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432A -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432A
KR20040020432A KR1020020052035A KR20020052035A KR20040020432A KR 20040020432 A KR20040020432 A KR 20040020432A KR 1020020052035 A KR1020020052035 A KR 1020020052035A KR 20020052035 A KR20020052035 A KR 20020052035A KR 20040020432 A KR20040020432 A KR 20040020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power cord
reel
reel memb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432A/ko
Publication of KR2004002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전원코드가 감기는 코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는,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내장되어 있다. 코드릴장치(100)의 일측은 베이스프레임(102)을 이루고 그 상부에는 상기 릴부재(104)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릴부재(104)의 양측에는 전원코드(110)의 이탈방지를 위한 릴판(104a)이 형성된다. 상기 릴판(104a) 사이에는 상기 릴판(104a)과 동축인 전원코드(110)가 감겨지는 스풀(104b)이 형성된다. 상기 스풀(104b) 상에는 릴부재의 회전축(106)과 동축이고 원판형상인 원형리브(20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원형리브(200)와 원형리브(200)의 사이의 넓이는 상기 릴부재(104)에 감기는 코드의 직경보다 1~2㎜ 정도 넓게 설치되어 코드(110)의 순차감김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Cord-Reel Assembly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 코드릴에 코드가 감길 때 코드의 꼬임이나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진공청소기는 전원을 동력으로 하여 형성된 진공의 흡인력으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기구이다.
진공청소기(1)의 본체(2)에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진공의 흡인력으로 목적부위로부터 이물질을 흡인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2) 내부에는 필터링장치가 내장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본체(2) 외부케이스의 일측에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흡입호스(3)가 부착되어 흡입노즐(4)로부터 흡입되어 연장관(5)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를 본체(2)의 필터링장치로 안내한다.
상기 본체(2)의 양측에는 진공청소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6)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2) 외부케이스 후면의 일측에는 전원코드(10)가 설치되며 상기 전원코드(10)의 종단에는 플러그(12)가 부착되어 있다.
진공청소기(1)의 동력원으로는 일반적으로 실내 배선된 전원을 사용한다. 실내배선된 전원은 전원코드(10)를 통해 청소기에 전달된다. 상기 전원코드(10)는 본체(2) 내부에 내장된 도 2의 코드릴장치(20)에 감겨진 채 보관되는데 보통 전원코드의 플러그(12)만이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 노출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코드릴장치(20)는 진공청소기(1)의 본체(2)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2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릴부재(24)를 포함하고 있다.
실내 배선된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코드(10)는 상기 릴부재(24)의 스풀(24b)에 감겨진다. 상기 전원코드(10)가 코드릴장치(20) 외측으로 일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22)이 있는 릴부재(24)의 양측에는 회전축과 동축인 원형의 릴판(2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릴판(24a)의 사이에 위치한 스풀(24b)은 원통형을 이루며, 릴판(24a)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2)에는 릴부재(24)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축(26)이 설치된다.
청소기의 사용중에는 실내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청소기의 전원코드(10)는 타 가전기기에 비하여 상당히 길다. 이러한 진공청소기(1)의 코드(10)는 청소시에는 원하는 길이만큼 풀려져서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하지만 청소가 끝나 후에는 코드(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본체(2) 내부에 잘 감겨져지게 하여 보관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통상 상기 릴부재(24)의 내부에는 스프링(28)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릴부재(24)를 멈추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전원코드(10)가 스프링(28)의 탄성에 의해서 릴부재(24)에 감겨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청소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청소가 종료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풀면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릴부재(24)는 전원코드(10)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전원코드(10)를 릴부재(24)에 감게 된다. 여기서 릴부재(24)의 내부에 설치되어 릴부재(24)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28)은 이때, 전원코드(10)가 처음 감기기 시작할 때에는 감기는 속도가 빠르고전원코드(10)가 감김에 따라서 전원코드(10)가 감기는 속도가 변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코드릴장치(20)에 전원코드가 감겨진 모습을 보여 주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코드릴장치(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스프링(28)은 릴부재(24)의 내부에 설치되어 릴부재(24)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데, 최초 동작시에는 탄성복원력이 크기 때문에 코드(10)가 감겨질 때 항상 일정한 힘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전원코드(10)가 감겨지기 시작하는 최초시점에는 강한 탄성력이 전원코드(10)에 작용하게 되어 강하게 전원코드(10)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최초에 감겨지는 전원코드(10)는 순간적으로 많이 릴부재(24)에 감겨지게 되어 실재로 감겨지는 전원코드(10)가 헝클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전원코드(10)가 감겨질 때는 정리정돈이 되지 않아서 상기 릴부재(24) 위에서 헝클어지는 경우가 많다. 전원코드(10)가 감길시에는 고속감김에 따른 코드부풀림이 일어난 부분과 코드꼬임이 일어난 부분을 볼 수 있다.
코드부풀림은 릴부재의 회전의 속도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전원코드(10)가 릴부재(24)에 단단히 감기지 않고 일부가 느슨하게 감겨져 전원코드(10)의 일부가 릴부재(24)의 밖으로까지 드러나는 경우이다.
코드꼬임은 상하의 전원코드가 평행하게 감기지 못하고 일방이 타방을 가로지르며 감기게 되어 전원코드가 감기지 않고 들뜬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코드부풀림과 코드꼬임은 전원코드(10)의 고속감김이 일어나는 경우 스프링(28)이 탄성력의 작용에 의한 감김의 속도가 다른데도 기인하지만 전원코드(10)가 전체 릴부재(24) 상에 고르게 순차적으로 감김이 일어나지 않는 데에도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코드릴장치(20)는 코드부풀림이나 코드꼬임으로 인하여 진공청소기(1)의 전원코드(10)가 완전히 감기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진공청소기(1) 전원코드(1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는 보관이나 이동상에 불편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코드가 되감길 시 고속감김에 따른 전원코드의 부풀림으로 인하여 코드가 완전히 감기지 않는 점을 보완하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의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코드릴에 코드가 감긴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는 실시예의 코드릴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코드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코드릴장치 102.... 베이스프레임
104.... 릴부재 104a....릴판
104b....스풀 106....회전축
110.... 전원코드 200....원형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플러그가 종단에 설치된 피복된 도선인 전원코드와;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축과 동축인 스풀를 포함하는 릴부재와;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원형리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원형리브과 원형리브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릴부재에 감기는 코드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의 코드릴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코드릴장치(100)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2) 상에서 회전축(10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릴부재(10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릴부재(104)는, 양측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2)과 평행이 되게 설치된 원형의 릴판(104a)과, 상기 릴판(104a)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코드(110)가 감기는 스풀(104b)을 포함한다. 상기 코드릴장치(100)에는 릴부재(104)의 릴판(104a)과 스풀(104b)을 관통하는 회전축(106)이 베이스 프레임(102)에서부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릴부재(104)는 상기 회전축(10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회동에 의해서 전원코드(110)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부재(104)의 내측에는 스프링(108)이 감겨져 있어서, 상기 릴부재(104)는 항상 상기 전원코드(110)를 감는 방향으로 스프링(108)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2)의 일측에는 브레이크 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해제레버(122)와, 상기 해제레버(122)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드럼(124),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124)을 상기 릴부재(104)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1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의 사용자가 플러그(112)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전원코드(110)는 릴부재(104)에서 풀려나오게 된다.그리고 이렇게 풀려나오는 전원코드(110)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릴부재(104) 측에 밀착되어 소정의 브레이크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부재(104)는 멈춘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청소기 사용을 계속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완료된 후 상기 전원코드(110)를 릴부재(104)에 감기 위해서는 해제레버(122)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드럼(124)을 릴부재(104)에서 이격시키게 되면, 스프링(108)의 탄성복원력이 릴부재(104)에 작용하게 되어 코드(110)는 상기 릴부재(104)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0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코드가이드(132)는 상기 릴부재(104)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되면서, 릴부재(104)에 감겨지는 전원코드(1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릴부재(104)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풀(104b)의 원주상에는 원형리브(200)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지는데, 그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상기 원형리브(200)는 릴부재(104)의 코드(110)가 감기는 부위인 스풀(104b)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원형리브는 상기 회전축(106)과 동축인 원판형을 이루고, 상기 외주면에 수직을 이룬다. 상기 원형리브(200)과 원형리브(200)의 사이의 간격은 전원코드(110)의 규격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데, 보통 전원코드(110)의 지름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전원코드(110)가 각 원형리브(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감길 수 있어서, 전원코드(104)가 서로 엇갈림으로 인해 일어나는 코드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원코드(110)가 각각의 원형리브(200) 사이 공간에순차적으로 감기기 때문에 회전속도의 변화로 인한 영향을 적게 받고 전원코드(110)가 릴부재(104)에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어서 코드부풀림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원형리브(200)는 상기 릴부재(104)의 스풀(104b)의 외주면 전체면에 대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리브(200)의 반경은, 릴부재(104)에 전원코드(110)가 감길 때에 전원코드(110)의 초기꼬임과 초기부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릴부재(104)의 양측 릴판(104a)의 반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코드릴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청소기(1)를 사용하기 위하여, 코드릴장치(100)에서 코드(110)를 빼내는 과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전원코드(110)를 릴부재(104)에 감아야 한다. 전원코드(110)를 감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브레이크 장치(120)의 해제레버(122)를 누르면, 브레이크드럼(124)이 전원코드(110)가 감겨 있는 상기 스풀(104b)의 외주면에서 이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릴부재(104)를 잡고 있는 힘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릴부재(104)는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108)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코드(110)가 릴부재(104)에 감기는 경우, 상기 코드가이드(132)는 릴부재(104)에 감겨지는 전원코드(110)의 외측면을 누르게된다. 즉, 릴부재(104)의 회전에 의하여 전원코드(110)는 릴부재(104)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드가이드(132)는 스프링(108)의 탄성력에 의하여 릴부재(104)에 감겨지는 코드(110)를 외측에서 중심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형리브(200)는 전원코드(110)가 릴부재(104)에 감기는 순간에 순차적으로 감겨질수 있도록 전원코드(110)를 안내하게 된다. 즉, 종전에는 전원코드(110)가 릴부재(104)에 감기게 될 때, 스풀(104b)를 가로질러 감기게 되어 전원코드(110)가 감긴 부분과 감기지 않은 부분이 형성되고 전원코드(110)가 꼬여지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거기다가 전원코드(110)의 감김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코드(110)가 한쪽 부분에만 감기게 되어 부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원형리브(200)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원형리브(200)는 전원코드(110)가 회전축(106)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감길 수 있게 하고 릴부재(104)를 가로질러 감기는 일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원코드(110)는 원형리브(20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공간에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예를 들어, 최단부의 원형리브(200)과 릴부재(104)의 릴판(104a)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에 우선적으로 전원코드(110)가 감기게 되고, 다음으로 최단부에서 두번째에 있는 원형리브(200)과 세번째 원형리브(20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전원코드(110)가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반대편 단부에 위치한 원형리브(200)과 릴판(104a)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까지 순차적으로 전원코드(110)가 감기게 된다.
따라서, 릴부재(104)를 가로질러 감기게 되거나 일정 부분에만 치우쳐서 감기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코드릴장치(100)에 전원코드(110)를 남김없이 전부를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전원코드(110)가 감기지 않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릴부재(104)에 감긴 코드(110)가 서로 꼬이거나 부풀려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릴부재(104)의 내측에서는 원형리브(20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전원코드(110)가 순차적으로 감겨지며, 전원코드(110)의 초기꼬임이나 초기부풀림 현상의 영향이 적어 전원코드(110)를 전체길이에 대하여 릴부재(104)에 용이하게 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당업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부재 스풀의 외주면에, 릴부재의 회전축과 동축인 원형리브을 설치하여 전원코드의 감김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코드꼬임 현상과 코드부풀림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로 코드릴에 전원코드 전체가 원활하게 감길 수 있어서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전원이 공급되는, 플러그가 종단에 설치된 피복된 도선인 전원코드와;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축과 동축인 스풀를 포함하는 릴부재와;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원형리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리브과 원형리브 사이의 간격은 전원코드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KR1020020052035A 2002-08-30 2002-08-30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KR20040020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35A KR20040020432A (ko) 2002-08-30 2002-08-30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035A KR20040020432A (ko) 2002-08-30 2002-08-30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432A true KR20040020432A (ko) 2004-03-09

Family

ID=3732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035A KR20040020432A (ko) 2002-08-30 2002-08-30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4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35617B2 (ja) 真空掃除機等のコ−ド巻取装置
KR20040020432A (ko) 진공청소기 코드릴장치
CN1517052A (zh) 电动吸尘器
KR20050028416A (ko) 진공청소기용 코드 권취장치
KR100539517B1 (ko)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
US9706890B2 (en) Vacuum cleaning device
KR20040048764A (ko) 진공청소기용 코드릴장치
KR20060117525A (ko) 코드 릴의 원심 브레이크
KR200372948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SU1805909A3 (en) Electric engine cord winding device
KR200272261Y1 (ko) 적재물 고정용 와이어 권취기
KR200401139Y1 (ko) 콘센트가 부착된 휴대용 전선권취드럼
JP2566275Y2 (ja) リールドラム
JP2005110780A (ja) 電気掃除機
KR200167672Y1 (ko) 진공 청소기 코드릴 장치의 코드 인입구조
KR940004441Y1 (ko) 가전기기의 자동 코드 권취기 토오크 조정장치
KR20010035708A (ko)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
KR19990048509A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KR970000326Y1 (ko) 청소기의 전원코드 인입출장치
KR20030033776A (ko) 진공청소기용 코드릴장치
KR20070035806A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KR0137433Y1 (ko) 진공청소기의 파워코드의 단선 방지장치
KR200182563Y1 (ko) 진공청소기의코드릴구동장치
KR101614060B1 (ko) 자동 호스 릴 장치의 구동 스프라켓
JPS63276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