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30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30B1
KR101070630B1 KR1020040032363A KR20040032363A KR101070630B1 KR 101070630 B1 KR101070630 B1 KR 101070630B1 KR 1020040032363 A KR1020040032363 A KR 1020040032363A KR 20040032363 A KR20040032363 A KR 20040032363A KR 101070630 B1 KR101070630 B1 KR 10107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display
opt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146A (ko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3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최적의 해상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최적의 영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해상도,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2는 해상도 정보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OSD 화면,
도3(a) 및 도3(b)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20 : 선택부
30 : 제어부 31 : 신호처리부
32 : 메모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최상의 영상을 얻기 위한 최적의 해상도 스펙이 있다. 예를 들어 50인치 PDP는 해상도 1366×768, 수직/수평주파수 60[Hz]/48.2[kHz]를 최적의 해상도 스펙으로 갖는 반면, 40인치 PDP는 해상도 852×80, 수직/수평주파수 60/31.8[Hz]의 스펙을 최적의 사양으로 갖는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 해상도 스펙이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일치할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50인치 PDP와 PC를 연결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PC로부터 1366×768의 해상도를 갖는 영상신호가 제공될 때 최상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상도에 따라 특정 동기주파수를 권장하고 있다. 이는 외부기기에서 출력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제한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왜냐하면, 외부기기의 출력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권장 동기주파수로 설정할 때, 제한된 해상도에서 최적의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 해상도 혹은 권장 동기주파수 정보는 매뉴얼로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로서는 매뉴얼을 확인하고 해상도를 조절함으로써 좋은 화질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해상도 조절정보는 일반 사용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더군다나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영상신호가 갖는 해상도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일일이 매뉴얼과 외부기기를 체크하고, 외부기기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장치의 권장스펙에 맞도록 조절하여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권장 해상도정보를 표시하여,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최적의 해상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최적 해상도정보와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정보를 손쉽게 직접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때, 상기 해상도정보는 해상도와 동기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해상도에 따른 최적의 동기신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에서 해상도가 제한적인 때에도 제한된 범위에서 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 선택부(20) 및 제어부(30)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PDP, LCD, CRT 등이 사용된다.
선택부(20)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영상정보 중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할 영상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이다. 영상정보의 리스트를 OSD(on screen display)로 보여주고, 리모컨, 제어패널 등의 조작을 통해 선택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영상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정보에 의해 영상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의 최적 해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 여기서 해상도정보란 해상도와 동기주파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내부적으로 신호처리부(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31)는 입력 영상신호에 대한 복조, 디코딩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영상정보를 출력한다. 메모리(32)는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의 최적 해상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신호처리부(31)는 선택부(20)로부터 영상정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입력받고, 표시할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32)로부터 최적 해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신호소스에서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VCR, DVD, 캠코더 등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선택하는 동시에 최적 해상도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어부(30)는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신호처리부(31)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거나, 영상신호의 디지털 패킷을 파싱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영상신호의 해상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영상정보의 해상도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 해상도정보를 손쉽게 비교하고, 외부기기에서 출력 영상신호의 해상도 또는 동기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정보의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OSD 화면이다.
메뉴 중 '패널 최적 해상도 안내'가 'on'으로 설정되면, 영상정보가 선택될 때마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 해상도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정보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함께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안내는 일정시간 동안만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는 '패널 최적 해상도 안내'가 'on'일 때의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 해상도 사양과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표시되는 화면이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사용자는 이것이 해상도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 스플레이장치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메뉴 중 '해상도별 최적지원 모드 안내'가 'on'으로 설정되면,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30)는 입력 영상신호의 해상도에 대한 최적의 동기신호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외부기기에서 출력신호의 해상도 변경이 제한적인 경우, 해당 해상도에 대한 권장 동기주파수로 조절하여 최적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3(b)는 '해상도별 최적지원 모드 안내'가 'on'으로 설정된 경우의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는 VGA 640×480, 수직72[Hz], 수평 37.9[kHz]인 반면, 해당 해상도에 대한 권장 동기주파수는 수직 60[Hz], 수평 31.5[kHz]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고,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권장 동기주파수로 변경하여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모드는 안내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모드이다. 즉, '사용자 모드'가 'on'으로 설정되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어떠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최적의 영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적의 해상도, 수평주파수 및 수직주파수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 수평주파수 및 수직주파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의 해상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정보는 해상도와 동기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 해상도에 따른 최적의 동기신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40032363A 2004-05-07 2004-05-07 디스플레이장치 KR10107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63A KR101070630B1 (ko) 2004-05-07 2004-05-07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63A KR101070630B1 (ko) 2004-05-07 2004-05-07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46A KR20050107146A (ko) 2005-11-11
KR101070630B1 true KR101070630B1 (ko) 2011-10-07

Family

ID=3728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63A KR101070630B1 (ko) 2004-05-07 2004-05-07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46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9073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30266B2 (en) Video signal select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2006013098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1505B1 (ko)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801628B1 (ko) 미디어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6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7022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설정방법
KR10059811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25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58115B2 (ja) 表示装置
KR100260132B1 (ko) 티브이의피씨입력신호디스플레이장치및방법
KR200700378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2767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20070073284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1995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7279B1 (ko) 모니터 및 그 가시화면 조정방법
KR100685964B1 (ko) 매뉴얼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세트 및 매뉴얼 표시방법
KR100806865B1 (ko) 해상도 표시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해상도 표시 방법
KR200601160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330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2881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7941A (ko) 모바일기기와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재생시스템
JP2006133976A (ja) 機器設定情報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