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905A -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905A
KR20040021905A KR1020020053557A KR20020053557A KR20040021905A KR 20040021905 A KR20040021905 A KR 20040021905A KR 1020020053557 A KR1020020053557 A KR 1020020053557A KR 20020053557 A KR20020053557 A KR 20020053557A KR 20040021905 A KR20040021905 A KR 2004002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eat
motor
receiv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695B1 (ko
Inventor
정태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6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he use of several passenger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일측에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와, 상기 모터수용부와 연결되는 이어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이어폰수용바와, 상기 이어폰수용바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모터가 연결되며, 타측은 버튼이 형성된 제어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이어폰수용바 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감겨지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연결되는 음향발생장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는 상기 시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수용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써, 간단한 조작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각각의 시트에 이어폰을 설치하여 운전중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 고음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Ear Phoen of car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각각의 시트 일측에 음향발생장치와 연결된 이어폰이 내장되어, 고음의 음악을 듣는 동승자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안전한 운전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또는 뒷 좌석은 별도의 기능을 부가하지 않고, 탑승의 기능만을 갖는다.
한편, 현대에 들어 핸드폰 사용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차량의 내부에는 핸즈프리를 장착하여 운전중에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운행이 요구되는 운전 중 발생되는 사고로 인해, 최근에 출하되는 차량의 경우, 운전석의 왼쪽 도어부에 핸즈프리가 탑재되어 출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기존에 조수석측에 상단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핸즈프리의 위치만을 변경한 것과 별반 다름이 없으므로, 안전운전에 문제점으로 두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의 어깨지지부 측면 내부에 배치되어지며, 일측은 음향발생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와 연결되는 이어폰을 장착하므로 써, 간단한 조작으로 운전 중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고음을 청취하는 동승자들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시트에 장착된 이어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어폰수용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말명인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20 - 이어폰수용부
21 - 개구부30 - 모터수용부
31 - 모터40 - 이어폰
50 - 이어폰수용바51 - 나선부
60 - 이탈방지부70 - 버튼
80 - 등받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은, 차량의 시트 일측에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와, 상기 모터수용부와 연결되는 이어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이어폰수용바와, 상기 이어폰수용바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모터가 연결되며, 타측은 버튼이 형성된 제어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이어폰수용바 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감겨지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연결되는 음향발생장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는 상기 시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수용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시트에 장착된 이어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이어폰수용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말명인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인 시트에 장착된 이어폰의 측단면도와, 도 2의 본 발명인 이어폰수용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시트(10) 일측에 모터(31)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31)는, 모터수용부(30)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수용부(30)는 이어폰수용부(20)와 연결되며, 일체로 사출성형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폰수용부(20)는, 그 내부에 이어폰수용바(50)가 배치되어진다.
상기 이어폰수용바(50)는 양측 끝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수용바(50)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축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 원형으로 구성되어지며, 장구형상과 같이 양측 끝단에서 중앙부로 점차 작은 단면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수용바(50)의 원주 외주면에 산과 골을 갖는 나선부(51)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어폰수용바(50)의 양측 끝단에 이탈방지부(60)를 형성한다.
상기 이탈방지부(60)는, 원형의 형상을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60)의 일측에 모터(31)가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를 형성하여 접촉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이어폰수용바(50) 내측에 이어폰(40)의 끝단이 결합되고 원주 외주면에 이어폰(40)이 감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50)의 타측 및 상기 이어폰수용부(20)의 일측은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시트(10)의 일측에 버튼(70)이 형성되어지며, 가장 바람직한 위치는 상기 시트(10)의 좌석 측면에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어폰(20)은 차량에 설치되는 음향발생장치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30)와 상기 이어폰수용부(20)는, 상기 시트(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며, 그 위치는 등받이부의 어깨부 측면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폰수용부(20) 일측에는 상기 이어폰(40)이 인출되도록 개구부(21)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음악을 듣고자 할 때, 센타페이샤 패널에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한 후, 시트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을 누른 다음, 이어폰수용부의 개구부에 위치된 이어폰의 머리부를 당긴 후 사용자의 귀에 삽입한다.
상기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은 음향발생장치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디어 시스템에서 제어되는 음악등을 쉽고 편리하게, 또한 타인에게 방해되지 않고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음향발생장치부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운전 중 간단한 조작으로 인해, 통화를 할 수 있다.
두 번째, 각 시트에 이어폰이 설치되므로 써, 운전자에게 방해되는 고음의 음악 등 소리를 개인마다 청취할 수 있다.
세 번째, 이어폰수용부 및 모터수용부를 시트의 측면 내부에 배치하므로 써, 시트의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네 번째, 이어폰수용바의 외주면에 산과 골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인출이 수월하다.
다섯 번째, 이어폰수용바의 양측 끝단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이어폰수용바에서 이탈되지 않고 인출이 되도록 하였다.

Claims (2)

  1. 차량의 시트 일측에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와;
    상기 모터수용부와 연결되는 이어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이어폰수용바와;
    상기 이어폰수용바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모터가 연결되며, 타측은 버튼이 형성된 제어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이어폰수용바 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감겨지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과 연결되는 음향발생장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수용부와 상기 이어폰수용부는 상기 시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수용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수용바는,
    그 외주면에 산과 골을 갖도록 나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KR10-2002-0053557A 2002-09-05 2002-09-05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KR10049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57A KR100498695B1 (ko) 2002-09-05 2002-09-05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57A KR100498695B1 (ko) 2002-09-05 2002-09-05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905A true KR20040021905A (ko) 2004-03-11
KR100498695B1 KR100498695B1 (ko) 2005-07-01

Family

ID=3732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57A KR100498695B1 (ko) 2002-09-05 2002-09-05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424A (zh) * 2013-09-09 2013-12-11 吕昆伦 一种骨导传声座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900U (ko) * 1994-10-18 1996-05-17 헤드레스트 내장형 헤드폰
KR19980047766A (ko) * 1996-12-16 1998-09-15 양재신 이어폰이 설치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KR200267019Y1 (ko) * 2001-12-07 2002-03-06 (주)에스디케이 액정 모니터 설치용 하우징이 구비된 자동차 시트 백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424A (zh) * 2013-09-09 2013-12-11 吕昆伦 一种骨导传声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695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26049U (zh) 带扬声器的头枕护套
US11166091B2 (en) Speak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KR100498695B1 (ko)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JPH02262751A (ja) 双方向電話通信のための構成
JP4375709B2 (ja) マイクロフォン内蔵シート
JP3232521B2 (ja) 車両内音響システム
EP1580969B9 (en) An adjustabl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JP3709136B2 (ja) 補聴機能付きヘッドレス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カバー
KR20160104310A (ko) 핸즈프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H08324354A (ja) 自動車における携帯電話等の把持装置
JPH10341278A (ja) 携帯電話の車載用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85673Y1 (ko) 휴대폰의 안테나를 이용한 이어마이크폰
KR20160104299A (ko) 이중 핸즈프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01095646A (ja) ヘッドレスト
KR20160104308A (ko) 핸즈프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41529Y1 (ko) 자동차 시트용 스피커기구
JPH1117793A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100824676B1 (ko) 핸즈프리가 가능한 차량 엠피쓰리용 스피커 장치
KR200185635Y1 (ko) 차량에 설치가능한 무선 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JP3070591U (ja) ハンズフリ―ユニット
JPH09130466A (ja) 携帯無線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ユニット
KR200216935Y1 (ko) 핸즈프리 장치를 겸한 장식용 완구
KR200258142Y1 (ko) 간편 헨즈 프리 시스템
KR200376291Y1 (ko) 무선이어폰이 구성된 자동차 룸밀러겸용 핸즈프리 장치
JP2002362245A (ja) 自動車用ハンズフ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