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611B1 -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611B1
KR100479611B1 KR10-2002-0050740A KR20020050740A KR100479611B1 KR 100479611 B1 KR100479611 B1 KR 100479611B1 KR 20020050740 A KR20020050740 A KR 20020050740A KR 100479611 B1 KR100479611 B1 KR 10047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older
upper folder
mobile phon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767A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6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 하나씩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와 결합되는 힌지너클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상단부의 중앙에 한 쌍의 힌지너클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힌지통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폴더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폴더를 개방하였을 때 하폴더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상폴더를 개방하면 안테나가 사용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고 상폴더를 닫으면 안테나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 Mobile phone having antenna on upper folder }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의 전자파가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상폴더에 구비시킴으로써 상폴더가 개방되면 안테나가 사용자의 두부와 멀어지게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이동통신가입자들로 인해 휴대폰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고, 휴대폰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크기의 휴대폰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키패드와 마이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하폴더와, 그 하폴더에 대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자 및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스피커를 구비하는 상폴더와, 원활한 송수신을 위해 하폴더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항상 전자파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체에 설치된 안테나는 대부분 하폴더의 상부면의 일측에 구비되어있으며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사용중 인출된 안테나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및 안테나로 집중되는 전자파는 직접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안테나를 통한 전자파의 피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휴대폰 안테나가 제시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휴대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휴대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안테나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휴대폰은 안테나를 자동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본체(10)의 장착홈(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18)에는 그 회전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28)가 연설된다. 그 액튜에이터(28)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가역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튜에이터(28)는 본체(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물론 전원은 본체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액튜에이터(28)는 그것의 작동에 따라 가역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로드(30)를 구비한다. 그 구동로드(30)의 단부에는 톱니(3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로드(30)에 톱니(30a)가 구비됨에 따라 회전체(18)의 측방에도 그 톱니(30a)에 치합되는 치차(18a)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액튜에이터(28)에는 안테나(26)의 전개 또는 수축작용에 따라 구동로
드(3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구동로드의 회전각도 및 액튜에이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메인보드(32)에 연결되어있다. 메인보드(32)에는 안테나의 뽑힘 및 복귀를 감지하여 메인보드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액튜에이터(28) 자체 및 구동로드(30)의 회전방향을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접점스위치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안테나(26)의 하부에는 접촉단자(34)가 설치되며, 회전체(18)에는 그 접촉단자(34)가 접촉 가능한 접촉 스위치(36)가 설치된다. 그 접촉스위치(36)는 접촉단자(34)와의 접촉여부를 메인보드(32)에 전달하여 그 메인보드로 하여금 액튜에이터의 작동 및 구동로드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튜에이터의 작동 및 구동로드의 회전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 스위치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체(1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들 중 하나의 버튼(38)으로 하여금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은, 안테나의 자동 굽힘 작동 및 이에 관련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메인보드에 입력되어 있거나 프로그램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폰은 안테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서는 액튜에이터(28) 및 구동로드(30), 톱니(30a)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내부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제작 방법이 어려워지고 휴대폰의 생산단가가 높아지며 휴대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상폴더를 개방하면 안테나가 사용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고, 상폴더를 닫으면 안테나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 하나씩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와 결합되는 힌지너클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상단부의 중앙에 한 쌍의 힌지너클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힌지통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폴더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폴더를 개방하였을 때 하폴더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안테나가 상폴더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폴더의 개방각이 커지게 되면 하폴더에 간섭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폴더의 상단 한쪽 측면에 안테나를 구비한다.
또한, 상폴더를 개방하였을 때 안테나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게되면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므로, 안테나는 상폴더의 외측면 쪽으로 기울어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안테나를 결합시키면 상폴더를 개방하였을 때 안테나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전파 수신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테나가 사용자의 두부와 한층 더 멀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의 양을 줄일 수 있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폴더의 상단에 안테나를 결합시킨 경우의 형상을 도시한다.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은, 하폴더(50) 상단부의 양 끝단에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너클(52)이 형성되어있고, 상폴더(40) 상단부의 중앙부에 한 쌍의 힌지너클(52)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통(42)이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폴더형 휴대폰의 상폴더에 안테나(60)를 구비시키면, 상폴더(40)를 개방하였을 때 안테나(60)가 하폴더(50)에 간섭되어 상폴더(40)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게되므로, 상폴더(40)와 하폴더(50)의 결합부 구조를 변경시켜야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은, 상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 하나씩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너클(110)을 구비하는 상폴더(100)와, 상단부의 중앙에 한 쌍의 힌지너클(110)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힌지통(210)을 구비하는 하폴더(200)와, 상폴더(100)를 개방하였을 때 하폴더(200)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폴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안테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300)가 외부로 인출되는 안테나봉을 구비하지 않는 고정형 안테나일 경우에는 상폴더(100) 상단부의 어느 위치에라도 결합될 수 있지만, 외부로 인출되는 안테나봉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안테나봉을 상폴더(100) 내부에 인입시키기 위하여 힌지너클(110)부를 회피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측면도이다.
상폴더(100)는 힌지너클(11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하폴더(200)와 결합되어있으며, 상폴더(100)의 상단부에 안테나(300)가 형성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안테나(300)는 외부로 인출되는 안테나봉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안테나봉을 상폴더(100)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힌지너클(110)이 위치하는 부분을 회피하여 상폴더(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있다.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폴더(100)가 개방되면 상폴더(300)가 회전됨에 따라 안테나(300)도 회전하여 안테나(300)의 방향은 하폴더(200)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폴더(100)가 하폴더(200)와 평행하도록 개방되는 경우에는 안테나(300)가 하폴더에 간섭되지만, 통상 사용되는 폴더형 휴대폰은 상폴더(100)와 하폴더(200)의 개방각이 150°내외로 지정되므로 안테나(300)는 하폴더(200)에 간섭되지 아니한다.
이때, 상폴더(100)의 내부에 인입된 안테나봉을 외부로 인출시키면 안테나(100)는 한층 더 사용자의 두부와 멀어지게되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자파의 감소효과가 향상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3a에 도시된 휴대폰의 경우, 상폴더(100)를 개방시키면 안테나(300)가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전파 수신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4a에 도시된 휴대폰이다.
도 3a에 도시된 휴대폰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00)를 상폴더(100)의 외측면 쪽으로 기울여 장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안테나(300)가 구비되면 상폴더(100)의 내부에 인입되는 안테나봉과 상폴더(100)가 평행을 이루지 못하게되지만, 안테나봉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폴더(100)내부로의 인입이 가능해진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폴더(100)를 개방시키게되면 도 3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테나(300)는 사용자의 두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도 3c에 도시된 휴대폰과 달리, 안테나(300)의 끝단이 방향이 지면을 향하지 아니하고 공중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전파 수신율은 향상되게된다. 또한, 상폴더(100)의 내부에 인입되어있는 안테나봉을 상폴더(100) 외부로 인출시켰을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효과 차이가 더욱 커지게된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폰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안테나(300)가 사용자의 두부와 멀어지게 되므로 전자파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테나(300)의 끝단 방향이 공중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전파 수신율도 높일 수 있게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상폴더를 개방하면 안테나가 사용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고, 상폴더를 닫으면 안테나가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가 회전하는 휴대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안테나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폴더의 상단에 안테나를 결합시킨 경우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상폴더를 개방시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폰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폴더 110 : 힌지너클
200 : 하폴더 210 : 힌지통
300 : 안테나

Claims (3)

  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 하나씩 내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있으며 힌지와 결합되는 힌지너클을 구비하는 상폴더와;
    상단부의 중앙에 한 쌍의 힌지너클 사이에 위치되어 힌지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힌지통을 구비하는 하폴더와;
    상폴더의 상단부에 상폴더의 외측면 쪽으로 기울어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폴더를 개방하였을 때 하폴더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 안테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폴더의 상단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3. 삭제
KR10-2002-0050740A 2002-08-27 2002-08-27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47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740A KR100479611B1 (ko) 2002-08-27 2002-08-27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740A KR100479611B1 (ko) 2002-08-27 2002-08-27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767A KR20040018767A (ko) 2004-03-04
KR100479611B1 true KR100479611B1 (ko) 2005-03-30

Family

ID=3732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740A KR100479611B1 (ko) 2002-08-27 2002-08-27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661U (ko) * 1999-01-13 2000-08-05 허일권 유해 전자파 장해를 감소시킨 휴대용 전화기
KR20010046480A (ko) * 1999-11-12 2001-06-15 박규진 안테나가 하향 설치된 휴대폰
KR20010067529A (ko) * 2001-02-06 2001-07-13 윤선혜 전자파 피해방지 휴대폰 단말기
KR20030041372A (ko) * 2001-11-19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윙 폴더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661U (ko) * 1999-01-13 2000-08-05 허일권 유해 전자파 장해를 감소시킨 휴대용 전화기
KR20010046480A (ko) * 1999-11-12 2001-06-15 박규진 안테나가 하향 설치된 휴대폰
KR20010067529A (ko) * 2001-02-06 2001-07-13 윤선혜 전자파 피해방지 휴대폰 단말기
KR20030041372A (ko) * 2001-11-19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윙 폴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767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KR100521715B1 (ko)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US7215981B2 (en) Folder type mobile phone
JP2867863B2 (ja) 携帯無線機
KR200174766Y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20050122551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479611B1 (ko) 상폴더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9990024287A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16651A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464732B1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26771B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841298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350274Y1 (ko) 휴대폰
JP2003087375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KR20030000656A (ko)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619889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7696B1 (ko) 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5956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JP4424504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330186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보호구조
KR20050079262A (ko) 휴대폰
KR100523910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자동인출장치
KR100539669B1 (ko) 휴대폰의 폴더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