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792A -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792A
KR20040021792A KR1020020053144A KR20020053144A KR20040021792A KR 20040021792 A KR20040021792 A KR 20040021792A KR 1020020053144 A KR1020020053144 A KR 1020020053144A KR 20020053144 A KR20020053144 A KR 20020053144A KR 20040021792 A KR20040021792 A KR 2004002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crew
sliding member
housing
pip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029B1 (ko
Inventor
김문상
황요하
김승종
이종민
박성기
최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0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의 슬라이딩 부재를 갖는 신축모듈을 구비시켜 최소의 크기로 최대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내부에는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와 이물림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된다. 종동기어의 중심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이 나선홈에 결합되어 서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며, 일단은 하우징의 일측면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나사가 구비된다. 소정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모듈이 하우징에 결합된다.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중 첫번째 슬라이딩 부재는 그 일단부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마지막 슬라이딩 부재에는 가요성 나사의 타단이 고정된다.

Description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Flexible Screw Type He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의 슬라이딩 부재를 갖는 신축모듈을 구비시켜 최소의 크기로 최대의 스트로크(stroke)를 얻을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장비, 기계류, 구조물 또는 가정용 제품 등에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높이조절장치의 일례가 미국특허번호 제4,682,93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에 고정된 모터(6)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3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풀리(36)는 타이밍벨트(32)를 통해 종동풀리(31)와 연결되고, 이에 의해 종동풀리(31)는 고정프레임(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풀리(31)에는 종동풀리(31)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제한되는 스플라인 샤프트(33)가 삽입된다. 스플라인 샤프트(33)는 중간프레임(7)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프레임(1)에는 제 1너트(4)가 고정되어 있고, 제 1너트(4)에는 제 1스크류(5)가 회전하면서 직선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중간프레임(7)에는 제 2너트(8)가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운동은 가능하나 직선이동은 제한되도록 설치된다. 제 2너트(8)에는 제 2스크류(9)가 회전하면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 2스크류(9)는 이송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플라인 샤프트(33), 제 1스크류(5) 그리고 제 2스크류(9)에는 각각 풀리(34, 11, 12)가 결합되며, 풀리(34, 11, 12)는 타이밍벨트(3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모터(6)의 구동력은 구동풀리(36), 타이밍벨트(32)그리고 종동풀리(31)를 통해 스플라인 샤프트(33)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스플라인 샤프트(33)의 회전력은 이에 결합된 풀리(34)와 타이밍벨트(35)에 의해 상호 연결된 풀리(11, 12)를 통해 제 1 및 제 2스크류(5, 9)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스크류(5, 9)는 각각 제 1 및 제 2너트(4, 8)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직선이동함으로써 이송프레임(10)에 고정된 척(3, chuck)을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높이조절장치는 중간프레임(7)과 이송프레임(10)을 상하이동시키게 위해 너트(4, 8) 및 스크류(5, 9)이외에 스크류(5, 9)에 모터(6)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플라인 샤프트(33) 및 이에 결합된 풀리(31, 34)를 별도로 구비하기 때문에 2단이상의 프레임을 신축가능하게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전체 크기 및 무게가 증대될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고정프레임(1)에 상당한 하중이 걸려 시스템의 작동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의 슬라이딩 부재를 갖는 신축모듈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최대의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모듈의 최대수축시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는 중공의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서보 모터; 서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와 이물림되며, 그 중심부에 나선홈이 형성된 종동기어; 나선홈에 결합되어 서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며, 일단은 하우징의 일측면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나사; 그리고 소정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소정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모듈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중 첫번째 슬라이딩 부재는 그 일단부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마지막 슬라이딩 부재에는 가요성 나사의 타단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나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는 상하단이 개방된 파이프로 구성되고, 첫번째 파이프에서 마지막 파이프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며, 파이프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높이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가 최대이완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가 최대수축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의 신축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4의 신축모듈이 최대수축된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하우징
60: 서보 모터
64: 구동기어
74: 종동기어
80: 신축모듈
81,82,83,84: 슬라이딩 부재
90: 가요성 나사
92: 진공컵
94: 롤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가 최대이완된 경우와 최대수축된 경우를 각각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하우징(50) 내부에는 서보 모터(60)가 지지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하측으로 연장된 서보 모터(60)의 구동축(62)에는 구동기어(64)가 결합되어 있고, 구동기어(64)의 부시(66, bush)는 베어링(68)에 의해 지지 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50)의 내부에는 구동기어(64)에 이물림되는 종동기어(74)가 구비되고, 종동기어(74)의 부시(76) 또한 베어링(78)에 의해 지지 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50)의 개방단에는 이완 및 수축이 가능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81, 82, 83, 84)로 구성된 신축모듈(8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부재는 상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파이프의 개수는 4개로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축모듈(80)은 하우징(50)의 내외부로 인입/인출이 가능하게 하우징(50) 내에 위치하는 첫번째의 제 1파이프(81)와, 그 이전(도 2에서 볼때 상측)에 인접하는 파이프 내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제 3 및 제 4파이프(82, 83, 84)를 포함한다. 즉, 첫번째의 제 1파이프(81)에서 마지막 제 4파이프(84)로 갈수록 그 단면폭이 점점 좁아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지게 된다. 높이조절장치의 적용분야에 따라 파이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하우징(50)의 개방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이탈방지턱(54)이 형성되는데, 이탈방지턱(54)은 하우징(5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고, 제 1파이프(81)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 1파이프(81)의 상단 외주면에는 걸림돌기(81a)가 돌출형성되어 하우징(50)의 이탈방지턱(54)과 접촉함으로써, 최대이완시 제 1파이프(81)가 하우징(5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 1파이프(81)의 하단 내주면과 제 1파이프(81) 내로 삽입된 제 2파이프(82)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 이탈방지턱(81b)과 걸림돌기(82a)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파이프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돌기와 이탈방지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단, 최하단의 제 4파이프(84)는 상단 외주면에 걸림돌기(84a)만을 가지게 되고, 그 하단에는 진공컵(92)과 같은 대상물 파지수단이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서보 모터(6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하여 신축모듈(80)을 이완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가요성 나사(90, flexible screw)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요성 나사(90)로서 소정의 강성(stiffness)을 갖는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가요성 나사(90)는 신축모듈(80)의 신축방향과 동축을 이루며 배치되는데, 종동기어(74)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종동기어(74)의 중심부 표면에는 가요성 나사(90)의 나선과 대응하는 나선홈(미도시)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나사(90)의 일단은 하우징(50)의 일측을 통해 하우징(50)의 외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최하단의 제 4파이프(84)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 때, 가요성 나사(90)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가요성 나사(90)의 벤딩된 부분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94)가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종동기어(74)가 정역회전하면, 종동기어(74)의 중심부에 형성된 나선홈에 의해 가요성 나사(90)는 상승 또는 하강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최하단의 제 4파이프(84)에 타단이 고정된 가요성 나사(90)는 회전운동이 구속되어야 한다. 이는 파이프(81, 82, 83, 84)와 가요성 나사(90)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면, 가요성 나사(90)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되거나 이동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파이프(81, 82, 83, 84)는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을 가져야 하는데, 파이프(81, 82, 83, 84)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각 파이프의 외면에 파이프의 신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도시되지 않음)과, 각 파이프의 상측에 인접한 파이프의 내면에 상기 홈과 대응하여 형성된 회전방지돌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함으로써, 각 파이프 사이의 슬라이딩이동은 허용하지만, 상대회전운동은 제한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상대회전제한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다른 변형례가 본발명의 높이조절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파이프(81, 82, 83, 84)가 그 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형상자체로서 파이프간의 상대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홈과 회전방지돌기와 같은 별도의 상대회전제한구조는 필요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나사(90)는 파지 대상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적정한 강성을 갖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하며, 작동 중 파지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요성 나사(90)는 벤딩가능하므로, 장치의 설치조건에 따라 하우징(50)의 어느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우징(50)의 외면 주위를 감아 돌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가요성 나사(90)에 구비되는 내부공간은 필요에 따라 전선이나 유,공압 호스의 통로로 활용이 가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높이조절장치의 스트로크(stroke)를 늘리기 위해 서보 모터(60)를 구동시키면, 구동축(62)에 결합된 구동기어(64)는 베어링(68)에 의해 하우징(50)의 지지 프레임(52)에 지지된 채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구동기어(64)와 이물림된 종동기어(74)가 베어링(78)에 의해 지지 프레임(5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74)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74)의 나선홈에 접촉하며 그 타단이 최하단 제 4파이프(84)에 고정된 가요성 나사(90)가 하강이동함으로써,파이프들(81, 82, 83, 84)은 하우징(50) 및 각 상측에 인접하는 파이프로부터 인출되어 신축모듈(80)이 이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가 최대이완되는 경우에는, 제 1파이프(8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81a)가 하우징(50)의 하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54)에 접촉하여 걸리게 되고, 동일하게 각 파이프의 걸림돌기가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파이프의 이탈방지턱에 접촉하여 걸림으로써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진공컵(92)이 파지 대상물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장치의 스트로크가 조절된 후, 서보 모터(60)를 상기 이완상태와 반대로 구동시키면, 구동기어(64) 및 종동기어(74)의 회전 또한 반대로 되어 가요성 나사(90)는 종동기어(74)의 나선홈에 의해 상승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나사(90)의 상승에 의해 높이조절장치가 최대수축되는 경우에는, 하우징(50)의 외부로 연장되어 진행하는 가요성 나사(90)에 의해 모든 파이프(81, 82, 83, 84)가 하우징(50)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요성 나사(90)의 상승 및 하강이동시 가요성 나사(90)의 벤딩부분은 다수의 롤러(94)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이 원활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의 신축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신축모듈이 최대수축된 경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축모듈(110)은 상하로 동축을 이루며 배열되는 링형상의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111, 112, 113, 114, 115, 116)를 포함하고, 마지막(도 4에서 볼 때 최하단) 슬라이딩 부재(116)를 제외한 다른 슬라이딩 부재(111, 112, 113, 114, 115)의 하면에는 그 이후(도 4에서 볼 때 하측)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향해 하나 이상의 지지봉(120)이 각각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개수는 제 1 내지 제 6슬라이딩 부재(111, 112, 113, 114, 115, 116)로서 6개로 하였으나, 높이조절장치의 적용분야에 따라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최상단의 제 1슬라이딩 부재(111)는 하우징(도 2참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이탈방지턱에 접촉하여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며, 가요성 나사(도 2참조)의 타단은 최하단의 제 6슬라이딩 부재(116)에 고정되게 된다.
제 1 내지 제 5슬라이딩 부재(111, 112, 113, 114, 115)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연장된 하나 이상의 지지봉(120)은 각각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본체(121)와, 본체(121)의 하단에서 본체(1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단차져 형성된 확장단(122)으로 이루어진다.
제 1슬라이딩 부재(111)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2슬라이딩 부재(112)에는 제 1슬라이딩 부재(111)의 지지봉(120)의 본체(121)가 삽입되어 있는 제 1관통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1관통구멍(112a)의 직경은 지지봉(120)의 본체(121)의 직경보다 크고 확장단(122)의 직경보다 작다. 이는 신축모듈(110)의 최대이완시 제 2슬라이딩 부재(112)가 제 1슬라이딩 부재(111)의 지지봉(120)의 확장단(122)에 걸림으로써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2슬라이딩 부재(112)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3슬라이딩 부재(113)에는 제 2슬라이딩 부재(112)의 지지봉(120)의 본체(121)가 삽입되어 있는 제 1관통구멍(113a)과, 제 1슬라이딩 부재(111)의 지지봉(120)의 확장단(122)이 통과할 수 있는 제 2관통구멍(113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관통구멍(113a)의 직경은 지지봉(120)의 본체(121)의 직경보다 크고 확장단(1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 2관통구멍(113b)의 직경은 확장단(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최하단의 제 6슬라이딩 부재(116)에는 그 상측에 인접하는 제 5슬라이딩 부재(115)의 지지봉(120)의 하단이 고정결합되고, 제 1 내지 제 4슬라이딩 부재(111, 112, 113, 114)의 지지봉(120)의 확장단(122)이 수용될 수 있는 관통구멍(116a)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축모듈(110)의 크기와 중량, 최대이완시 횡방향으로의 외부충격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의 슬라이딩 부재의 지지봉(120)을 3개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단의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봉(120)에 의해 가요성 나사의 승강이동시 가요성 나사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모듈(110)의 최대수축시에는 제 1 내지 제 5슬라이딩 부재들(111, 112, 113, 114, 115)은 상호 중첩되어 쌓이고, 모든 지지봉(120)의 확장단(122)은 제 6슬라이딩 부재(116)의 관통구멍(116a) 내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축모듈을 이완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 구동기어, 종동기어 및 가요성 나사 등의 구성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결합구조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는 모터와 가요성 나사와의 결합구조, 상호 인접하는 슬라이딩 부재간의 결합구조 및 작동이 간단하므로,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최고높이 대 최저높이의 비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적정한 강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작동 중 파지 대상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를 보호하고, 장치의 설치조건에 따라 하우징의 어느 방향으로도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복수의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서보 모터;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이물림되며, 그 중심부에 나선홈이 형성된 종동기어;
    상기 나선홈에 결합되어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나사; 그리고
    소정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중 첫번째 슬라이딩 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중 마지막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가요성 나사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나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하단이 개방된 파이프로 구성되고,
    첫번째 파이프에서 마지막 파이프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모듈은 최대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인접하는 파이프에 대해 상대회전운동이 제한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모듈은 상기 마지막 슬라이딩 부재 이전의 슬라이딩 부재들이 그 이후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첫번째 슬라이딩 부재 이후의 슬라이딩 부재들은 각각 그 이전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부재의 지지봉이 삽입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 1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슬라이딩 부재 다음다음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부재부터 상기 마지막 슬라이딩 부재까지에는 각각 그 이전에 인접하는 슬라이딩 부재보다 더 이전의 슬라이딩 부재들의 지지봉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확장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관통구멍의 직경은 상기 지지봉의 본체의 직경보다 크고 확장단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관통구멍의 직경은 상기 확장단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가요성 나사와 접촉하며 상기 가요성 나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2002-0053144A 2002-09-04 2002-09-04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051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144A KR100511029B1 (ko) 2002-09-04 2002-09-04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144A KR100511029B1 (ko) 2002-09-04 2002-09-04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792A true KR20040021792A (ko) 2004-03-11
KR100511029B1 KR100511029B1 (ko) 2005-08-31

Family

ID=3732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144A KR100511029B1 (ko) 2002-09-04 2002-09-04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25B1 (ko) * 2017-05-29 2018-04-12 손형모 다단 실린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104Y1 (ko) * 1992-12-17 1995-05-20 김희수 엘리베이터의 관삽입용 보조판 절첩장치
JP3434344B2 (ja) * 1994-03-30 2003-08-04 セントラルコンベヤー株式会社 電動テーブルリフタ
JPH11290398A (ja) * 1998-02-13 1999-10-26 Yasuhiro Fukui 移送介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25B1 (ko) * 2017-05-29 2018-04-12 손형모 다단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029B1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096A (en) Multi-stage telescoping structure
US6382039B1 (en) Telescopic system for a robot
JP3221804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01602209B (zh) 可重构式柔索驱动并联机器人及其驱动装置
US20090249905A1 (en) Linear Actuator
EP2910501B1 (en) Conveyor belt tracking mechanism and conveyor employing the same
US9797491B2 (en) Electric actuator assembly
EP2497973B1 (en) Apparatus comprising a multi-motion assembly with a leadscrew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pparatus
KR20090123789A (ko) 파동 기어식 선형 구동 기구
CA2626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a pair of electric cables
US7389974B2 (en) Screw, nut and cable transmission
KR100511029B1 (ko) 가요성 나사 구동식 높이조절장치
CN109109017A (zh) 一种用于绳索牵引机器人的自动排线绕线机构
JP3935883B2 (ja) 可撓性ネジ駆動式高さ調節装置
US20210197296A1 (en) Hole saw arbor having an adjustable connection mechanism
KR102481749B1 (ko) 전동식 클램프 장치
JP2023532684A (ja) エルボダクト用シーム部成形装置
US20050224770A1 (en) Flexible screw type height control device
KR101939319B1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2175273B1 (ko) 타이밍벨트 견인 구동형 액추에이터
CN210686886U (zh) 一种多层伸缩杆
KR102643038B1 (ko) 관절 구동 와이어의 장력 유지 구조체
EP4350172A1 (en) Linear actuator and telescopic column with double threaded spindel
EP4124538A1 (en) Plug door device and swing arm mechanism
KR200219587Y1 (ko) 활차식 다각형 텔레스코핑 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