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541A -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541A
KR20040021541A KR1020030060486A KR20030060486A KR20040021541A KR 20040021541 A KR20040021541 A KR 20040021541A KR 1020030060486 A KR1020030060486 A KR 1020030060486A KR 20030060486 A KR20030060486 A KR 20030060486A KR 20040021541 A KR20040021541 A KR 2004002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ase
movable contact
down switch
fixe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946B1 (ko
Inventor
키다가와쯔요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밀어내림 조작의 클릭감을 좋게 하고, 조작성이 좋은 밀어내림 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다방향 입력장치 A에 있어서의 밀어내림 스위치(700)는, 조작부재(400)의 아래쪽으로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11)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키톱(710)과 아래방향으로 이동한 키톱(710) 맞닿게 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돔형의 가동절편(720)과 기판(100) 위의 가동절편(720)의 단부(721)의 아래쪽에 형성된 한쪽의 고정전극(731)과 기판(l00) 위의 탄성변형한 가동절편(720)의 중앙부 (722)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다른쪽의 고정전극(732)과 가동절편(720)의 단부(721)와 한쪽의 고정전극(73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페이서(7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PUSHDOWN SWITCH AND MULTI-DIRECTION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밀어내림 조작됨으로써 각종 신호의 입력을 실시하는 밀어내림 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이스틱이라고 불리는 이런 종류의 다방향 입력장치에는, 조작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서 조작되는 밀어내림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밀어내림 스위치 부착 다방향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X-Y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1조의 회동부재와, 상하 1조의 회동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Y-X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을 관통하고, 주위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각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 조작이 가능하게 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 및/또는 회동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각 회동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1조의 신호검출수단과 조작부재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 되는 밀어내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밀어내림 스위치는, 종래, 조작부재의 아래쪽으로 케이스의 밑판부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키톱과 키톱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조작부재의 밀어내림 조작에 따라서 하강한 키톱에 밀어내려지면, 탄성변형하는 돔형의 가동접편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접편으로서,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가 고정되는 한편, 탄성변형한 가동접편의 중앙부가 접촉하는 고정전극을 가지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84876호 공보(제4페이지 내지 제5페이지, 도 1, 7)
그러나,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는, 가동접편의 단부가 고정전극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하는 상기 가동접편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는, 클릭감이 나쁘고, 그 결과, 밀어내림 조작의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밀어내림 조작의 클릭감을 좋게 하고, 조작성이 좋은 밀어내림 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밀어내림 스위치는, 기판 위에 설치되는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기판 위에 고정된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키톱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키톱에 맞닿게 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단면에서 본 대략 반대 오목자형의 가동접편과, 상기 기판 위의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한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기판 위의 탄성변형한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른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변형하는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접편은 대략 원형의 돔형을 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 및 상기 스페이서는 대략 고리형상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가동접편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스페이서에는, 상기 케이스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접편은,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서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조립 어긋남이 없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키톱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키톱이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키톱은, 상기 끼워맞춤부에 위치 규제되고, 가동접편의 중앙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X-Y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1조의 회동부재와 상하 1조의 회동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Y-X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을 관통하고, 주위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각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 조작이 가능하게 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 및/또는 회동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각 회동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1조의 신호검출수단과조작부재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를 구비한 다방향 입력장치에서,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키톱은, 조작부재의 아래쪽으로 케이스의 밑판부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동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동장치의 하부케이스를 아래로부터 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동장치의 하부케이스를 위로부터 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 확대도.
도 6은, 동장치의 기판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동장치의 밀어내림 스위치의 스페이서의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도 l의 b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다방향 입력장치100 :기판
200 : 케이스310, 320 : 회동부재
400 : 조작부재500 : 보호기구
600 : 신호검출수단700 : 밀어내림 스위치
710 : 키톱720 : 가동접편
731 : 한쪽의 고정전극732 : 다른쪽의 고정전극
740 : 스페이서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동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동장치의 하부케이스를 아래로부터 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동장치의 하부케이스를 위로부터 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 확대도, 도 6은 동장치의 기판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동장치의 밀어내림 스위치의 스페이서의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도 1의 b 확대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A는, 기판(100) 위에 고정되는 케이스 (200)과 케이스(200) 내에 X-Y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1조의 회동부재(310, 320)와 상하 1조의 회동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Y-X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313, 323)을 관통하고, 주위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회동부재(310, 320)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 조작이 가능하게 된 조작부재(400)와 조작부재(400) 및 회동부재(310, 320)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500)와 회동부재 (310, 320)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1조의 신호검출수단(600)과 조작부재(400)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기판(100)에 장착되는 케이스(200)는, 그 밑판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220)와 이것에 위쪽으로부터 덮여 씌워지는 상부 케이스(210)를 가지는 2조각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케이스(220)는, 도 3 또는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의 사각형의 밑판부 (221)를 가지고 있다. 이 밑판부(221)에는, 네귀퉁이 중 대향하는 2개의 귀퉁이부에, 후술하는 상부케이스(210)의 걸림 구멍(도시 하지 않음)에 걸림되는 걸림편 (222, 222)이 나사로 장착되어 있다. 또, 밑판부(221)의 각변의 중앙부에는, 회동부재(310, 320)을 지지하는 지지부(223)가 위 쪽을 향해서 각각 뻗어나오고 있다.
밑판부(22l)의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끼워맞춤부(2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끼워맞춤부(224)에는, 후술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키톱(710)(도 5 참조)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 한다. 또한, 이 끼워맞춤부(224)는, 내주면이 단면에서 본 대략 반대 볼록자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밑판부(221)의 이면측(기판(100)의 대향면)에는, 끼워맞춤부(224)와 동심원의 원기둥형상의 오목부(2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25)에는, 후술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가동접편(720)(도 5 참조)이 끼워맞춤한다. 이 오목부 (225)의 바깥둘레에는, 오목부(225)와 동심원의 원기둥형상의 스페이서 오목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오목부(226)의 바깥둘레에는, 밑판부(221)의 네귀퉁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스페이서(740)의 걸어맞춤편 (743)(도 7 참조)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구멍(227)이형성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 오목부(226)의 면 위에는, 밑판부(221)의 네귀퉁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스페이서(740)의 위치결정구멍(744)(도 7 참조)에 끼워맞춤하는 볼록부(228)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10)는, 하부케이스(220)에 덮어씌어지는 하부면이 개방된 각상자형의 본체부(211)와, 본체부(211)가 직교하는 2측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슬라이더 수용부(2l2, 21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1l)의 철판부분에는, 조작부재(400)의 상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케이스(220)의 걸림편(222, 222)이 걸림되는 걸림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본체부 (211)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211)의 각 측벽에는, 하부케이스(220)의 지지부(223)가 아래쪽으로부터 끼워맞춤하는 벤자리부분(214)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수용부(212, 212)는, 직진 슬라이더(800, 800)를 각각 수용하는 본체부(211)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옆쪽으로 내밀은 직육면체형상의 상자이며, 그 하부면은 개구하고 있다. 각 슬라이더 수용부(212, 212)의 윗면에는, 본체부(211)의 측면을 따른 슬릿형상의 개구부(215, 215)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220)에 상부케이스(2l0)를 덮어씌우면, 하부케이스(220)의 걸림편(222)이 상부케이스(2l0)의 본체부(211)의 걸림구멍에 걸림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케이스(220)와 상부케이스(210)가 고정된다. 또, 하부케이스(220)의 지지부 (223)가 상부케이스(210)의 본체부(211)의 벤자리부분(214)에 끼워맞춤함으로써, 본체부(211)의 각 측면에는, 회동부재(3l0,320)의 양단부 축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조작부재(400)는, 단면이 원형의 봉체부(捧體部)(410)와 봉체부(410)의 아래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회동축부(420)와 회동축부(420)의 더욱 아래쪽으로 연달아 설치된 큰직경의 원판부(430)와 원판부(430)의 하부면 중앙부에 형성된 아래에 볼록한 반구형상의 볼록부(440)를 가지고 있다. 회동축부(420)는, 단면이 위에 볼록한 반원형을 한 어묵형으로서 당해 조작부재(400)에 직각인 2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회동축부(420)의 축심은, 아래쪽으로 볼록한 반구형상의 볼록부(440)의 중심과 교차하고 있다.
상단의 회동부재(310)는, 양단부에 단면이 원형의 회동축부(311, 311)를 가지고, 그 사이에, 위쪽으로 볼록한 아치로 이루어진 원호부(312)를 가지고 있다. 원호부(312)에는, 회동 중심축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313)이, 조작부재(400)의 가이드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부(311, 311)의 한쪽의 선단부 면에는, 기어부(3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314)는, 상부케이스(210)의 본체부 (211)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한쪽의 슬라이더 수용부(212)의 개구부(215)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부(314)는, 여기에서는 원호면을 아래쪽으로 향한 부채형상부재이며, 그 원호면에는 스퍼 기어 형상의 치부분(齒部)(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회동부재(320)는, 상단의 회동부재(310)의 아래쪽에 직각으로 짜맞춰져 있으며, 회동부재(31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것은, 회동부재(320)의 회동축부(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위에 볼록한 반구부(321)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반구부(321)에는, 회동 중심축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322)이,조작부재(400)의 가이드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반구부(321)의 하부면에는, 조작부재(400)의 원판부(430)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3)는, 조작부재(400)가 회동부재(320)의 긴 구멍(322)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원판부(430)의 회동을 보증한다. 오목부 (323)의 내면에는, 조작부재(400)의 회동축부(430)가 끼워맞춤하는 한 쌍의 오목형상의 베어링부(324,324)가, 긴 구멍(3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400)및 회동부재(310,320)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500)는, 상부케이스(210)의 본체부(2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고리형상체의 승강 슬라이더(5l0)와 회동부재(320,320)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승강 슬라이더(510)와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21)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수용되고 있으며, 승강 슬라이더(500)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520)을 가지고 있다.
승강 슬라이더(510)는, 스프링(520)의 부세에 의해, 조작부재(400)의 원판부(430)의 플랫한 하부면, 및 회동부재(310, 320)의 양끝 축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플랫면에 탄성적으로 면접촉하므로써, 조작부재(400) 및 회동부재(310, 320)를 중립위치에 직접 유지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조작부재(400) 및 회동부재(310, 320)를 유지한다고 했지만, 어느 쪽이든 한쪽을 중립위치에 유지하면 된다.
조작부재(400)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밀어내림 스위치(700)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400)의 아래쪽으로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 (211)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키톱(710)과 아래방향으로이동한 키톱(710)이 맞닿게 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돔형의 가동접편(720)과, 기판 (100)위의 가동접편(720)의 단부(721)의 아래쪽에 형성된 한쪽의 고정전극(73l)과 기판(100)위의 탄성변형한 가동접편(720)의 중앙부(722)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다른쪽의 고정전극(732)과 가동접편(720)의 단부(721)와 한쪽의 고정전극 (73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페이서(740)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이 본원 발명의 특징 부분이다.
이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키톱(710)은, 단면에서 본 반대 볼록자형을 하고 있으며,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2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끼워맞춤부 (224)에, 밑판부(221)를 관통해서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키톱(710)은, 가동접편(720)의 중앙부(722)의 위쪽에 배치된다. 또한, 하부케이스(220)의 끼워맞춤부 (224)는, 내주면이 단면에서 본 반대 볼록자 형상이기 때문에 단면에서 본 반대 볼록자형의 키톱(710)이 걸린다. 이것에 의해, 키톱(710)은, 자중에 의해 하부케이스 (220)의 밑판부(221)로부터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키톱(710)에 맞닿게 되는 가동접편(720)은, 원형의 돔형을 하고 있으며, 단부(721)(외주부)가 후술하는 스페이서(740)의 고리형상체(741)를 개재하여 한쪽의 고정전극(73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한편, 중앙부(722)가 키톱(710)이 맞닿으면, 탄성변형하게 되어 있다. 가동접편(720)의 직경은, 하부케이스(220)의 오목부(225)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하부케이스(220)의 오목부 (225)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가동접편(720)은, 여기에서는, 원형의 돔형이라고 했지만, 단면에서 본 대략 반대 오목자형의 것이면 되고, 예를들면 아치형 등으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한쪽의 고정전극(731)은,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판(100) 위에 인쇄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100) 위에 형성된 +측 전극(11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다른쪽의 고정전극(732)은, 기판(100) 위에 인쇄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고정전극(731) 내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고정전극 (732)은, 이 기판(100) 위에 형성된 -측 전극(1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고정전극(731)을 -측 전극(120)과, 다른쪽의 고정전극(732)을 +측 전극(110)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페이서(740)는, 도 5 또는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개구부(742)가 형성된 고리형상체(741)를 가지고 있다. 이 고리형상체(741)의 외주에는, 하부케이스(220)의 걸어맞춤 구멍(227)과 걸어맞춤하는 네개의 걸어맞춤편(743)(걸어맞춤 수단)이 위쪽을 향해서 뻗어나와 있다. 또, 고리형상체(741)에는, 하부케이스(220)의 볼록부(228)와 끼워맞춤하는 네개의 위치결정구멍(7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740)는, 고리형상체 (741)에 한정되지 않고,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한쪽의 고정전극(73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페이서(740)의 걸어맞춤 수단은, 걸어맞춤편(743)에만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며, 예를 들면, 하부케이스(220)로부터 뻗어나온 볼록수지를 스페이서(740)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한 후, 열용착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가동접편(720)을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21)의 오목부(225)에 끼워 넣은후,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740)의 걸어맞춤편(743)을 하부케이스 (220)의 걸어맞춤 구멍(227)에 걸어맞춤시킨다. 그러자, 하부케이스(220)의 볼록부(228)가 스페이서(740)의 위치결정구멍(744)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스페이서 (740)는, 하부케이스(720)의 밑판부(22l)에 장착된다. 스페이서(740)가 하부케이스 (220)의 밑판부(221)에 장착되면, 가동접편(720)은 하부케이스(220)의 오목부(225)와 스페이서(740)와의 사이에 끼인다. 이것에 의해, 가동접편(720)은 위치 규제되므로, 조립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740)를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21)에 장착한 후, 기판(100)을 나사로 장착한다. 그러자, 스페이서(740)가 가동접편(720)의 단부(721)와 한쪽의 고정전극(731)과의 사이에 개재 한다. 이것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가동접편(720)의 중앙부(722)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스페이서(740)의 두께 치수는, 임의이며, 스페이서(740)의 두께 치수를 바꾸므로써, 탄성변형하는 가동접편(720)의 중앙부(722)의 스트로크의 길이를 바꿀 수 있다.
상부케이스(210)의 슬라이더 수용부(212, 212)에 수용된 직진 슬라이더(800, 800)는, 상부케이스(210)의 본체부(211)의 측면을 따른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하부케이스(220)의 밑판부(221)의 옆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아래쪽에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직진 슬라이더(800, 800)의 상부에는, 슬라이더 수용부(212, 212)의 윗면에 형성된 슬릿형상의 개구부(215, 215)를 통과해서 슬라이더 수용부 (212, 212)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810, 810)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10, 810)의 윗면에는, 직진 슬라이더(800, 800)의 이동방향에 래크 기어형상의 치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치부분은, 회동부재(3l0)의 일단부에 형성된 부채형상의 기어부(314)의 치부분에 맞물린다. 한편, 다른쪽의 치부분은 회동부재(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부채형상의 기어부의 치부분과도 마찬가지로 맞물린다.
직진 슬라이더(800, 800)의 하부면에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촉자 (900, 900)가 장착되어 있다. 접촉자(900, 900)는, 슬라이더 수용부(212, 212)의 하부면 개구부를 통과해서 기판(100)의 표면에 임해, 그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 (도시하지 않음)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볼륨이 구성된다. 이것이 신호검출수단(600)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신호검출수단(600)으로서는, 볼륨에만 한정되지 않고, 볼륨 이외의 전기적 센서, 자성적 센서, 광학적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 A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재(400)를 하단의 회동부재(320)의 긴 구멍(323)의 방향으로 경동조작 (傾動操作)하면, 상단의 회동부재(310)가 회동하고, 이것에 의한 신호검출수단 (600)의 작동에 의해, 조작량에 따른 저항치를 얻을 수 있다. 즉, 신호검출수단 (600)에서는, 회동부재(310)의 회동에 의한 기어부(314)의 회동에 따라서 직진 슬라이더(800)가 이동하고, 접촉자(900)가 대응하는 저항회로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조작량에 따른 저항치를 얻을 수 있다.
조작부재(400)를 상단의 회동부재(310)의 긴 구멍(313)의 방향으로 경동조작했을 경우는, 하단의 회동부재(320)가 회동하고, 이것에 의한 신호검출수단(600)의작동에 의해, 조작량에 따른 저항치를 얻을 수 있다. 즉, 신호검출수단(600)에서는, 회동부재(320)의 회동에 의한 기어부(326)의 회동에 따라서 직진 슬라이더 (800)가 이동하고, 접촉자(9000)가 대응하는 저항 회로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조작량에 따른 저항치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조합에 의해, 조작부재(400)는 주위의 임의 방향으로 조작되고, 그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신호가, 해당 다방향 입력장치 A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등에 입력된다.
한편, 조작부재(400)를 축방향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는, 조작부재(400)의 아래쪽에 설치된 밀어내림 스위치(700)가 작동한다. 즉, 조작부재(400)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키톱(710)을 개재하여 가동접편(720)이 밀어내려진다. 밀어내려진 가동접편(720)은, 아래쪽으로 변형하고, 기판(100) 위의 다른쪽의 고정접편(73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고정전극(731)과 다른쪽의 고정전극(732)과의 사이가 전도한다.
여기서, 밀어내림 스위치(700)는,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 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탄성변형하는 상기 가동접편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밀어내림 스위치(700)의 클릭감을 좋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다방향 입력조치 A의 밀어내림 조작의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입력조치 A는, 이하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방향 입력조치 A는, 여기에서는, 스페이서(740)를 가동접편(720)의 단부(721)와 한쪽의 고정전극(73l)과의 사이에 개재시킨다고 했으나, 스페이서(740)로 바꾸어, 스페이서(740)와 마찬가지의 걸어맞춤 수단이 형성된 가동접편을 가동접편 (720)의 단부(721)와 한쪽의 고정전극(731)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설계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변경함으로써, 가동접편(720)의 작동력을 고하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방향 입력조치 A는, 밀어내림 스위치(700) 이외의 구성은 임의이며, 적절히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밀어내림 스위치(700)만을 이용해 예를 들면 택트 스위치로서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는, 기판 위에 설치되는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기판 위에 고정된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키톱과, 아래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키톱에 맞닿게 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단면에서 본 대략 반대 오목자형의 가동접편과, 상기 기판 위의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한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기판 위의 탄성변형한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른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2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는, 청구항 l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은 대략 원형의 돔형을 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 및 상기 스페이서는 대략 고리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이다.
이러한 청구항 1 및 2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의한 경우,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탄성변형하는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밀어내림 조작의 클릭감이 좋아지고, 그 결과, 조작성이 좋아진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 스페이서의 두께 치수를 바꿈으로써, 클릭감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3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는, 청구항 l 또는 2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가동접편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스페이서에는, 상기 케이스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청구항 3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의한 경우, 상기 가동접편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가동접편의 조립 어긋남이 없어지고, 그 결과, 가동접편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4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는, 청구항 1, 2 또는 3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키톱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키톱이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청구항 4 기재의 밀어내림 스위치에 의한 경우, 상기 끼워맞춤부에 의해서 상기 키톱은 위치결정된다. 그 결과, 상기 키톱이, 가동접편의 중앙부에닿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5 기재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X-Y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1조의 회동부재와, 상하 1조의 회동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Y-X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을 관통하고, 주위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각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 조작이 가능하게 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 및/또는 회동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각 회동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1조의 신호검출수단과 조작부재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청구항 1, 2, 3 또는 4의 밀어내림 스위치를 구비한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키톱는, 조작부재의 아래쪽으로 케이스의 밑판부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경우,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기판 위에 형성되는 밀어내림 스위치에 있어서, 기판 위에 고정된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키톱과, 아래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키톱에 맞닿게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단면에서 본 대략 반대 오목자형의 가동접편과 상기 기판위의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한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기판 위의 탄성변형한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른쪽의 고정전극과, 상기 가동접편의 단부와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페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은 대략 원형의 돔형을 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한쪽의 고정전극 및 상기 스페이서는 대략 고리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가동접편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스페이서에는, 상기 케이스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키톱이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키톱이 상기 가동접편의 중앙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어내림 스위치.
  5. 기판 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X-Y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1조의 회동부재와, 상하1조의 회동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Y-X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을 관통하고, 주위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각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 조작이 가능하게 된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와 회동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거나 조작부재 또는 회동부재를 중립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각 회동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1조의 신호검출수단과, 조작부재의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밀어내림 스위치를 구비한 다방향 입력장치에서, 상기 밀어내림 스위치의 키톱은, 조작부재의 아래쪽으로 케이스의 밑판부를 관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20030060486A 2002-09-04 2003-08-30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 KR100548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9185A JP4101592B2 (ja) 2002-09-04 2002-09-04 押下スイッチ及び多方向入力装置
JPJP-P-2002-00259185 2002-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41A true KR20040021541A (ko) 2004-03-10
KR100548946B1 KR100548946B1 (ko) 2006-02-02

Family

ID=3171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486A KR100548946B1 (ko) 2002-09-04 2003-08-30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46606B2 (ko)
EP (1) EP1396869A3 (ko)
JP (1) JP4101592B2 (ko)
KR (1) KR100548946B1 (ko)
CN (1) CN1265411C (ko)
CA (1) CA2437332C (ko)
HK (1) HK1064801A1 (ko)
TW (1) TWI2260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9018B1 (fr) * 2004-12-07 2007-02-23 Itt Mfg Enterprises Inc Actionneur multidirectionnel a effort de rappel variable
JP2007149397A (ja) * 2005-11-24 2007-06-14 Hosiden Corp 多方向入力装置
KR100745787B1 (ko) 2005-11-30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
KR100834618B1 (ko) * 2006-11-21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키
CN100592447C (zh) * 2007-08-24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装置
KR20210078782A (ko) * 2019-12-19 2021-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JP7452845B2 (ja) * 2020-03-30 2024-03-1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CN215832738U (zh) * 2021-09-10 2022-02-15 广东控银实业有限公司 摇杆传感器、手柄控制器、自动雨刷、自动后视镜
CN116406853A (zh) * 2021-12-31 2023-07-11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的雾化主机和雾化装置
WO2023203886A1 (ja) * 2022-04-21 2023-10-2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88A (en) * 1974-05-21 1978-0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US3996427A (en) * 1975-01-10 1976-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ushbutton keyboar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94105A (en) * 1977-01-13 1980-03-18 Itt Industries, Inc. Switches
DE8017115U1 (de) * 1980-06-27 1980-11-13 Triumph Werke Nuernberg Ag, 8500 Nuernberg Tastatur, z.B. für Büromaschinen
JPS59141627U (ja) * 1983-03-11 1984-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JPS6276441U (ko) * 1985-10-31 1987-05-16
US4778952A (en) * 1987-04-23 1988-10-18 Eaton Corporation Key switch assembly
JPH04121629U (ja) * 1991-04-19 1992-10-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プツシユスイツチ
JPH0553076U (ja) * 1991-12-19 1993-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2562346Y2 (ja) * 1992-11-12 1998-02-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US5691517A (en) * 1993-11-19 1997-11-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ultidirectional lever switch device
US6168726B1 (en) * 1998-11-25 2001-01-02 Applied Materials, Inc. Etching an oxidized organo-silane film
US6255735B1 (en) * 1999-01-05 2001-07-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Dual damascene arrangement for metal interconnection with low k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in dielectric layers
JP3769153B2 (ja) * 1999-09-14 2006-04-19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4801A1 (en) 2005-02-04
US20040040826A1 (en) 2004-03-04
CA2437332C (en) 2006-11-28
CN1265411C (zh) 2006-07-19
JP2004103253A (ja) 2004-04-02
TWI226074B (en) 2005-01-01
JP4101592B2 (ja) 2008-06-18
EP1396869A2 (en) 2004-03-10
EP1396869A3 (en) 2005-12-21
CN1490835A (zh) 2004-04-21
CA2437332A1 (en) 2004-03-04
US6946606B2 (en) 2005-09-20
TW200405375A (en) 2004-04-01
KR100548946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6530B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805429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2025394A (ja) 複合操作スイッチ
KR100548946B1 (ko) 밀어내림스위치 및 다방향 입력장치
US6504115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0420239B1 (ko) 다방향입력장치
KR100645846B1 (ko) 볼륨일체형 다방향 입력장치
JP3763044B2 (ja) 多方向スイッチ
EP3582243B1 (en) Four-way switch including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JP368893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91367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395857B2 (ja) ボリューム一体型多方向入力装置
JP45223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51522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4159704B2 (ja) 多方向入力装置
WO2020137210A1 (ja) 入力装置
JP4574569B2 (ja) 入力装置
JP3108258B2 (ja) X−y方向入力装置
JPH0749550Y2 (ja) トラックボール
JP4619879B2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10314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0340053A (ja) 多方向スイッチ
JP2007103275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