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569A - 음질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음질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569A
KR20040017569A KR1020020049705A KR20020049705A KR20040017569A KR 20040017569 A KR20040017569 A KR 20040017569A KR 1020020049705 A KR1020020049705 A KR 1020020049705A KR 20020049705 A KR20020049705 A KR 20020049705A KR 20040017569 A KR20040017569 A KR 2004001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quality
test
quality measurement
voic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066B1 (ko
Inventor
박재규
Original Assignee
(주)동아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엘텍 filed Critical (주)동아엘텍
Priority to KR10-2002-004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질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통신시스템의 음성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극복 가능한 저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통신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된 음질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질측정장치는,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음성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PC에 음질측정용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GUI를 제공하고, 전체 시험 과정을 제어하면서 PESQ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데이터를 비교측정하여, 측정결과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음질측정 클라이언트;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와 TCP/IP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다운받아 시험할 대상장치에 상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다시 피드백되는 수신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음질측정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코더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극복 가능한 저하요인은 제거함으로써 운용자의 시스템 유지보수시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질측정장치{VOICE QUALITY TEST SYSTEM}
본 발명은 음질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시스템의 음성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극복 가능한 저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통신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된 음질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도 유선통신시스템 및 무선가입자망(WLL), 이동전화망(CELLULAR), 개인휴대통신망(PCS), 차세대 이동통신망(UMTS, IMT-2000)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 등에서 통화품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화품질을 저하하는 여러 요인 중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내의 보코더(VOCODER)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보코더에 의한 통화품질 즉, 음질(VIOCE QUALITY)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용중인 시스템내의 보코더에 대한 품질 측정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통화를 시도하여 이때 사용되는 보코더의 품질을 음성으로 판단함으로써 보코더의 품질을 측정하는 MOS(Mean Opinion Score)방법을 사용하여 품질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수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며 사람이 직접 평가한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측정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통신시스템의 음성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극복 가능한 저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통신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된 음질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의 전체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의 동작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음질측정 서버의 구성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를 이동통신망에 적용한 실시예,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음질 시험을 측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의 메인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시험 옵션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을 구동하기 위한 옵션화면.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부호의 설명**
100;VQTS CLIENT110;통신제어부
120;시스템정보입력부130;통계데이터부
140;구동부150;음성비교모듈부
200;TCP/IP망300;VQTS SERVER
301: 프로세서302: 직렬인터페이스
303: 랜 인터페이스304: 플래시메모리
305: SDRAM306: LED표시부
310-1~310-4: RJ11잭320-1~320-4: 선로정합부(COIC)
322: COIC 제어기330: 가입자선로음성처리부(QSLAC)
332: SLAC 제어기342-1~342-4: 송신 FIFO
344-1~344-4: 수신 FIFO350: 스피커
352: 스피커 제어기400;기지국 관리장치(BSM)
500;시험대상장치510;제어국(BSC)
510-1~510-n;기지국(BTS)512-1~512-n;테스트용 이동단말기(TM)
520;이동교환국(MSC)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질측정장치는,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음성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PC에 음질측정용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GUI를 제공하고, 전체 시험 과정을 제어하면서 PESQ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데이터를 비교측정하여, 측정결과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음질측정 클라이언트;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와 TCP/IP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다운받아 시험할 대상장치에 상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다시 피드백되는 수신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음질측정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나의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에 접속되는 상기 음질측정 서버는 사용자가 임의로 증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의 전체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의 동작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질측정 서버의 구성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VOICE QUALITY TEST SYSTEM; VQTS)(10)는 TCP/IP(200)와, 음성데이터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 음질측정 클라이언트(VQTS CLIENT; 100)와, 피드백되는 수신 음성데이터를 TCP/IP망(200) 통신을 통해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하는 음질측정 서버(VQTS SERVER; 300)로 이루어져, 시험대상장치(500)의 음질특성을 측정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음질측정 클라이언트(VQTS CLIENT; 100)는 PC에 음질측정 소프트웨어(VQTS S/W)가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GUI를 제공함과 아울러 전체 측정과정을 제어하고 PESQ 알고리즘(ITU-T P.862)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정하며, 측정결과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음질측정 서버(VQTS SERVER; 300)는 TCP/IP(200)를 통해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와 접속되어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로부터 다운받은 시험용 음성 데이터를 해당 시험대상장치(500)로 전송하고, 해당 시험대상장치(500)로부터 다시 피드백되는 수신 음성데이터는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이때, TCP/IP(200)통신은 유저(USER)가 임의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음질측정 서버(300)의 수는 다수의 음성신호를 빠른 시간내에 시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증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질측정장치(10)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교환망(PSTN 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이나 전송망, VOIP망 등에서 음성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를 위하여 시험할 대상장치(500)에 본 발명의 음질측정장치(10)를 연결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10)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는 음질측정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통신제어부(110)와; 통신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음성채널의 시험이 종료되면 종료신호를 알리고 수신된 시스템 정보(시스템 즉, 음성채널의 이름 및 고정라인 번호, 이동단말기(TM)의 번호 등)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정보입력부(120); 시스템 정보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들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만들어 이를 저장하고, 이상이 감지된 시험에 대해서는 WAVE파일을 저장하는 통계 데이터부(130); GUI의 변화 및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통계 데이터부(130)의 통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입력된 옵션 설정에 따라 시험하고, 전체적인 모듈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동부(140); 및 통신제어부(130)와 연결되고 구동부(140)로부터 시험이 이루어진 음성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PESQ값을 산출하는 음성 비교 모듈부(150)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GUI를 통해 클라이언트(100)에 음질측정을 요청하면(S110), 음질측정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제어부(11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100)와 시험대상장치(500)간에 사용자 인증을 허가받는다. 그 후, 클라이언트(100)는 TCP/IP(200) 통신을 통해 서버(300)에 음성데이터를 송신하고, 시험할 대상장치(500)거쳐 서버(300)로 되돌아온 음성데이터 및 그 시스템 정보(시험대상장치의 번호 및 고정라인 번호 등)를 수신받아 시스템 정보입력부(120)에 저장한다(S120).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구동부(140)와 음성 비교 모듈부(150)를 거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험옵션에 따라 루프(LOOP)처리 및 PESQ 처리를 한다(S130~S140). 이때, 이상이 있는 시험은 통계 데이터부(130)의 통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추출된다(S150).
이러한 음질시험 과정을 거친 각 시험의 정보데이터(PESQ값이나 불량분 등) 는 통계 데이터부(130)에 저장되므로(S160), 전술한 통계 데이터부(130)는 사용자가 수행한 각 시험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함께 평균 PESQ값, 누적 불량률과 같은 통계데이터를 날짜별이나 보코더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10)의 클라이언트(100)는 TCP/IP 상에서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하여 음질측정장치의 하드웨어 즉, 서버(300)와 통신하며 이에 따라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음성데이터와 PESQ 알고리즘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험대상장치(5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루프(LOOP)기능과 음질측정장치(10)에 내장되어 있는 PESQ측정 기능을 통해 기존에 측정하지 못했던 음성 변질에 대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10)의 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도1의 100)와 접속하기 위한 랜 인터페이스부(303)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4,305);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클라이언트(도1의 10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서(301); 각 채널의 시험을 위한 음성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송수신FIFO(342-1~342-4, 344-1~344-4); MUX와 DEMUX로 구성되어 직렬(SERIAL)/병렬(PARALLEL)변환을 하는 SLAC제어기(332); SLAC제어기(332)와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QSLAC; Quad Subscriber Line Audio-processing Circuit)(330); 전화선로와 정합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 2W-4W변환, 링검출 및 후크 온/오프 기능을 제공하는 선로정합부(COIC;Central Office Interface Circuit)(320-1~320-4); 선로정합부(320-1~320-4)를 제어하기 위한 COIC제어기(322); 및 시험대상장치(도1의 500)와 연결되어 한꺼번에 4채널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RJ11잭(310-1~310-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LED표시부(306)가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의해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 제어부(352)와 스피커(350)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4개의 음성채널을 제공하여 한꺼번에 4개 음성채널을 시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클라이언트(도1의 100)에 연결되는 서버(300)의 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증설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버(300)를 시험대상장치(도1의 500)와 연결한 후, 사용자가 GUI를 통해 클라이언트(도1의 100)에 음질측정을 요청하면 클라이언트(도1의 100)는 이 정보를 TCP/IP를 통해 연결된 서버(3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서버(300)는 클라이언트(도1의 100)로부터 시험용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304,305)에 저장한 후 클라이언트(도1의 100)로부터 시험명령이전달되면 시험용 음성 데이터를 송신FIFO(342-1~342-4)를 통해 SLAC제어기(332)를 거쳐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330)로 전달하고,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330)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선로정합부(320)로 전송하며, 선로정합부(320)는 이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RJ11잭(310-1~310-4)을 통해 시험대상장치(도1의 500)측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선로정합부(320)는 시험대상장치(도1의 500)로부터 피드백되어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RJ11잭(310-1~310-4)을 통해 수신받아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330)로 전달하고,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330)는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SLAC제어기(332)를 거쳐 수신FIFO(344-1~344-4)로 전달한다. 프로세서(301)는 랜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음질측정용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면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질측정용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 서버(300)는 COIC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TCP/IP 정합 기능, 시험용 음성 신호를 다운로드하고 송출하는 기능, 송수신 신호처리를 위한 아날로그/PCM A-LAW 변환기능, 수신 음성데이터의 보고 기능, 구동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는 LED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가청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질측정장치를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내에 적용하여 통화품질을 시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5에서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면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질측정장치를 이동통신망에 적용한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음질 시험을 측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질측정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TCP/IP(200)와 음질측정 클라이언트(100) 및 다수의 음질측정 서버들(300)로 이루어진 음질측정장치(10)와, TCP/IP(200)와 연결되어 호 설정을 제어하는 기지국 관리장치(Base Station Manager; BSM)(400), 및 측정할 대상인 시험대상장치(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지국 관리장치(400)는 TCP/IP(200)와 연결되어 테스트용 이동단말기(512-1~512-n)와 음질측정장치 사이에 해당되는 보코더 채널을 통해 호 설정을 제어한다.
시험대상장치(5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 관리장치(400)로부터 연결되어 기지국(BTS; 510-1~510-n)과 이동단말기(TM;512-1~512-n)를 제어하는 제어국(BSC;510)과, 이동단말기(512-1~512-n)와 제어국(510)과의 통신을 위하여 유무선 변환 기능을 하는 기지국(510-1~510-n)과, 테스트용 이동단말기(512-1~512-n), 및 이동교환국(MSC;52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512-1~512-n)의 정보는 기지국(510-1~510-n)과 제어국(510)을 거쳐 이동교환국(520)에 전송되는 한편, 이동교환국(52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역으로 제어국(510)과 기지국(510-1~510-n)을 거쳐 이동단말기(512-1~512-n)로 전송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코드분할접속(CDMA)방식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으로 측정대상을 코드분할접속(CDMA)방식의 시스템내에 실장되는 보코더로 하여 이 보코더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초기의 호 설정 이후에 음질측정용 서버(300)가 호처리와 음성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질측정용 클라이언트(100)는 기지국 관리장치(400)의 제어 및 음성비교 모듈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질시험 과정을 살펴보면, 음질시험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운영자로부터 MMC로 시험이 요구되면 기지국 관리장치(BSM)를 통해 해당 채널의 정보를 읽어와서 상태를 확인한다(S1~S2). 이때 시험할 보코더를 기지국 관리장치(BSM)에서 MMC명령을 통하여 선택한다. 이어 해당 보코더가 BUSY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사(S3)하여, 보코더의 상태가 BUSY이면 다시 처음 시작단계(S1)로 되돌아가고, BUSY 상태가 아니면 이동단말기(TM)로부터 호를 시도한다(S4). 설정된 호가 정상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의 시도를 반복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S5)하는데 호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처음 시작단계(S1)로 되돌아가고, 호가 정상적이면 호의 시도를 반복하지 않고 루프(LOOP)처리를 하여 음질 시험을 수행한다(S6). 이때 루프처리를 하는 횟수가 1회 이상이면 처음 단계(S1)로 되돌아가서 돌아오는 반복수행(S1~S6)을 거친다.
그런 다음, 기준 음성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측정된 PESQ값을 출력하고 통계데이터를 만들어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한다(S7). 이에 따라 음성채널의 이상 유무를 판단(S8)하여 정상적이면 시험동작을 종료(S9)하는 한편, 이상이 검출되면 RESET 또는 BLOCK나 SKIP으로 처리한다(S10).
이러한 시험과정은 사용자의 설정 옵션에 따라 제어되어 시험을 즉각적으로 취소하거나 잠시 멈출수 있으며, 종료시간 및 종료키가 입력될 때까지 시험을 반복한다. 각 시험은 한개의 고정라인(FIXLINE)을 점유하기 때문에 고정라인(FIXLINE) 개수에 따라 복수시험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시험과정 중에는 각 상태를 변수로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시간(이를테면, 500ms)마다 각각의 상태를 업데이트해주고 그에 따라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음질시험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서 운용되는 시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에는 메인메뉴, 선택된 제어국 시스템의 이름, 시험대상을 선택하고 보코더의 시험 수행과정 전체를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창, 하드웨어와 BSM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연결정보창, 예약시험을 위한 옵션을 설정하는 예약창, 4개 고정라인의 번호와 사용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고정라인의 정보창, 시험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시험 정보창, 시험결과의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WAVE 디스플레이창, 시험의 결과값을 출력하는 시험결과창, 및 텔넷을 통하여 BSM과 주고받는 MMC명령을 출력하는 BSM출력 메세지창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먼저 시험대상을 선택한 후, 음질시험을 위한 여러 가지의 시험 종류를 선택한다. 시험의 종류에는 자동시험, 수동시험, 예약시험 3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옵션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필요한 옵션을 설정할 수가 있다. 그 외의 옵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시험옵션 메뉴 창에서 설정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톤(TONE)시험의 수행여부나 BUSY시 재시도 횟수 및 전체 재시험 횟수 등을 설정하여 설정된 조건하에 시험이 진행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대상장치를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음성데이터를 송신 음성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음성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함과 아울러, 이상 발생시 극복 가능한 저하요인은 제거함으로써 운용자의 시스템 유지보수시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TCP/IP망으로 서로 접속된 음질측정용 클라이언트와 음질측정용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음질측정 서버를 증설함으로써 상당한 시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다양한 옵션과 알고리즘으로 시험을 할 수 있어 확장성과 적응성이 탁월한 잇점이 있다.
더욱이, 이동통신망의 통신장치들 뿐만 아니라 PSTN망의 통신장치, 각종 전송장치, VOIP망 등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통신장치에 음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의 음성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PC에 음질측정용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GUI를 제공하고, 전체 시험 과정을 제어하면서 PESQ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데이터를 비교측정하여, 측정결과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음질측정 클라이언트;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와 TCP/IP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다운받아 시험할 대상장치에 상기 시험용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장치로부터 다시 피드백되는 수신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음질측정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에 접속되는 상기 음질측정 서버는 사용자가 임의로 증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측정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질측정 서버는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와 접속하기 위한 랜 인터페이스;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서;
    각 보코더 채널의 시험을 위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일시 저장하는 송수신FIFO;
    상기 송수신FIFO의 음성데이터를 직렬/병렬 형태로 변환하여 다중화/역다중화하는 SLAC제어기;
    상기 SLAC제어기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상기 SLAC제어기로 전송하는 가입자선로 음성처리부(QSLAC);
    전화선로와 정합하기 위하여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2-4와이어(WIRE) 변환기능을 수행하며, 링검출 및 후크 온/오프 기능을 제공하는 선로정합부(COIC);
    상기 선로정합부를 제어하기 위한 COIC제어기; 및
    상기 시험할 대상장치와 연결되어 동시에 복수의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J11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각종 시험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부;
    상기 수신 음성데이터를 가청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질측정 클라이언트는
    상기 음질측정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호처리를 하는 통신제어부;
    상기 통신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험 대상장치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정보입력부;
    상기 시스템 정보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들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상이 감지된 시험에 대해서는 WAVE 파일을 저장하는 통계데이터부;
    GUI의 변화 및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된 옵션설정에 따라 시험을 한 후 상기 통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불량분을 검출하는 한편, 시험 구동을 위한 전체적인 모듈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동부; 및
    상기 통신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시험이 이루어진 측정값을 상기 PESQ 알고리즘으로 비교분석하여 PESQ 값을 산출하는 음성비교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측정장치.
KR10-2002-0049705A 2002-08-22 2002-08-22 음질측정장치 KR10049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05A KR100499066B1 (ko) 2002-08-22 2002-08-22 음질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05A KR100499066B1 (ko) 2002-08-22 2002-08-22 음질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69A true KR20040017569A (ko) 2004-02-27
KR100499066B1 KR100499066B1 (ko) 2005-07-01

Family

ID=3732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05A KR100499066B1 (ko) 2002-08-22 2002-08-22 음질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0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67B1 (ko) * 2005-12-09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질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2832B1 (ko) * 2006-04-20 2008-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체감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47138B1 (ko) * 2005-12-07 200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P 망에서 서비스 품질이 보장된 통화 음질 제공을위한 통화 음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45245B1 (ko) * 2007-08-10 2010-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하고 효율적인 음성 패킷 부분 암호화 방법 및 장치
CN110176964A (zh) * 2019-06-12 2019-08-27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设备的生产测试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82A (ko) * 1997-07-11 1999-02-05 김유승 화자인식 원격 클라이언트 계정 검증 시스템 및 화자검증방법
US7130273B2 (en) * 2001-04-05 2006-10-31 Level 3 Communications, Inc. QOS testing of a hardware device or a software client
JP2002354031A (ja) * 2001-05-29 2002-12-06 Sony Corp データ再生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20193999A1 (en) * 2001-06-14 2002-12-19 Michael Keane Measuring speech quality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38B1 (ko) * 2005-12-07 200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P 망에서 서비스 품질이 보장된 통화 음질 제공을위한 통화 음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734867B1 (ko) * 2005-12-09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질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2832B1 (ko) * 2006-04-20 2008-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체감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45245B1 (ko) * 2007-08-10 2010-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하고 효율적인 음성 패킷 부분 암호화 방법 및 장치
US7953222B2 (en) 2007-08-10 2011-05-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ly encrypting speech packets
CN110176964A (zh) * 2019-06-12 2019-08-27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设备的生产测试系统及方法
CN110176964B (zh) * 2019-06-12 2022-01-21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设备的生产测试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066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7320A (en)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ion networks
US5425076A (en) Cellular communications test system
CN106952657B (zh) 一种语音质量检测方法及装置
JP2000041096A (ja) 電気通信装置用テスト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US70928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voice quality in packet network environments
US72065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based remote control and test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499066B1 (ko) 음질측정장치
KR20090092972A (ko)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US6754309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US7590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t least one parameter to at least one transmission channel
KR10034024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화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US8571183B2 (en) Tool for testing distribution cabinets of a telephone network
US5818903A (en) CDMA mobile automatic call simulating method and simulator therefor
KR20010106412A (ko) 음성 및 오디오신호의 실시간 품질 분석기
KR100266859B1 (ko) 기지국시험기와 시험단말기을 이용한 원격호 제어방법
CN108091349B (zh) 语音质量检测系统、方法及pesq控制终端
KR100897045B1 (ko) 통화로 구간 음질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466845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호 시도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3399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
KR20010093994A (ko) 통신시스템에서 보코더 채널의 음성품질 자동 측정 장치및 그 방법
KR20040022849A (ko) Pda를 이용한 이동통신 환경 측정 시스템
KR19990038096A (ko)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화로품질 시험장치
KR2005010106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의 통신 품질 측정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217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0139727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자동호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