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209A -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 Google Patents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209A
KR20040019209A KR1020020050881A KR20020050881A KR20040019209A KR 20040019209 A KR20040019209 A KR 20040019209A KR 1020020050881 A KR1020020050881 A KR 1020020050881A KR 20020050881 A KR20020050881 A KR 20020050881A KR 20040019209 A KR20040019209 A KR 2004001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r
exercise
sensor
aerobic
aerobic fi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02005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9209A/ko
Publication of KR2004001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3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wrist, e.g. wrist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4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3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pressure
    • A63B2230/30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press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ody f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자의 운동에 따른 속도, 시간 등을 디지탈로 표시 또는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모드 표시부가 구비된 조작부 및 이 조작부의 입력 신호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작동부를 갖는 유산소 헬스기구;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에 착용되며, 센서수단을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의 현재 신체상태를 감지하여 그 신호값을 상기 조작부에 표시하게 되는 센싱밴드;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각기 입력받은 신호값을 통해 운동전 입력된 데이타 정보 그리고 현재의 데이타 정보를 비교 저장하며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기구의 작동모드를 조절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A HEALTH MACHINE FOR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CRITICAL CONDITION}
본 발명은 유산소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한 운동자의 운동시 운동자의 심장박동수에 따른 혈압이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될 때 그 신호값을 입력받은 마이컴이 유산소 헬스기구를 강제적으로 제어하여 심한 운동에 따른 운동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 문화 즉, 사이버 문화의 급진적 발달에 따라 현대인들의 사회적 활동 영역이 주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건강 도모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까운 헬스장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헬스장에는 런닝 머시인, 싸이클등의 각종 운동기구 및 유산소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운동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들은 운동자가 운동하면서 자신의 운동량을 체크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마다 운동량에 따른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자의 운동속도 또는 횟수, 시간등을 표시하므로써 운동자가 그 날의 운동량을 단계적 체크하여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자신의 신체조건을 스스로 인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운동자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된 자신의 신체조건을 일일이 노트등에 기록하면서 자신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또한 메모리된 노트를 이용하여 트레이너의 지시를 받고 이를 수행하므로써 자신의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운동방식은 운동 초기 자신의 신체조건 예를 들면, 심장박동수, 몸무게, 키, 호흡량 또는 신체적 특성 등을 체크한 상태에서 트레이너의 지시를 받고 운동자가 직접 헬스기구를 조작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신체내부 조건에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그날의 신체조건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운동효과가 저하되는 한계가 있게 된다.
다시말해, 운동자의 건강 상태는 항상 가변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가변될 때마다 그에 적절한 운동량의 선택과 건강 관리 방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헬스기구등은 가변적인 운동자의 몸 상태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여 운동자에게 적합한 건강 관리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신체 조건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런닝 등을 하게 되면 평소와는 달리 심장박동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이를 운동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운동을 하게 되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한 운동자의 운동시 운동자의 심장박동수에 따른 혈압이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될 때 그 신호값을 입력받은 마이컴이 유산소 헬스기구를 강제적으로 조작 제어하여 심한 운동에 따른 운동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헬스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상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상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산소 헬스기구 110: 표시부
120: 조작부 140: 작동부
200: 센싱밴드 220: 센서수단
300: 마이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동자의 운동에 따른 속도, 시간 등을 디지탈로 표시 또는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모드가 구비된 조작부 및 이조작부의 입력 신호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갖는 유산소 헬스기구와;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에 착용되며, 센서수단을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의 현재 신체상태를 감지하여 그 신호값을 상기 조작부에 표시하게 되는 센싱밴드와;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각기 입력받은 신호값을 통해 운동전 입력된 데이타 정보 그리고 현재의 데이타 정보를 비교 저장하며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기구의 작동모드를 조절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센서수단은, 운동자의 심장박동수 감지센서, 체중센서, 체지방센서, 혈압센서, 사용자의 체질 감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는, 런닝 머시인, 사이클 머시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밴드는, 운동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며, 중간에 상기 센서수단인 센서부가 구비되어 운동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그 외측에는 신축성밴드로 양단이 매직테이프 방식으로 손목을 감싸며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센싱밴드의 센서수단과 유산소 헬스기구에 연결되는 마이컴과는 알에프 방식으로 무선 연결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헬스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밴드에 의해 제어되는 유산소 헬스기구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자가 운동하게 되는 유산소 헬스기구(100)와, 운동자가 착용하게 되는 센싱밴드(200)와, 이 센싱밴드(20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유산소 헬스기구를 제어하는 마이컴(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100)는, 운동자의 운동에 따른 속도, 시간 등을 디지탈로 표시 또는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모드 표시부(110)를 갖는 조작부(120)가 운동하는 운동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부의 입력 신호값에 따른 작동부(140)의 구동력으로 구동된다.
다시말해, 상기한 유산소 헬스기구(100)는, 헬스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구 즉, 런닝 머시인, 싸이클 머시인 등의 유산소 운동을 위한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운동자가 운동하면서 자신의 운동량을 체크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마다 운동량에 따른 표시 또는 작동 명력을 수행하는 작동모드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자의 운동속도 또는 횟수, 시간등을 표시 또는 명령하므로써 운동자가 그 날의 운동량을 단계적 체크하여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자신의 신체조건을 스스로 인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센싱밴드(200)는,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100)를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에 착용되며, 내부의 센서수단(220)을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의 현재 신체상태를 감지하여 그 신호값을 상기 조작부(120)의 표시부(110)에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센싱밴드(200)는 운동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며, 중간에 상기 센서수단(220)인 센서부가 구비되어 운동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그 외측에는신축성 밴드(240)로 양단이 매직테이프(260) 방식으로 손목을 감싸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수단(220)은, 운동자의 심장박동수 감지센서, 체중센서, 체지방센서, 혈압센서, 사용자의 체질 감별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밴드(200)의 센서수단(220)과 유산소 헬스기구(100)에 연결되는 마이컴(300)과는 알에프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마이컴(300)은, 상기 센서수단(220)으로부터 각기 입력받은 신호값을 통해 운동전 입력된 데이타 정보 그리고 현재의 데이타 정보를 비교 저장하며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100)의 작동모드를 조절하게 된다.
즉, 운동자가 유산소 헬스기구(100)를 이용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최고 혈압치를 조작부(120)의 작동모드를 통해 운동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마이컴(300)이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후 유산소 헬스기구(100)가 작동부(140)에 의해 작동되면 운동자가 착용한 센싱밴드(200)의 센서수단(220)에 의해 혈압이 측정되고 이 측정값을 마이컴(300)이 입력받아 센싱값을 취득하게 되며 이때 기존 입력된 혈압값과 비교하여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혈압이 상승되면 마이컴(300)이 강제적으로 유산소 헬스기구(100)의 작동부(140)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제어하게 되며 동시에 상승되는 혈압값과 입력된 혈압값은 유산소 헬스기구(100)의 조작부(12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는,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한 운동자의 운동시 운동자의 심장박동수가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될 때 그 신호값을 입력받은 마이컴이 유산소 헬스기구를 강제적으로 조작하여 심한 운동에 따른 운동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운동자의 운동에 따른 속도, 시간 등을 디지탈로 표시 또는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모드 표시부가 구비된 조작부 및 이 조작부의 입력 신호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작동부를 갖는 유산소 헬스기구;
    상기 유산소 헬스기구를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에 착용되며, 센서수단을 통해 운동하는 운동자의 현재 신체상태를 감지하여 그 신호값을 상기 조작부에 표시하게 되는 센싱밴드;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각기 입력받은 신호값을 통해 운동전 입력된 데이타 정보 그리고 현재의 데이타 정보를 비교 저장하며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기구의 작동모드를 조절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운동자의 심장박동수 감지센서, 체중센서, 체지방센서, 혈압센서, 사용자의 체질 감별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밴드는
    운동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이며, 중간에 상기 센서수단인 센서부가 구비되어 운동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고 그 외측에는 신축성밴드로 양단이 매직테이프 방식으로 손목을 감싸며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밴드의 센서수단과 유산소 헬스기구에 연결되는 마이컴과는 알에프 방식으로 무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KR1020020050881A 2002-08-27 2002-08-27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KR20040019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81A KR20040019209A (ko) 2002-08-27 2002-08-27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81A KR20040019209A (ko) 2002-08-27 2002-08-27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209A true KR20040019209A (ko) 2004-03-05

Family

ID=3732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81A KR20040019209A (ko) 2002-08-27 2002-08-27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92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48B1 (ko) * 2005-08-12 2013-03-20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혈압계 및 데이터 처리 장치
US9913590B2 (en) 2014-10-15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304A (ja) * 1996-09-27 1998-04-21 Nippon Colin Co Ltd 運動強度測定装置、および運動機械の運動負荷制御装置
KR20010103355A (ko) * 2000-05-09 2001-11-23 김영귀 개인 운동량 조절 시스템
KR20020030755A (ko) * 2002-02-28 2002-04-25 김웅태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304A (ja) * 1996-09-27 1998-04-21 Nippon Colin Co Ltd 運動強度測定装置、および運動機械の運動負荷制御装置
KR20010103355A (ko) * 2000-05-09 2001-11-23 김영귀 개인 운동량 조절 시스템
KR20020030755A (ko) * 2002-02-28 2002-04-25 김웅태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48B1 (ko) * 2005-08-12 2013-03-20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혈압계 및 데이터 처리 장치
US9913590B2 (en) 2014-10-15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US10736527B2 (en) 2014-10-15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186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physiological state under physical exercise
US20210084999A1 (en) Dynamic proprioception
EP1124483B1 (en) Measuring device
EP065069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fitness index
EP1405594B9 (en) Non-invasive measuring device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EP2113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val training
KR102403364B1 (ko) 피드백에 기초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635818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exertion data
US20070135264A1 (en) Portable exercise scripting and monitoring device
US20080090703A1 (en) Automated Personal Exercise Regimen Tracking Apparatus
JP2007507256A (ja) エクササイズ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エクササイズネットワーク
CA2696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hysical exertion
EP37952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user control of fitness machines
KR100839234B1 (ko) 휴대용 운동처방기
WO201513908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on exercise technique
WO2007060616A2 (en) Exerci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082788A1 (en) System and methodology for customized and optimized exercise routines
KR20040019209A (ko) 운동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유산소 헬스기구
KR101888889B1 (ko)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코어 운동기구 시스템
JPH08266698A (ja) 運動能力評価装置および運動実践支援装置
KR102436607B1 (ko) 부착형 사물인터넷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GB2448880A (en) Exercise monitoring device
KR20190059518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 연동형 전신 운동기구 시스템
KR20070082275A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트레드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614724Y2 (ja) 心拍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