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022A -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022A
KR20040018022A KR1020020050312A KR20020050312A KR20040018022A KR 20040018022 A KR20040018022 A KR 20040018022A KR 1020020050312 A KR1020020050312 A KR 1020020050312A KR 20020050312 A KR20020050312 A KR 20020050312A KR 20040018022 A KR20040018022 A KR 2004001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bustible material
combustible
separat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백두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두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두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022A/ko
Publication of KR2004001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건자재를 제조하여 쓰레기에 따른 각종 환경 문제 및 쓰레기 처리에 필요한 매립지, 대소형 소각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혼합된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로, (a)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는 전처리 탱크와; (b)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된 상기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c)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되어 이송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d)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제 1 분쇄기와; (e)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제 2 분쇄기와; (f) 상기 제 1 분쇄기와 제 2 분쇄기에서 이송된 분쇄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 1 혼합기와; (g)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이송되는 상기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제 2 혼합기와; (h)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이송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압출기; 및 (i)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소재를 이송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uilding materials using waste}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건자재로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그에 따른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가 환경오염과 맞물려 사회적인 관심거리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쓰레기 처리하는 방법은 전 근대적인 방법, 예컨대 매립, 소각 또는 분리수거 후 재활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2차 공해 유발로 인한 대기 오염, 수질 오염, 국토의 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파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와 수많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 쓰레기의 처리에 필요한 매립지, 대소형 소각장 등의 문제에 더욱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건자재를 제조하여 쓰레기로 인한 각종 환경 문제 및 쓰레기 처리에 필요한 매립지, 대소형 소각장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자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건자재로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전처리 탱크 20 : 이송기
30 : 건조기 40 : 수집 탱크
50 : 분리기 61 : 제 1 분쇄기
65 : 제 2 분쇄기 71 : 제 1 혼합기
73 : 제 2 혼합기 75 : 압출기
77 : 프레스 성형기 100 : 건자재 제조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혼합된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로, (a)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는 전처리 탱크와; (b)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된 상기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c)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되어 이송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d)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제 1 분쇄기와; (e)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제 2 분쇄기와; (f) 상기 제 1 분쇄기와 제 2 분쇄기에서 이송된 분쇄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 1 혼합기와; (g)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이송되는 상기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제 2 혼합기와; (h)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이송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압출기; 및 (i)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소재를 이송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즉, (a) 상기 쓰레기를 상기 전처리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쓰레기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쓰레기를 분리기에 이송시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단계와; (d)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단계와; (e)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단계와; (f) 분쇄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g) 상기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h) 상기 유성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상기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소재를 상기 프레스 성형기로 투입하여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자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건자재로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90)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자재 제조 장치(100)는 쓰레기가 투입되는 전처리 탱크(10)와, 전처리 탱크(10)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30)와, 건조기(30)에서 건조되어 이송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기(50)와, 분리기(50)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제 1 분쇄기(61)와, 분리기(50)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제 2 분쇄기(65)와, 분쇄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 1 혼합기(71)와, 제 1 혼합기(71)에서 이송되는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제 2 혼합기(73)와, 제 2 혼합기(73)에서 이송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압출기(75) 및 압출기(75)에서 압출된 소재를 이송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기(77)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 제조 장치(100)는 쓰레기를 활용하여 건자재로 제조하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에 따른 환경문제도 해결하고, 무한의 원자재 생산으로 부족한 자원을 제공하면서, 경제적인 이득까지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제조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건자재 제조 공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자재 제조 공정은,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혼합된 쓰레기를 전처리 탱크(10)에 투입하는 단계로부터 출발한다(91).
전처리 탱크(10)는 쓰레기 이송 수단(1)에 의해 운반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탱크(11)로, 상부에는 투입구(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중심 부분에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11) 내부의 배출구(15)에 근접하게 조절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조절기(12)는 전처리 탱크(10)에서 소정양의 쓰레기를 전처리 탱크(10)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쓰레기는 가연성 소재 예컨대, PE, PP, LD, HD, PET 그리고 폐타이어 등과 같은 각종 합성수리지류와, 불연성 소재 예컨대, 폐모래, 유리류, 폐건자재, 알루미늄, 철, 흙, 폐오니 등이 혼합된 쓰레기를 말하며, 전처리 탱크(10)에 쓰레기를 투입할 때, 작업 능률의 향상을 위해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골고루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해성 쓰레기인 병원의 적출물은 병원균의 전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소각 처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해 쓰레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출수가 많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처리 탱크(10)에서 배출된 쓰레기에 대한 건조 공정이 진행된다(92). 전처리 탱크(10)에서 배출된 쓰레기는 이송기(20)를 거쳐 건조기(30)로 공급된다. 이송기(20)는 전처리 탱크(10)의 배출구(15)의 아래에 설치되어 전처리 탱크(10)에서 배출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24)가 형성된 이송 탱크(21)와, 이송 탱크(21)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 탱크(21)로 투입된 쓰레기를 건조기(30)로 배출시키는 이송 스크루(22)를 포함한다. 물론 이송 스크루(22)의 일단은 이송 모터(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 탱크의 배출구(25)쪽을 향하고 있다.
건조기(30)는 상부에 이송기(20)에 의해 이송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34)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배출구(36)가 형성된 건조 탱크(31)와, 건조 탱크(31)를 가열시켜 쓰레기를 약 100℃로 건조시키는 가열부(도시 안됨)와, 배출구(36)에 각기 대응되게 설치되어 건조된 쓰레기를 배출구(36) 밖으로 배출시키는 이송 스크루(32)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 스크루(32)를 구동시키는 이송 모터(33)는 배출구(36)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쓰레기를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수증기와 같은 배출 가스는 건조 탱크(31)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35)로 배출시킨다. 배출 가스에는 유해 가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 공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분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93). 먼저 건조기(30)에서 배출된 쓰레기는 수집 탱크(40)로 투입되고, 수집 탱크(40)에 모인 쓰레기는 제 1 컨베이어 벨트(81)를 따라 분리기(50)로 이송된다.
분리기(50)는 제 1 컨베이어 벨트(81)에서 이송된 건조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분리 탱크(51)와, 분리 탱크(51)의 내측에 설치되며 쓰레기가 투입된 쪽에서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소정의 속도로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조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판(52)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리 탱크(51)에는 쓰레기가 투입된 쪽의 맞은 편의 일측의 모서리에서 소정의 높이에위치한 분리판(52)의 일측에 대응되게 제 1 배출구(53)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모서리에 위치한 분리판(52)의 타측에 대응되게 제 2 배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분리판(52)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쪽의 분리 탱크(51)의 모서리(제 1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높고, 제 1 모서리와 대각선 상에 있는 모서리(제 2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장 낮고, 제 2 모서리에 이웃하는 쪽에 있는 모서리(제 3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1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제 1 배출구(53)는 제 3 모서리에 위치한 분리판(52)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제 2 배출구(54)는 제 2 모서리에 위치한 분리판(52)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쓰레기가 투입되어 분리판(52)이 진동하게 되면, 쓰레기는 제 2 및 제 3 모서리가 형성된 분리 탱크(51)의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가연성 소재는 제 1 모서리 쪽으로 이동하여 제 1 배출구(53)로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불연성 소재는 제 2 모서리 쪽으로 이동하여 제 2 배출구(54)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분리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대한 분쇄 공정이 진행된다(94). 제 1 배출구(53)에서 배출된 가연성 소재는 제 2 컨베이어 벨트(82)를 타고 제 1 분쇄기(61)로 이송된다. 제 1 분쇄기(61)로 이송된 가연성 소재는 고형화되지 않은 것이 많기 때문에, 분쇄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쇄시간을 단축하면서 분쇄될 불연속 소재와의 혼합 시기를 맞추기 위해서, 가연성 소재를 -190℃ 내지 -200℃로 급속 냉동시킨 후 분쇄시킨다. 제 2 배출구(54)에서 배출된 불연성 소재는 제 3 컨베이어 벨트(83)를 타고제 2 분쇄기(65)로 이송된다. 제 2 분쇄기(65)로 이송된 불연성 소재는 상온 상태에서 일정한 형태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분쇄된다.
다음으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혼합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95). 제 1 분쇄기(61)에서 분쇄된 가연성 소재는 소정양이 제 4 컨베이어 벨트(84)를 타고, 제 2 분쇄기(65)에서 분쇄된 불연성 소재는 소정양이 제 5 컨베이어 벨트(85)를 타고 각각 제 1 혼합기(71)로 이송되어 혼합된다. 이때, 양호한 품질을 갖는 건자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의 혼합 비율은 3대4 내지 4대5의 혼합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소정양의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가 진행된다(96). 제 1 혼합기(71)에서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제 2 혼합기(73)로 이송되면 유성 경화제를 3대4대2 내지 4대5대1의 비율로 혼합하며, 3.4대4.5대2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성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성 경화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성 경화제는 방수성이 약하며 완제품 상태에서 제품을 야외에 방치하게 되면 빗물 등의 습기가 완제품에 침투하여 제품을 구성하는 쓰레기에서 침출수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성 경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완제품 상태에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팅, 접착, 고형화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계속해서 유성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97). 제 2 혼합기(73)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이송하여 압출기(75)에 투입한 다음 약 24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열융합시켜 소재 상호간의 결합을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압출된 반제품을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98). 압출기(75)에서 압출된 반제품을 이송하여 프레스 성형기(77)에 투입하여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이때, 제 1 혼합기(71)에서부터 프레스 성형기(77) 사이의 자재의 이동은 컨베이어 벨트(86)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혼합된 쓰레기를 건조, 분쇄시킨 다음 유성 경화제를 혼합하여 압출후 프레스 성형하여 건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더불어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건자재를 제조하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에 필요한 매립지, 대소형 소각장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쓰레기로 인한 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깨끗한 자연 환경보존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6)

  1.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혼합된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로,
    (a)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는 전처리 탱크와;
    (b)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된 상기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c)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되어 이송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d)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제 1 분쇄기와;
    (e)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제 2 분쇄기와;
    (f) 상기 제 1 분쇄기와 제 2 분쇄기에서 이송된 분쇄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 1 혼합기와;
    (g) 상기 제 1 혼합기에서 이송되는 상기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제 2 혼합기와;
    (h) 상기 제 2 혼합기에서 이송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압출기; 및
    (i)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소재를 이송받아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탱크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에 소정양의 쓰레기를 전처리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쓰레기를 상기 건조기로 이송하여 투입하는 이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부에 상기 이송기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건조 탱크와;
    상기 건조 탱크를 가열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배출구에 각기 대응되게 설치되어 건조된 상기 건자재를 배출구 밖으로 배출하는 이송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서 배출된 건조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수집 탱크와;
    상기 수집 탱크에 모인 상기 쓰레기를 상기 분리기로 이송하는 제 1 컨베이어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제 1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된 건조된 쓰레기가 투입되는 분리 탱크로, 상기 쓰레기가 투입된 쪽의 맞은 편의 일측의 모서리에서 소정의 높이에 제 1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의 모서리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된 분리 탱크와;
    상기 분리 탱크의 내측에 설치되며, 제 1 배출구에서 제 2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소정의 속도로 진동하면서 투입된 건조된 쓰레기를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성 소재는 상기 제 1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불연성 소재는 상기 제 2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가연성 소재를 상기 제 1 분쇄기로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 2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불연성 소재를 상기 제 2 분쇄기로 이송하는 제 3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쇄기에서 분쇄된 불연성 소재를 상기 제 1 혼합기로 이송하는 제 4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 2 분쇄기에서 분쇄된 불연성 소재를 상기 제 1 혼합기로 이송하는 제 5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기, 제 2 혼합기, 압출기 그리고 프레스 성형기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10. 제 1항의 건자재 제조 장치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으로,
    (a) 상기 쓰레기를 상기 전처리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처리 탱크에서 소정양식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쓰레기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쓰레기를 분리기에 이송시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로 분리하는 단계와;
    (d)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연성 소재를 급냉시켜 분쇄시키는 단계와;
    (e)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불연성 소재를 상온에서 분쇄시키는 단계와;
    (f) 분쇄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g) 상기 혼합된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에 유성 경화제를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h) 상기 유성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상기 압출기로 압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소재를 상기 프레스 성형기로 투입하여 소정의 형태를 갖는 건자재로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약 100℃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아래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분리판을 소정의 속도로 진동시켜 상대적으로 무거운 불연성 소재는 분리판 아래로 내려가게 하여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가 3대4 내지 4대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 및 유성 경화제가 3대4대2 내지 4대5대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소재와 불연성 소재 및 유성 경화제가 3.4대4.5대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약 240℃의 온도에서 열융합시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방법.
KR1020020050312A 2002-08-24 2002-08-24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40018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12A KR20040018022A (ko) 2002-08-24 2002-08-24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12A KR20040018022A (ko) 2002-08-24 2002-08-24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022A true KR20040018022A (ko) 2004-03-02

Family

ID=3732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312A KR20040018022A (ko) 2002-08-24 2002-08-24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7708A1 (en) * 2007-07-25 2010-07-29 Qihui Lian Disposal Method for Entirely Recycling Solid Ref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18A (ja) * 1995-07-17 1997-02-04 Kawasaki Steel Corp 粗大ごみ・不燃物ごみ処理装置
JPH10195466A (ja) * 1996-12-27 1998-07-28 Kurimoto Ltd 生ごみを含む可燃性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KR0173721B1 (ko) * 1995-11-23 1999-02-01 김종세 쓰레기 혼합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310406B1 (ko) * 1998-02-18 2001-11-02 가네코 히사시 폐기물 재자원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7426A (ko) * 2000-11-14 2002-05-21 정일섭 쓰레기 처리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18A (ja) * 1995-07-17 1997-02-04 Kawasaki Steel Corp 粗大ごみ・不燃物ごみ処理装置
KR0173721B1 (ko) * 1995-11-23 1999-02-01 김종세 쓰레기 혼합 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H10195466A (ja) * 1996-12-27 1998-07-28 Kurimoto Ltd 生ごみを含む可燃性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KR100310406B1 (ko) * 1998-02-18 2001-11-02 가네코 히사시 폐기물 재자원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7426A (ko) * 2000-11-14 2002-05-21 정일섭 쓰레기 처리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7708A1 (en) * 2007-07-25 2010-07-29 Qihui Lian Disposal Method for Entirely Recycling Solid Refuse
US8936738B2 (en) * 2007-07-25 2015-01-20 Qihui Lian Disposal method for entirely recycling solid ref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27670A (zh) 一种利用水泥窑协同处置城市生活垃圾的分选系统及其分选方法
CN101376133A (zh) 一种城市生活垃圾的回收利用方法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0818756B1 (ko) 폐플라스틱류의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 방법
KR20200092062A (ko) 재활용 폐플라스틱류의 처리법 그리고 선순환 처리시스템
KR20020015759A (ko) 하수/폐수 슬러지 및 가연성 폐기물과 음식물쓰레기건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CN101982532A (zh) 生活垃圾高热值组分制备垃圾衍生燃料的系统
US20220063148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ixture Composi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ixture Composi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Using the Same
KR100383036B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해 선별된 쓰레기의 이용방법과 가연성 물질을 이용한 대체연료 제조방법
KR100998793B1 (ko) 생활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혼합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1717722B1 (ko) 사전 안정화시킨 매립 폐기물 및 신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srf 생산방법
CN101591152A (zh) 城市垃圾处理和制备建材的连续生产系统
KR20040018022A (ko) 쓰레기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427724B1 (ko) 하수슬러지의 성형연료화 제조방법
KR101391126B1 (ko) 유기폐기물과 폐섬유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장치
RU2397030C2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KR0173721B1 (ko) 쓰레기 혼합 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08093369A1 (en) Integrated plant for separation, recovery and re-use of solid domestic waste, with production of cement and/or bricks
CN209810900U (zh) 利用鞋材、海绵、化纤类固废生产步道砖的装置
JP4050029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110252779B (zh) 一种利用矿化垃圾进行木塑板材一体化生产的工艺
KR100561216B1 (ko) 폐기물가공연료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의재생장치
KR20200093795A (ko)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구성
CN101693591A (zh) 用于处理污泥垃圾的化学组合物
KR10070418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