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325A - Spare tire mounting - Google Patents

Spare tire mou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325A
KR20040022325A KR1020020053592A KR20020053592A KR20040022325A KR 20040022325 A KR20040022325 A KR 20040022325A KR 1020020053592 A KR1020020053592 A KR 1020020053592A KR 20020053592 A KR20020053592 A KR 20020053592A KR 20040022325 A KR20040022325 A KR 20040022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mounting bracket
mounting
guide groove
moun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2325A/en
Publication of KR2004002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2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fixing structure for a spare tire is provided to minimize damage of a fuel tank inside a rear floor panel by securing space when the spare tire is separated from a mounting bracket. CONSTITUTION: A fixing structure for a spare tire(50) comprises a mounting bracket(51), a mounting bolt(52), a clamp(53) and a cover(54) of the spare tire. The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a floor of a recessed part of a trunk, opening on a side and forming a guide groove. The mounting bolt is instal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racket to fix a rim(50¡~) of the spare tire. The clamp prevents the spare tire from separating by being connected to the mounting bolt with the rim of the spare tire included. The cover of the spare tire levels a floor of the trunk by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spare tire. Thereby, damage of a passenger and a fuel tank are prevented by reducing collision energy because of proper space by separating the spare tire from the mounting bracket.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Spare tire mounting }Spare tir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승용차의 트렁크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할 때 스페어 타이어가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 충돌시 스페어 타이어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어 변형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충돌사고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spare tire without moving when the spare tire is stored in the trunk of the passenger car, in particular, the rear tire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during the rear collision to ensure a sufficient deformation space by the rear colli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damage caused by an accident.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는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나 공기압 저하 등으로 인하여 사용하기 어려울 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타이어이며, 대부분의 차량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항상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하여 다니고 있다.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장착되고 있으며, 승용차의 경우에는 대부분 차량의 후방의 트렁크에 장착/보관되고 있다.In general, spare tires are auxiliary tires that can be replaced when the tires mounted on the vehicle are difficult to use due to puncture or air pressure drop, and most vehicles are always equipped with spare tires in case of emergency. These spare tires ar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and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most of the spare tires are mounted / stored in the trunk of the rear of the vehicle.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1')의 안쪽에 웰드 너트(12')가 용접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11)과, 상기 웰드 너트(12')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1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10)의 림(10')을 개재하여 상기 마운팅 볼트(12)가 웰드 너트(12')에 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13)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10)의 상면을 덮어서 트렁크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는 스페어 타이어 커버(14)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unting bracket 1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trunk and has a weld nut 12 ′ welded to the inside of the hole 11 ′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mounting bolt 12 integrally formed with the weld nut 12 ', and the mounting bolt 12 is weld nut 12' via the rim 10 'of the spare tire 10. It is composed of a clamp 13 coupled to the spare tire 10 to prevent separation, and a spare tire cover 14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pare tire 10 to flatt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마운팅 브라켓(11)에 스페어 타이어(10)의 림(10')이 끼워진 후, 클램프(13)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마운팅 볼트(12)가 마운팅 브라켓(11)의 웰드 너트(12')에 체결되어 스페어 타이어(10)가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트렁크의 바닥면에 스페어 타이어커버(14)가 설치되어, 트렁크의 바닥면이 평평해지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im 10 'of the spare tire 10 is fitted to the mounting bracket 11, the mounting bolt 12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amp 13 has a mounting bracket ( It is fastened to the weld nut 12 'of 11, and it is made to support the spare tire 10 so that it may not separate. Then, the spare tire cover 14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it is natural to mak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flat.

결국, 스페어 타이어(10)는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10)는 클램프(13)를 회전시켜 마운팅 볼트(12)가 마운팅 브라켓(11)의 웰드 너트(12')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전에는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된다.As a result, the spare tire 10 is firmly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1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of the trunk. Therefore, the spare tire 10 is not moved at all until the clamp 13 is rotated so that the mounting bolt 12 is separated from the weld nut 12 'of the mounting bracket 11.

이와 같이 스페이 타이어를 견고하고 고정하는 것은 NHTSA(미국 교통부)의 법규에 따른 것으로, 1968년 규정된 관련 법규에 따르면 후방 충돌시 연료 누출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스페어 타이어는 설치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This firmness and fastening of the spacing tires i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the NHTS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stipulated in 1968, spare tires may not move in the installed position to prevent fire from fuel leakage during rear collisions. Is ask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상당한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는 스페어 타이어(10)의 림(10') 부분이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되어 있어 후방 충돌시 트렁크 부분의 변형을 막게 되며, 그로 인하여 리어 플로어 패널(20) 안쪽에 설치된 리어 서스펜션 및 연료탱크에까지 충격을 전달하여 연료 누출 등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structure, the rim 10 'portion of the spare tire 10, which is not deformed even after a significant impact,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11,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trunk portion in the rear collision. Therefore,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rear suspension and the fuel tank installed inside the rear floor panel 20, thereby increasing the damage caused by the fuel leakage.

즉, 후방 충돌시 고무로 형성된 타이어 부분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나 스페어 타이어(10)의 림(10') 부분은 변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림(10') 부분이 설치된 트렁크 함몰부는 변형이 되지 않고 강체화되어 충돌에 의한 충격을 리어 서스펜션 및 연료탱크로 전달한다.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연료탱크가 파손될 수 있으며, 연료탱크의 파손은 연료의 누출을 통해 자동차 화재를 야기하여 물적 손실 및 인명 피해를 크게 하는 것이다.That is, during the rear collision, the rubber tire portion deforms and absorbs shock, but the rim 10 'portion of the spare tire 10 is not deformed, so the trunk recessed portion in which the rim 10' portion is installed is deformed. Rigid, instead, the impact of the collision is transmitted to the rear suspension and fuel tank. This shock can damage the fuel tank, and the damage of the fuel tank causes an automobile fire through the leakage of fuel, thereby increasing the material loss and the casualty.

상기한 문제로 인하여 미국 교통부에서는 후방 충돌과 관련된 법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즉, 충돌속도를 동래의 30mph에서 50mph로 상향하고, 연료누출 규정과 인체 상해치 규정이 추가 도입될 것이 예상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충돌 속도의 상향에 따라 충돌 에너지가 현행에 비해 212% 수준으로 커지게 되며, 이는 시험시 차체의 변형이 매우 심하게 일어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방 충돌 시험시 물적 손상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료 탱크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 변경이 시급한 실정이다.As a result of these problems,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s moving toward tightening regulations related to rear collisions.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collision speed will be increased from 30 mph to 50 mph and fuel leakage regulations and human injury regulations will be introduced. As the collision speed is increased, the collision energy is increased to 212%. This will increase, which means that the deformation of the body will be very severe during the test. Therefore, it is urgent to change the structure so that the fuel tank part is not damaged so that physical damage and human injury can be minimized during the rear collision tes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국 교통부의 법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방 충돌시 스페어 타이어가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어 충돌시의 충격으로 인한 변형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 플로어 패널 안쪽에 있는 연료 탱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물적 손상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comply with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o strengthen the regulations, so that the spare tire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during the rear collision to ensure sufficient deformation space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collis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spare tire fixing structure that minimizes damage to the fuel tank inside the rear floor panel, thereby minimizing physical and human damage.

도 1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structure,

도 2는 종래의 요부 구성인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conventional main componen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가 도시된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that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스페어 타이어 50' : 림50: spare tire 50 ': rim

51 : 마운팅 브라켓 51' : 가이드 홈51: mounting bracket 51 ': guide groove

52 : 마운팅 볼트 52' : 웰드 너트52: mounting bolt 52 ': weld nut

53 : 클램프 54 : 스페어 타이어 커버53: Clamp 54: Spare Tire Cover

60 : 리어 플로어 패널60: rear floor panel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림을 고정하는 마운팅 볼트와,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림을 개재하여 상기 마운팅 볼트에 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ounting bracket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trunk and formed with a guide groove open on one side, and a mounting bolt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racket to fix the rim of the spare tir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 coupled to the mounting bolt via the rim of the spare tir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pare ti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홈(51')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51)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51)의 가이드 홈(51')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50)의 림(50')을 고정하는 마운팅 볼트(52)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50)의 림(50')을 개재하여 상기 마운팅 볼트(52)에 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53)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50)의 상면을 덮어서 트렁크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는 스페어 타이어 커버(54)로 구성된다.3 and 4, the spare tir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51 having a guide groove 51 'fix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trunk and having one side open, and the mounting bracket ( The mounting bolt 52 is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51 'of the 51 to fix the rim 50' of the spare tire 50 and the rim 50 'of the spare tire 50 via the mounting bolt 52'. It is composed of a clamp 53 coupled to the bolt 5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pare tire 50, and a spare tire cover 54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pare tire 50 to flatt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51')은 후방 충돌시 상기 마운팅 볼트(52)가 마운팅 브라켓(5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어 패널(60)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마운팅 볼트(5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51)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 너트(52')에 의하여 마운팅 브라켓(51)에 고정되며, 상기 너트(5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51)의 가이드 홈(51')으로부터 상기 마운팅 볼트(52)가 이탈될 수 있도록 비교적 느슨하게 결합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홈(51')은 상기 마운팅 볼트(52)의 직경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2배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Here, the guide groove 5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rear floor panel 60 is open so that the mounting bolt 52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51 in the rear collision. In addition, the mounting bolt 52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51 by a nut 52 'coupl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51, and the nut 52'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51. The mounting bolt 52 is relatively loosely coupled so that the mounting bolt 52 can be detached from the guide groove 51 ′. Of course, the guide groove 51 'is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bolt 52, and preferably has a width of about 1.1 to 1.2 tim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후방 충돌시 스페어 타이어가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어 변형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 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고 인체 상해치를 최소화하게 된다.Spare tire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ensure that the spare tire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during the rear collision to ensure a sufficient deformation space to prevent damage to the fuel tank and minimize the human injury.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에 마운팅 브라켓(51)을 스폿 용접으로 설치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51)의 가이드 홈(51')으로 마운팅 볼트(52)를 삽입한 후 너트(52')를 체결한다. 상기 너트(52')는 마운팅 볼트(52)가 마운팅 브라켓(5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운팅 브라켓(51)을 개재하여 체결하는데, 후방 충돌시 마운팅 볼트(52)가 가이드 홈(51')을 통해 이탈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조이지 않고 약간 헐거운 상태가 되도록 체결한다.The mounting bracket 5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trunk by spot welding, and the mounting bolt 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1 'of the mounting bracket 51, and then the nut 52' is fastened. The nut 52 'is fasten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51 so that the mounting bolt 52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51. In the rear collision, the mounting bolt 52 opens the guide groove 51'. Tighten it so that it is slightly loose without tightening it tightly so that it can escape.

너트(52')의 체결을 통해 마운팅 볼트(52)가 마운팅 브라켓(51)에 설치되면 스페어 타이어(50)를 상기 마운팅 볼트(52)에 끼워 장착하고, 스페어 타이어(50)의 위쪽으로부터 클램프(53)를 마운팅 볼트(52)에 체결하여 스페어 타이어(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클램프(53)의 체결이 완료되면 스페어 타이어 커버(54)를 씌워 트렁크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함과 동시에 스페어 타이어(50)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When the mounting bolt 52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51 by tightening the nut 52 ', the spare tire 50 is fitted to the mounting bolt 52, and the clamp (50) is mounted from the top of the spare tire 50. 53) to the mounting bolts 52 to prevent the spare tire 50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fastening of the clamp 53 is completed, the spare tire cover 54 is cover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is flat and the spare tire 5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5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후방 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후방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는 리어 범퍼 및 트렁크로 전달되고 트렁크의 백 패널이 스페어 타이어(50)와 접촉되면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50)에도 전달된다. 스페어 타이어(50)에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면 우선 스페어 타이어(50)의 타이어 부분이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동시에 스페어 타이어(50)의 림(50')을 통해 상기 림(50')이 고정된 마운팅 볼트(52) 및 클램프(53)에도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며, 이에 따라 마운팅 볼트(52)는 마운팅 브라켓(51)의 가이드 홈(51')을 따라 이동되어 마운팅 브라켓(51)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마운팅 볼트(52)는 스페어 타이어(50)의 림(50') 및 클램프(53)와 함게 하나의 강체를 형성하므로, 상기 마운팅 볼트(52)가 마운팅 브라켓(51)으로부터 이탈될 때 스페어 타이어(5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50)는 마운팅 브라켓(51)으로부터 이탈되어 전방측의 리어 플로어 패널(60)의 벽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50)가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 내부의 변형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When the rear collision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of the spare tire 5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llision energy due to the rear collision is transmitted to the rear bumper and the trunk and the back panel of the trunk is in contact with the spare tire 50 while the spare tire Also passed to 50. When the collision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spare tire 50, first, the tire portion of the spare tire 50 is deformed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At the same time, the collision energy is also transmitted to the mounting bolt 52 and the clamp 53 to which the rim 50 'is fixed through the rim 50' of the spare tire 50, whereby the mounting bolt 52 is mounted to the mounting bracket. It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51 'of 51 and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51. Since the mounting bolt 52 forms a rigid body together with the rim 50 'and the clamp 53 of the spare tire 50, the spare tire 52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bracket 51 when the mounting bolt 52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51. The fixing of the 50 is released. Therefore, the spare tire 5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51 and moved upwar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rear floor panel 60 on the front side. As the spare tire 50 is moved, the deformation space inside the trunk is moved. It is secured enough.

결과적으로 후방 충돌시 트렁크의 전체가 변형 가능하게 되며, 이는 충돌 에너지의 분산을 통해 충돌 에너지가 연료 탱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연료 탱크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충돌 에너지가 트렁크 부분의 차체 손상을 입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연료탱크 및 후방석의 승객에게는 최소한의 충격만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entire trunk can be deformed during the rear collision, which minimizes the impact energy on the fuel tank through the dispersion of the collision energy,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fuel tank. That is, the collision energy acts in the direction of damaging the body of the trunk, so that the passengers in the fuel tank and the rear seats are delivered with only minimal impac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후방 충돌시 스페어 타이어를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분리시켜 차체의 변형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차체의 변형을 통해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줄이고 연료탱크의 손상을 방지하며 차량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spare tire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spare tire from the mounting bracket during rear collision to secure the deformation space of the vehicle body, thereby reducing collision energy through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fuel tank. And there is an advantage to ensure the vehicle safety.

Claims (5)

트렁크의 함몰부 바닥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림을 고정하는 마운팅 볼트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림을 개재하여 상기 마운팅 볼트에 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A mounting bracket having a guide groov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of the trunk and having an open side, a mounting bolt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racket to fix the rim of the spare tire, and the mounting tire via the rim of the spare tire;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omprising a clamp coupled to the bolt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pare ti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홈은 후방 충돌시 상기 마운팅 볼트가 마운팅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어 패널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The guide groove has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loor panel direction is formed in an open form so that the mounting bol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in the rear impac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운팅 볼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The mounting bolt is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by a nut coupled to the state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너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마운팅 볼트가 이탈될 수 있도록 느슨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And the nut is loosely coupled so that the mounting bolt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rack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마운팅 볼트의 직경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The guide groove has a spare tire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arg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bolt.
KR1020020053592A 2002-09-05 2002-09-05 Spare tire mounting KR200400223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92A KR20040022325A (en) 2002-09-05 2002-09-05 Spare tire mou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92A KR20040022325A (en) 2002-09-05 2002-09-05 Spare tire mou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25A true KR20040022325A (en) 2004-03-12

Family

ID=3732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92A KR20040022325A (en) 2002-09-05 2002-09-05 Spare tire mou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232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316A (en) * 2014-09-25 2016-04-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spare tire fixing device
CN105835966A (en) * 2016-06-13 2016-08-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Automobile spare tire install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266A (en) * 1982-01-13 1983-07-20 Nissan Motor Co Ltd Retaining structure for spare tire
JPS61191980U (en) * 1985-05-22 1986-11-29
JPS6239376A (en) * 1985-08-13 1987-02-20 Fuji Heavy Ind Ltd Spare tyre mounting structure of car
KR970017759U (en) * 1995-10-17 1997-05-23 Fixed structure of spare tir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266A (en) * 1982-01-13 1983-07-20 Nissan Motor Co Ltd Retaining structure for spare tire
JPS61191980U (en) * 1985-05-22 1986-11-29
JPS6239376A (en) * 1985-08-13 1987-02-20 Fuji Heavy Ind Ltd Spare tyre mounting structure of car
KR970017759U (en) * 1995-10-17 1997-05-23 Fixed structure of spare tire for auto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316A (en) * 2014-09-25 2016-04-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spare tire fixing device
CN105501316B (en) * 2014-09-25 2018-09-2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spare tire fixing device
CN105835966A (en) * 2016-06-13 2016-08-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Automobile spare tire install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6734A1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637325B1 (en) Motor vehicle body having a battery compartment, motor vehicle
US20180354438A1 (en) Inflatable protective guard for a hybrid vehicle battery
US20080073390A1 (en) Collision Management System for Compartment-Mounted Automotive Spare Tire
KR20040022325A (en) Spare tire mounting
JP2012201124A (en) Rear part structure for vehicle
US20030111868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for pickup trucks
KR100652208B1 (en) Rotary type of spare tire wheel stand
CN219214935U (en) Right support of automobile front support
KR100515148B1 (en) Rear impact energy absorption device of automobile
US20240116574A1 (en) Motor vehicle
KR0131042Y1 (en) Impact beam of rear seat
JPS6310385Y2 (en)
KR100783571B1 (en) Apparatus for separation spare tire in car
JP3989643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0219635Y1 (en) Jeep frame
KR0175817B1 (en) Fixing structure for the protection of rear seat
KR100482073B1 (en) Separated type spare tire container in vehicle
KR0143644B1 (en) A bracket for reinforcing a front lingitudinal of an automobile
KR19990027402U (en) Spare tire burst device in car crash
KR20080009918A (en) Apparatus for separation spare tire in car
KR100279574B1 (en) Interior structure of car filler
KR100489077B1 (en) Sliding preventing device of spare tire container in vehicle
KR19980048793U (en)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Fuel Tank
KR100986315B1 (en) Automatic device for separating spare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