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364A -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무선 송신기 - Google Patents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무선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364A
KR20040019364A KR10-2004-7001125A KR20047001125A KR20040019364A KR 20040019364 A KR20040019364 A KR 20040019364A KR 20047001125 A KR20047001125 A KR 20047001125A KR 20040019364 A KR20040019364 A KR 2004001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component
detector
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삼미카엘
Original Assignee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1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3/00Angle modulation
    • H03C3/38Angle modulation by converting amplitude modulation to angle modulation
    • H03C3/40Angle modulation by converting amplitude modulation to angle modulation using two signal paths the outputs of which have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and at least one output being amplitude-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H04L27/364Arrangements for overcoming imperfections in the modulator, e.g. quadrature error or unbalanced I and Q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16Stabilisation of local oscil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주파수 믹서(1)의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조절 회로 장치는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공급하는 공통-모드 신호 성분 검출기(5)를 포함한다. 비교기(8)는 상기 DC 성분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에 따라 공통-모드 레벨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을 제어한다. 아날로그 고주파 프런트 엔드는 상기 공통-모드 레벨 조절에 의해 이동 무선 송신기를 형성하기 위해 기저대 칩에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온도 및 에이징으로 인한 드리프트 효과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 무선 송신기{CIRCUIT ARRANGEMENT FOR THE REGULATION OF A DIRECT COMPONENT OF A SIGNAL AND MOBILE RADIO TRANSMITTER}
고주파 믹서로서 설계되어 작동되는 특히 아날로그 승산기 회로에서, 유효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에는 일정한 기지의 DC 성분을 가진 신호가 제공된다. 고주파 믹서의 입력이 전류 입력으로 형성되는지 아니면 전압 입력으로 형성되는지에 따라, 입력 신호의 DC 성분은 DC 전압 오프셋 또는 DC 전류 오프셋으로서 제공된다.
이동 무선 용도에서는, 통상적으로 2개의 기능 유닛이 제공되는데, 즉 대개 분리된 집적 회로(IC)내에 배치된, 기저대 신호 처리 유닛 및 통상적으로 아날로그 회로 기술로 형성되는 고주파 처리 유닛이다. 송신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기저대 프로세서에서 소정 채널 코딩 및 변조 방법에 따라 처리되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내의 기저대 블록의 출력에서 아날로그 신호, 즉 시간 및 값이 연속하는 신호로 변환된다. 기저대 칩의 출력에 제공된,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통상적으로동위상 성분(I) 및 직교 성분(Q)을 가진 복소수값 신호로서 제공되고, 상기 I 및 Q 신호 성분은 통상적으로 대칭 또는 차동 신호로서 안내된다.
변조, 예를 들면 직교 변조에 의해 고주파 반송파로 주파수 변환을 일으키는 후속 기능 블록에는 전술한 고주파 믹서가 제공되고, 상기 믹서는 기저대로부터 고주파 위치로의 주파수 변환을 가능하게 하고 출력측에서 예컨대 송신 안테나에 결합된다. 전술한 기저대 처리 블록 및 후속 접속된, 아날로그 형성된 기능 블록은 통상적으로 각각 하나의 집적 반도체 칩 상에 배치된다. 고주파 믹서의 입력측에는 일정한, 기지의 DC 성분을 가진 신호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속된 기저대 칩은 그 출력에 알맞는 DC 성분을 제공해야 한다.
주파수 믹서의 소정 작동점에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입력측 DC 전압 성분 또는 DC 전류 성분이 고정된 공차 내에서만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여러 기저대 칩은 제조 공차를 가진 상이한 DC 성분을 출력한다.
본 발명은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를 구비한 이동 무선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압 입력을 가진 주파수 변환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전류 입력을 가진 주파수 변환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
도 3은 이동 무선 송신기 내의 직교 변조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믹서의 입력에 접속될 수 있고 여러 기저대 신호 처리 회로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상기 회로 장치를 구비한 이동 무선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로 장치와 관련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 변조기의 입력에 공급될 수 있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조기,
- 변조기의 입력에 접속되어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 제 1 입력이 검출기의 출력에 결합되고 제 2 입력에는 설정 신호가 공급될수 있는 비교기, 및
- 검출기 앞에 접속되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진, 입력 신호의 DC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시된 원리에 따라, 변조기의 입력측에서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미리 주어진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회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설정값은 변조기의 작동을 위해 적합하고 예컨대 그 작동점 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앞에 접속된 블록, 예컨대 기저대 신호 처리 유닛의 출력 신호 DC 성분과의 무관함이 주어진다.
입력 신호가 대칭 신호로서 주어지면, 즉 푸시풀(push-pull) 신호로 주어지면, 신호의 DC 성분은 공통-모드(common mode) 성분을 의미한다.
변조기의 입력이 전압 입력으로서 형성되면, DC 성분은 DC 전압 성분을 의미한다. 변조기의 입력이 전류 입력으로서 형성되면, DC 성분은 입력 신호의 DC 전류 성분을 의미한다.
본 원리는 제조 공차의 보상과 더불어, 온도 및 에이징에 기인한 드리프트 효과 및 그로 인해 변하는 입력 신호의 DC 성분이 보상된다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저역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저역 필터는 검출기의 출력을 비교기의 제 1 입력에 결합시킨다.
특히, 하나의 라인에만 입력 신호가 존재할 때, 소위 싱글엔드형(single-ended fashion)에서는, 저역 필터의 인터포지션(interposition)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역 필터는 조절 루프의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조기의 입력 및 검출기는 대칭 입력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입력 신호의 소위 차동 신호 전송은 높은 간섭 강도와 더불어 입력 신호의 DC 성분의 간단한 검출 가능성을 제공한다.
대칭 입력 신호로서 신호의 가이드시 저역 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기는 입력 신호의 DC 전압 성분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변조기 입력이 전압 입력으로서, 즉 높은 옴 저항으로 형성되면, 검출기에서 입력 신호의 오프셋을 검출하기 위해 DC 전압 성분이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기는 2개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들은 일 연결에 의하여 변조기의 대칭 입력의 각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연결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상기 검출기의 출력에 접속된다.
DC 전압 성분, 즉 대칭 신호의 공통-모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검출기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진 2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는 특히 간단한 회로 실시예이다.
입력 신호가 전압 신호로서 주어지면, 검출기 앞에 접속된, 입력 신호의 DC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로서 형성된다. 상기 레벨 시프터는 비교기에 의해 제공된 DC 성분을 입력 신호의 DC 성분에 가산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감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기는 입력 신호의 DC 전류 성분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본 조절 회로가 변조기, 예컨대 고주파 믹서의 전류 입력에 접속되면, 검출기는 바람직하게는 입력 신호의 DC 전류 성분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본 회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기는 각각 하나의 제어 입력을 가진,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입력은 변조기의 대칭 입력의 한 입력 단자에 결합되며,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의 직렬 회로가 검출기의 출력에 결합된다.
특히 간단한 회로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는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전류원이 접속되고, 상기 전류원은 그 입력이 변조기의 각각 하나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며 그 출력은 전류 제어 전압원의 입력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 장치는 변조기의 입력에서 2개의 제어된 전류원을 조절함으로써, DC 전류 성분을 미리 주어진 기준값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조절 루프의 피드백 경로에 배치된 저역 필터의 한계 주파수가 충분히 낮게 선택되면, 상기 회로 장치는 대칭의 실시예 대신에 하나의 라인에만 신호를 가이드하는 방식으로(싱글엔드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조기는 변조기의 입력에 접속된 제 1 입력, 반송 주파수를 가진 신호가 공급될 수 있는 제 2 입력, 및 변조된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출력을 가진 주파수 믹서를 포함한다.
변조기가 직교 변조기로서 형성되면, 바람직하게는 2개의 주파수 믹서가 제공된다. 상기 주파수 믹서 중 하나는 유효 신호의 동위상 성분에 의해 제어되고, 다른 하나는 유효 신호의 직교 성분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믹서의 2개의 유효 신호 입력에서 DC 성분 조절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리는 특히 이동 무선 분야의 송신기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원리는 예컨대 호모다인 및 헤테로다인 전송 아키텍처에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상향 주파수 믹서가 차례로 접속되면, 차례로 접속된 다수의 주파수 변환기의 유효 신호 입력에는 각각 하나의 회로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사항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대칭 기저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입력(2), 반송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국부 발진기 입력(3) 및 고주파 출력(4)을 포함하는, 주파수 변환기로서 형성된 고주파 믹서(1)를 도시한다. 고주파 믹서(1)의 입력(2, 3) 및 출력(4)은 차동 신호의 가이드를 위해 대칭으로 설계된다. 고주파 믹서(1)는 유효 신호 입력(2)에 인가되는 기저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킨다.
고주파 믹서(1)의 입력(2)에는 검출기(5)가 접속된다. 상기 검출기(5)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진 2개의 저항(6)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6)의 한 단자는 각각 대칭 입력(2)의 한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저항의 다른 단자는 검출기(5)의 출력을 형성하면서 서로 접속된다. 검출기(5)의 상기 출력은 조절의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AC 소자로 형성된 저역 필터(7)를 통해 연산 증폭기로서 형성된 비교기(8)의 반전 입력에 접속된다. 비교기(8)의 비반전 입력은 설정 전압 레벨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9)에 접속된다. 상기 비교기(8)는 레벨 시프터(10)의 제어 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레벨 시프터(10)의 출력은 직접 검출기(5)의 입력에 그리고 그에 따라 믹서(1)의 입력(2)에 접속된다. 기저대 신호 또는 복소수 값의 기저대 신호의 성분이 대칭 신호로서 레벨 시프터(10)의 입력에 공급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10)의 입력은 대칭의 기저대 입력(11)에 접속되고, 상기 기저대 입력은 예컨대 기저대 신호 처리 유닛의 출력에 접속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들(10)은 함께 믹서(1)의 입력(2)에 공급 가능한 입력 신호의 DC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수단을 형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소오스 폴로어(source follower)로서 형성된다.
도 1은 도 1에서와 같이 부가 믹서의 입력에 동일한 결선을 제공하는 무선 이동 송신기의 동상 신호 경로, 즉 직교 신호 경로에 대한 조절 회로만을 도시한다.
상기 믹서(1)는 정확한 기능을 위해 기지의 고정 공통-모드 전압, 즉 입력 단자(2)에서 고정 DC 전압 레벨을 필요로 한다. 상기 공통-모드 DC 전압 성분은 동일한 크기의 저항(6)에 의해 비교기(5)의 출력에 제공되며 실제값으로서 비교기(8)의 반전 입력에 공급된다. 전술한 대칭의 실시예에서, 저역 필터(7)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단락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저역 필터(7)는 특히 믹서 입력(2)의 싱글엔드형 실시예에서 전송될 유효 신호를 억압한다. 저역 필터(7)는 또한 조절 루프의 피드백 경로에 배치됨으로써 그것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연산 증폭기(8)는 필터링된 실제값을 단자(9)로부터 입력(2)에 제공된 공통-모드 신호 성분의 설정값과 비교하고, 설정값과 실제값의 편차에 따라 2개의 레벨 시프터(10)를 제어한다. 상기 레벨 시프터(10)는 레벨 시프터(10)의 출력에 있는 DC 전압 성분을 상기 편차에 따라 변동시킨다. 이로 인해, 조절 루프의 과도 진동 후에 믹서 입력(2)에는, 단자(9)에 공급되는 설정값에 상응하는 공통-모드 전압이 세팅된다. 소오스 폴로어로서 형성된 레벨 시프터(10)의 게이트-소오스 전압은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0)의 전류에 의존한다.
도 1에 따른 조절 장치의 변형예에서 라인 상에서 대칭 신호 전송 대신에 비대칭 신호 전송이 선택되면, 저역 필터(7)의 한계 주파수가 비교적 낮게 설정됨으로써, 유효 신호가 필터링되어 조절 회로 장치 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예컨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따른 이동 무선 송신기에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거기서는 기저대 신호가 비교적 고주파이기 때문이다.
도 1에 따른 회로는 소정 작동점에서 믹서(1)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도시된 회로 앞에 거의 임의의 출력 신호 DC 성분을 가진 집적회로를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에이징 및 온도로 인한 드리프트 효과가 보상됨으로써, 믹서(1)의 작동점의 드리프트가 피해진다.
도 2는 유효 신호 입력(2)이 전류 입력으로서 형성된 고주파 믹서(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검출기(5)와 공통-모드 신호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만이 도 1에 따른 회로에서와 달리 실시되고, 나머지는 구성 및 기능 면에서 도 1에 따른 회로에 상응하므로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2에 따라 검출기(5)는 각각 하나의 제어 입력 및 2개의 부하 단자를 가진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13)을 포함한다. 부하측에서 기준 전위 단자(14)와 저역 필터(7)의 입력 사이에는 제어된 전압원들(13)이 서로 직렬 접속으로 접속된다. 전류 제어 전압원(13)의 제어 입력은 각각 하나의 입력 단자를 통해 믹서(1)의 대칭 입력(2)에 접속되고, 공통-모드 신호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의 대칭 출력에 접속된다.
출력측에서 비교기(8)에는 각각 하나의 제어된 전류원(15)의 제어 입력이 접속되고, 상기 전류원(15)은 부하측에서 제어된 소오스(13)의 제어 입력을 통해 믹서(1)의 대칭 입력(2)에 결합된다. 제어된 전류원(15)은 기준 전위 단자(14)에 접속된다.
도 2에 따라 믹서(1)는 기저대 입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차동 전류 입력을 갖는다. 도 2에 따른 회로의 전류 입력(11)에 접속 가능한 기저대 칩은 일정한 공통-모드(CM) 직류(DC) 성분을 가진 전류 신호 형태의 기저대 유효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CM-DC 전류를 믹서(1), 특히 그 작동점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직류는 매우 간단한 실시예에서 저항으로 형성될 수 있는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1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전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7)를 통해 비교기(8)에 공급된다. 연산 증폭기(8)는 상기 실제 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실제 신호와 설정 신호 사이의 편차에 따라 2개의 제어된 전류원(15)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된 전류원은 부하측이 믹서(1)의 입력(2)에 접속된다. 제어된 전압원(13)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양호하게 쌍을 이루는 전류원(15)은 상기 편차에 따라 입력 신호의 DC 전류 성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도 2에 따른 회로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는 비대칭 회로 기술로 즉, 싱글 엔드 신호의 가이드를 위해 설계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역 필터(7)의 한계 주파수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회로는 전술한 DC 성분 조절에 의해 믹서(1)가 소정 작동점에서 작동될 수 있고 동시에 예컨대 이동 무선 변조기의 고주파 유닛이 거의 임의의 공통-모드 성분을 가진 기저대 신호 처리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조절이 정상 모드, 즉 송신 모드에서 항상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즉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제조로 인한, 온도로 인한 그리고 에이징으로 인한 드리프트 효과 및 공차가 보상될 수 있다.
도 3은 이동 무선 송신 장치의 직교 변조기(16)에 적용된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이동 무선 송신 장치는 기저대 신호 처리 블록(20)을 포함한다.
직교 변조기(16)는 2개의 고주파 믹서(1)를 갖는데, 그들 중 하나의 신호 입력은 동위상 신호 경로(I)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신호 입력은 복소수값 유효 신호의 직교 신호 경로(Q)에 접속된다. 또한, 주파수 믹서(1)의 다른 입력에는 국부 발진기 신호, 즉 발진기(17)에 의해 제공되며 분주기(18)에서 주파수가 하향 분할된 국부 발진기 신호가 첫째로는 변함 없이 그리고 둘째로는 90°위상 편이되어 공급될 수 있다. 주파수 믹서(1)의 신호 출력은 가산 소자(19)에 접속되며, 상기 가산 소자는 그 출력에 예컨대 송신 안테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주파 신호를 제공한다.
고주파 믹서(1)의 입력측에서, 동위상 신호 경로(I), 및 직교 신호 경로(Q)에는 각각 본 원리에 따른 공통-모드 레벨의 조절 회로 장치가 예컨대 도 1 또는 도 2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조절 회로 장치는 각각 공통-모드 레벨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이 앞에 접속된 검출기(5)를 포함하고 입력측이 고주파 믹서에 접속된다. 또한, 비교기(8)가 피드백 경로에 제공되며, 상기 비교기는 검출기(5)에 의해 제공된 실제 신호를 단자(9)에 공급 가능한 설정 공통-모드 값과 비교하고, 설정값과 실제값 사이의 편차에 따라 각각 공통-모드 레벨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을 제어한다.
I 및 Q 신호 경로에 제공된, 공통-모드 레벨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의 입력측에는 기저대 신호 처리 블록(20)이 접속된다.
검출기(5)와 비교기(8) 사이의 피드백 경로에는 추가로 저역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고주파 믹서(1)가 전압 입력을 갖는지 아니면 전류 입력을 갖는지에 따라, 공통-모드 조절을 위해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믹서(1)의 소정 작동점에 따라 단자(9)에는 상응하는 공통-모드 설정값이 공급될 수 있다.
입력에 상기 공통-모드 레벨 조절 회로 장치를 가진 직교 변조기(16)는 차동 신호의 가이드를 위해 완전히 대칭 회로 기술로 형성된다.
2개의 비교기(8)의 단자(9)는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직교 변조기(16)는 I 및 Q 신호를 고주파 반송 신호로 변조시킨다. 믹서(1)의 규정된 작동점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입력측 제어가 적합하다. 이로 인해, 기저대 칩의 출력측에 제공된 유효 신호의 DC 성분과의 무관함이 주어진다. 따라서, 도 3에 따른 상기 변조기가 아날로그 회로 기술로 구성된 고주파 프런트 엔드로서, 이동 무선 송신기의 형성을 위해 거의 임의의 기저대 칩과 조합될 수 있다.

Claims (9)

  1.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있어서,
    변조기(16)의 입력(2)에 공급될 수 있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조기(16),
    상기 변조기(16)의 입력에 접속되는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5),
    상기 검출기(5)의 출력에 결합되는 제 1 입력 및 원하는 신호가 공급될 수 있는 제 2 입력을 가진 비교기(8), 및
    상기 검출기(5)의 상류에 접속되며, 상기 비교기(8)의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진, 상기 입력 신호의 DC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의 출력을 상기 비교기(8)의 제 1 입력에 결합시키는 저역 필터(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16)의 입력(2) 및 상기 검출기(5)가 대칭 입력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가 상기 입력 신호의 DC 전압 성분을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는 2개의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저항들은 일 연결에 의하여, 상기 변조기(16)의 대칭 입력 신호(2)의 각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연결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상기 검출기(5)의 출력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가 상기 입력 신호의 직류 성분을 검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7.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는 상기 변조기(16)의 대칭 입력(2)의 각각의 입력 단자에 결합된 각각의 제어 입력을 가진,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13)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류 제어 전압원(13)의 직렬 접속은 상기 검출기(5)의 출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16)는 상기 변조기의 입력에 접속되는 제 1 입력(2), 반송 주파수를 가진 신호가 공급될 수 있는 제 2 입력(3), 및 변조된 고주파 신호가 도출될 수 있는 출력(4)을 가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믹서(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DC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9. DC 성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수단(12)의 유효 신호 입력(11)에 접속되는, 유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을 가진 기저대 신호 처리 유닛(20)을 갖는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로 장치를 구비한 이동 무선 송신기.
KR10-2004-7001125A 2001-07-27 2002-07-24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무선 송신기 KR20040019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6741A DE10136741A1 (de) 2001-07-27 2001-07-27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eines Signal-Gleichanteils und Mobilfunksender
DE10136741.4 2001-07-27
PCT/DE2002/002712 WO2003012977A2 (de) 2001-07-27 2002-07-24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eines signal-gleichanteils und mobilfunkse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64A true KR20040019364A (ko) 2004-03-05

Family

ID=769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125A KR20040019364A (ko) 2001-07-27 2002-07-24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무선 송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89181B2 (ko)
EP (1) EP1415391B1 (ko)
KR (1) KR20040019364A (ko)
CN (1) CN100477487C (ko)
DE (2) DE10136741A1 (ko)
WO (1) WO20030129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88110C (zh) * 2004-12-16 2010-02-03 Nxp股份有限公司 具有对无线通信设备发射路径的补偿装置的直接转换装置
FR2892577B1 (fr) * 2005-10-21 2008-01-25 St Microelectronics Sa Etage radiofrequence commandable a gain/attenuation variable, en particulier incorpore dans la chaine de transmission d'un telephone mobile cellulaire, et procede de commande correspondant
JP2009105726A (ja) * 2007-10-24 2009-05-14 Panasonic Corp 高周波電力検波回路及び無線通信装置
US11539384B2 (en) 2020-08-07 2022-12-27 Analog Devices, Inc. DC detector for a transmit datapath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821A (ja) * 1983-08-18 1985-03-05 Nec Corp 送信出力電力制御装置
FI96811C (fi) 1993-11-30 1996-08-26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piirijärjestely D/A-muuntimen DC-erojännitteen kompensoimiseksi
EP0693823B1 (de) 1994-07-18 2001-04-18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igitale Modulationseinrichtungen
US5471665A (en) * 1994-10-18 1995-11-28 Motorola, Inc. Differential DC offset compensation circuit
JP2877081B2 (ja) * 1996-06-26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
US6091934A (en) * 1997-09-02 2000-07-1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power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beam satellite amplifiers
CA2310220A1 (en) * 1997-11-17 1999-05-27 Ericsson Inc.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oversampling of narrow bandwidth signals and dc offset compensation
JP3898830B2 (ja) * 1998-03-04 2007-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バンド無線端末装置
US6154158A (en) 1998-06-30 2000-11-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to-analog converter D.C. offset correction comparing converter input and output signals
JP3540204B2 (ja) * 1999-07-02 2004-07-07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直交変調器及びそれを備える移動体通信機、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36741A1 (de) 2002-10-31
WO2003012977A3 (de) 2003-08-07
WO2003012977A2 (de) 2003-02-13
EP1415391B1 (de) 2005-01-12
EP1415391A2 (de) 2004-05-06
CN100477487C (zh) 2009-04-08
US20040157568A1 (en) 2004-08-12
CN1533631A (zh) 2004-09-29
US7689181B2 (en) 2010-03-30
DE50202011D1 (de)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6920A1 (en) Comparator with offset canceling function and D/A conversion apparatus with offset canceling function
KR100474085B1 (ko) 디씨 오프셋 보상 회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신호 처리장치
US20040198262A1 (en) Integrated RF signal level detector usable for automatic power level control
US6774739B2 (en) Frequency converter, orthogonal demodulator and orthogonal modulator
US7848453B2 (en) Independent LO IQ tuning for improved image rejection
KR100382864B1 (ko) 개선된 90°이상기
US7277689B2 (en) Transmission arrangement with power regulation
KR20040019364A (ko) 신호의 직류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이동무선 송신기
CN112928993A (zh) 用于检测本地振荡器泄漏和图像音调的系统和方法
KR100961260B1 (ko) 직교 변조 시스템에서 반송파 누설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US7009449B2 (en) Adjustable gain amplifier arrangement with relaxed manufacturing constraints
EP1652292B1 (en) Offset correction for down-conversion mixers
US11973477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7415077B2 (en) Transmission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mobile radio
US8213882B2 (en) Voltage converting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4716579A (en) Phase corrector
US6850113B2 (en) Demodu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9197176B2 (en) Amplification device and transmitter
US7960959B2 (en) Input current controller arrangement and method
EP1676363B1 (en) Transconductance circuit
US6791409B2 (en) Feedforward amplifier and feedforward amplification method
EP1977526B1 (en) A method of reducing d.c. offset
US2006014197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rect conversion reception device
KR100470718B1 (ko) 직류 오프셋 제거 장치
US6515543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nonlinear pa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