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447A - 테이퍼형 강관전주 - Google Patents

테이퍼형 강관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447A
KR20040020447A KR1020020052051A KR20020052051A KR20040020447A KR 20040020447 A KR20040020447 A KR 20040020447A KR 1020020052051 A KR1020020052051 A KR 1020020052051A KR 20020052051 A KR20020052051 A KR 20020052051A KR 20040020447 A KR20040020447 A KR 2004002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tapered
tapered steel
connecto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627B1 (ko
Inventor
황민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6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퍼형 강관을 연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테이퍼형 강관전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200)는,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결합 위치에 관통구멍(211, 221)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테이퍼형 강관(210, 220)과, 테이퍼형 강관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232, 233)가 지지부(23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테이퍼형 강관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구멍(232a, 233a)이 삽입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230) 및, 테이퍼형 강관 및 삽입부의 관통구멍에 연통 삽입되고 고정되어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하는 볼트(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테이퍼형 강관을 연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제작성이 크게 향상되고,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함에 따라 외관이 계단형태를 갖지 않고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므로 외관이 수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이퍼형 강관전주{Tapered steel distribution poles}
본 발명은 강관전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연강판을 테이퍼형 강관으로 제작하고, 이러한 테이퍼형 강관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별도의 연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테이퍼형 강관전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전주는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콘크리트전주는 그 제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크리트전주의 대략 5배 정도로 고가이기는 하지만, 제작성 및 시공성이 편리한 강관전주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강관전주는 직경이 다른 원통형 강관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강관(100, 110)을 확관 및 축관하여 서로 결합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20, 130)의 둘레에 플랜지(140, 150)를 각각 설치한 후 이 플랜지(140, 150)를 볼트(160) 등으로 서로 조립함으로써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확관 및 축관하여 결합할 경우에는 확관 및 축관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그 작업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부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랜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강관의 둘레에 용접 등을 통해 플랜지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플랜지가 강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강관전주는 직경이 다른 강관을 계단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또한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강관전주는 도체인 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는 절연재를 피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절연재를 피복하는 것은 사람이 전주에 닿았을 때에 혹시 모를 감전 등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다. 이렇듯, 종래의 강관전주는 별도의 절연재를 전주의둘레에 피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연강판을 테이퍼형 강관으로 제작하고, 이러한 테이퍼형 강관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수려한 테이퍼형 강관전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관전주의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결합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테이퍼형 강관전주 210, 220 : 테이퍼형 강관
211, 221 : 관통구멍 230 : 연결구
231 : 지지부 232, 233 : 원통형 삽입부
232a, 233a : 관통구멍 240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는,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결합 위치에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테이퍼형 강관과, 상기 테이퍼형 강관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가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형 강관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상기 삽입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테이퍼형 강관 및 상기 삽입부의 관통구멍에 연통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200)는 테이퍼형 강관(210, 220)을 연결구(230)로 연결하고, 이들을 결합부재인 볼트(240) 등으로 체결하여 결합한 것이다.
상기 테이퍼형 강관(210, 220)은 상부 및 하부직경이 서로 달라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진 원통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형 강관(210, 2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열연강판을 가공 및 용접하여 테이퍼진 일체형 강관을 제작하고, 이런 일체형 강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므로, 절단된 테이퍼형 강관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면 일체형 강관과 같이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전주를 구성하기 위해 상하로 위치하는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접촉면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즉, 상부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강관(210)의 하단 직경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강관(220)의 상단 직경은 동일하게 된다. 또한,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결합 위치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211, 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211, 221)은 결합부재인 볼트(240) 등이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구(230)는 테이퍼형 강관(210, 22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구(230)는 지지부(231)를 기준으로 상하에 직경이 다른 원통형 삽입부(232, 233)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직경이 작은 원통형 삽입부(232)는 상부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강관(21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다른원통형 삽입부(233)는 하부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강관(22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지지부(231)는 테이퍼형 강관(210)에 각각 밀착된다. 이 때, 연결구(230)의 원통형 삽입부(232, 233)가 서로 동일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연결구(230)는 일정 강성을 갖도록 구성하되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절연체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구(230)의 원통형 삽입부(232, 233)에는 상기 테이퍼형 강관(210, 2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1, 221)에 대응하는 관통구멍(232a, 23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232a, 233a)은 볼트(240) 등이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퍼형 강관(210, 220)에 연결구(230)를 끼우고 조절하면, 상기 관통구멍이 서로 연통하여 볼트(240) 등이 삽입가능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의 제작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일정 길이를 갖는 열연강판을 가공 및 용접하여 테이퍼진 일체형 강관을 제작한다. 그런 다음, 시공하고자 하는 전주의 높이 및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일체형 강관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도 2a와 같은 테이퍼형 강관(210, 220)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결합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구멍(211, 221)을 각각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2a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230)의 원통형 삽입부(232, 233)를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내측에 삽입하되, 관통구멍이 서로 연통되도록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러면, 테이퍼형 강관(210, 220)의 하단 및 상단이 연결구(230)의지지부(232)에 각각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관통구멍에 볼트(240)를 끼우고 너트로 조임으로써 테이퍼형 강관(210, 220)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도 2b와 같은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200)가 완성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는 테이퍼형 강관을 연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제작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는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함에 따라 외관이 계단형태를 갖지 않고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므로 외관이 수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는 절연재료로 구성된 연결구를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절연재를 전주의 둘레에 피복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는 열연강판을 테이퍼형 강관으로 제작하고, 이러한 테이퍼형 강관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맞는 단(2단, 3단 등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테이퍼형 강관전주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다수의 원통형 강관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강관전주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결합 위치에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테이퍼형 강관과,
    상기 테이퍼형 강관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가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형 강관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상기 삽입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테이퍼형 강관 및 상기 삽입부의 관통구멍에 연통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테이퍼형 강관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강관전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삽입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강관전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절연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강관전주.
KR1020020052051A 2002-08-30 2002-08-30 테이퍼형 강관전주 KR10093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51A KR100931627B1 (ko) 2002-08-30 2002-08-30 테이퍼형 강관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51A KR100931627B1 (ko) 2002-08-30 2002-08-30 테이퍼형 강관전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447A true KR20040020447A (ko) 2004-03-09
KR100931627B1 KR100931627B1 (ko) 2009-12-14

Family

ID=3732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051A KR100931627B1 (ko) 2002-08-30 2002-08-30 테이퍼형 강관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78B1 (ko) * 2006-11-10 2007-10-10 이상근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101015902B1 (ko) * 2008-06-16 2011-02-23 (주)강산조명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20110071836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케이티 조립식 강관전주의 상부 및 하부강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987B1 (ko) * 2011-03-28 2013-05-06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연결 이음 콘크리트 전주
KR102335467B1 (ko) * 2021-03-18 2021-12-07 케이원(주) 조립형 가로등 등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9929U (ko) * 1976-06-16 1977-12-23
KR840001139Y1 (ko) * 1982-08-19 1984-06-30 배정호 화물적재용 차륜 승강장치
JPH06257326A (ja) * 1993-03-08 1994-09-13 Nippon Steel Corp 締結具及びそれを用いる継ぎ式鋼管柱
JPH0913743A (ja) * 1995-07-03 1997-01-14 Nippon Steel Corp 継手および継ぎ式鋼管柱
KR200272475Y1 (ko) * 1999-02-20 2002-04-17 이의근 통신전주
KR200267610Y1 (ko) * 2001-12-01 2002-03-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되는 다단 구조의 가로등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78B1 (ko) * 2006-11-10 2007-10-10 이상근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101015902B1 (ko) * 2008-06-16 2011-02-23 (주)강산조명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20110071836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케이티 조립식 강관전주의 상부 및 하부강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627B1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3246B (zh) 用於機械及結構配管之機械聯結器
KR100931627B1 (ko) 테이퍼형 강관전주
CN105569285A (zh) 组合栏杆制作方法以及组合栏杆
CN1323219C (zh) 加强的混凝土电杆
KR20180055942A (ko) 강관 전신주 연결 커플러
EP1137859A1 (en) A pole capable of supporting overhead electrical or telephone lines, lighting equipment or other
CN215009384U (zh) 一种用于集成快装墙体的接线管道
US20060012938A1 (en) Coupling set for connecting ground plate for arrest of lightning
JP2000110129A (ja) 外柵の接続具
CN211974133U (zh) 集成拼装墙板
JPS5853404Y2 (ja) 金網柵
JP3401469B2 (ja) 多段式避雷針の支持管継手装置
CN212063356U (zh) 穿线盒
JP4606774B2 (ja) 分岐付きケーブル
CN103368115B (zh) 一种固线器及一种线路布置方法
JPH11122784A (ja) 電線共同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電線保護管後入れ工法
CN219388851U (zh) 一种可拼装拆卸综合支架
KR100480450B1 (ko) 배전선 공통 연결 케이블 밴드
CN207892949U (zh) 一种二通抗震支吊架连接件
KR200352970Y1 (ko) 조립식 하우스 파이프의 용접 이음소켓
US6326552B1 (en) Insulator end fitting with non-machined annular attachment flange
JPH0689746A (ja) 接続端子
KR20010002132U (ko) 건축용 석고보드 이음구조
EP0621986B1 (en) Conductor rail system
KR200402738Y1 (ko) 전주의 완철지지용 와이형 각암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