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773A -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773A
KR20040019773A KR1020020051495A KR20020051495A KR20040019773A KR 20040019773 A KR20040019773 A KR 20040019773A KR 1020020051495 A KR1020020051495 A KR 1020020051495A KR 20020051495 A KR20020051495 A KR 20020051495A KR 20040019773 A KR20040019773 A KR 2004001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onic money
charge
card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2674B1 (ko
Inventor
전시현
Original Assignee
에이캐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캐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캐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9Rechargeabl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각각의 SAM은 대응되는 전자화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며, 전자화폐의 아이디,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한다. 각각의 SAM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충전인증모듈은 대응되는 SAM으로부터 비보안데이터를 수신한다. 충전상카드인증모듈은 각각의 충전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이로써, 각 충전상이 구비하고 있는 충전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자화폐 발행사가 발행한 전자화폐를 공통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선불카드 발행사의 중복투자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harging digital cash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불카드, 전자지갑 등의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전자화폐에 일정한 금액을 충전하는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불카드는 일정한 금액을 카드에 충전한 후 사용하는 대용화폐로서, 교통카드를 시초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불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어 카드 내에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한 플라스틱 카드로 외부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분류된다. 접촉식 카드는 금도금한 접촉면을 통하여 통신하며, 비접촉식 카드는 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통신한다.
선불카드는 사용전에 일정금액을 카드에 충전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충전장치가 각 충전소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이다. 기존의 전자화폐 충전 단말기의 충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전상에 구비된 충전 단말기에 선불카드를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면, 선불카드는 충전요청 인증자를 생성하여 충전 단말기에 일정금액의 충전을 요청한다. 충전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충전상카드는 충전요청인증자에 대한 확인과정을 거쳐 충전승인인증자를 생성한다. 이 때, 충전상카드는 자신이 보유한 충전가능금액에서 충전금액을 감하게 된다. 충전승인인증자를 수신한 선불카드는 해당 충전금액을 증가시킴으로써 충전과정은 종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 단말기는 선불카드 발행사별로 선불카드와 충전 단말기간의 프로토콜이 상이하여 충전상이 구비한 충전 단말기에 대응되는 선불카드에 대해서만 충전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A충전상에서는 A사가 발행한 선불카드만 충전이 가능하므로, B사가 발행한 선불카드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B사 충전 단말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충전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상카드에 충전가능금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선불카드 발행사에 접속하여 충전을 요청하여야 하며, 충전상 수수료의 계산 역시 각사별로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충전 단말기를 통한 충전뿐만 아니라, 선불카드 소지자가 인터넷을 통해 충전하는 경우에도 자신이 소지한 선불카드 발행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충전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불카드 소지자는 자신이 소지한 선불카드 발행사의 웹사이트주소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각각의 선불카드 발행사별로 충전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중복투자의 문제를 낳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충전상이 구비하고 있는 충전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전자화폐 발행사가 발행한 전자화폐를 공통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충전상이 구비하고 있는 충전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전자화폐 발행사가 발행한 전자화폐를 공통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충전시스템의 구성 및 데이터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A사 전자화폐로부터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A사 전자화폐로 전송되는 충전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B사 전자화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요청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d는 B사 충전 SAM 및 C사 충전SAM에서 출력되는 비보안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f는 충전인증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g는 B사 전자화폐가 인식할 수 있는 충전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A사 충전 단말기를 이용하여 B사 전자화폐에 충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은, 대응되는 전자화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며,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상기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 및 상기 SAM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상카드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통합SAM;을 구비한다.
상기 통합SAM은, 상기 SAM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SAM으로부터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충전인증모듈; 및 상기 충전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충전상카드인증모듈;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상기 잔액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인증모듈은 상기 충전상카드인증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잔액, 충전금액, 및 충전 후 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인증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SAM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상카드는 전자화폐 정산부에 금액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정산부로부터 수신된 충전승인에 의해 충전금액을 증가시키며, 상기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내역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화폐 정산부는 상기 충전상카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충전내역을 기초로 다른 전자화폐 발행사와 충전상 수수료 및충전비용을 정산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방법은, 대응되는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상기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상카드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인증한 후 거래날짜, 및 SAM에서 생성한 사인을 포함하는 충전승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충전승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잔액, 충전금액 및 충전후 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래날짜, 및 상기 SAM에서 생성한 사인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화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상기 잔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충전상이 구비하고 있는 충전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자화폐 발행사가 발행한 전자화폐를 공통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충전시스템의구성 및 데이터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A, B, 및 C사의 전자화폐 및 B사 및 C사의 충전SAM을 구비한 A사의 충전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은 도시된 개수 이상의 타사 충전SAM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사 충전 시스템(100)은 A사 충전 단말기(110), A사 충전상카드(120), 및 A사 전자화폐 정산시스템(130)으로 구성된다.
A사 충전 단말기(110)는 전자화폐(160, 170, 180)로부터 충전요청데이터를 수신하고, 충전을 요청한 전자화폐에 대한 승인을 수행한다. 또한, A사 충전 단말기(110)는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A사 충전상카드(120)로 출력하며, A사 충전상카드로부터 전달받은 충전승인정보에 따라 충전을 요청한 전자화폐에 금액의 증가를 승인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A사 충전상카드(120)는 A사 전자화폐 정산시스템(130)에 금액충전을 요청하고, A사 전자화폐 정산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된 충전승인에 의해 충전금액을 증가시킨다. 또한, A사 충전상카드(120)는 충전내역을 A사 전자화폐 정산시스템(130)으로 전송하며, A사 전자화폐 정산시스템(130)은 수신된 충전내역에 따라 B사 및 C사와 금액을 정산한다.
A사 충전 단말기(110)에 의한 A사 전자화폐(160)에 대한 금액충전과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사 충전 단말기(110)는 A사 전자화폐(160)으로부터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를 A사 충전상카드로 전달한다. A사 전자화폐(160)로부터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의 일예가 도 2a에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충전요청데이터는 전자지갑 ID, 전자지갑 잔액, 전자지갑 거래 카운터, 전자지갑에서 생성한 난수, 전자지갑 만기일, 알고리즘 ID 및 전자지갑에서 생성한 서명을 포함한다.
A사 충전상카드(120)는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에 대한 확인과정을 거쳐, 충전정보를 A사 전자화폐(160)로 전송한다. 도 2b에는 A사 전자화폐(160)로 전송되는 충전정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충전정보는 거래날짜, SAM ID, PPSAM 난수/SAM 거래 카운터, 및 SAM에서 생성한 사인을 포함한다. 충전정보를 수신한 A사 전자화폐(160)는 충전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충전과정은 종료된다.
A사 충전 단말기(110)는 B사 충전 SAM(112-1), C사 충전SAM(112-2), 및 통합SAM(114)을 구비한다.
B사 충전 SAM(112-1) 및 C사 충전SAM(112-2)은 대응되는 전자화폐(170, 180)로부터 해당 전자화폐(170, 180)의 ID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c에는 B사 전자화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요청데이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충전요청데이터에는 알고리즘 버전, 사용키 버전, 카드 카운터, 카드 랜덤값, 전자화폐 발행자 ID, 카드 ID, 카드잔액, 주 계좌번호, 및 전자화폐에서 생성한 서명이 포함된다.
B사 충전 SAM(112-1) 및 C사 충전SAM(112-2)은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전자화폐(170, 180)의 충전요청을 승인하고, 전자화폐(170, 180) ID, 카드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한다. B사 충전 SAM(112-1)및 C사 충전SAM(112-2)에서 출력되는 비보안데이터의 일예가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비보안데이터는 암호화되지 않는 데이터로서 카드 ID, 카드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한다.
통합SAM(114)은 B사 충전 SAM(112-1) 및 C사 충전SAM(112-2)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A사 충전상카드(120)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통합SAM(114)은 B사 충전인증모듈(114-1), C사 충전인증모듈(114-2), 및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2)를 구비한다.
B사 충전인증모듈(114-1) 및 C사 충전인증모듈(114-2)은 각각에 대응되는 B사 충전SAM(112-1) 및 C사 충전SAM(112-2)으로부터 비보안데이터를 수신한다.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은 각각의 충전인증모듈(114-1, 114-2)로부터 전달받은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는 A사 충전상카드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구성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한다.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에서 생성한 충전승인요청정보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포맷을 가진다.
B사 전자화폐로부터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충전요청데이터를 B사 충전SAM(112-1)이 수신한 경우에,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은 B사 충전SAM(112-1)으로부터 전달받은 카드 ID,카드 잔액, 충전금액이 포함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을 하여 A사 충전상카드(120)로 전달한다. 한편, 충전승인요청정보에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생성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거래카운터, 난수, 만기일, 알고리즘 ID, 사인이 포함된다. 거래카운터는 0x00과 같은 임의의 수이며, 이와 달리,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A사 충전상카드(120)을 억세스한 횟수가 될 수도 있다. 난수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랜덤하게 발생한 수이며, 만기일은 A사 충전상카드(120)에서 인정될 수 있는 유효범위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날짜이다. 또한, 알고리즘 ID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사용하고 있는 알고리즘의 식별번호이다.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과 A사 충전상카드(120)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사인은 이상의 7개의 데이터를 조합한 후 암호화하여 생성된다.
A사 충전상카드(120)는 수신된 충전승인요청정보에 대한 확인과정을 거쳐,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을 갖는 충전승인정보를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로 전송한다.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은 A사 충전상카드(120)로부터 충전승인정보를 수신하면 B사 충전인증모듈(114-1)로 충전인증정보를 출력한다. 도 2f에는 충전인증정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충전인증정보는 카드번호, 카드잔액, 충전금액, 및 충전 후 금액을 포함한다.
B사 충전인증모듈(114-1)은 입력받은 충전인증정보를 B사 충전SAM(112-1)으로 전달하며, B사 충전SAM(112-1)은 B사 전자화폐(170)가 인식할 수 있는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B사 전자화폐(170)로 출력한다. 도 2g에는 B사 전자화폐(170)가 인식할 수 있는 충전정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충전정보는 A사 충전상카드(120)의 거래횟수를 의미하는 거래카운터, 거래구분코드, 거래시간, 및 SAM에서 생성한 서명을 포함한다. 충전정보를 수신한 B사 전자화폐(170)는 충전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충전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A사 충전 단말기(110)은 접촉식 전자화폐 인식수단 및 비접촉식 전자화폐 인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접촉식 전자화폐 인식수단은 ATR(Answer-to-reset)정보 가지고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인식하는 방법, 2F01(기본정보의 dedicated file)의 AID(Application Identification)정보를 가지고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인식하는 방법, 해당사의 명령을 주어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인식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실행하여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파악한다.
비접촉식 전자화폐 인식수단은 0섹터 0번 블록의 칩시리얼번호를 읽어 워킹키 알고리즘에 의한 키를 생성하여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인식하거나 0섹터 1번 블록의 AID정보에 의해 전자화폐의 발행사를 인식하거나 또는 발행사가 정한 일정한 워킹키로 블록을 읽어 발행사를 인식한다.
도 3은 A사 충전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B사 전자화폐(160)에 충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사 충전SAM(112-1)은 B사 전자화폐(170)로부터 수신된 알고리즘 버전, 사용키 버전, 카드 카운터, 카드 랜덤값, 전자화폐 발행자 ID, 카드 ID, 카드잔액, 주 계좌번호, 및 전자화폐에서 생성한 서명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B사 전자화폐(170)의 충전요청을 승인한다(S300). 또한, B사 충전SAM(112-1)은 B사 전자화폐의 승인 후, 수신된 충전요청데이터 중에서 B사 전자화폐(170)의 전자화폐 ID, 카드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B사 충전인증모듈(114-1)로 출력한다(S310).
B사 충전인증모듈(114-1)은 수신된 비보안데이터를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로 전달하며,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은 B사 충전SAM(112-1)으로부터 전달받은 비보안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카드 ID,카드 잔액, 충전금액이 포함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을 하여 A사 충전상카드(120)로 전달한다(S320). 한편, 충전승인요청정보에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생성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거래카운터, 난수, 만기일, 알고리즘 ID, 사인이 포함된다. 거래카운터는 0x00과 같은 임의의 수이며, 이와 달리,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A사 충전상카드(120)을 억세스한 횟수가 될 수도 있다. 난수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랜덤하게 발생한 수이며, 만기일은 A사 충전상카드(120)에서 인정될 수 있는 유효범위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날짜이다. 또한, 알고리즘 ID는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이 사용하고 있는 알고리즘의 식별번호이다.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과 A사 충전상카드(120)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사인은 이상의 7개의 데이터를 조합한 후 암호화하여 생성된다.
A사 충전상카드(120)는 수신된 충전승인요청정보에 대한 확인과정을 거쳐,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을 갖는 충전승인정보를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로 전송한다(S330). A사 충전상카드인증모듈(114-3)은 A사 충전상카드(120)로부터 충전승인정보를 수신하면 B사 충전인증모듈(114-1)로 충전인증정보를 출력한다(S340).
B사 충전인증모듈(114-1)은 입력받은 충전인증정보를 B사 충전SAM(112-1)으로 전달하며, B사 충전SAM(112-1)은 B사 전자화폐(170)가 인식할 수 있는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B사 전자화폐(170)로 출력한다(S350). 충전정보를 수신한 B사 전자화폐(170)는 충전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증가시킨다(S36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충전상이 구비하고 있는 충전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자화폐 발행사가 발행한 전자화폐를 공통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자화폐 소지자가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전자화폐 발행사의 웹사이트 또는 공통의 충전사이트에 접속하여 충전할수 있다. 나아가,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선불카드 발행사의 중복투자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9)

  1. 대응되는 전자화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며,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상기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 및
    상기 SAM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상카드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통합SA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SAM은,
    상기 SAM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SAM으로부터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충전인증모듈; 및
    상기 충전인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충전상카드인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상기 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인증모듈은 상기 충전상카드인증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잔액, 충전금액, 및 충전 후 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인증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SAM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카드는 전자화폐 정산부에 금액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화폐 정산부로부터 수신된 충전승인에 의해 충전금액을 증가시키며, 상기 전자화폐에 대한 충전내역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화폐 정산부는 상기 충전상카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충전내역을 기초로 다른 전자화폐 발행사와 충전상 수수료 및 충전비용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시스템.
  6. 대응되는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상기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상카드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인증한 후 거래날짜, 및 SAM에서 생성한 사인을 포함하는 충전승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충전승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잔액, 충전금액 및 충전후 금액을 포함하는 충전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래날짜, 및 상기 SAM에서 생성한 사인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화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상기 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방법.
  9. 대응되는 전자화폐의 아이디 및 잔액을 포함하는 충전요청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충전요청데이터 중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아이디, 상기 잔액, 및 충전금액을 포함하는 비보안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보안데이터를 기초로 충전상카드가 인식가능한 충전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충전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1495A 2002-08-29 2002-08-29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48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95A KR100482674B1 (ko) 2002-08-29 2002-08-29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95A KR100482674B1 (ko) 2002-08-29 2002-08-29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73A true KR20040019773A (ko) 2004-03-06
KR100482674B1 KR100482674B1 (ko) 2005-04-14

Family

ID=3732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95A KR100482674B1 (ko) 2002-08-29 2002-08-29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091A (ja) * 1997-09-30 1999-04-23 Toshiba Corp 複数情報記憶媒体処理システム、複数情報記憶媒体処理装置、複数icカード処理システム、複数icカード処理装置及び複数icカードアクセス方法
KR20000006591A (ko) * 1998-08-01 2000-02-07 이종인 Ic카드 다중-엑세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74248A (ko) * 1999-05-19 2000-12-15 이계철 전자카드의 충전 금액 과금 방법
KR20020016752A (ko) * 2001-05-22 2002-03-06 전영삼 알에프 카드용 다중접속 시스템 및 다중접속 방법
KR100338189B1 (en) * 2001-11-08 2002-05-24 C & C Entp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ecurity connection key value for rf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2674B1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924B2 (en) Self-authorizing token
RU232497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552186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латежных операций
US67891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ata communications between a data storage device and a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US20130211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ic chip for submission of pin data
US20180039987A1 (en) Multi-function transaction card
US200803010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mone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RU2008113214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защищенных номеров счетов в устройствах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действия
US20200111081A1 (en) Child tokens for digital wallets
KR100974028B1 (ko)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프로세서
KR100332497B1 (ko) 지문정보를 이용한 종합금융정보 전자카드수첩의 결제방법
KR20020048926A (ko) 유에스비와 알에프 칩을 결합한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0551558B1 (ko) 카드 장착 슬롯이 구비된 휴대폰을 이용한 아이씨 카드사용 방법
KR100482674B1 (ko) 전자화폐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3328937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で用いられる端末装置
KR100461350B1 (ko) 비접촉형 전자화폐용 ic카드를 이용하는 전자 지불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1665A (ko) 전자화폐의 공통 충전 시스템
KR100369250B1 (ko) 집적회로 카드를 이용한 전자지불시스템 및 전자거래방법
KR100362175B1 (ko) 전자카드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 복합 단말기
JP2000200320A (ja) 電子マネ―
KR20060063026A (ko) 지불 및 충전 동시 통합 처리에 의한 선불가치수단 간 가치 이전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1114A (ko) 전자화폐 단말기
KR20080018580A (ko) 전자카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6972B1 (ko) 전자지갑 위탁 관리 시스템
KR20060104045A (ko) 카드와 단말기 기능이 통합된 일체형 교통카드 및 교통카드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