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466A -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466A
KR20040019466A KR1020020050998A KR20020050998A KR20040019466A KR 20040019466 A KR20040019466 A KR 20040019466A KR 1020020050998 A KR1020020050998 A KR 1020020050998A KR 20020050998 A KR20020050998 A KR 20020050998A KR 20040019466 A KR20040019466 A KR 20040019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tus
signal
heart sound
heart
stim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김인영
장동표
심희연
김선정
이상민
Original Assignee
김선일
김인영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일, 김인영, 이상민 filed Critical 김선일
Priority to KR102002005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9466A/ko
Publication of KR2004001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66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foetal diagnosis; pre-natal or peri-natal diagnosis of the ba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of foet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2Measuring pulse or heart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구비한 초음파 심음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를 이용하여 산모와 태아의 심음을 측정 처리하고, 태아의 귀의 위치를 파악하여 태아의 성장 상태에 적합한 레벨의 자극을 태아에 주어 태아의 움직임을 측정하되, 산모의 심음과 알파파를 함께 합성하여 자극함으로써 태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초음파 진단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BIO-FEEDBACK FOR DETECTING FETAL HEART SOUND}
본 발명은 초음파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를 이용하여 산모와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여 처리하고, 태아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자극을 입력하여 태아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임신중인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초음파를 이용한 태아 심음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태아에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서 소리, 진동, 약한 전기적 자극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실예로 스피커 또는 진동자를 통한 소리, 음악을 제공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898,179호는 임산부 및 태아의 심장 박동을 검출하여 모니터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미합중국 특허 제4,898,179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태아에게 오디오 자극을 주는데 있어서 태아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극을 주게 되므로 과도한 압력을 태아에게 줄 위험이 있다. 즉, 종래기술은 태아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는 채 자극을 주어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태아의 귀의 위치를 찾아 태아의 귀가 발달한 정도에 따라 태아에 해를 주지 않을 정도의 최적의 자극을 주고,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태아에게 심리적 안정을 유도한 상태에서 태아의 움직임과 태아 심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아 심음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아의 심음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음파 영상부
20 : 신호 혼합부
30 : 심음 측정부
40 : 알파파 발생부
50 : 미약 전기 발생부
60 : 오디오 자극 발생부
70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모의 심음을 측정하여 저장하여 두었다가, 산모의 심음과 함께 또는 별도로 7 ~ 11 ㎐ 주파수 대역의 알파파를 태아에게 들려줌으로써 태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귀의 위치를 찾아 내어, 태아의 귀가 발달한 정도에 따라 태아에게 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최적 강도의 자극을 주도록 하며, 이 때의 자극은 산모의 심음 및/또는 알파파를 들려주어서, 태아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 태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해준 뒤에 태아의 움직임과 태아 심음 변화를 측정해 태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아 심음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아 심음 검출 장치는 초음파 영상부(10), 신호 혼합부(20), 심음 측정부(30), 알파파 발생부(40), 미약 전기 발생부(50) 및 오디오 자극 발생부(60) 및 제어부(7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초음파 영상부(10)는 프로브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태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영상을 제공한다. 그 결과, 초음파 영상부(10)로부터 태아의 귀의 위치가 확인된다. 이어서, 아무러한 자극을 태아에게 주지 않은 경우에서의 태아의 심박수와 심음을 측정(30)한 후 기록한다. 또한, 심음 측정부(30)는 산모의 심음도 함께 측정하여 기록한다.
한편, 녹음된 산모의 심음(30)과 알파파 발생부(40)에서 발생된 알파파 및미약 전기 발생부(50)에서 발생된 미약 전기, 오디오 자극 발생부(60)에서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함께 또는 별도로 자극준 후 심음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심음 신호로부터 태아의 심박수와 심음 변화를 확인하고, 초음파 영상부(10)를 통해 태아의 움직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아의 심음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초음파 영상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태아의 귀 위차를 확인한다(단계 S100). 이어서, 태아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하여 기록한다(단계 S110). 또한, 산모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하여 기록한다(단계 S120).
이어서, 알파파 발생부(40)로부터 알파파를 발생시키고(단계 S130), 오디오 자극 발생부(60)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자극과(단계 S140), 미약 전기 발생부(50)로부터 발생된 미약 전기(단계 S150)를 신호 혼합부(20)에서 자극 신호를 혼합시키거나 또는 개별 자극을 시도한다(단계 S170). 이어서, 태아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하여(단계 S180) 태아의 놀람을 확인(단계 S190)하여 태아가 놀라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자극의 강도를 감소한다(단계 S210). 단계 S190에서 태아의 놀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자극의 강도를 유지한다(단계 S200).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태아의 귀의 위치를 확인하고 자극을 준 다음, 그 반응을 살펴 본 후에 최적의 입력 자극을 주게 되므로, 태아에게 과도한 자극이 가해져서 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아의 성장에 따라 귀의 발달 정도가 달라지므로, 그 발달 정도에 따라 강도를 달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산모의 심음과 마음을 안정시키고 편안하게 만드는 알파파를 태아에게 들려줌으로써 태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태아에게 지속적으로 과도한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극의 강도를 조금씩 증가시키면서 태아의 반응을 확인한 후 입력을 가해주므로 태아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

Claims (2)

  1.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고, 태아에 자극을 주어 태아의 움직임과 심음 변화를 측정하는 초음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태아의 귀 부위에 상기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영상부;
    심음 측정부가 측정한 산모의 심음과, 알파파 발생부가 발생시킨 알파파와, 미약 전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미약 전기와, 오디오 자극 발생부에서 생성한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합성하여 상기 태아의 귀 부위에 자극하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혼합부; 및
    상기 신호 혼합부가 합성하여 생성한 혼합 신호가 상기 태아의 귀에 인가되고 상기 태아가 이에 대해 반응하여 심음 측정부가 측정한 심음 및 태아의 움직임을 모니터하여 상기 신호 혼합부가 합성하여 생성하는 혼합 신호의 강도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 초음파 심음 측정 장치.
  2.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고 태아에게 자극을 주어 태아의 움직임과 심음 변화를 측정하는 초음파 진단 방법에 있어서,
    초음파 영상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태아의 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태아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산모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단계
    알파파, 오디오 자극 신호, 미약 전기 신호 및 상기 산모의 심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혼합하여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자극 신호를 태아에 인가하고 변화된 태아의 심음 및 심박수를 측정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자극 신호에 대한 태아의 반응을 확인하여 자극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아의 귀에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방법.
KR1020020050998A 2002-08-28 2002-08-28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40019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98A KR20040019466A (ko) 2002-08-28 2002-08-28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98A KR20040019466A (ko) 2002-08-28 2002-08-28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66A true KR20040019466A (ko) 2004-03-06

Family

ID=3732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998A KR20040019466A (ko) 2002-08-28 2002-08-28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94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1548A (zh) * 2017-02-22 2018-08-28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胎心音处理方法、装置和一种胎心音检测设备
CN108451547A (zh) * 2017-02-20 2018-08-28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胎心音数据的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75A (ko) * 1993-11-11 1995-06-15 김용만 태아감시장치
JPH08154933A (ja) * 1994-12-05 1996-06-18 Casio Comput Co Ltd 心音計
KR980000743U (ko) * 1996-06-22 1998-03-30 태아음 청진기
KR20030029660A (ko) * 2001-10-05 200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아 정서 인식을 이용한 태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75A (ko) * 1993-11-11 1995-06-15 김용만 태아감시장치
JPH08154933A (ja) * 1994-12-05 1996-06-18 Casio Comput Co Ltd 心音計
KR980000743U (ko) * 1996-06-22 1998-03-30 태아음 청진기
KR20030029660A (ko) * 2001-10-05 200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아 정서 인식을 이용한 태교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1547A (zh) * 2017-02-20 2018-08-28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胎心音数据的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CN108451547B (zh) * 2017-02-20 2021-04-13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胎心音数据的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CN108451548A (zh) * 2017-02-22 2018-08-28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胎心音处理方法、装置和一种胎心音检测设备
CN108451548B (zh) * 2017-02-22 2020-11-27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胎心音处理方法、装置和一种胎心音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4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tal audio stimulation
EP0015258B1 (en) Hearing faculty testing apparatus
US202100186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astographic and viscoelastographic imaging
US6984209B2 (en) Harmonic motion imaging
JP2009501041A (ja) 電磁波による脈拍検出を伴う除細動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336575B1 (ko) 조사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의료용 초음파 장치
US4485823A (en) Apparatus for diagnosing environmental tissue of tooth
Gélat et al. Evaluation of fetal exposure to external loud noise using a sheep model: quantification of in utero acoustic transmission across the human audio range
CN211749628U (zh) 一种可进行一对多原位测听的微型测听装置
KR20040019466A (ko) 바이오 피드백 기능이 구비된 태아 심음 검출 방법 및 장치
US6485434B1 (en) Apparatus for acoustic percussion of a body
Kim et al. Investigation of displacement of intracranial electrode induced by focused ultrasound stimulation
WO2002071938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coustically evoked brain potentials
EP1057453B1 (en) Electronic foetal heart simulator
JPS59500455A (ja) 耳の病気を診断するための装置
CN109009151A (zh) 变压纯音测听装置和方法
JP2022059739A (ja) 超音波装置
Stojanović et al. Simple vibroacoustic foetal stimulator
JP2007050076A (ja) 胎児観察装置
JPH04246334A (ja) 核磁気共鳴検査装置
CN117598697A (zh) 一种基于个人设备的听力检测方法
SU8910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кохлеографии
Delory et al. OdiSEA: An autonomous portable auditory screening unit for rapid assessment of hearing in cetaceans
JP2007296053A (ja) 胎児用聴覚刺激装置
JPS58331B2 (ja) オ−ジオメ−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