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776A -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776A
KR20040016776A KR1020030028380A KR20030028380A KR20040016776A KR 20040016776 A KR20040016776 A KR 20040016776A KR 1020030028380 A KR1020030028380 A KR 1020030028380A KR 20030028380 A KR20030028380 A KR 20030028380A KR 20040016776 A KR20040016776 A KR 2004001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reaction tank
media
wall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411B1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03-002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1/00Sewing machines incorporating devices serving purposes other than sewing, e.g. for blowing air, f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고농도의 축산폐수, 분뇨 등을 미생물에 의해 정화, 처리, 액비화 하는데 이용되며, 자연미생물의 부착, 공생된 다양한 메디아와 에어순환장치에 의해 반응조 내부에 수중반응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반응조 내에 별도의 2차반응조와 침전조를 설치하여 미생물 분해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폐수처리 중간 중간에 농도에 적합한 액비를 추출하고, 최종단계에서 방류수에 적합하도록 정화할 수 있도록 한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온수단을 구비한 오·폐수 유입관(21)과 배출관(22)을 갖는 반응조(20)와, 이 반응조(20) 내부의 수중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30)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하측에서 이 미생물 부착메디아(30)를 향해 상측으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장치(32)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유동을 형성하여 오·폐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주변을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에어순환장치(40)와, 반응조(20) 내부를 구획하여 일측에 2차반응조(50)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반응조(20) 바닥면과 틈을 이루는 침전물 리턴통로(61)와, 중앙의 2차유입구(63)를 갖는 반응조 분리벽(6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Non-virulence media wastewater disposal plant for wastewater, domestic animals and night soil}
본 발명은 주로 오·폐수, 고농도의 축산폐수, 분뇨 등을 미생물에 의해 정화하는데 이용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미생물 메디아와 에어순환장치에 의해 반응조 내부에 수중반응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반응조 내에 별도의 2차반응조와 침전조를 설치하여 미생물 분해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폐수처리 중간 중간에 농도에 적합한 액비를 추출하고, 최종단계에서 방류수에 적합하도록 정화할 수 있도록 한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분뇨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BOD"라 함.)이 대개 수만ppm(예, 20000ppm)을 넘는데, 종래 진동스크린법, 가압부상법, 응집제처리법, 활성슬러지법, 회전원통법(RBC법), 접촉처리법(HBC법) 등과 같이 물리, 화학, 미생물학이 동원된 많은 폐수처리방법이 있긴 하지만 축산분뇨와 같이 BOD가 높은 폐수는 처리가 곤란하여 방류수 수질에 미달된 상태로 하천에 방류하는 실정에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질 및 환경오염이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즉, 종래의 폐수처리방법 중 진동스크린법은 경사진 진동스크린 위로 폐수 및 폐기물을 낙하시켜 페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진동스크린 위에서 걸러지도록 하고, 폐수만 진동스크린 밑으로 빠져서 분리되도록 한 것으로, 진동스크린을 움직이기 위해 전력 낭비가 심하였으며, 비교적 큰 이물질만을 제거할 뿐 방류수 기준에 맞춘 폐수를 정화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또, 가압부상법은 반응조 밑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수중에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에 부상력을 가해 이물질이 수면위로 떠오르도록 한 다음 수면을 쓸어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 수면위로 떠오를 정도의 가볍고 큰 입자형태의 이물질 제거에만 효과가 있을 뿐 수중에 녹아 있는 유기물이나 매우 작은 입자형태로 된 이물질의 제거에는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수면 위의 이물질을 쓸어낼 때 기계적인 움직임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응집제처리법은 응집제와 같은 약품을 다량 투입하여 응집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고가의 응집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매우 비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처리과정에서 사용한 응집제가 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곧바로 방류하지 못하고 후처리 과정을 거쳐 무독성처리를 해야 하나 이때에도 독성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아 위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활성슬러지법은 "폭기법"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물속에 다량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대시켜 호기성미생물의 유기물분해 활동을 촉진하도록 된 것이었으나 움직임이 정적이어서 정화효율이 낮고, 저농도의 폐수정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축산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폐수 정화에는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 회전원통법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드럼의 하부는 수중으로 잠기도록, 상부는 공기중에 위치되도록 반응조의 수면에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드럼을 회전시켜 폐수의 공기 접촉시간 및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대시키도록 된 것으로, 저농도의 폐수정화에는 효과가 있으나 고농도의 축산폐수는 폐수중의 분뇨나 음식물 찌꺼기가 드럼에 끼거나 구멍을 메우게 되어 가동 중에 잦은 고장을 일으키므로, 축산폐수 정화에는 사용이 어렵게 되어 있었다.
또한, 접촉처리법은 실처럼 가느다란 여러 가닥의 미생물부착 섬유를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한 다음 방치하여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꾀한 것으로, 이 또한 축산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폐수정화시에는 분뇨나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미생물부착 섬유에 들러붙어서 미생물부착 섬유에 자생하는 미생물들을 사멸시키기 때문에 고농도의 폐수정화에는 부적합하였다.
또, 축산분뇨는 자체에 많은 유기물과 질소, 인, 부유물 등 비료로서 유효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처리시스템은 고체와 액체의 분리하고, BOD를 낮추는 데에만 목적을 두고 정화장치들이 만들어져 왔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농토는 화학비료의 과잉사용으로 인해 토양이 산성화되어 농업생산성이 점점 줄어들고, 농작물의 질이 떨어져서 천연비료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데, 기존의 폐수처리 시스템은 페수로부터 분리된 고체를 퇴비화하여 천연비로를 생산하는 정도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생산량에 한계가 있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보급에 장애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오·폐수, 고농도의 축산폐수, 분뇨 등을 방류수 기준에 맞추어 정화할 수 있으며, 정화과정 중간 중간에 적정한 농도의 액비를 추출할 수 있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온수단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오·폐수 유입관과 배출관을 갖는 반응조와, 이 반응조 내부의 수중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와, 부착미생물 메디아의 하측에서 이 미생물 부착메디아를 향해 상측으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발생장치와, 부착미생물 메디아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유동을 형성하여 오·폐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의 주변을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에어순환장치와, 반응조 내부를 구획하여 일측에 2차반응조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반응조 바닥면과 틈을 이루는 침전물 리턴통로와, 중앙의 2차유입구를 갖는 반응조 분리벽으로 구성하여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서 2차유입구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서 2차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액비를 생산해 내기 위한 구성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반응조21 : 오·폐수 유입관
22 : 배출관23 : 보온파이프
24 : 보온단열재25a : 반응조 외벽
25b : 반응조 내벽30 : 부착미생물 메디아
32 : 미세기포발생장치34 : 수중반응영역
40 : 에어순환장치50 : 2차반응조
60 : 반응조 분리벽61 : 침전물 리턴통로
62 : 부유물 상승부63 : 2차유입구
66 : 부유물 안내판70 : 반응조 격벽
80,81 : 액비저장탱크90 : 침전조 분리벽
95 : 2차침전물 리턴통로97 : 침전실
100 : 2차반응조 격벽120 : 2차부착미생물 메디아
V1,V2,V3,V4,V5,V6,V7 : 개폐밸브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수단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오·폐수 유입관(21)과 배출관(22)을 갖는 반응조(20)와, 이 반응조(20) 내부의 수중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30)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하측에서 이 미생물 부착메디아(30)를 향해 상측으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발생장치(32)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유동을 형성하여 오·폐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주변을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에어순환장치(40)와, 반응조(20) 내부를 구획하여 일측에 2차반응조(50)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반응조(20) 바닥면과 틈을 이루는 침전물 리턴통로(61)와, 중앙의 2차유입구(63)를 갖는 반응조 분리벽(6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오·폐수 유입관(21)을 사이에 두고 반응조(20)의 내측 벽면과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이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상부 수중반응영역(34)을 구분하는 반응조 격벽(70)을 구비하였다.
또, 상기 반응조(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온수단은 반응조(20) 수중을 통과하는 보온파이프(23)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응조(20)는 그 내부에 보온단열재(24)가 설치되고, 이 보온단열재(24)의 외부를 반응조 외벽(25a)과 반응조 내벽(25b)이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반응조 외벽(25a)과 반응조 내벽(25b)은 녹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스텐레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시멘트나 합성수지(예, PVC)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응조 분리벽(60)의 중간에 위치하는 2차유입구(63)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형태로 형성하여 오·폐수의 2차반응조(50) 내부로의 유입에 저항을 가하여 반응조(20) 내부의 운동에너지가 2차반응조(5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반응조(20)로부터 2차반응조(50)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 에어순환장치(40)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구조로 하였다.
또, 상기 2차반응조(50)의 내측에서 배출관(22)을 사이에 두고 벽면과 이격되어 침전실(97)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벽면과의 사이에 2차침전물 리턴통로(95)를 형성하며, 상단에는 벽면과의 사이에 부유물 상승부(62)를 형성하는 침전조 분리벽(9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 상승부(62)에 2차반응조(50)를 향해 구부러지고, 수중으로부터 수면위로 연장형성되는 부유물 안내판(66)을 설치하여 수면위로 떠오른 부유물이 2차반응조(50)로 되돌려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반응조(50) 내측에는 2차반응조 격벽(100)을 반응조 분리벽(60)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하여 순환하도록 하였으며, 2차반응조(50) 내측에 침전조 분리벽(90)의 상단에 위치되는 2차부착미생물 메디아(120)를 설치하여 2차반응조(50) 내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30) 및 2차부착미생물 메디아(120)는 15~75° 범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미생물이 표면에 부착된 PVC용기, 요구르트 병, 자갈, 경석, 다공성입자 등의 무독성 재질을 다량 수용하며, 그 외부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철망이나 프라스틱망으로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공급탱크(90)로부터 상기 반응조(2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고, 그 중간 중간에 개폐밸브(V1,V2,V3,V4,V5,V6,V7)와 액비저장탱크(80)(81)를 두어 적정한 농도의 액비를 정화과정 중간에서 뽑아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산폐수, 분뇨와 같은 고농도(BOD 10000 이상)의 오·폐수가 오·폐수 유입관(21)을 통해 반응조(20) 내부로 유입되면, 반응조(20) 벽면과 반응조 격벽(70)이 이루는 사이의 수중 통로를 통해 하향하면서 반응조(20) 바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반응조(20) 바닥에 위치된 에어순환장치(40)에 의해 물의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반응조(20)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그 일부가 반응조(20) 바닥에서 미세기포발생장치(32)의 하측으로 통과하여 수면을 향해 흐르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안정된 상태에서 미세기포발생장치(32)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와 섞이면서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하측을 향해 천천히 유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세기포발생장치(32)에 의해 부착미생물 메디아(30)로 공급되는 오·폐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30)를 통과하면서 부착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호기성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게 되며, 부착미생물 메디아(3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와 오·폐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저면을 따라 고르게 이동하면서 체류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미생물 정화작용이 부착미생물 메디아(30)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주변은 둥그런 형태의 순환경로가 형성되고 있지만 그 안쪽에는 정채된 상태의 수중반응영역(34)이 형성되면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가 촉진된다.
즉, 반응조(20) 내부에 형성된 수중반응영역(34) 주변을 에어순환장치(40)에 의해 오·폐수가 돌면서 순환하기 때문에 수중반응영역(34) 내의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정화작용이 촉진되고 동시에 에어순환장치(40)에 의해 순환하는 오·폐수와 수중반응영역(34)에 위치된 미생물간에 고른 접촉과 이동으로 정화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2차반응조(50) 내부에서 1차적으로 분해가 이루어진 오·폐수는 그 일부가 반응조 분리벽(60)의 중간에 형성된 2차유입구(63)를 통해 2차반응조(50) 내부로 천천히 유입되면서 이번에는 1차 정화된 오·폐수가 2차반응조(50) 내부에서 천천히 정채된 상태에서 유기물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2차반응조(50)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2차반응조 격벽(100)에 의해 2차유입구(63)를 통해 2차반응조(50)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하향하면서 2차반응조(50) 내부에서 약한 물의 흐름을 형성하게 되고, 그 순환경로의 중간에 위치하는 2차부착미생물 메디아(120)에 의해 순환되는 오·폐수 중의 유기물 분해가 이루어지게된다.
이때 오·폐수는 침전조분리벽(90)에 의해 2차반응조(50) 내부에 형성된 침전실(97)을 통과하면서 2차반응조(50)에서 미처 분해되지 못한 유기물 중 비중이 무거운 유기물은 바닥으로 가라앉아서 침전물을 형성하고, 비중이 가벼운 유기물은 수면위로 떠서 부유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침전실(97)로 유입된 2차 정화된 오·폐수 중의 침전물은 침전조 분리벽(90)과 바닥면이 이루는 2차침전물 리턴통로(95)를 통해 2차반응조(50)를 향해 되돌려지면서 2차반응조(50) 내부를 재순환하면서 미생물 분해과정을 거치게 되며, 침전실(97)의 상단에 형성된 부유물 상승부(62)를 통해 수면위로 떠오른 부유물은 부유물 안내판(66)에 의해 2차반응조(50)의 수면위로 되돌려지면서 2차반응조(50) 바닥으로 가라앉으면서 재분해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반응조(20) 및 2차반응조(50)의 수중에 위치하는 보온파이프(23)는 반응조(20) 내부에서 미생물 분해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더욱이 반응조 내부에 채워진 보온단열재(24)는 외기가 반응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반응조(20)가 갖고 있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침전실(97)에 위치하는 배출관(22)은 침전물 및 부유물과 분리된 3차 정화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농도의 액비를 생산해 내는 경우 폐수처리 과정 중간 중간에 설치된 개폐밸브(V1,V2,V3,V4,V5,V6,V7)와 액비저장탱크(80)(81)를 이용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폐수를 뽑아내면 액비로써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반응조 내부에 형성된 수중반응영역 주변을 에어순환장치에 의해 오·폐수가 돌면서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정화작용이 촉진되고 동시에 오·폐수와 미생물간에 고른 접촉으로 정화효율이 증가하며, 반응조를 2차로 두어 반응시간 및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축산폐수를 정화하는 과정 중 중간단계에서 적합한 수준의 BOD를 갖는 액비를 뽑아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인 축산폐수 뿐만 아니라 생활오수, 공장폐수, 분뇨 등 다양한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보온수단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오·폐수 유입관(21)과 배출관(22)을 갖는 반응조(20)와;
    상기 반응조(20) 내부의 수중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부착미생물 메디아(30)와;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하측에서 이 미생물 부착메디아(30)를 향해 상측으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발생장치(32)와;
    상기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오·폐수가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주변을 따라 순환하도록 하는 에어순환장치(40)와;
    상기 반응조(20) 내부를 구획하여 일측에 2차반응조(50)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반응조(20) 바닥면과 틈을 이루는 침전물 리턴통로(61)와, 중앙의 2차유입구(63)를 갖는 반응조 분리벽(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유입관(21)을 사이에 두고 반응조(20)의 내측 벽면과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이 부착미생물 메디아(30)의 상부 수중반응영역(34)을 구분하는 반응조 격벽(7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온수단은 반응조(20) 수중을 통과하는 보온파이프(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20)는 그 내부에 보온단열재(24)가 설치되고, 이 보온단열재(24)의 외부를 반응조 외벽(25a)과 반응조 내벽(25b)이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분리벽(60)의 중간에 위치하는 2차유입구(63)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오·폐수의 2차반응조(50) 내부로의 유입에 저항을 가하여 반응조(20) 내부의 운동에너지가 2차반응조(5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분리벽(60)의 중간에 위치하는 2차유입구(63)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오·폐수의 2차반응조(50) 내부로의 유입에 저항을 가하여 반응조(20) 내부의 운동에너지가 2차반응조(5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반응조(50)의 내측에서 배출관(22)을 사이에 두고 벽면과 이격되어 침전실(97)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벽면과의 사이에 침전물 리턴통로(61)를 형성하며, 상단에는 벽면과의 사이에 부유물 상승부(62)를 형성하는 침전조 분리벽(9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상승부(62)에 2차반응조(50)를 향해 구부러지고, 수중으로부터 수면위로 연장형성되는 부유물 안내판(66)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반응조(50) 내측에서 반응조 분리벽(60)과 이격된 2차반응조 격벽(10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반응조(50) 내측에서 침전조 분리벽(90)의 상단에 위치되는 2차부착미생물 메디아(1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20)를 복수로 연결하고, 그 중간 중간에 개폐밸브(V1,V2,V3,V4,V5,V6,V7)와 액비저장탱크(80)(81)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12. 제 1 항의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로부터 생산된 액비.
KR10-2003-0028380A 2003-05-03 2003-05-03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044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80A KR100448411B1 (ko) 2003-05-03 2003-05-03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80A KR100448411B1 (ko) 2003-05-03 2003-05-03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776A true KR20040016776A (ko) 2004-02-25
KR100448411B1 KR100448411B1 (ko) 2004-09-16

Family

ID=3732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380A KR100448411B1 (ko) 2003-05-03 2003-05-03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51B1 (ko) * 2008-06-11 2008-12-02 (주)윈앤윈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51B1 (ko) * 2008-06-11 2008-12-02 (주)윈앤윈 고농도 유기폐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411B1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621B1 (ko)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고 배기가스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US5948261A (en) Process for treating biosolids from wastewater treatment
CN105731724B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方法
KR20110002832A (ko)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430847B (zh) 一种集约化养猪废水处理设备
CN102276108A (zh) 一种畜禽沼液净化装置和方法
Ranjit et al.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N205676312U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设备
CN204873956U (zh) 一种改进型处理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的铁碳微电解设备
Tay et al. Seafood processing wastewater treatment
KR101000506B1 (ko) 분뇨, 오수 및 축산폐수 고도처리장치
CN111018263A (zh) 一种界面切割的生物净化污水处理装置
CN111762974A (zh) 一种养殖废水中的cod及氨氮处理方法及系统
KR100448411B1 (ko)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1054494B1 (ko) 고농도 오·폐수와 축산폐수를 정수하여 재활용하는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448409B1 (ko)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0458764B1 (ko) 침적형 고정층 미생물막법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장치
CN101376540A (zh) 活性污泥装置以及处理方法
KR100432298B1 (ko) 액상 폐기물의 자원재생 처리장치 및 그 처리장치로부터생산되는 농축대사물질
KR101081031B1 (ko) 슬러지와 하수 총인 감소 및 축산분뇨 액비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US6168717B1 (en) Process for controlling foam in a treatment reactor
KR100448412B1 (ko) 무독성메디아를 이용한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장치
KR102670533B1 (ko)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CN218931842U (zh) 一种污泥减量污水处理系统
MX2009014232A (es) Planta y proceso de tratamiento para aguas residuales de ras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