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011A -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011A
KR20040021011A KR1020020052439A KR20020052439A KR20040021011A KR 20040021011 A KR20040021011 A KR 20040021011A KR 1020020052439 A KR1020020052439 A KR 1020020052439A KR 20020052439 A KR20020052439 A KR 20020052439A KR 20040021011 A KR20040021011 A KR 2004002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hinge
folder
mobile communic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732B1 (ko
Inventor
오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7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하단 측면에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돌출된 안테나회전축을 구비하는 안테나와, 하폴더 삽입부와 상폴더 삽입부와 상폴더 삽입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힌지와, 한쪽 끝단 중앙부에 힌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힌지통과 힌지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힌지구멍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한쪽 측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안테나홈과 힌지통의 양 끝단과 결합되도록 상단 양 끝단에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너클과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반대측 힌지너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힌지홈과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힌지너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힌지홈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폴더 개폐시 연장부에 발생하는 회전력을 안테나로 전달하는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antenna }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의 전자파가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폴더가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테나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이동통신가입자들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고,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크기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많은 양의 문자 및 영상을 출력하기 위하여 보다 큰 액정화면의 장착이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키패드와 마이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하폴더와, 그 하폴더에 대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자 및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스피커를 구비하는 상폴더와, 원활한 송수신을 위해 하폴더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항상 전자파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제기되고있다. 즉, 본체에 설치된 안테나는 대부분 하폴더의 상부면의 일측에 구비되어있으며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사용중 인출된 안테나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및 안테나로 집중되는 전자파는 직접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안테나를 통한 전자파의 피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가 제시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안테나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자동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본체(10)의 장착홈(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18)에는 그 회전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28)가 연설된다. 그 액튜에이터(28)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가역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튜에이터(28)는 본체(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물론 전원은 본체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액튜에이터(28)는 그것의 작동에 따라 가역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로드(30)를 구비한다. 그 구동로드(30)의 단부에는 톱니(3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로드(30)에 톱니(30a)가 구비됨에 따라 회전체(18)의 측방에도 그 톱니(30a)에 치합되는 치차(18a)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액튜에이터(28)에는 안테나(26)의 전개 또는 수축작용에 따라 구동로
드(3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구동로드의 회전각도 및 액튜에이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메인보드(32)에 연결되어있다. 메인보드(32)에는 안테나의 뽑힘 및 복귀를 감지하여 메인보드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액튜에이터(28) 자체 및 구동로드(30)의 회전방향을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접점스위치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안테나(26)의 하부에는 접촉단자(34)가 설치되며, 회전체(18)에는 그 접촉단자(34)가 접촉 가능한 접촉 스위치(36)가 설치된다. 그 접촉스위치(36)는 접촉단자(34)와의 접촉여부를 메인보드(32)에 전달하여 그 메인보드로 하여금 액튜에이터의 작동 및 구동로드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튜에이터의 작동 및 구동로드의 회전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 스위치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체(1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들 중 하나의 버튼(38)으로 하여금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은, 안테나의 자동 굽힘 작동 및 이에 관련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메인보드에 입력되어 있거나 프로그램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서는 액튜에이터(28) 및 구동로드(30), 톱니(30a)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내부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제작 방법이 어려워지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생산단가가 높아지며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안테나 회전을 위하여 액튜에이터(28)에 전력을 공급해야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크게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상폴더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안테나가 회전하고, 상폴더를 닫으면 자동으로 안테나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안테나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힌지 결합구조로 구성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힌지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전동장치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힌지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전동장치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상폴더 210 : 힌지통
212 : 힌지구멍 300 : 하폴더
310 : 힌지너클 312 : 제 1 힌지홈
314 : 제 2 힌지홈 320 : 안테나홈
400 : 힌지 410 : 하폴더삽입부
420 : 상폴더삽입부 430 : 연장부
500 : 안테나 600 : 전동장치
610 : 힌지기어 620 : 안테나기어
630 : 방향변환기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하단 측면에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돌출된 안테나회전축을 구비하는 안테나와, 하폴더에 결합되는 하폴더 삽입부와 상폴더에 결합되는 상폴더 삽입부와 상폴더 삽입부의 끝단에 결합되어있으며 상폴더 삽입부의 중심과동축으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힌지와, 한쪽 끝단 중앙부에 힌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힌지통과 상폴더 삽입부 및 하폴더 삽입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힌지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힌지구멍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안테나가 안착되도록 상단 한쪽 측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안테나홈과 힌지통의 양 끝단과 결합되도록 상단 양 끝단에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너클과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반대측 힌지너클에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의 하폴더 삽입부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힌지홈과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힌지너클에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의 연장부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힌지홈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폴더 개폐시 연장부에 발생하는 회전력을 안테나로 전달하는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장치는 연장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연장부의 끝단에 결합된 힌지기어와, 안테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안테나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된 안테나기어와, 힌지기어 및 안테나기어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힌지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기어가 회전하게되고, 힌지기어의 회전력은 동력전달기어와 안테나기어를 통하여 안테나에 인가됨으로써 안테나를 회전시킨다.
또한, 전동장치는 기어장치의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연장부와 안테나회전축에 연결되어 연장부의 회전력을 안테나회전축에 전달시키는 동력벨트를 이용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상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실행되도록 종래의 힌지결합과는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야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구조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힌지 결합구조로 구성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내측에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11)와 키패드(111)의 하단에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112)와 상폴더(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폴더(120)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까지 덮개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의 회동 여유공간을 보유하는 회동개구부(113)와 회동개구부(113)의 양단에 힌지를 지지하는 힌지너클(114)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6)와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힌지너클(114)에 내측방향으로 힌지가 삽입되는 하폴더힌지구멍(미도시)을 포함하는 하폴더(110)와, 데이터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화면(121)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122)와 회동개구부(113)에 위치되어 힌지너클(114)과 결합되는 힌지통(123)과 힌지통(1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가 삽입되는 상폴더힌지구멍(124)을 포함하는 상폴더(120)와, 하폴더힌지구멍(미도시)에 삽입되는 하폴더 삽입부(131)와 상폴더힌지구멍(1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폴더 삽입부(132)로 이루어진 힌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폴더(120)를 회전시키게되면 상폴더힌지구멍(124)에 삽입되는 상폴더 삽입부(132)만 회전하게되고 하폴더힌지구멍(미도시)에 삽입되는 하폴더 삽입부(131)는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힌지(130)의 회전력을 안테나(116)에 직접 인가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전운동을 하는 상폴더 삽입부(132)와 안테나(116)를 결합시킴으로써 상폴더 삽입부(132)의 회전력을 안테나(116)에 인가시키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테나(500)의 위치나 상폴더(200)와 하폴더의 결합구조는 외관상으로 보기에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와 차이가 없다.
A-A선은 힌지통(210)과 힌지너클(310)의 내부에 삽입된 힌지의 중심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폴더(200)는 A-A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운동을 하게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내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힌지너클(310) 사이에 힌지통(210)이 위치되는 구조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하지만,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힌지너클에 하폴더삽입부가 결합되는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500)가 위치하는 반대편의 힌지너클(310)에 하폴더삽입부(410)가 결합된다. 안테나(500)가 위치하는 반대편의 힌지너클(310)의 안쪽에는 하폴더삽입부(410)가 삽입가능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제 1 힌지홈(312)이 구비되고, 하폴더삽입부(410)는 제 1 힌지홈(3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폴더삽입부(420)는 힌지통(2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힌지구멍(212)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폴더삽입부(420)와 동축을 가지며 상폴더삽입부(420)의 끝단에 형성된 연장부(430)는 힌지구멍(212)을 통과하여 안테나(500)가 구비된 측의 힌지너클(310)에 결합된다. 안테나(500)가 구비된 측의 힌지너클(310)은 안쪽에 연장부(4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힌지홈(314)을 구비한다.
하폴더삽입부(410)와 상폴더삽입부(420)는 개별적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있고, 상폴더삽입부(420)와 연장부(430)는 고정으로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상폴더를 회동하여 힌지통(210)을 회전시키면, 힌지통(210) 내부에 삽입된 상폴더삽입부(420)와 연장부(430)는 힌지통(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만, 힌지너클(310)에 결합된 하폴더삽입부(410)는 회전운동을 하지 아니한다.
상폴더의 회동으로 연장부(430)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안테나(500)에 인가하기 위하여, 연장부(430)와 안테나 회전축(510)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장치(6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를 이용한 전동장치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전동장치(600)는 연장부(43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연장부(430)의 끝단에 결합된 힌지기어(610)와, 안테나 회전축(51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안테나 회전축(510)의 끝단에 결합된 안테나기어(620)와, 힌지기어(610) 및 안테나기어(62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폴더삽입부(420)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기어(610)가 회전하게되고, 힌지기어(61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기어(630)와 안테나기어(620)를 통하여 안테나(500)에 인가됨으로써 안테나(500)를 회전시킨다.
도 4a는 힌지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전동장치 구성의 평면도이다.
하폴더에 결합되는 하폴더삽입부(410)는 상폴더에 결합되는 상폴더삽입부(420)와 독립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상폴더를 관통하여 하폴더에 결합되는 연장부(430)는 상폴더삽입부(420)와 고정결합 되어있으므로 상폴더삽입부(4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연장부(430)와 안테나(500)간의 회전비는 연장부(430)에 결합되어있는 힌지기어(610)와 안테나(500)에 결합되어있는 안테나기어(620)간의 기어비(Gear Ratio)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힌지기어(610)의 잇수와 안테나기어(620)의 잇수가 1:2의 비율을 이룸으로 인하여, 기어비가 2로 설정되는 경우 힌지기어(610)가 2회전하는 동안 안테나기어(620)는 1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안테나(500)는 연장부(430)가 회전하는 각도의 절반만큼만 회전을 하게되는 반면, 안테나(500)에 인가되는 회전력(Torque)은 두배가 되므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된다.
이때, 힌지기어(610)와 안테나기어(620)의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변환기어(630)는 힌지기어(610)의 회전력을 안테나기어(6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힌지기어(610)와 안테나기어(620)간의 기어비에는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도 4b는 힌지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전동장치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00)의 회전에 의하여 힌지기어(6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힌지기어(610)와 결합된 방향변환기어(6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방향변환기어(630)와 결합된 안테나기어(620)와 안테나(5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방향변환기어(630)는 힌지(400)의 회전방향과 안테나(500)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장치의 구성을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전동장치의 구성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연장부(430)의 회전력을 안테나 회전축(510)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구성의 전동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3개의 기어로 구성된 전동장치(600) 대신, 연장부(430)의 끝단과 안테나 회전축(510)의 끝단에 연결된 전동벨트의 적용도 가능하다.
전동벨트를 이용한 전동장치를 적용시키면, 연장부(430)와 안테나회전축(510)의 지름비를 조정함으로써 연장부(430)와 안테나 회전축(510)의 회전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기어를 이용한 전동장치(600)는 연장부(430)와 안테나 회전축(510)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방향변환기어(630)를 이용하고 있지만, 전동벨트를 이용한 전동장치는 연장부(430)와 안테나 회전축(51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므로 별도의 방향변환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폴더(300)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테나홈(320)에 장착된 안테나(500)는 하폴더(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위치되어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와 비교하였을 때, 외관상 큰 차이점이 없으므로 각 부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00)의 회전방향과 안테나(500)의 회전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형성하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폴더(200)가 개방되면 안테나(500)는 뒤쪽으로 회전한다.
상폴더(200)의 개방각은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도록 통상적으로 설정되는 150°전후가 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500)의 회전각은 힌지기어와 안테나기어간의 기어비에 의하여 설정된다. 안테나(500)의 회전각은 이동통신단말기 제작시 제작자의 힌지기어 및 안테나기어의 선택에 의하여 고정된 값을 가지게된다.
또한, 도 5b의 상태에서 상폴더(200)를 닫게되면 안테나(5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폴더(3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상폴더를 개방함에 따라 자동으로 안테나가 회전하고 상폴더를 닫으면 자동으로 안테나가 원위치로 복원되므로, 휴대폰 사용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전자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동장치의 회전비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하단 측면에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돌출된 안테나회전축을 구비하는 안테나와;
    하폴더에 결합되는 하폴더 삽입부와, 상폴더에 결합되는 상폴더 삽입부와, 상기 상폴더 삽입부의 끝단에 결합되어있으며 상기 상폴더 삽입부의 중심과 동축으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힌지와;
    한쪽 끝단 중앙부에 힌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힌지통과, 상기 힌지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힌지구멍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상기 힌지통의 양 끝단과 결합되도록 상단 양 끝단에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너클과, 상기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반대측 힌지너클에 힌지의 하폴더 삽입부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힌지홈과, 상기 안테나가 위치하는 편의 힌지너클에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힌지홈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기 상폴더 개폐시 상기 연장부에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안테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전동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는,
    상기 안테나가 안착되도록 상단 한쪽 측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안테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상기 연장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연장부의 끝단에 결합된 힌지기어와;
    상기 안테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된 안테나기어와;
    상기 힌지기어 및 상기 안테나기어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안테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회전력을 상기안테나회전축에 전달시키는 동력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2-0052439A 2002-09-02 2002-09-02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39A KR100464732B1 (ko) 2002-09-02 2002-09-02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39A KR100464732B1 (ko) 2002-09-02 2002-09-02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11A true KR20040021011A (ko) 2004-03-10
KR100464732B1 KR100464732B1 (ko) 2005-01-05

Family

ID=3732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439A KR100464732B1 (ko) 2002-09-02 2002-09-02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516A1 (en) * 2011-10-18 2013-04-25 Reconrobotics. Inc. Integral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4996B1 (en) * 1997-08-28 2003-05-28 University of Washington Saccharide-containing composition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amyloidoses
KR20010028652A (ko) * 1999-09-22 2001-04-06 서평원 폴더형 단말기의 안테나 위치 가변장치
KR100469420B1 (ko) * 2002-04-04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2020A (ko) * 2002-07-3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설치구조
KR20040016651A (ko) * 2002-08-19 2004-02-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4732B1 (ko)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0584A1 (en)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082289B2 (en) Folder driv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KR100593544B1 (ko)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2171324A (ja) 折畳式携帯電話機
KR20010028989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464732B1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4951A (ko)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6739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9885B1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30037286A (ko)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휴대폰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100652627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KR20030000656A (ko)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479611B1 (ko)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KR20040016651A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5956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KR200429006Y1 (ko) 가로형 디스플레이 기능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7381B1 (ko)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7992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JP2002204295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のlcd表示部構造
JP2003087375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KR100396265B1 (ko) 힌지 수단에 채용된 스크롤 키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