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003A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003A
KR20040022003A KR1020020053807A KR20020053807A KR20040022003A KR 20040022003 A KR20040022003 A KR 20040022003A KR 1020020053807 A KR1020020053807 A KR 1020020053807A KR 20020053807 A KR20020053807 A KR 20020053807A KR 20040022003 A KR20040022003 A KR 2004002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electrode
plate
dam membe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79465B1 (en
Inventor
김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465B1/en
Publication of KR2004002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0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4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PURPOSE: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unterflow of an electrolyte during the sealing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and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e insid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and to improve the battery quality. CONSTITUTION: The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32)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plate(32a), a second electrode plate(32b), a separator inserted between both electrode plates, and a first and a second electrode tabs(33a,33b) drawn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s(32a,32b), respectively; a can(31) for enclosing the electrode assembly(32); a cap assembly(40) for sealing the can(31), comprising a cap plate(41) equipped with an electrolyte injection port(42) that is sealed after the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into the can; a first and a second terminal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tabs(33a,33b) and insulated each other; and a dam member(48)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p plate(41) and surround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42).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한 전해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electrolyte leakage through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전지나, 니켈-수소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Secondary batteries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 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In partic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n operating voltage of 3.6V,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nickel-cadmium batteries or nickel-hydrogen batteries, which are widely used as electronic equipment power sources, and is rapidly increasing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전해질 전지와 고분자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폴리머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그리고 파우치형이 있다.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general, a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In additi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rectangular, and pouch types.

도 1에는 각형 이차 전지를 나타내었는 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형 이차 전지는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각형 캔(11)의 내부에 전극 조립체(12)와 전해질 물질이 수용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12)는 각각 정극 및 부극 활물질을 포함한 정극 및 부극 합제가 도포된 정극판(12a)과 부극판(12b)을 세퍼레이터(12c)로 상호 격리시키고, 상기 정극판(12a), 부극판(12b) 및, 세퍼레이터(12c)를 젤리 롤(jelly roll)의 형태로 감아서 형성된 것으로, 전극 조립체(12)의 일측에는 상기 정극판(12a) 및 부극판(12b)과 각각 연결된 정극 탭(13a) 및 부극 탭(13b)이 형성된다. 상기 캔(11)의 개구부에는 캡 조립체(20)가 결합되어 캔(11)을 밀봉하는 데, 상기 캡 조립체(20)는 캔(11)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21)와, 상기 캡 플레이트(21)에 삽입되는 절연 튜브(24)와, 상기 절연 튜브(2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부극 탭(1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핀(23)과, 상기 부극 탭(13b)과 캡 플레이트(21)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플레이트(26)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26)의 하부에 상기 캡 플레이트(21)에 절연되도록 부착되는 단자 플레이트(25)로 구비된다. 이러한 캡 조립체(20)에 상기 정극 및 부극 탭을 접합시키는 데, 상기 정극 탭(13a)은 캡 플레이트(21)의 하면에 용접되고, 상기 부극 탭(13b)은 단자 핀(23) 또는 단자 플레이트(25)에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캡 조립체(20)와 전극 조립체(12)의 사이에는 절연성 소재로 구비된 보호 케이스(14)가 더 삽입되어 전극 조립체(12)의 요동에 따른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다.1 illustrates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s shown in FIG. 1,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12 and an electrolyte material in a rectangular can 11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one surface open. The electrode assembly 12 insulate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b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from the separator 12c, and separate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a and the negative electrode from each other. It is formed by winding the electrode plate 12b and the separator 12c in the form of a jelly roll,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a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b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 respectively. 13a and negative electrode tab 13b are formed. A cap assembly 20 is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n 11 to seal the can 11. The cap assembly 20 includes a cap plate 21 for sealing an opening of the can 11, and the cap. An insulating tube 24 inserted into the plate 21, a terminal pin 23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tube 2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b of the electrode assembly 12; An insulating plate 26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b and the cap plate 21, and a terminal plate 25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ulating plate 26 so as to be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21. It is provide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re bonded to the cap assembly 20,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13a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b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23 or the terminal plate. Weld on 25. Further, a protective case 14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cap assembly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2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the sw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12.

상기와 같은 캡 조립체(20)를 캔(11)에 접합한 후에는 전해액 주입구(22)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고, 플러그(27)를 상기 전해액 주입구(22)에 가압한 후 용접하여 전해액 주입구(22)를 밀봉한다.After the cap assembly 20 is bonded to the can 11,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22, and the plug 27 is pressed onto the electrolyte inlet 22 and then welded to the electrolyte inlet ( 22) Seal.

그런데, 종래에는 이렇게 전해액을 주입한 후 상기 전해액 주입구(22)를 밀봉할 때에, 상기 전해액 주입구(22)로 전해액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nd then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22 is sealed, a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olyte flows back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22 occurs.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는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저면에 전해액이 묻어 잔류 전해액(R)으로 남아 있게 된다. 이 잔류 전해액(R)은 캔의 내부로 주입된 전해액이 점차로 상기 전극 조립체에 스며듦에 따라 캡 플레이트(21) 저면의 평활면에 잔류한 것이다. 이들 잔류 전해액(R)은 플러그(27)를 전해액 주입구(22)에 대고 도 2와 같이 가압함에 따라 전해액 주입구(22)의 내측벽을 타고 역류하여 누설된다(L). 이렇게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캡 플레이트(21) 저면의 표면장력이 약하고, 전해액의 응력도 약하기 때문에 상기 잔류 전해액(R)의 확산, 즉, 번짐 현상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확산이 잘되는 잔류 전해액(R)이 플러그(27)의 가압에 따라 캔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22)의 내측벽으로 밀려 올라 역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e electrolyte is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1 to remain as the residual electrolyte R. The residual electrolyte R remains on the smooth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p plate 21 as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can gradually penetrates the electrode assembly. These residual electrolytes R leak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2 by pressing the plug 27 against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2 as shown in FIG. 2 (L).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is because the surface tens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1 made of aluminum is weak and the stress of the electrolyte is weak, so that the diffusion of the residual electrolyte R, that is, the bleeding phenomenon occurs. That is, the residual electrolyte R having good diffusion is pushed back to the inner wall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2 as the pressure inside the can increases as the plug 27 is pressurized.

이렇게 역류된 누설 전해액(L)은 상기 플러그(27)의 바깥까지 밀려 올라와 설비를 오염시키고, 상기 플러그(27)의 용접 시 스파크를 발생시켜 밀봉 불량을 초래하게 되어 전지 전체의 불량으로 야기된다.The leaked electrolyte L thus flowed back up to the outside of the plug 27 to contaminate the equipment and generate sparks during welding of the plug 27, resulting in a poor sealing, which is caused by a failure of the entire batter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역류되는 전해액을 사전에 차단하여 전해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of electrolyte by blocking the electrolyte flowing back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in adv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a poor sealing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도 1은 종래의 각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B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도 5는 도 3에서 나타낸 댐 부재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am member shown in FIG.

도 6은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댐 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m member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Figure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plat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부분 분리 사시도.8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cap plat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댐 부재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m member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31: 캔32: 전극 조립체31 can 32 electrode assembly

32a: 제 1 전극판32b: 제 2 전극판32a: first electrode plate 32b: second electrode plate

33a: 제 1 전극 탭33b: 제 2 전극 탭33a: first electrode tab 33b: second electrode tab

40: 캡 조립체41: 캡 플레이트40: cap assembly 41: cap plate

42: 전해액 주입구43: 단자 핀42: electrolyte inlet 43: terminal pin

44: 절연 튜브45: 단자 플레이트44: insulated tube 45: terminal plate

46: 절연 플레이트47: 플러그46: insulation plate 47: plug

48,49: 댐 부재48,49: dam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캔과, 상기 캔을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캔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 캡 조립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절연된 제 1 및 제 2 단자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 저면에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via a separator, and having a first and a second electrode tab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respectively. A cap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 can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having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sealed after injecting electrolyte into the can by sealing the can,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ulated from the tab, and a dam memb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p plate to surrou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 부재는 내주부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am memb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 부재는 내주부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am memb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lyte in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 부재는 중공의 원판형 또는 중공의 다각판형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am member may be a hollow disc or hollow polygonal pl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am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p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캔(31)과, 상기 캔(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32)와, 상기 캔(31)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can 31, a jelly-roll electrode assembly 32 accommodated in the can 31, and a cap assembly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31. ).

상기 캔(31)은 대략 사각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n 3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erminal role by itself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상기 캔(31)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32)는 제 1 전극판(32a)과 제 2 전극판(32b)이 세퍼레이터(32c)를 개재하여 구비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판(32a)과 제 2 전극판(32b)이 세퍼레이터(32c)를 개재하여 권취된 젤리 롤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판은 정극판일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판은 부극판일 수 있으나,그 극성을 반대로 하여도 무방하다.The electrode assembly 32 accommodated in the can 31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plate 32a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32b via a separator 32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id 1st electrode plate 32a and the 2nd electrode plate 32b have the shape of the jelly roll wound through the separator 32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may be a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a negative electrode plate, but the polarity may be reversed.

상기 정극판은 스트립 형상의 금속박판으로 된 정극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정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strip-shaped metal thin plate, and an aluminum thin plate may be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정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정극 활물질을 포함한 정극합제가 코팅되는 데, 상기 정극 합제는 리튬계 산화물의 정극 활물질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may include a mixture containing a binder, a plasticiz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in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a lithium oxide.

상기 부극판은 스트립 형상의 금속박판으로 된 부극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부극 집전체로는 구리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strip-shaped metal thin plate, and a copper thin plate may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상기 부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부극합제가 코팅되는 데, 상기 부극 합제는 탄소재의 부극 활물질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may be formed of a mixture containing a binder, a plasticiz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i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a carbon material.

이러한 정극판의 일측과 부극판의 일측 사이 및 정극판의 타측에는 각각 세퍼레이터가 설치되고, 이 적층체가 권취되어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정극판과 부극판 사이를 상호 절연하는 한편, 극판들간에 활물질 이온이 교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전극 조립체가 수축 및 팽창되더라도 극판들 사이를 완전히 절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parator is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respectively, and the laminate is wound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The separator mutually insulate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llows active material ions to be exchang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The separator is preferably made of sufficient length so as to completely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even if the electrode assembly is contracted and expand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극 조립체(32)의 상부로는 제 1 전극탭(33a) 및 제 2 전극탭(33b)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 탭(33a) 및 제 2 전극 탭(33b)은 각각 상기 제 1 전극판(32a) 및 제 2 전극판(32b)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 탭(33a)은 정극 탭, 상기 제2 전극 탭(33b)은 부극 탭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전극 탭(33a)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상기 제 2 전극 탭(33b)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전극 탭(33a) 및 제 2 전극 탭(33b)은 그 극성을 서로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33a)(33b)의 상기 전극 조립체(32)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서는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테이프가 감싸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ab 33a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are drawn out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2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tab 33a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are join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32a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2b,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ab 33a may b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may be a negative electrode tab.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tab 33a may be aluminum or The aluminum alloy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may be made of nickel or a nickel allo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tab 33a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ulating tape may be wrapped a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33a and 33b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32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이러한 전극 조립체(32)의 제 1 및 제 2 전극 탭(33a)(33b)은 이차전지의 외부로 드러나는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는 상기 캔(31) 및 후술할 캡 플레이트(41)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33a and 33b of the electrode assembly 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respectively,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can 31 and the cap plate 41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 조립체(40)는 캔(31)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캔(3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캡 플레이트(41)와, 상기 캡 플레이트(41)에 절연되도록 관통 형성된 단자 핀(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자 핀(43)은 상기 캡 플레이트(41)에 절연 튜브(44)를 개재하여 관통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서 절연 플레이트(46) 및 단자 플레이트(45)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캡 조립체(40)에 상기 전극 탭들이 접합되는 데, 상기 제 1 전극 탭(33a)은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33b)은 단자 핀(43)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 플레이트(41) 및 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캔(31)이 제 1 전극 탭(33a)에 전기적으로연결된 제 1 단자부가 되고, 상기 단자 핀(43)이 상기 제 2 전극 탭(3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부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 조립체(40)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단일의 단자 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양 측방으로 두 개의 단자 핀을 서로 절연되도록 구비하도록 하고, 각 단자 핀에 제 1,2 전극 탭이 접합되도록 해, 각 단자 핀이 제 1,2 단자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밖에도 적용 가능한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부호 34는 보호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극 조립체(32)와 캡 조립체(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 조립체(32)의 요동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assembly 40 is to seal the opening of the can 31, the cap plate 41 which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n 31, and the cap It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pin 43 formed to be insulated from the plate 41. The terminal pin 43 may be formed through the cap plate 41 through the insulating tube 44, and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insulating plate 46 and the terminal plate 45 at the bottom of the cap plate 41. ha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s are bonded to the cap assembly 40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ab 33a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41 and the second The electrode tab 33b may be bonded to the terminal pin 43. Therefo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plate 41 and the can 31 made of the same material may be the first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 33a, and the terminal pin ( 43 becomes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33b. The structure of the cap assembly 40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rather than having a single terminal pin at the center of the cap plate, two terminal pins are insulated from both side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are joined to each terminal pin. Thus, each terminal pin may be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and any other applicable form may be applied.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protective case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32 and the cap assembly 40 to prevent rock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32.

상기와 같은 캡 조립체(40)는 캔(31)의 개구부에 접합되어 밀봉되고, 캡 플레이트(41)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액 주입구(42)를 통해 캔(31)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플러그(47)로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를 밀봉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42)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를 둘러싸도록 댐 부재(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ap assembly 40 as described above is bonded to the opening of the can 31 and sealed, and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n 31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formed in the cap plate 41, the plug is plugge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is sealed as a 4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 member 48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41 on whic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댐 부재(48)는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 묻어 있는 잔류 전해액들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42)측으로 흘러 역류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41) 저면의 전해액 주입구(42) 둘레로 상기 캡 플레이트(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4와 같이, 상기 댐 부재(48)의 내주부(48a)는 전해액 주입구(42)에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내주부(48a)로부터 댐 부재(48)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이는 전해액 주입구(42)의 내측면으로부터 전해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dam member 48 is to prevent the residual electrolytes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41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in advance, and as shown in FIG. 4, the cap plate 41 is shown. The bottom surfac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p plate 41 arou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8a of the dam member 48 may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and inclined outward from the dam member 48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8a. This can be formed to extend. This is to allow the electrolyte to flow smooth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상기와 같은 댐 부재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캡 플레이트(41)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미리 형성해 놓은 댐 부재(48')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내주부(48a')의 직경이 전해액 주입구(42)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한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주부(48a')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42)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댐 부재는 도 5와 같이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 플레이트(41)의 타부로부터 전해액이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으든 적용될 수 있다. 즉,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댐 부재는 중공의 다각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렇게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댐 부재(48')를 형성할 때에는 이 댐 부재(48')를 굳이 캡 플레이트(41)와 동일한 재질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는 금속이나 절연체 등 어떠한 재질로든 형성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dam membe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cap plate 41. As shown in FIG. 5, the dam member 48 ′ formed in advance may be formed in a hollow disk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48a ′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 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8a ′ may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The dam member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hollow disc shape as shown in FIG. 5,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electrolyte from flowing from the other part of the cap plate 41. Can be.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am member may be provided in a hollow polygonal plate shape. In addition, when the dam member 48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he dam member 48' does not need to be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p plate 41. It can be formed of any material such as metal or insulator.

도 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댐 부재의 작용을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일체형 댐 부재를 예로 든 것이나, 이는 동일하게 도 5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6 shows the operation of the dam member as described above. 6 illustrates an integrated dam member as shown in FIG. 4,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는 플러그(47)로 밀봉된다. 이 때, 도 6에서 캡 플레이트(41)를 중심으로 하부는 도시되지 않은 캔의 내부를나타낸다. 이렇게 전해액 주입구(42)가 밀봉되는 때는 캡 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부는 이미 캔에 접합되어 캔이 밀봉된 상태이고, 전해액이 캔 내부에 주입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 잔류 전해액(R)이 남아있을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electrolyte inlet 42 is sealed with a plug 47. At this time, the lower part around the cap plate 41 in FIG. 6 represents the inside of a can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Wh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is sealed in this way, the edge portion of the cap plate 41 is already bonded to the can and the can is sealed, and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residual electrolyte R may rema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41.

이러한 잔류 전해액(R)은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를 플러그(47)를 이용해 가압하여 밀폐시킬 때에 전해액 주입구(42)의 방향으로 흘러들어오게 되는 데, 이 때, 이러한 잔류 전해액(R)의 흐름을 본 발명의 댐 부재(48)가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해액은 전해액 주입구(42)의 내측벽으로 흐르지 않게 되어 전해액 주입구를 통한 전해액 누설과 용접부위에 전해액이 묻어 용접불량을 초래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residual electrolyte 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wh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is pressurized using the plug 47 to be sealed, and at this time, the residual electrolyte R flows. The dam member 4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Accordingly, the electrolyte solution does not flow to the inner wall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so tha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phenomenon that the electrolyte is buried in the welding part may prevent the phenomenon of welding in advance.

한편, 상기와 같은 댐 부재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내주부(49a)가 전해액 주입구(42)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 부재(49)도 도 7과 같이 캡 플레이트(4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8과 같이 별도의 댐 부재(49')로서 형성되어 캡 플레이트(41)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댐 부재(49)(49')는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중공의 다각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댐 부재(49')로 형성될 경우에는 그 재질은 금속재나 절연체 등 어떠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dam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9a is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am member 49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plate 41 as shown in FIG. 7, bu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dam member 49 'as shown in FIG. 8 to be joined to the cap plate 41. . In addition, the dam members 49 and 49 'may be formed in a hollow disk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hollow polygonal plate shape. When the dam members 49 and 49' are formed in a separate dam member 49 ', the material may be a metal material. It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such as an insulator.

도 9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49)의 작용을 나타내었다. 도 9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나, 이는 동일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9 shows the operation of the dam member 4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캔을 밀봉한 캡 플레이트(41)의 전해액 주입구(42)를 통해 전해액이 주입된 후에는 캡 플레이트(41)의 저면에 잔류 전해액(R1)(R2)이 남아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댐 부재(49)는 그 내주부(49a)가 전해액 주입구(42)에 접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전해액은 상기 댐 부재(49)의 내주부(49)의 내측에도 소량 남아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42 of the cap plate 41 that seals the can, residual electrolyte R 1 and R 2 may rema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41. Can be.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49a of the dam member 49 is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lectrolyte is inward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49 of the dam member 49. Even a small amount will remain.

이렇게 전해액 주입 후에,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를 플러그(47)로 가압하여 밀봉하면 이 플러그(47)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잔류 전해액(R1)(R2)은 전해액 주입구(42)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 때, 댐 부재(49)의 외측에 잔류해 있는 잔류 전해액(R1)은 상기 댐 부재(49)에 그 흐름이 차단되고, 댐 부재(49)의 내측에 잔류해 있는 잔류 전해액(R2)은 댐 부재(49)의 내주부(49a)와 캡 플레이트(41) 저면과의 표면장력에 붙들려 전해액 주입구(42)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 댐 부재(49)의 내주부(49a)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상기 내측에 잔류한 잔류 전해액(R2)의 양이 많게 되면, 이 잔류 전해액(R2)은 상기 댐 부재(49)에 충분히 붙들려 있지 못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42) 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댐 부재(49)의 내주부(49a)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42)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electrolyte injection,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is pressurized with the plug 47 to seal the residual electrolyte R1 and R2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plug 47. At this time, the residual electrolyte solution R1 remaining outside the dam member 49 is blocked by the flow of the dam member 49, and the remaining electrolyte solution R2 remaining inside the dam member 49 is It is caught by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9a of the dam member 49 and the bottom face of the cap plate 41 so as not to flow toward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9a of the dam member 49 is too far from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so that the amount of the residual electrolyte solution R2 remaining inside of the dam member increases, the residual electrolyte solution R2 is formed in the dam member. Since it is not sufficiently held by the 49 and flows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49a of the dam member 49 is not too far from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42.

이처럼 상기 댐 부재는 그 내주부가 전해액 주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상기 전해액 주입구측으로 전해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 후의 상기 플러그 용접 공정에서 누설된 전해액으로 인해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해액 누설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am membe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lyte in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am prevents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to the electrolyte inlet side, thereby preventing welding failure due to the electrolyte leaked in the subsequent plug welding process. It can prevent and solve the electrolyte leakage proble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할 때에 전해액 주입구 측으로 전해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when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is sea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side.

둘째, 전해액 주입구의 내측면을 통한 전해액 누설을 방지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한 플러그를 용접할 때에 누설된 전해액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electrolyte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inlet to prevent welding failure due to the leaked electrolyte when welding the plug sealing the electrolyte inlet.

셋째, 전해액 주입구를 통한 전해액 누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전지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Third, electrolyte leakage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battery failure rat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provided through a separator, and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respectively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캔;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캔을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캔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되는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 캡 조립체;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having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to seal the can and inject an electrolyte into the can;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절연된 제 1 및 제 2 단자부; 및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respectively; And 상기 캡 플레이트 저면에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a dam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to surrou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댐 부재는 내주부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접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dam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electrolyte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댐 부재는 내주부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dam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is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댐 부재는 중공의 원판형 또는 중공의 다각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dam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disc or hollow polygonal plat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dam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plate.
KR1020020053807A 2002-09-06 2002-09-06 Secondary battery KR100879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807A KR100879465B1 (en) 2002-09-06 2002-09-06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807A KR100879465B1 (en) 2002-09-06 2002-09-06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003A true KR20040022003A (en) 2004-03-11
KR100879465B1 KR100879465B1 (en) 2009-01-20

Family

ID=3292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07A KR100879465B1 (en) 2002-09-06 2002-09-06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4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13B1 (en) * 2004-10-01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686831B1 (en) * 2005-05-1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547A (en) * 1987-10-06 1989-08-22 Gates Energy Products, Inc. Battery terminal and method
JP3738544B2 (en) * 1997-10-31 2006-01-25 ソニー株式会社 Square sealed battery
KR100404887B1 (en) * 1999-01-20 2003-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111621B2 (en) * 1999-03-17 2008-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Sealed battery, sealing plug for sealed battery, and injection hole sealing method
JP2001338674A (en) * 2000-05-26 2001-12-07 Fdk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al stopper for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13B1 (en) * 2004-10-01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686831B1 (en) * 2005-05-1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465B1 (en) 200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76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046770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JP4809253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08719A (en) Secondary Battery
KR100484115B1 (en) Secondary battery
KR20050123365A (en) Secondary battery
KR101264425B1 (en)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20050077324A (en) Can type secondary battery
KR10086540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46520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490545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02347B1 (en)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KR100686857B1 (en) Can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79465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8741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58681B1 (en) Secondary battery and terminal of secondary battery
KR100719740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the same
KR100490546B1 (en) Secondary battery
KR20040005242A (en) Jelly-roll type battery unit forming short prevention means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082219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0670516B1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KR20040022919A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0858797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20030053601A (en) Secondary battery
KR100670434B1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