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425B1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425B1 KR101264425B1 KR1020060069076A KR20060069076A KR101264425B1 KR 101264425 B1 KR101264425 B1 KR 101264425B1 KR 1020060069076 A KR1020060069076 A KR 1020060069076A KR 20060069076 A KR20060069076 A KR 20060069076A KR 101264425 B1 KR101264425 B1 KR 101264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ket
- terminal
- electrode terminal
- electrode
- seal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3307 Ni-C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36 Capillari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FUJCRWPEOMXPAD-UHFFFAOYSA-N Lithium oxide Chemical compound [Li+].[Li+].[O-2] FUJCRWPEOMXP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95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477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47 lith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nickel-cadmium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3 re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켓을 관통하는 전극단자에 밀폐수단이 형성되어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가스켓의 대응부위가 자체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밀폐수단에 충진됨으로써 전극단자와 가스켓의 밀페효율이 향상되어 전해액의 누액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sealing means is formed at an electrode terminal penetrating the gasket, so th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gasket is form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during pin spinning compression. By expanding and filling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efficiency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is improved, and leakage of the electrolyte is prevented.
전극단자, 밀폐수단, 함몰단차부, 가스켓, 돌출단차부, 누액방지 Electrode terminal, sealing means, depression step part, gasket, protrusion step part, leakage preven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조립체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에 형성된 함몰단차부의 일 실시도.Figure 2b is an embodiment of a depression stepped in th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에 형성된 함몰단차부의 다른 실시도.Figure 2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pression stepped in th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와 가스켓의 일 결합도.Figure 3a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와 가스켓의 다른 결합도.Figure 3b is another coupling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캡플레이트 11:단자통공10: Cap plate 11: Terminal hole
12:전해액주입구 13:마개12: Electrolyte amount inlet 13: Stopper
14:안전밴트 20:전극단자14: safety band 20: electrode terminal
30:머리부 40:몸체부30: Head 40: Body part
41:밀폐수단,함몰단차부 50:가스켓41: sealing means, depression step 50: gasket
60:단차부 70:돌출단차부60: stepped part 70: protrusion stepped part
80:절연플레이트 90:단자플레이트80: Insulation plate 90: Terminal plate
100:캡조립체 200:전극조립체100: cap assembly 200: electrode assembly
210:양극판 220:음극판210: positive electrode plate 220: negative electrode plate
230:세퍼레이터 240:양극탭230: separator 240: positive electrode tap
250:음극탭 300:케이스,캔250: negative electrode tab 300: case, can
400:절연케이스 410:리드통공400: insulation case 410: lead through
420:전해액 통과공420: electrolyte passage hole
본 발명은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단자에 밀폐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는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by forming a sealing means on the electrod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일회용 전지와 달리 충전을 하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주로 무선통신용, 정보처리용, 오디오·비디오용 멀티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unlike disposable batteries, are batteries that can be repeatedly used when they are charged. They are mainly used as power sour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udio / video multi-devices.
최근 이차 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개발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주된 이유는 이차 전지가 초경량으로 고에너지밀도와, 고출력전압 및 낮은 자가방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고 긴 수명을 가진 전원이기 때문이다.The main reason for the recent focus on secondary batteries and rapid development is that secondary batteries are ultra-light power sources with high energy density, high output voltage and low self discharge rate, as well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ong lifespan.
이차 전지는 전극 활물질에 따라 니카드전지(Ni-Cd)와,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이차전지 등으로 나뉘며,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을, 음극 활물질로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divided into Ni-Cd, Ni-MH,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partic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mainly composed of a lithium oxide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Carbon material is used.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In additi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liquid electrolyte batteries and polymer electrolyte batte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 및 파우치형이다.In additi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are cylindrical, rectangular, and pouch types.
리튬이온전지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일회용 전지에 비해 월등히 높아 초경량 배터리의 구현이 가능하고, 셀당 평균전압은 3.6V로 다른 이차전지인 니카드전지나 니켈수소전지의 평균전압 1.2V보다 3배의 컴팩트 효과가 있다.Lithium-ion batteries have a much higher energy density per weight than disposable batteries,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ultra-light batteries. The average voltage per cell is 3.6V, which is three times the compact effect of 1.2V of other rechargeable batteries such as Ni-Cd batteries or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There is.
또한, 리튬이온전지는 자가방전율이 20℃에서 한달에 약 5%미만으로 니카드전지나 니켈수소전지보다 약 1/3수준이고, 카드뮴(Cd)이나 수은(Hg)같은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또한, 정상적인 상태에서 1000회 이상의 충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the lithium ion battery has a self-discharge rate of less than 5% per month at 20 ° C, which is about one third of that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y not using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Cd) or mercury (Hg).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1000 times or more in a normal state.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advantage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is rapidly made.
통상적으로,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전극판 및 상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이온(Li-ion)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과, 상기 캔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이 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액 및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ypically, the lithium ion battery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o prevent a short and to prevent lithium ion (Li-io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separator capable of moving only is wound,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can to enable movement of lithium ions, a cap assembly for sealing an upper opening of the can, etc. Consists of
이러한 리튬이온전지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Such lithium ion batteri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as follows.
우선, 상기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양극 탭이 연결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음극 탭이 연결된 음극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적층한 후, 이를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다.First, a cathod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thode tab connected with a cathode active material, a cathod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cathode active material, an anode tab connected with a separator, and a separator are stacked, and then wound to prepare an electrode assembly.
그런 다음, 상기 전극 조립체를 상기 캔에 수용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 후, 캡조립체를 상기 캔과 결합한다. 이후에, 상기 캔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완성한다.T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the can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being separated, and then the cap assembly is coupled with the can. There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n and then sealed to complet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한편, 상기 캡조립체는 단자통공이 형성된 캡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통공을 관통하는 전극단자와, 상기 캡플레이트와 단자통공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이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전극단자는 외주부를 가스켓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단자통공에 결합된다.The cap assembly includes a cap plate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an electrode terminal penetrating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and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and the terminal through hole. The electrode terminal wraps an outer circumference with a gasket. In the state is coupled to the terminal hole of the cap plate.
종래에는 상기 전극단자를 상기 가스켓에 밀폐하는 방법으로, 상하방향의 종압축 방식인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방법이 사용되는데,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방법의 사용결과, 상기 전극단자와 가스켓 사이에 미세틈이 형성됨으로써 그 밀폐정도가 미약하다. 따라서, 상기 미세틈으로 내부의 전해액이 누액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용량화를 위해 전지 내부에 전해액의 양이 증가되면서 종래의 가스켓 상부와 전극단자의 결합구조는 전해액 누액 경로가 짧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미세틈으로 쉽게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sealing the electrode terminal to the gasket, a vertical pinning (Pin Spinning) compression method of the vertical compression method is used, as a result of the use of the Pin Spinning compression method,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Since the minute gap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degree is weak.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lyte inside the leakage to the fine gap. In addition, a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is increased inside the battery for high capacity,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gasket and the electrod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lyte leaks easily to the outside due to a short gap due to the electrolyte leakage path.
따라서, 상기 가스켓과 전극단자의 밀폐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전극단자의 구조변경과,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가스켓 상부와 전극단자의 결합구조의 변경이 요청된다.Therefore,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to maximize the sealing efficiency of the gasket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change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gasket and the electrode terminal to block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o the outside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통공을 관통하는 전극단자에 구조변경을 가하여 전극단자와 가스켓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키는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cap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by applying a structural change to the electrode terminal penetrating the terminal through hole to improve the sealing efficiency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켓의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전극단자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미세틈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o the outside by chang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de terminal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icrogap.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조립체는 단자통공이 형성된 캡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통공을 관통하는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자통공을 밀폐하는 가스켓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캡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가스켓의 상부에 안착하여 단자통공을 밀폐하는 머리부와 상기 가스켓의 내부를 관통하며 외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수단이 형성된 몸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 plate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and an electrode terminal penetrating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and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to seal the terminal through hole. In the cap assembly is configured, the electrode terminal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and the terminal through-hole and the inside of the gasket and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sealing mean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t is done.
또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전극단자의 몸체부 외주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또한, 상기 밀폐수단은 함몰단차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may be formed as a depression step.
이때, 상기 함몰단차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ression stepped portion may be made of a 'c' shape, or may be made of a '⊂' shape.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밀폐수단과 대응하는 위치의 내주둘레에 밀폐수단을 충진하는 돌출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ket may have a protruding step portion filling the sealing means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means.
이때, 상기 돌출단차부는 상기 함몰단차부와 대응하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step portion may have a complementary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step portion.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부에 두께 방향으로 2단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단자의 머리부는 상기 2단의 단차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ket may have two ste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may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eps of the two steps.
또한, 양극판과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적층되어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및 단자통공이 형성된 캡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통공을 관통하는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자통공을 밀폐하는 가스켓이 포함되는 캡조립체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가스켓의 상부에 안착하여 단자통공을 밀폐하는 머리부; 및 상기 가스켓의 내부를 관통하며 외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수단이 형성된 몸체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and wound, and the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a cap assembly including a cap plate having a terminal through-hole, an electrode terminal penetrating through the terminal through-hole, and a cap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to seal the terminal through-hole. An electrode terminal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asket to seal a terminal through-hole; And a body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gasket and having at least one sealing mea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또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전극단자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함몰단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단차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may be formed as a depression step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terminal. In this case, the depression stepped portion may be made of a 'c' shape, or may be made of a '⊂' shape.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밀폐수단과 대응하는 위치의 내주둘레에 밀폐수단 을 충진하는 돌출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단차부는 상기 함몰단차부와 대응하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ket may have a protrusion stepped portion filling the sealing means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means, the protrusion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mplementary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step.
상기 가스켓은 상부에 두께 방향으로 2단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단자의 머리부는 상기 2단의 단차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sket may have two steps at the top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head of the electrode terminal may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wo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ap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캡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개구부가 형성된 캔(미도시)을 밀봉하는 캡플레이트(10)와, 상기 캡플레이트(10)를 관통하는 전극단자(20)와,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전극단자(20)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50)과, 상기 캡플레이트(10) 하면에 배치된 절연플레이트(80)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80)의 아랫면에 설치된 단자플레이트(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상기 캡플레이트(10)는 중앙에 단자통공(11)과 일측에 전해액주입구(12)가 구비되며, 상기 캔(미도시)의 상단 개구부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전극단자(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30)와, 상기 가스켓(50)의 내부를 관통하는 몸체부(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극단자(20)의 저면부는 상기 단자플레이트(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상기 전극단자(20)의 몸체부(40)는 상기 전극단자(20)와 가스켓(50)의 밀폐정도를 높이도록 외주부에 밀폐수단(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수단(41)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밀폐수단(41)은 상기 전극단자(20)의 몸체부(40) 외주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수단(41)이 전해액의 누액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몸체부(40) 두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함몰단차부(41)로 이루어진다.The sealing means 4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이때, 상기 함몰단차부(41)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ㄷ' 자 형상이나, '⊂'자 형상의 함몰단차부(41)는 내부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극단자(20)를 가스켓(5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할 때,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하는 가스켓(50)의 부위가 압축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오목한 공간으로 충진된다. 따라서, 내부의 전해액이 전지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일차적으로 방지되고 전지 내부에서 고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는 상기 가스켓(50)의 상부에 안착하여 단자통공(11)을 밀폐한다.The
상기 가스켓(50)은 절연재질의 튜브형상으로 상기 전극단자(20)와 캡플레이트(10) 사이에서 전기적 절연을 위해 설치되며, 상부에 두께 방향으로 단차부(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6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60)는 가스켓(50)의 두께 방향으로 단차가 한번 더 형성되어 있어 전해액의 누액경로가 더욱 증가되어 전해액 누액을 이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는 상기 2단의 단차부(60)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50) 상부에 안착함으로써 단자통공(11)을 밀폐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가스켓(5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수단(41)과 대응하는 위치의 내주둘레에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시 밀폐수단(41)을 충진하는 돌출단차부(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단차부(70)는 상기 밀폐수단(41)의 수와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또한, 상기 돌출단차부(70)는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결합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stepped
다음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200)와, 상기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되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양극판(210)과, 세퍼레이터(230) 및 음극판(220)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된다.The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은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양극판(210)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역에 양극탭(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판(220)에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탭(2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과, 전기탭(240,250)들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탭들(240,250)이 전극조립체(200)로 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탭과 두 전극판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테이프가 각각 감겨질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상면에는 전극조립체(200)와 캡조립체(100)의 전기적 절연과,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케이스(4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절연케이스(40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연케이스(400)의 중앙부에는 음극탭(25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리드통공(410)이 형성되고, 다른 측방에는 전해액 통과공(42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insulating
상기 케이스(3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캔(300), 즉, 직육면체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캔(3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되어 캔(300)은 전극조립체(200) 및 전해액의 용기 역할을 하게 된다. 캔(300)은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캡조립체(100)에 의해 밀봉된다.The
상기 캡조립체(100)는 상기 캔(300)의 상부를 밀봉하는 캡플레이트(10)와, 상기 캡플레이트(10)를 관통하는 전극단자(20)와, 상기 캡플레이트(10)와 전극단자(20)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50)과, 상기 캡플레이트(10) 하면에 설치되는 절연플레이트(80)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80) 하면에 설치되는 단자플레이트(90)가 포함 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캡플레이트(10)는 상기 캔(300)의 개방된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캡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는 단자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단자(20)가 관통한다. 상기 캡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상기 캔(30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주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해액이 주입된 다음에 전해액주입구(12)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마개(13)가 설치된다. 상기 마개(13)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함유 금속으로 형성된 볼형 모재로 전해액주입구(12) 위에 놓고 기계적으로 전해액주입구(12)에 압입된다. 또한, 밀봉을 위해 마개(13)는 전해액주입구(12) 주변에서 캡플레이트(10)에 용접된다.The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10)는 타측에 내압이 상승하여 일정 압력 이상 도달시 가스가 방출될 수 있도록 안전밴트(14)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14)는 전지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파손되어 전지의 발화, 폭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극단자(20)와 가스켓(50)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캡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극단자(20) 및 가스켓(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The
즉, 상기 전극단자(20)는 머리부(30)와, 상기 가스켓(50)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전극단자(20)와 가스켓(50)의 밀폐정도를 높이도록 외주부에 밀폐수단(41)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몸체부(40)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상기 밀폐수단(41)은 상기 전극단자(20)의 몸체부(40) 외주둘레에 원형의 함몰단차부(41)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단차부(41)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 거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means 41 is formed of a circular recess stepped
상기 가스켓(50)은 상부에 두께 방향으로 2단의 단차부(6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는 상기 2단의 단차부(60)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50)의 상부에 안착함으로써 단자통공(11)을 밀폐한다.The
또한,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밀폐수단(41)과 대응하는 위치의 내주둘레에 상기 밀폐수단(41)을 충진하는 돌출단차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단차부(70)는 상기 밀폐수단(41)의 수와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차부(70)는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결합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전극단자(20)의 저면부는 단자플레이트(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캡플레이트(10) 하면에는 양극판(210)으로 부터 인출된 양극탭(240)이 용접되어 있으며, 전극단자(20)의 하단부에는 음극판(220)으로 부터 인출된 음극탭(250)이 지그재그형상의 절곡부를 가진 상태에서 용접된다. 또한, 상기 캡조립체(100)는 상기 캡플레이트(10) 주변부를 캔(300) 개구부 측벽에 용접하여 캔(300)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단자통공(11)을 관통하는 전극단자(20)의 몸체부(40)에는 외주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수단(41)이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수단(41)은 상기 몸체부(40) 두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함몰단차부(41)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함몰단차부(41)는 'ㄷ'자 형상이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극단자(20)를 절연체인 가스켓(5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할 때, 압축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하는 가스켓(50)의 부위가 오목한 공간으로 자체 팽창되어 충진된다. 따라서, 전해액의 누액 경로가 증가하고 상기 전극단자(20)와 가스켓(50)의 밀폐정도가 향상되어 내부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recess stepped
또한,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하는 위치의 내주둘레에 상기 함몰단차부(41)와 대응결합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의 돌출단차부(7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시 상기 돌출단차부(70)가 함몰단차부(41)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단자(20)와 가스켓(50)의 밀폐정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는 두께 방향으로 단차부(60)가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50)의 상부도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와 대응하도록 2단의 단차부(6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극단자(20)의 머리부(30)가 상기 가스켓(50)에 안착하여 단자통공(11)을 밀폐한다. 상기 단차부(60)는 2단으로 단차가 한번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해액의 누액경로가 더욱 증가하고 미세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이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specific embodiments or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극단자의 몸체부에 형성된 함몰단차부에 가스켓의 대응부위가 핀스피닝(Pin Spinning) 압축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팽창하여 충진됨으로써 전극단자와 가스켓의 밀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ing efficiency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gasket by filling the gasket correspondingly to the recessed step formed in the body of the electrode terminal by inflating itself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during pin spinning compression. It is effective to improve.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전극단자의 머리부와 가스켓의 상부에 서로 대응하는 2단의 단차부를 형성하여 대응결합에 의한 미세틈의 형성을 방지하여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o the outside by forming two stepped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head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icrogap by the corresponding coupling.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076A KR101264425B1 (en) | 2006-07-24 | 2006-07-24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076A KR101264425B1 (en) | 2006-07-24 | 2006-07-24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462A KR20080009462A (en) | 2008-01-29 |
KR101264425B1 true KR101264425B1 (en) | 2013-05-14 |
Family
ID=3922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9076A KR101264425B1 (en) | 2006-07-24 | 2006-07-24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4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167550U (en) * | 2011-06-29 | 2012-03-1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Battery cover component and battery |
KR101724007B1 (en) | 2011-11-15 | 2017-04-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KR101683199B1 (en) | 2012-11-20 | 2016-1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Rechargeable battery |
KR101385765B1 (en) * | 2013-05-30 | 2014-04-17 | (주)현태금형 | Battery terminal and mold for die casting molding the same |
KR102154332B1 (en) | 2014-02-27 | 2020-09-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102096430B1 (en) | 2015-01-15 | 2020-04-0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External terminal member of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lyte leakag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83359A (en) * | 2003-11-28 | 2005-07-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quar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06
- 2006-07-24 KR KR1020060069076A patent/KR10126442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83359A (en) * | 2003-11-28 | 2005-07-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quar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462A (en) | 2008-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41529B2 (en)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mproved cap assembly and plug for the secondary battery | |
KR100614381B1 (en) | Li Ion Secondary Battery | |
KR100709873B1 (en) | Secondary battery | |
JP2005216850A (en) | Can type secondary cell | |
KR100467698B1 (en) | Cylindrical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264425B1 (en)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091411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080016047A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2004303739A (en) | Rectangula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 |
KR100496302B1 (en) |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fety vent | |
KR10112120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709871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14385B1 (en) | Cap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 |
KR101264461B1 (en)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is same and assembly method of cap assembly | |
KR100624968B1 (en) | Cap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 |
KR20080018471A (en) | Rechageable battery | |
KR100788592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01536B1 (en) | Li Ion Secondary Battery | |
KR20080032911A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0760754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561307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70429B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0591429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69336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879465B1 (en) | Secondary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