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859A -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859A
KR20040021859A KR1020020053441A KR20020053441A KR20040021859A KR 20040021859 A KR20040021859 A KR 20040021859A KR 1020020053441 A KR1020020053441 A KR 1020020053441A KR 20020053441 A KR20020053441 A KR 20020053441A KR 20040021859 A KR20040021859 A KR 2004002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artificial stone
weight
ston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901B1 (ko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김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준 filed Critical 김학준
Priority to KR10-2002-005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9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과 미적 수려함을 주는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강도를 해치지 아니하며 콘크리트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색상의 변화가 없는 안정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개지에 일렬 및 지그재로로 쌓아올려 옹벽을 구축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전면에는 천연규사 석분 20~40 중량%, 아크릴수지 에멀젼 25~50중량%, 수용성 에폭시 25~35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한 반죽물을 1~3㎜두께로 분사하여 도포한 인조석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Breast wall constructing block}
본 발명은 절개지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경사지등에 도로를 건설하거나 또는 건물을 짓게 되는 경우 절벽처럼 깎아내린 절개지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쌓게 된다.
이 옹벽은 통상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벽돌을 쌓아올려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물이나 벽돌의 경우 통상 우중충한 느낌을 주는 회색이거나 또는 적색(적벽돌의 경우)의 단조로운 색상으로 되어 있어 시공 상태에서 주변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시멘트에 각종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옹벽용 벽돌을 제조하므로써 옹벽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으나 안료의 첨가는 다른 부작용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부작용이 없는 대체 수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안료를 첨가하므로써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어 옹벽의 미관 개선에는 일조를 하게 되나 첨가되는 안료의 값이 비싸 원가 상승 부담이 크고, 콘크리트와 혼합되기 때문에 원하는 제 색깔의 표현이 힘들며, 햇빛을 받아 자외선에 노출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탈색 및 변색되는 문제가 있고, 또 안료를 첨가하므로써 벽돌의 강도가 조금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 및 특정색상의 안료를 섞은 콘크리트 재료가 벽돌 제작 후 남을 경우 다른 곳에는 쓰기 곤란하여 원가 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그밖에 제작된 벽돌에 따라 색상이 약간씩 불규칙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다양한 색상과 미적 수려함을 주는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강도를 해치지아니하며 콘크리트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색상의 변화가 없는 안정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은 절개지에 일렬 및 지그재로로 쌓아올려 옹벽을 구축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벽돌)의 전면에는 천연규사 석분 20~40 중량%, 아크릴수지 에밀젼 25~50중량%, 수용성 에폭시 25~35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한 반죽물을 1~3㎜두께로 분사하여 도포한 인조석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 석재층의 표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 석재층을 형성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블럭에 의해 구축된 보강토 옹벽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벽돌) 2 : 구멍
3 : 고정용 돌기 4 : 전면부
5 : 인조 석재층 7 : 분사기
8 : 탱크 9 : 펌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 석재층의 표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 석재층을 형성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블록에 의해 구축된 보강토 옹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1)은 블럭(1)의 중앙에 잡석을 채워 메우는 구멍(2)이 있고 블럭(1)의 일면에는 고정용 돌기(3)들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1)의 전면부(4)에는 인조석재층(5)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한 인조 석재층(5)은 콘크리트와는 달리 천연 규사 석분이 주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어, 그 석분에 의해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주게 된다.
인조석재층(5)은 천연 규사 석분 20~40중량%, 아크릴수지 에멀젼 25~50중량%, 수용성에폭시 25~35중량% 및 물 4~6중량%를 혼합한 반죽물을 3~6㎜의 분사구경(6)을 가진 분사기(7)를 이용하여 3~5㎏/㎟의 분사 압력으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1)의 전면부(4)에 1~3㎜ 두께로 분사하여 형성한다.
이때 분사 방법은 1~2회 분사하며, 통상 한번의 분사로 1~2㎜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하는데 그것으로 충분하지 아니할 경우 2차 분사 작업을 실시하여 2㎜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혼합 반죽물을 분사 도포하여 5℃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24~48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키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경화 접착되어 단단한 인조석재층이 벽돌 표면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천연 규사 석분은 0.5~2㎜ 크기로 분쇄된 입도의 것을 사용하게 되며, 잘게 분쇄되어 분산 배치된 석분 고유의 색상이 점점이 나타나게 되어 매우 아름다운 모양을 나타내며, 표면의 질감이 매우 좋다.
이와같은 본원 발명은 제작이 완료된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1)의 전면부(4)에 인조석재층(5)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연 규사 석분과 아크릴수지 에멀젼, 수용성에폭시 및 물을 소정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든후 탱크(8)에 넣고 고압 공기펌프(9)를 가동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기(7)를 통해 벽돌 전면부(4)에 분사하게 되면, 유속에 의한 압력 강하에 의해 탱크(8)속의 반죽물이 분사기(7)로 빨려나와 함께 분사되어 벽돌전면부(4)에 도포되어 얇은 층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자연 건조시키게 되면 본딩재들이 경화되면서 벽돌(1)에 강하게 접착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색상 부여를 위해 안료를 혼합하는 대신에 천연 규사 석분을 본딩재인 아크릴수지 에멀젼과 수용성 에폭시와 혼합한 혼합물을 물에 개어 분사기로 블럭 전면에 분사 도포하여 인조 석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블럭의 전면부로 드러나는 인조 석재층의 질감이 매우 부드럽고 색상이 자연스러우며, 점점이 박혀져 있는 천연 규사 석분의 색상으로 인하여 심미감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절개지에 일렬 및 지그재로로 쌓아올려 옹벽을 구축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전면에는 천연규사 석분 20~40 중량%, 아크릴수지 에밀젼 25~50중량%, 수용성 에폭시 25~35중량%, 및 물 4~6 중량%를 혼합한 반죽물을 1~3㎜두께로 분사하여 도포한 인조석재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KR10-2002-0053441A 2002-09-05 2002-09-05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KR10045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41A KR100458901B1 (ko) 2002-09-05 2002-09-05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41A KR100458901B1 (ko) 2002-09-05 2002-09-05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581U Division KR200297535Y1 (ko) 2002-09-05 2002-09-05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59A true KR20040021859A (ko) 2004-03-11
KR100458901B1 KR100458901B1 (ko) 2004-12-08

Family

ID=3732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41A KR100458901B1 (ko) 2002-09-05 2002-09-05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9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33B1 (ko) * 2009-07-24 2012-02-24 김학준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
CN102535512A (zh) * 2012-02-02 2012-07-04 石家庄铁道大学 土工格栅加筋石灰土挡墙及其施工方法
CN104480963A (zh) * 2014-12-26 2015-04-01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预制模块式面板土工格栅加筋尾矿砂挡墙的施工方法
KR20160038249A (ko) * 2014-09-30 2016-04-07 김기중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액 및 그 도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78B1 (ko) * 2006-10-18 2007-08-27 (주)금오물산 옹벽블럭
KR100981258B1 (ko) * 2009-11-25 2010-09-10 윤정배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1680199B1 (ko) 2015-09-14 2016-12-06 강영생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312065B1 (ko) 2020-11-19 2021-10-14 공학봉 천연 대리석 및 2종류의 다른 원자재가 결합된 전면부재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33B1 (ko) * 2009-07-24 2012-02-24 김학준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
CN102535512A (zh) * 2012-02-02 2012-07-04 石家庄铁道大学 土工格栅加筋石灰土挡墙及其施工方法
KR20160038249A (ko) * 2014-09-30 2016-04-07 김기중 옹벽용 보강토블럭의 인조석재층 도포액 및 그 도포장치
CN104480963A (zh) * 2014-12-26 2015-04-01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预制模块式面板土工格栅加筋尾矿砂挡墙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901B1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901B1 (ko)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CN109057385B (zh) 一种空鼓内外墙瓷砖、石材的注入口固定销部分注浆修缮工法
CN109025344B (zh) 一种空鼓内外墙瓷砖、石材的注入口固定销全面注浆修缮方法
CN105128591A (zh) 一种植生假山石
KR200297535Y1 (ko)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
KR102094230B1 (ko)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색상을 갖는 패널 제조방법
CN101210453A (zh) 地面装修方法
US5451620A (en) Methods of producing light weight cement-like building products
KR100943144B1 (ko) 뿜칠용 콘크리트와 인공경량토를 이용한 인조바위의 시공방법
KR100669115B1 (ko) 식생 호안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101266136B1 (ko) 옹벽 축조용 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2577338B2 (ja) 天然石の色調再現性が高い擬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7904B1 (ko) 보강토 옹벽 구축용 대리석 옹벽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367A (ko)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KR101134390B1 (ko) 친환경 인공암 시공방법
KR101112033B1 (ko)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석재층
KR20000065760A (ko) 빛 반사를 위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0581405B1 (ko)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CN207392513U (zh) 薄抹灰砂加气砌块墙体结构
KR101328634B1 (ko) 식생 미관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95872Y1 (ko) 옹벽구축용 블록
US8519032B2 (en) Crushed stone surface textur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applying the same
KR100806396B1 (ko) 패각을 이용한 건축자재 및 그 제작방법
KR100467744B1 (ko) 접착제를 이용한 벽돌 쌓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