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351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351A
KR20040016351A KR1020020053898A KR20020053898A KR20040016351A KR 20040016351 A KR20040016351 A KR 20040016351A KR 1020020053898 A KR1020020053898 A KR 1020020053898A KR 20020053898 A KR20020053898 A KR 20020053898A KR 20040016351 A KR20040016351 A KR 2004001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ece
frame
door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575B1 (ko
Inventor
장성덕
한대성
강한성
여주용
한용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1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05B6/766Microwave radiation screen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실을 여러 방향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전자렌지가 개시된다. 도어는 조리실의 테두리면과 접촉하는 프레임과 각각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면판과 하면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제 1 피스와, 그 상측 테두리와 하측 테두리가 각각 제 1 피스의 상면판과 하면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제 2 피스로 구성된다. 제 1 피스는 프레임과 투시부재의 상면판과 하면판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 후에, 상면판과 하면판이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90도의 각도로 절곡됨으로써 성형된다. 제 2 피스의 상측 테두리와 하측테두리는 각각 제 1 피스의 상면판과 하면판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 2 피스의 양측단에는 외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서, 각 플랜지부가 제 1 피스의 프레임의 내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여러 방향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도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전장품실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실에 놓여진 조리물을 조리하거나 데우는 기구로서, 고주파를 조리실의 내부로 주사하여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도 1은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어 형성된 전장품실(2)과 조리실(3)을 구비한다. 전장품실(2)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4)과, 상기 마그네트론(4)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조리실(3)로 공기를 순환시켜서 조리시에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5)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3)은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바닥면(3a)이 사각형상을 이루며, 바닥면(3a)의 선단부는 조리실(3)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면(3a) 위에는 조리물이 얹혀져서 마그네트론(4)으로부터 주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턴테이블(6)과, 상기 턴테이블(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6)은 조리실(3)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개방된 조리실(3)의 전면에는 하우징(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조리실(3)을 개폐하는 도어(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8)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위에는 조리실(3)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투시홀이 형성된 투시부재(9)가 결합되어 있다. 이 투시부재(9)를 포함하는 도어(8)는 그 전면과 배면이 모두 평면으로 이루어져서, 도어(8)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8)의 배면은 조리실(3)의 전면에 접촉하게 되며, 도어(8)의 전면은 평면을 이루어서 조리실(3)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렌지가 작동되면 마그네트론(4)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가 조리실(3)로 주사됨과 동시에 턴테이블(6)이 저속으로 회전되어서, 턴테이블(6) 위에 얹혀진 조리물이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중앙부위에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재가 도어와 함께 평면을 이루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리하는 동안 조리실에 넣어진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에서 투시부재의 높이에 맞추어 조리실의 내부를 들여다 보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도어에서는 투시부재가 평면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투시홀들이 형성된 부분이 도어의 전체 표면적에 비해 작게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실의 내부를 들여다 보기 위해서는 투시부재에 인접하여 가까이 다가가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시간이 요하게 되며, 또한 전자렌지의 주위에서 다른 일을 하면서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여러 방향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을 여러 방향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투시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조리실 22: 바닥판
30: 도어 31: 프레임
32: 투시부재 33: 전면판
34: 상면판 35: 하면판
40: 제 1 피스 41: 단차부
50: 제 2 피스 51: 플랜지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면 테두리에 접촉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판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피스와 상기 전면판을 포함하는 제 2 피스가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피스는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전면판과 함께 상기 조리실에서 연장되는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상면판과 하면판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과 상하면판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전면판과 상면판에는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다수의 쵸크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통해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은 대략 반 실린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은 그 횡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의 상측 테두리와 하측테두리는 각각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의 양측단에는 외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각 플랜지부가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으로 홈을 이루어 형성된 단차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각 단차부에 상기 각 플랜지부가 끼워져서 용접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랜지부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피스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 후에,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90도의 각도로 절곡됨으로써 성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여러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전장품실(10)과,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조리실(20)과,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0)를 구비한다.
상기 전장품실(10)에는 조리실(20)로 고주파를 주사하는 마그네트론(11)과, 상기 마그네트론(11)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조리실(20)에서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분과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12) 등이 설치된다.
조리실(20)은 상부벽(21)과 바닥판(22), 그리고 좌우측벽(23)(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되게 된다. 조리실(2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25)를 개폐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따른 도어(3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조리실(20)의 개구부(25)의 가장자리에는 도어(30)가 닫혔을 때 도어(30)의 테두리와 접촉하여 상기 개구부(25)를 밀폐하기 위해 평면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테두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실(20)의 바닥판(22) 위에는 조리물이 올려져서 조리되도록 하는 턴테이블(27)과, 상기 턴테이블(2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27)은 바닥판(22)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에 얹혀진 조리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30)는 조리실(20)의 개구부(25)를 형성하는 테두리면(26)에 밀착되어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어 형성된 프레임(31)과, 조리실(20)의 내부를 투시하여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1)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투시부재(32)를 포함한다.
프레임(31)에는 그 테두리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쵸크홈(31a)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30)가 폐쇄되어 프레임(31)이 조리실(20)의 전면의 테두리면(26)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쵸크홈(31a)에 의해 조리실(20)로부터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투시부재(32)는 상기 프레임(31)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즉 조리실(20)의 전면의 외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어 돌출한 전면판(33)과, 곡면을 이루는 상기 전면판(33)의 상부를 덮는 대략 반원형상의 상면판(34)과, 곡면을 이루는 상기 전면판(33)의 하부를 덮는 대략 반원형상의 하면판(35)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대략 반 실린더 형상으로 돌출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 실린더 형상을 이루어 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가진 도어(30)의 투시부재(32)가 조리실(20)과 함께 조리공간(37)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바닥판(22)의 선단부(22a)도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어 조리실(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어(30)가 조리실(20)을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판(22)의 선단부(22a)는 투시부재(32)의 하면판(35) 위에 배치되어 반실린더 형상의 투시부재(32)의 내부가 조리공간(3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과 상면판(34)에는 조리실(20)을 투시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투시홀들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전면판(33)과 상면판(34)을 통하여 조리실(2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서는 조리실(20)의 전방에서 뿐만 아니라 상방과 양 측방에서 조리실(20)을 투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전자렌지가 위치된 근방에서 다른 일을 하면서도 조리실(20)에 놓여진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투시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투시부재(32)의 외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투명창(미도시)이 부착되어 투시홀들을 통해 조리실의 내부가 조리실의 외부와 소통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투시부재(32)를 통해 조리실(20)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주방 또는 다른 실내공간에서 사람의 눈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관계로, 본 실시예에서는 투시부재(32)의 하면판(35)에는 투시를 위한 투시홀들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는데, 전자렌지의 설치 높이에 따라 하면판(35)에도 투시홀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전자렌지의 도어(30)를 구성하는 투시부재(32)가 전방으로 돌출한 반 실린더 형상을 이루게 되어서 조리시에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이 투시부재(32)의 내면에 응결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결합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30)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두 개의 피스(piece)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즉, 도어(30)는 조리실(20)을 밀폐하기 위한 프레임(31)과 이 프레임(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투시부재(32)의 상면판(34)과 하면판(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1 피스(40)와,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으로 이루어진 제 2 피스(5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제 1 피스(40)는 프레임(31)과 투시부재(32)의 상면판(34)과 하면판(35)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진 후에, 다시 상기 상면판(34)과 하면판(35)이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90도의 각도로 절곡됨으로써 성형된다. 다음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제 1 피스(40)에, 전방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진 제 2 피스(5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 1 피스(40)와 제 2 피스(50)를 결합시키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 피스(50)를 제 1 피스(40)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 2 피스(50)의 양측단에는 전면판(33)의 테두리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로 외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피스(50)의 플랜지부(51)와 결합하여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피스(40)의 프레임(31)의 내측면의 양측에는 상기 플랜지부(51)가 끼워지도록 홈을 이루는 단차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차부(41)의 폭은 상기 플랜지부(51)의 폭보다 약간 더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플랜지부(51)가 단차부(41)에 끼워진 상태에서 플랜지부(51)가 프레임(31)에 용접됨으로써 제 2 피스(50)의 양 측단부가 제 1 피스(40)의 양 측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플랜지부(51)가 프레임(31)의 양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31)과 플랜지부(51)는 평면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31)과 조리실(20)의 테두리면(26)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1)가 단차부(41)에 끼워져서 용접된 상태에서 제 1 피스(40)에 마련된 투시부재(32)의 상면판(34)과 하면판(35)은 각각 제 2 피스(50)를 이루는 투시부재(32)의 전면판(33)의 상부와 하부를 덮게 되며, 또한 상면판(34)과 하면판(35)의 테두리가 각각 전면판(33)의 상단과 하단에 마주하여 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면판(33)의 상단과 상면판(34)의 테두리 사이와, 전면판(33)의 하단과 하면판(35)의 테두리 사이를 그들의 내측에서 용접하게 되면 제 2 피스(50)는 제 1 피스(4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어(3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호 61과 62는 각각 전면판(33)의 상단과 상면판(34)의 테두리 사이와, 전면판(33)의 하단과 하면판(35)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피스(40)와 제 2 피스(50)는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스와 제 2 피스가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그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 1 피스와 제 2 피스는 다른 용접 방식이나 코킹(coulking), 또는 리벳팅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스와 제 2 피스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투시부재가 사각함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방으로 돌출한 것을 보인 것으로, 투시부재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 실린더 형상 이외에도 여러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투시부재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도어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실의 전방뿐만 아니라 양측방과 상방을 통해서도 조리실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여러 방향에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도어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2개의 피스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에, 2개의 피스가 다시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전면 테두리에 접촉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판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 1 피스와 상기 전면판을 포함하는 제 2 피스가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는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전면판과 함께 상기 조리실에서 연장되는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상면판과 하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하면판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전면판과 상면판에는 다수의 투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다수의 쵸크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통해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은 대략 반 실린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은 그 횡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각각 상기 전면판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의 상측 테두리와 하측테두리는 각각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를 이루는 상기 전면판의 양측단에는 외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각 플랜지부가 상기 제 1 피스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으로 홈을 이루어 형성된 단차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각 단차부에 상기 각 플랜지부가 끼워져서 용접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랜지부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 후에,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90도의 각도로 절곡됨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53898A 2002-08-15 2002-09-06 전자렌지 KR100485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344102P 2002-08-15 2002-08-15
US60/403,441 2002-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51A true KR20040016351A (ko) 2004-02-21
KR100485575B1 KR100485575B1 (ko) 2005-04-28

Family

ID=3077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98A KR100485575B1 (ko) 2002-08-15 2002-09-06 전자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89893B1 (ko)
JP (1) JP2004077108A (ko)
KR (1) KR100485575B1 (ko)
CN (1) CN1240967C (ko)
DE (1) DE6022894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79B1 (ko) 2005-04-04 2007-03-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조리실 가변형 전자렌지
CN104501274B (zh) * 2014-11-19 2016-08-10 成都实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低成本防辐射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49Y2 (ko) * 1974-02-28 1978-01-21
JPH01184332A (ja) * 1988-01-18 1989-07-24 Toshiba Corp 調理器
GB2249245B (en) * 1990-10-24 1994-12-14 Gold Star Co Microwave shielding device for a door of a microwave oven
FR2672080B1 (fr) * 1991-01-25 1993-12-03 Moulinex Porte de four electromenager et son procede d'encastrement.
US5365918A (en) * 1992-10-16 1994-11-22 Patentsmith Corporation Oven with short radius door
KR200142755Y1 (ko) * 1994-08-18 1999-06-01 전주범 전자렌지의 전면형상
KR200141855Y1 (ko) * 1996-11-29 1999-06-01 전주범 원형 전자레인지
KR19990006191U (ko) * 1997-07-24 1999-02-18 윤종용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77108A (ja) 2004-03-11
CN1240967C (zh) 2006-02-08
CN1475700A (zh) 2004-02-18
EP1389893A2 (en) 2004-02-18
EP1389893B1 (en) 2008-09-17
KR100485575B1 (ko) 2005-04-28
EP1389893A3 (en) 2006-04-12
DE60228948D1 (de)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0057B2 (en) Microwave oven
KR100543324B1 (ko) 전자렌지
KR100485574B1 (ko) 전자렌지
KR100485575B1 (ko) 전자렌지
KR100468121B1 (ko) 전자렌지
KR100468123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6759638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ng door and cooking cavity
KR100485576B1 (ko) 전자렌지
KR20230103499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239525B1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20000004451U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00399140B1 (ko) 전자렌지
KR200337672Y1 (ko) 전자레인지 스테인리스카바의 고정구조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200189548Y1 (ko) 전자렌지
KR960002688Y1 (ko) 상면열림방식 전자렌지
KR100513300B1 (ko) 전자렌지
KR101052154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0137170Y1 (ko) 전자렌지의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014061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형합구조
JP2009024894A (ja) 加熱調理器
KR20000005921U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9980010178U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