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350A - 에틸렌 및 그의 상호중합체의 중합 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 및 그의 상호중합체의 중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350A
KR20040019350A KR10-2004-7000972A KR20047000972A KR20040019350A KR 20040019350 A KR20040019350 A KR 20040019350A KR 20047000972 A KR20047000972 A KR 20047000972A KR 20040019350 A KR20040019350 A KR 20040019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titanium
ziegler
chloroform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러돈켄트
둘리케네스알란
무어글렌에드워드
노블래리앨런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filed Critical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1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01Monomer polymerized in vapor state in presence of transition metal containing cataly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03Monomer polymerized in presence of transition metal containing catalyst and hydrocarbon additive affecting polymer properties of catalyst activ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티타늄 함유 지글러-나타 촉매의 활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특정한 양으로 클로로포름이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신규한 연속식 기상 중합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틸렌 및 그의 상호중합체의 중합 방법{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INTERPOLYMERS THEREOF}
폴리에틸렌의 제조를 위해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지글러-나타 촉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 5,863,995호, 제 5,990,251호, 제 4,657,998호 및 제 3,354,1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에탄 형성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거나, 또는 기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990,251호에서는,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티타늄계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는 폴리에틸렌 제조를 위한 중합 공정에서 중합시의 촉매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고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양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의 몰비가 0.001 내지 0.15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게다가, 할로겐화 탄화수소 대 티타늄의 몰비가 너무 높으면, 연속식 중합 공정에서 촉매의 활성이 확실하게 개질되지 않거나 상당히 감소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몰비가 너무 낮으면, 촉매 활성이 실질적으로 개질되지 않는다고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863,995호에는, 티타늄 함유 지글러-나타 촉매 및 특정량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제조 공정에서의 촉매 활성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할로겐화 탄화수소가 0.01 내지 1.8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대 촉매중의 티타늄 몰비로 존재한다고 언급한다. 또한,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특정량이 촉매의 평균 활성에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3,354,139호에는 용액 또는 슬러리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지글러-나타 촉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657,998호에는 티타늄 함유 촉매 성분, 이소프레닐알루미늄 및 할로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의 제조를 위한 촉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출원인은, 중합 매질에,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 티타늄 성분 및 조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 및 클로로포름을 도입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클로로포름이 0.4:1 내지 약 3.5:1의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로 존재하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연속식 기상 중합 공정에서, 클로로포름 없이 수행된 공정에 비해 촉매의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식 기상 중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중합 방법은, 중합 매질에,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다른 올레핀; 티타늄 성분 및 조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 및 클로로포름을 도입하되, 상기 클로로포름이 0.4:1 내지 약 3.5:1의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로 존재하도록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중합 매질에,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 티타늄 성분 및 조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 및 클로로포름을 도입하되, 상기 클로로포름이 0.4:1 내지 약 3.5:1의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로 존재하도록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연속식 기상 중합 공정에서, 촉매의 활성이 클로로포름 없이 수행되는 공정에 비해 증가한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
에틸렌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를 제조하는 연속식 기상 중합 공정은 임의의 적당한 연속식 기상 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공정 및 중합 반응기 작동 수단은 잘 공지되어 있고 미국 특허 제 3,709,853호, 제 4,003,712호, 제 4,011,382호, 제 4,012,573호, 제 4,302,566호, 제 4,543,399호, 제 4,882,400호, 제 5,352,749호 및 제 5,541,270호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중합 대역이 기상 단량체 및 희석제의 연속적 유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교반되거나 유동화되는 기상 중합 공정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중합 방법은 예를 들어 기상 유동층 공정과 같은 연속식 기상 공정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는 전형적으로 반응 대역 및 소위 속도 감소 대역을 포함한다. 반응 대역은 반응 대역을 통한 중합 열을 제거하는 기상 단량체 및 희석제의 연속적인 유동에 의해 유동화되는 성장중인 중합체 입자, 형성된 중합체 입자 및 소량의 촉매 입자의 층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재순환된 기체의 일부는 냉각 압축되어, 반응 대역으로 재도입될 때 순환 기체 스트림의 열 제거 능력을 증가시키는 액체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 유동의 적당한 속도는 간단한 실험으로 쉽게 결정될 수 있다. 기상 단량체의 순환 기체 스트림으로의 합류(make up)는 입자상 중합체 생성물 및 그와 연관된 단량체가 반응기로부터 인출되고 반응기를 통과하는 기체의 조성이 반응 대역 내에서 본질적으로 정상 상태 기상 조성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에서 이루어진다. 반응 대역을 떠나는 기체는 속도 감소 대역을 통과하며 여기서 비말동반된 입자가 제거된다. 더 미세한 비말동반된 입자 및 분진은 사이클론 및/또는 미세 필터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여기서 중합 열 및 압축 열이 제거된 후, 반응 대역으로 되돌아온다.
더욱 자세하게, 유동층 공정의 반응기 온도는 약 30℃ 내지 약 130℃이다.일반적으로, 반응기 온도는 반응기 내에서의 중합체 생성물의 소결 온도를 감안하여 실행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온도에서 조작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에틸렌의 중합 및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과의 상호중합체의 중합에 적합하다. 다른 올레핀은, 예를 들어 3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포함되는 것은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다른 올레핀의 상호중합체이다. 상호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전체 포함 단량체의 약 50중량% 이상인 에틸렌과 1종 이상의 올레핀의 상호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등이다. 또한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중합 매질중에서 동일반응계로 형성된 비공액 디엔 및 올레핀이다. 올레핀이 중합 매질중에서 동일반응계로 형성되는 경우, 장쇄 분지를 함유하는 에틸렌의 상호중합체 형성이 일어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지글러-나타 촉매는 산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지글러-나타 촉매는 티타늄 성분 및 1종 이상의 유기금속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촉매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촉매의 성분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촉매 성분은 용액, 슬러리 또는 건조 자유유동 분말의 형태로 유동화 층 반응기에 직접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촉매는 탈활성화 촉매의 형태로, 또는 조촉매의 존재하에 티타늄 성분을 1종 이상의 올레핀과 접촉시킴에 의해 수득된 예비중합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임의적으로 마그네슘 및/또는 염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및 염소 함유 촉매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조촉매 성분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호중합체의 중합에서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금속 성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유기금속성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티타늄 성분과 반응하는 유기금속성 조촉매 화합물은 문헌["Chemical and Engineering News", 63(5), 27, 1985]에 공개된 원소주기율표의 1, 2, 11, 12, 13 및/또는 14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함유한다. 상기 형식에서, 족들은 1 내지 18로 표시된다. 예시적인 상기 금속은 리튬, 마그네슘, 구리, 아연, 알루미늄, 규소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바람직한 것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알킬알루미늄 화합물 및 디알킬알루미늄 모노할라이드이다. 예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및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조촉매를 갖거나 갖지 않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티타늄 성분은 담체상에 침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촉매 담체 화합물이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담체는 산화마그네슘, 마그네슘 옥시할라이드 및 마그네슘 할라이드, 특히 염화마그네슘이다. 담체를 갖거나 갖지 않는 촉매는 실리카, 알루미나 등과 같은 고체 다공성 지지체상에 지지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티타늄 성분 및 유기금속성 조촉매 성분 이외에 통상적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전자 공여자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촉매는 용액, 슬러리 또는 건조 자유유동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의 사용량은 목적하는 양의 중합체 물질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중합 반응은 0.4:1 내지 약 3.5:1의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의 몰비로 존재하는 클로로포름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은 약 0.5:1 내지 약 3: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2:1의 몰비로 존재한다.
클로로포름은 그대로, 또는 알칸, 예를 들어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헥산,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등과 같은 액체 탄화수소중에 희석되어 중합 매질에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중합 반응을 수행할 때, 올레핀 중합을 위한 공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폴리에틸렌에 임의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는 핵형성제, 열 안정화제, 페놀계, 황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 윤활제, 정전기방지제, 분산제, 구리 독 억제제, 중화제, 발포제, 가소제, 소포제, 난연제, 가교제, 퍼옥사이드와 같은 유동성 개선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기후 안정화제, 용접 강도 개선제, 슬립(slip)제, 블로킹방지제, 연무방지제, 염료, 안료, 천연 오일, 합성 오일, 왁스, 충전제 및 고무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필름으로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캐스트 필름, 취입 필름 및 압출 코팅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널리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제조업의 다른 제품, 예컨대 몰딩된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이 충분히 개시된다면,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본 발명의 많은 다른 형태가 명백해질 것이며,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오직 예시를 위해 제시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아래 열거된 절차는 폴리에틸렌의 분석적 특성을 평가하고 실시예의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a) 밀도는 ASTM D1928에 따라 제조된 플라크(plaque)로부터 ASTM D-4883에 따라 측정;
b) 용융 지수(MI), I2는 ASTM D-1238, 조건 E에 따라 결정, 190℃에서 측정하고 dg/분으로서 보고;
c) 고부하 용융 지수(HLMI), I21은 ASTM D-1238, 조건 F에 따라 측정, 상기 용융 지수 시험에서 사용된 중량의 10.0배에서 측정;
d) 용융 유동비(MFR)=I21/I2또는 고부하 용융 지수/용융 지수; 및
e) 생성물중의 잔여 티타늄 함량. 생성물중의 잔여 티타늄 함량은 필립스 시퀀셜(Philips Sequential) X선 분광계 모델 PW 1480을 사용하여 X선 형광 분광학(XRF)에 의해 측정된다. 평가될 중합체의 샘플을 분광계상의 샘플 홀더에 부합되도록 직경 약 43mm, 두께 3 내지 5mm이고 평활한 표면을 갖는 원형 플라크로 압축 몰딩하였다. 이후 몰딩된 시험편을 XRF 장치에 배치하고 시험편중의 티타늄으로부터 발생하는 X선 형광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잔여 티타늄 함량을 알려진 양의 티타늄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보정 시료로부터 측정된 보정 커브를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잔여 티타늄 함량을 중합체 매트릭스에 대한 ppm으로서 보고하였다.
f) 촉매 또는 예비중합체의 생산성(생산성(productivity))은 반응기에 첨가된 촉매 또는 예비중합체의 파운드당 제조된 폴리에틸렌의 파운드의 비율이다.
g) 촉매의 활성은 티타늄(Ti) 밀리몰당 반응 시간(h)당 및 에틸렌 분압 0.1MPa당 폴리에틸렌의 그램수[g PE·(mM Ti)-1·h-1·(0.1 MPa)-1]로 표시된다.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4에 사용된 지글러-나타 촉매의 전이 금속 성분은 유럽 특허출원 EP 0 703 246 A1호의 실시예 1-a에 따라 제조하였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예비중합체 형태로 사용하였으며, 유럽 특허출원 EP 0 703 246 A1호의 실시예 1-b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렇게 하여, 티타늄 밀리몰당 폴리에틸렌 약 35.7그램을 함유하고, 트리-n-옥틸알루미늄(TnOA) 대 티타늄 몰비가 약 1.0인 예비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4에 사용된 연속식 중합 공정은 직경 0.74m, 높이 7m이고 속도 감소 챔버가 그 위에 탑재되는 수직 실린더로 이루어진 기상 중합용 유동화-층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반응기는 그의 하부에 유동화 격자가 제공되고, 유동화 격자 이하의 지점에서 속도 감소 챔버의 상부를 반응기의 하부에 연결하는 재순환 기체용 외부 라인이 제공된다. 재순환 라인에는 기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열 전달 수단이 장착되었다. 특히 유동화 층을 통과하는 기상 반응 혼합물의 주성분을 대표하는 에틸렌, 1-헥센, 수소 및 질소 공급용 라인은 재순환 라인으로 공급한다.
유동화 격자 위에, 반응기는 약 0.7mm의 중량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분말로 이루어진 약 270kg 내지 450kg의 유동화 층을 함유하였다. 에틸렌, 1-헥센, 수소, 질소 및 소량의 다른 성분을 함유한 기상 반응 혼합물은 약 1.7ft/초(52cm/초)의 상승하는 유동화 속도로 약 290psig(2.0Mpa) 내지 약 300psig(2.1Mpa)의 압력하에 유동화 층을 통과한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촉매를 간헐적으로 반응기에 도입시켰으며, 상기 촉매는 마그네슘, 염소 및 티타늄을 포함하고 사전에, 전술된 바와 같이 티타늄 밀리몰당 폴리에틸렌 약 35.7g을 함유하고 트리-n-옥틸알루미늄(TnOA)을 Al/Ti의 몰비가 약 1.0과 같도록 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예비중합체로 전환된 것이다. 예비중합체를 반응기로 도입시키는 속도는 목적하는 생산 속도를 달성하도록 조정된다. 중합 동안, n-헥산중의 트리메틸알루미늄(TMA)의 용액을 약 2중량% 농도로 열 전달 수단의 하류에 위치한 지점에서 연속적으로 기상 반응 혼합물 재순환용 라인에 도입시켰다. TMA의 공급 속도는 TMA 대 티타늄의 몰비(TMA/Ti)로 표시되고, TMA 공급 속도(시간당 TMA의 몰수 단위) 대 예비중합체 공급 속도(시간당 티타늄의 몰수 단위)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동시에, n-헥산중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용액을 약 1중량% 농도로 연속적으로 기상 반응 혼합물 재순환용 라인에 도입시켰다. THF의 공급 속도는 THF 대 티타늄의 몰비(THF/Ti)로 표시되고, THF 공급 속도(시간당 THF의 몰수 단위) 대 예비중합체 공급 속도(시간당 티타늄의 몰수 단위)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일산화이질소(N2O)를 기체로서 기상 반응 혼합물 재순환용 라인에 첨가하였다. 기상 중합 매질중의 N2O의 농도는 부피 ppm 단위로 표시된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n-헥산중의 클로로포름(CHCl3)의 용액을 약 0.5중량%의 농도로 연속적으로 기상 반응 혼합물 재순환용 라인에 도입시켰다. CHCl3의 공급 속도는 CHCl3대 티타늄의 몰비(CHCl3/Ti)로 표시되고, CHCl3공급 속도(시간당 CHCl3의 몰수 단위) 대 예비중합체 공급 속도(시간당 티타늄의 몰수 단위)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CHCl3는 n-헥산중의 용액으로서 기상 반응 혼합물 재순환용 라인에 첨가되었다.
실시예 1
연속식 기상 공정 조건은 표 1에 제시되며 수지 특성은 표 2에 제시된다. 몰비 TMA/Ti는 7이었다. 몰비 CHCl3/Ti는 0.5였다. 몰비 THF/Ti는 0.3이었다. 중합 매질중의 일산화이질소(N2O)의 농도는 305부피ppm이었다. 1-헥센을 공단량체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조건하에서 집괴(集塊; agglomerate)없는 폴리에틸렌을 반응기로부터 189 lb/h(85.7kg/h)의 속도로 인출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생산성은 예비중합체 kg당 폴리에틸렌 220kg으로 이는 165[g PE·(mM Ti)-1·h-1·(0.1 MPa)-1]의 활성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은 밀도 0.917g/cc, 용융 지수 MI2.16(I2) 0.9dg/분 및 용융 유동 비(I21/I2) 27을 가졌다.
실시예 2
연속식 기상 공정 조건은 표 1에 제시되며 수지 특성은 표 2에 제시된다. 몰비 TMA/Ti는 7이었다. 몰비 CHCl3/Ti는 1.5였다. 몰비 THF/Ti는 0.3이었다. 중합 매질중의 일산화이질소(N2O)의 농도는 332부피ppm이었다. 1-헥센을 공단량체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조건하에서 집괴없는 폴리에틸렌을 반응기로부터 215 lb/h(97.5kg/h)의 속도로 인출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생산성은 예비중합체 kg당 폴리에틸렌 242kg으로 이는 205[g PE·(mM Ti)-1·h-1·(0.1 MPa)-1]의 활성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은 밀도 0.917g/cc, 용융 지수 MI2.16(I2) 0.9dg/분 및 용융 유동 비(I21/I2) 27을 가졌다.
실시예 3
연속식 기상 공정 조건은 표 1에 제시되며 수지 특성은 표 2에 제시된다. 몰비 TMA/Ti는 7이었다. 몰비 CHCl3/Ti는 2.0이었다. 몰비 THF/Ti는 0.3이었다. 중합 매질중의 일산화이질소(N2O)의 농도는 315부피ppm이었다. 1-헥센을 공단량체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조건하에서 집괴없는 폴리에틸렌을 반응기로부터 218 lb/h(98.9kg/h)의 속도로 인출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생산성은 예비중합체 kg당 폴리에틸렌 269kg으로 이는 240[g PE·(mM Ti)-1·h-1·(0.1 MPa)-1]의 활성에 해당한다.
폴리에틸렌은 밀도 0.917g/cc, 용융 지수 MI2.16(I2) 0.8dg/분 및 용융 유동 비(I21/I2) 27을 가졌다.
실시예 4
하기를 제외하고 실시예 3의 과정을 따랐다:
1. 반응기 루프중의 에틸렌 농도를 50.0몰%로 유지시켰다.
2. 수소 대 에틸렌의 몰비를 0.130으로 설정하였다.
3. 1-헥센 대 에틸렌의 몰비를 0.110으로 설정하였다.
4. 예비중합체 첨가 속도를 0.80 lb/h(0.36kg/h)로 고정시켰다.
5. TMA 대 티타늄 물비를 4로 설정하였다.
6. 중합 매질중의 일산화이질소(N2O)를 300부피ppm으로 유지시켰다.
7. 클로로포름 대 티타늄 몰비를 변화시켰다.
표 3에서 실행 A, B, C 및 D에 표시된 클로로포름 대 티타늄 몰비는 2.0:1, 3.0:1, 3.5:1, 및 0:1의 양으로 존재하였다. 클로로포름 대 티타늄의 네 몰비 각각에서 촉매의 활성을 측정하고 보고하였다.
상기 각각의 조건하에서 집괴 없는 폴리에틸렌이 반응기로부터 인출되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표 1, 2 및 3의 상기 데이터로부터, 하기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로포름(CHCl3)을 0.5:1 내지 3.5:1의 몰비로 첨가함으로써 클로로포름 부재하에 수행된 공정에 비해 촉매 활성이 증가한다.
본원에 기술된 발명의 형태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명백히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

  1. 중합 조건하에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을, 티타늄 성분 및 조촉매 성분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 및 0.4:1 내지 약 3.5:1의 클로로포름 대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로 존재하는 클로로포름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다른 올레핀의 중합을 위한 연속식 기상 공정에서 촉매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가 약 0.5:1 내지 약 3:1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로로포름 대 지글러-나타 촉매중의 티타늄 성분의 몰비가 약 1:1 내지 약 2:1인 방법.
KR10-2004-7000972A 2001-07-24 2002-07-10 에틸렌 및 그의 상호중합체의 중합 방법 KR20040019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12,141 2001-07-24
US09/912,141 US6635726B2 (en) 2001-07-24 2001-07-24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interpolymers thereof
PCT/US2002/021657 WO2003010213A1 (en) 2001-07-24 2002-07-10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interpolymer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50A true KR20040019350A (ko) 2004-03-05

Family

ID=2543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972A KR20040019350A (ko) 2001-07-24 2002-07-10 에틸렌 및 그의 상호중합체의 중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35726B2 (ko)
EP (1) EP1414871B1 (ko)
JP (1) JP2004536914A (ko)
KR (1) KR20040019350A (ko)
CN (1) CN1232545C (ko)
BR (1) BR0211176A (ko)
MY (1) MY132706A (ko)
WO (1) WO2003010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9492B2 (en) 2001-07-24 2004-07-0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interpolymer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4139A (en) 1955-05-18 1967-11-21 Hercules Inc Process for polymerizing olefins
US4003712A (en) 1970-07-29 1977-01-18 Union Carbide Corporation Fluidized bed reactor
US4012573A (en) 1970-10-09 1977-03-15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removing heat from polymerization reactions of monomers in the gas phase
US3709853A (en) 1971-04-29 1973-01-09 Union Carbide Corp Polymerization of ethylene using supported bis-(cyclopentadienyl)chromium(ii)catalysts
US4011382A (en) 1975-03-10 1977-03-08 Union Carbide Corporation Preparation of low and medium density ethylene polymer in fluid bed reactor
US4302566A (en) 1978-03-31 1981-11-2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eparation of ethylene copolymers in fluid bed reactor
US4543399A (en) 1982-03-24 1985-09-24 Union Carbide Corporation Fluidized bed reaction systems
US4657998A (en) 1983-08-31 1987-04-14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ethylene with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4593010A (en) 1983-08-31 1986-06-03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ethylene with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JPH07116253B2 (ja) 1986-01-21 1995-12-13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インの製造方法
FR2618786B1 (fr) 1987-07-31 1989-12-01 Bp Chimie Sa Procede de polymerisation d'olefines en phase gazeuse dans un reacteur a lit fluidise
FR2680793B1 (fr) 1991-08-30 1994-09-09 Bp Chemicals Snc Procede de fabrication d'un polymere de l'ethylene.
US5352749A (en) 1992-03-19 1994-10-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olymerizing monomers in fluidized beds
ZA943399B (en) 1993-05-20 1995-11-17 Bp Chem Int Ltd Polymerisation process
US5990251A (en) * 1993-07-13 1999-11-23 Bp Chemicals Limited Process for polymerising olefin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FR2707651B1 (fr) 1993-07-13 1995-08-25 Bp Chemicals Snc Procédé pour augmenter l'activité d'un catalyseur de type Ziegler-Natta.
FR2761998B1 (fr) 1997-04-10 1999-06-04 Bp Chemicals Snc Procede de (co-) polymerisation de l'ethylene en presence de catalyseur a base d'oxyde de chrome
US6228957B1 (en) * 1998-02-18 2001-05-08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polyethlene
US6191239B1 (en) * 1998-02-18 2001-02-20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polyethylene
US6300432B1 (en) 1999-03-30 2001-10-09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s
US6417301B1 (en) 1999-06-07 2002-07-09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ethylene/olefin interpolymers
CA2424727C (en) 2000-10-05 2010-07-27 Bp Chemicals Limited Process for the gas-phase (co-)polymerisation of olefins in a fluidised bed 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4871A1 (en) 2004-05-06
MY132706A (en) 2007-10-31
US20030027951A1 (en) 2003-02-06
BR0211176A (pt) 2004-08-10
WO2003010213A1 (en) 2003-02-06
CN1232545C (zh) 2005-12-21
CN1535285A (zh) 2004-10-06
EP1414871B1 (en) 2014-06-04
JP2004536914A (ja) 2004-12-09
US6635726B2 (en)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624B1 (ko) 에틸렌공중합용촉매조성물
US4831000A (en) Catalyst composition for preparing high density or linear low density olefin polymers of controlle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CN1214343A (zh) 烯烃聚合方法及其产品
JPH05202129A (ja) 改良されたエチレンポリマーフィルム樹脂
EP1522544B1 (en)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polyethylenes, and film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H01247405A (ja) 高密度で幅広い分子量分布のα―オレフィンポリマー製造用触媒組成物
EP1153048B1 (en)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EP1194459B1 (en)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polyolefins, and film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619123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thylene
EP1159311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ethylene
EP1414871B1 (en) Gas-polymerization process of ethylene
WO2001044320A1 (en) High activity polyethylene catalysts prepared with alkoxycarbon reagents
CA2384243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s
JP4108477B2 (ja) ボレート試薬で作成される高活性ポリエチレン触媒
JP4827962B2 (ja) ポリエチレンの製造方法
MXPA01003510A (en)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MXPA01007376A (es) Proceso para producir polietileno
EP1502924A1 (en) High activity catalysts for the polymerisation of ethylene prepared with phosphates/phosphites re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