US20200069288A1 (en) Ultrasound probe
CN219353958U (zh) 一种磁驱动超声生物显微镜扫描探头
FI109269B (fi) Menetelmä ja laite silmänpaineen mittaamiseksi
JPH05344974A (ja) 超音波探触子
CN211270773U (zh) 深感觉及听觉检查装置
EP3964137A1 (en) Magnetomotive probe
JPH05293094A (ja) 核磁気共鳴装置用体腔内プローブ
CN114668543A (zh) 一种动度测量仪
CN108294750B (zh) 一种基于磁声电原理的便携式电导率检测设备
CN116158779A (zh) 一种磁驱动超声生物显微镜扫描探头
WO2018105108A1 (ja) 超音波ガイド下穿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