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07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070A
KR20040021070A KR1020020052511A KR20020052511A KR20040021070A KR 20040021070 A KR20040021070 A KR 20040021070A KR 1020020052511 A KR1020020052511 A KR 1020020052511A KR 20020052511 A KR20020052511 A KR 20020052511A KR 20040021070 A KR20040021070 A KR 2004002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display
osds
screen
us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김행선
남훈석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070A/ko
Publication of KR2004002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 세부 항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OSD 생성/제공부 및, OSD 생성/제공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화상과 OSD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차별화 및 그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AN DISPLAY AND ON SCREEN DISPLAY CONTROLLING DEVICE OF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내부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포맷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및 스케일링 등과 같은 일련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해당 영상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니터는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소형 영상 표시 기기로 출발하여 현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형 영상 표시 기기에 적합한 평판 표시 소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근래 들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식이 상용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특징의 LCD를 사용하고 있는 LCD 장치는 PC 모니터나 비디오 신호 모니터로서의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그 내부 기능의 조작을 위하여 OSD를 내장하고 있다.
OSD란, TV, VCR, PC 모니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해당 장치의 내부 기능을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그림으로 구성된 세부 항목들을 보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화면 조정 모드이다. 이러한 OSD에 대한 표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OSD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면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영상의 밝기, 크기, 위치 및 명암 등)이 텍스트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OSD를 키보드(keyboard) 조작 등을 통한 간단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장치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OSD는 그 내부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함에 있어, 텍스트 또는 그림 등이 획일화된 구성을 이룬다.
상세히 설명하면, A사에서 제조되어 출시되는 평면 모니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의 세부 항목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문자와, B사에서 출시되는 평면 모니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의 세부 항목 관련 텍스트 또는 문자가 동일하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차별화 및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SD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용자 입력부 10 : 중앙 제어부
20 : PLL(Phase Locked Loop) 30 : A/D 컨버터
40 : 프레임 버퍼 메모리 50 : OSD 생성/제공부
60 : 스케일러 70 : LCD 모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 세부 항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OSD 생성/제공부; 및 상기 OSD 생성/제공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화상과 OSD를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모드의 클럭 펄스(clock pulse)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록 발생부;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영상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한 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변환된 R, G, B 영상 신호와 상기 OSD 생성/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OSD 관련 영상 신호를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표시 모듈로 출력하는 스케일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화면에 OSD(On Screen Display)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OSD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 세부 항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OSD 생성/제공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모니터의 OSD 제어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모니터의 OSD 제어 장치는, 중앙 제어부(10), PLL(Phase Locked Loop, 20), A/D 컨버터(30), 프레임 버퍼 메모리(40), OSD 생성/제공부(50), 스케일러(60) 및 LCD 모듈(70)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사용자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부(1)를 더 포함한다.
먼저, 중앙 제어부(10)는 외부의 그래픽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R, G, B 화상 신호와 라인을 구별하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각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한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포맷을 검출하고 검출된 포맷에 맞는 해당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관련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부(10)는 사용자 입력부(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OSD 생성/제공부(50)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OSD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제공되는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PLL(Phase Locked Loop, 20, 클록 발생부)은 중앙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모드의 클럭 펄스(clock pulse)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A/D 컨버터(30)는 PLL(2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외부의 그래픽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영상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한 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한다.
프레임 버퍼 메모리(40)는 디지털 변환된 R, G, B 영상 신호를프레임(frame) 단위로 임시 저장한다.
OSD 생성/제공부(50)는 중앙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을 텍스트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생성/제공부(50)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텍스트 또는 그림 등을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하는 각각의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OSD에 화면의 밝기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이 '밝기'라고 표시된다면, 제2 OSD에는 화면의 밝기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을'BRIGHTNESS'라고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화면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텍스트 또는 문자 등이 각각의 OSD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OSD 제공을 통하여 제조 회사 또는 제품 종류별 차별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란, 해당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자일 수도 있으며, 상기 제조업자가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는 서비스 이용자일 수도 있다.
스케일러(60)는 A/D 컨버터(3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변환된 R, G, B 영상 신호와 OSD 생성/제공부(50)로부터 수신되는 OSD를 PLL(20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LCD 모듈(70)은 스케일러(60)의 출력신호를 인가 받아 복원하고 액정을 구동시켜 화면에 해당 영상(또는 OSD)을 디스플레이 한다. LCD 모듈(70)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LCD 모듈을 통한 화상 및 관련 OSD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표시 모듈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LCD 모니터의 OSD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그래픽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수직,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 제어부(10)는 R, G, B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파악한다.
이후, 중앙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 G, B 영상 신호의 해상도가 LCD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상도가 서로 상응하는 디지털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A/D 컨버터(30)의 샘플링 클럭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PLL(20)로 출력한다.
이후, PLL(20)은 중앙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모드별 샘플링 클럭을 설정하며, A/D 컨버터(30)는 상기 PLL(20)에서 공급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외부의 그래픽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영상 신호를 샘플링한 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LCD 모니터의 키 입력부 또는 키보드 등을 통해 화면 조정을 위한 메뉴키를 누르면, 사용자 입력부(1)는 사용자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부(10)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OSD 생성/제공부(50)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구성의 차별화된 OSD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 제어부(10)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OSD를 표시할 위치를 파악한 후 해당 위치에 화면 조정 모드인 OSD가 구현되도록 OSD 생성/제공부(50)에 OSD 생성 명령을 출력한다.
OSD 생성 명령을 수신한 OSD 생성/제공부(50)는 중앙 제어부(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스케일러(60)로 출력한다.
이후, 스케일러(60)는 중앙 제어부(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A/D 컨버터(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R, G, B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신호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OSD 생성/제공부(50)에서 출력되는 OSD를 A/D 컨버터(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R, G, B 영상 신호에 중첩시켜 출력한다.
이후, LCD 모듈(70)은 스케일러(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액정을 구동시켜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킨다. 즉, 해당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면의 특정 위치(보통 가운데 위치함)에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기초한 OSD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제품별 또는 제조회사별 차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별화된 OSD에 대한 도시예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듯이, 화면 조정을 위한 세부 항목(brightness, contrast, phase, frequency, position 등)을 표시하는 그림이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즉, 화면의 색 온도(color temperature)를 의미하는 그림이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중앙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의 차별화된 OSD가 LCD 모니터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면, 이를 접한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OSD를 택일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모니터의 OSD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구성의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만족도 증대 및 제품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CD 모니터의 OSD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구성의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차별화 및 그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 세부 항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OSD 생성/제공부; 및
    상기 OSD 생성/제공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화상과 OSD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모드의 클럭 펄스(clock pulse)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록 발생부;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영상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한 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변환된 R, G, B 영상 신호와 상기OSD 생성/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OSD 관련 영상 신호를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표시 모듈로 출력하는 스케일러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화면에 OSD(On Screen Display)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OSD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조정 세부 항목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OSD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별화된 OSD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OSD 중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른 OSD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OSD 생성/제공부
    를 포함하는 OSD 제어 장치.
KR1020020052511A 2002-09-02 2002-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KR20040021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11A KR20040021070A (ko) 2002-09-02 2002-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11A KR20040021070A (ko) 2002-09-02 2002-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70A true KR20040021070A (ko) 2004-03-10

Family

ID=3732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11A KR20040021070A (ko) 2002-09-02 2002-09-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0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24471A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304899B1 (ko) 모니터의 허용범위 초과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US7317453B2 (en) Video graphics array color signal generator
KR100433520B1 (ko) Out-of 레인지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10010023A (ko) 디지탈 영상기기를 위한 클럭공급장치
KR20020013009A (ko) 모니터의 화면 조정장치 및 방법
JP200404608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背景領域のコントラストの調節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210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osd 제어 장치
US6693629B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projector, image reproducing system,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KR20020078586A (ko) 셋톱박스의 출력포맷 설정방법
US66709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n-screen display font height
KR100308050B1 (ko) Lcd 모니터의 신호처리장치
KR2008003282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JP2002041026A (ja) 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970004260Y1 (ko) 티 · 브이(tv)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KR20000050759A (ko) 실물화상기
KR100379417B1 (ko) Lcd 모니터의 입력신호 선택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706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2004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10060463A (ko) Lcd 모니터의 화면조정장치 및 방법
KR20080064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송장르 표시방법
KR950007662Y1 (ko) 평판표시장치
CN100459672C (zh) 电视系统的多方位变化装置及方法
KR940008880B1 (ko) 영상기기의 기능별 도움말 안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39728A (ko) Lcd 모니터의 수직 떨림 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