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943A -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 Google Patents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943A
KR20040016943A KR1020040007199A KR20040007199A KR20040016943A KR 20040016943 A KR20040016943 A KR 20040016943A KR 1020040007199 A KR1020040007199 A KR 1020040007199A KR 20040007199 A KR20040007199 A KR 20040007199A KR 20040016943 A KR20040016943 A KR 2004001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mposite plate
composite panel
bent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식
Original Assignee
홍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943A/ko
Publication of KR2004001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상면에 요철면(3)을 가진 수평면(2)과, 수직벽면(1)과, 수평면(2) 저면에 돌설된 ㄴ자형 브라켓 고정부(4)로 구성되는, 상하평판 사이에 심재가 내재된 복합판재(8)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2)과 수직벽면(1)을 직각으로 직접 연결하고, 상기 수직벽면 (1)에는, 측면에 절곡면(13)을 가진 복합판재의 상기 절곡면(13)을 외접되게 삽입하여 리벳(5')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에 절곡면(13)을 가진 복합판재(8)를 장착하므로써, 리벳(5')으로 복합판재(8)의 절곡면(13)과 수직벽면(1)을 리벳팅하여 고정할 수가 있고 절곡된 절곡면(13)에 의하여 복합판재(8)와 브라켓의 수직벽면(1) 사이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와 더불어 복합판재(8)의 수평면(2) 및 수직벽면(1)에 의해서 수직, 수평방향에서 리베팅(5')(6')함으로써 브라켓과 판재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일면에만 리베팅한 것보다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갖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Brackets for fixing composite panels having bent face on the side with structures}
본 발명은 에지부가 절곡되어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공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상하평판 사이에 각종 합성수지 발포체나, 각종 금속이나 각종 합성수지로된 하니컴형이나 코르게이션(corrugation:물결무늬)형 코어(심재)층이 접착제층으로 접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한몸으로 연속 생산되는 건축 구조물 내외장용 복합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한 다음, 그 사방의 주연부(edges)의 상하평판중 하부 평판과 그것과 접착된 심재를 절단한 후, 다른 상부 평판을 절곡되게 가공하여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한 복합판재를, 상기 절곡면을 브라켓의 수직벽면에 외접되게 결합한 다음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므로써 건축 구조물내에 수분 침투를 예방하고 결합이 완벽하여 절대로 복합판재가 이탈되지 않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같은 건축물 내외장용 복합판재는, 도3(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규격으로 상하판재(100)(100')와 심재(core)(200)를 미리 마름질하여 준비한 다음 그 심재(200)의 상하와 상하판재(100)(100')사이에 핫멜트필름등과 같은 접착제층(미도시)을 내재시킨 상태에서 핫프레스에서 복합판재를 열압착에 의해 압착성형하되, 상하판재(100)(100')가 심재(200)를 사방에서 감싸면서 성형물의 주연부에는 다수개의 건축물에 결합 고정할 볼트공(300)이 형성된 프랜지(400)가 그 성형물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핫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복합판재는 핫프레스의 크기에 따라 그것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물 규격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 핫프레스보다 더 길거나 큰 다양한 규격의 복합판재의 생산은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건축물이나 기타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복합판재를 성형하지는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핫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는 복합판재의 결점을 해소하여 연속적으로 가동되는 제조장치에 의하여 복합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복합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판재는 건축 구조물에 고정할 결합용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하평판재와 코어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복합판재를 건축구조물에 결합고정하는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건축 구조물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모기둥형 고정부(이하 고정부라고 약칭함)와 복합판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인 브라켓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상하판재와 심재로만된 복합판재를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기 위한 브라켓이 개발된바 없었다.
그러므로 부득이 상하평판재 및 심재로만 된 연속생산되는 복합판재를 건축 구조물에 연결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복합판재를 건축 구조물에 연결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브라켓의 개발이 시급한 단계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상하 각종 재질의 평판 사이에 각종 재질의 심재가 적층 접착된 것으로 구성된 한몸으로 연속 생산되는 복합판재를 일차적으로 그 주연부(周緣部:edges)의 상하평판중 하부 평판과 그것과 부착된 심재를 절단 제거한 다음 다른 상부 평판을 절곡시켜 측면에 절곡면이 형성되게 가공한 다음 그것과 결합하여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므로서 결합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완전한 방수효과도 얻을 수 있게한,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한 복합판재의 건축물 장착용 브라켓을 제공코저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에 복합판재를 연속 결합한 전체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핫프레스식 건축 내외장용 복합판재 성형물의 결합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직벽면2 : 수평면
3 : 요철면4 : 브라켓 고정부
6 : 리벳고정용 홈7 : 나사가이드용 홈
5',6' : 리벳7' : 나사
8 : 복합판재9 : 판재 외단면
11 : 고정부재12 : 하단 고정면
13 : 절곡면14 : 리벳
15 : 건축 구조물a,b : 상하평판
본 발명의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은,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는 평평한 주연부를 갖는 미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에서와 같이 상면에 요철면(3)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리벳고정용 홈(6)이 형성된 수평면(2)과, 복합판재 외단면(9)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벽면 (1)과, 상기 수직벽면(1)에 근접한 수평면(2)의 저면에 ㄴ자형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하단 고정면(12)에 나사가이드용 홈(7)이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4)로 구성된 연속생산되는 복합판재의 건축 구조물 부착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요철면(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리벳고정용 홈(6)이 형성된 수평면(2)이 상기 수직벽면(1)의 하단과 직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수직벽면(1)은 복합판재의 상하평판(a)(b)중 상부 평판(a)이 절곡된 절곡면(13)이 외삽되어 안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5',6'는 리벳이고 7'는 나사이며, 11은 건축 구조물에 부착된 4각 파이프로 된 고정부재이고 14는 리벳이며, 15는 건축 구조물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측면에 절곡면(13)을 가진 복합판재(8)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에 복합판재를 장착시에는 먼저 본발명 브라켓의 수평면(2)의 요철면(3)과 수직벽면(1)에, 복합판재의 하부평판(b)과 복합판재(8)의 외단면(9)이 장착되면서 측면에 가공된 복합판재의 절곡면(13)이 브라켓의 수직벽면(1)에 외접되도록 복합판재를 장착한다음 복합판재의 절곡면(13)과 브라켓의 수직벽면(1)을 관통하도록 리벳(5')을 타설하고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는 "미가공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에서와 같이, 리벳고정용 홈(6)을 통하여 수평면(2)에 리벳(6')을 타설하면 복합판재(8)는 완벽하게 브라켓에 고정되고 브라켓의 브라켓 고정부(4)의 하단 고정면(12)을, 건축 구조물(15)에 리벳(14)에 의해 미리 고정된 고정부재(11)에 닿게하여 나사가이드용 홈(7)을 통하여 나사(7')로 고정한후 다음 공정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브라켓은 측면에 절곡면(13)을 갖는 복합판재(8)를 브라켓의 수직벽면(1)에 복합판재의 상기 절곡면(13)이 외접되게 리벳(5')으로 고정하므로서 건축 구조물에 시공후 복합판재(8)와 브라켓의 수직벽면(1)사이로 빗물이나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브라켓의 하단 고정면(12)에 의하여 건축 구조물(15)에 나사(7')로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는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는 "미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에 요철면(3)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리벳시공용 요홈(6)이 형성된 수평면(2)과, 복합판재 외단면(9)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벽면(1)과, 상기 수직벽면(1)에 근접한 수평면(2)의 저면에 ㄴ자형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하단 고정면(12)에 나사고정용 요홈(7)이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4)로 구성된 연속생산되는 복합판재의 건축 구조물 부착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요철면(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리벳시공용 요홈(6)이 형성된 수평면(2)이 상기 수직벽면(1)의 하단과 직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수직벽면 (1)에는, 복합판재의 상하평판(a)(b)중 상부 평판(a)이 절곡되어 측면에 절곡면 (13)을 갖도록 가공된 상기 복합판재(8)의 측면 절곡면(13)이 외삽되어 안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
KR1020040007199A 2004-02-04 2004-02-04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KR20040016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99A KR20040016943A (ko) 2004-02-04 2004-02-04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99A KR20040016943A (ko) 2004-02-04 2004-02-04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43A true KR20040016943A (ko) 2004-02-25

Family

ID=3732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199A KR20040016943A (ko) 2004-02-04 2004-02-04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9137A (ko) 형틀 겸용 단열 패널 및 외단열 구조
KR20040016943A (ko) 측면에 절곡면을 갖도록 가공된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브라켓
US5281382A (en) Method of making molds
CN112814210B (zh) 一种分片的装配式墙体及其安装方法
JP5323313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93958B2 (ja) 外壁材の接続構造
JP3945690B2 (ja) サイディングアセンブリ,サイディングボード,化粧板,懸止部材,目地部材およびサイディング施工方法
CN110185221A (zh) 装配式建筑墙体
CN210316310U (zh) 装配式建筑墙体
KR200423396Y1 (ko) 건축물 벽면 시공용 거푸집 구조
JP7481858B2 (ja) 防蟻シート貼り断熱材、及び防蟻シート貼り断熱材の製造方法
CN219316803U (zh) 一种玻璃门扇
CN212719926U (zh) 模块化装配式干式地暖系统
JP4921958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7001067U (zh) 一种新型装配式整体浴室
KR20040016942A (ko) 미가공 복합판재의 건축물 부착용 브라켓
JP4233673B2 (ja) 外装材用の取付金具、及び外装材の取付方法
IE20170074A1 (en) A building component
JP4943877B2 (ja) 圧縮繊維パネルおよび圧縮繊維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163606A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CN105952051A (zh) 一种室内吊顶结构
JP2023156609A (ja) 開口を備える壁体構造
JP4107576B2 (ja) 建築用パネル
JP3070799U (ja) 配線用ケ―ブル支持具
JP4017566B2 (ja) 横葺き外装材および横葺き外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